KR200324876Y1 -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876Y1
KR200324876Y1 KR20-2003-0018735U KR20030018735U KR200324876Y1 KR 200324876 Y1 KR200324876 Y1 KR 200324876Y1 KR 20030018735 U KR20030018735 U KR 20030018735U KR 200324876 Y1 KR200324876 Y1 KR 200324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panel
footrest
skirt
pane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주
Original Assignee
오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주 filed Critical 오현주
Priority to KR20-2003-0018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8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에 관한 것으로, 구동기를 통하여 발생된 동력이 구동 체인을 통하여 일측 스프로킷 및 타측 스프로킷으로 전달되고, 상기 구동 체인의 이동에 의해 상기 구동 체인과 연결된 발판이 이동되고, 상기 일측 스프로킷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스커트 패널 상의 파티션 플레이트에 지지된 핸드 레일이 상기 발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스커트 패널의 양측단에 입구측 승강장 및 출구측 승강장이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패널의 표면에는 라운딩 처리된 회전체가 상기 발판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SKIRT PANEL OF A PASSENGER CONVEYOR}
본 고안은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승객의 신발이 승객 컨베이어의 발판의 가장자리와 스커트 패널 사이에 끼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커트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 컨베이어는 지하철, 백화점 등 사람의 출입이 잦은 장소에 설치되어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사람들을 층과 층 사이에서 또는 비교적 먼 거리의 평지에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와 이동 보도 등이 있다. 에스컬레이터는 발판이 계단식으로 구성된 것이고, 이동 보도는 발판이 벨트식으로 구성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승객 컨베이어로서 에스컬레이터가 예시되어 있다. 에스컬레이터는 구동기(1)를 통하여 발생된 동력이 구동 체인(2)을 통하여 일측 스프로킷(3) 및 타측 스프로킷(4)으로 전달되는 구조이며, 구동 체인(2)의 이동에 의해 구동 체인(2)과 연결된 발판(5)이 이동되면서 승객을 실어나르는 동시에, 일측 스프로킷(3)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스커트 패널(6) 상의 파티션 플레이트(7)에 지지된 핸드 레일(8)이 발판(5)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승객의 안전도를 높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커트 패널(6)의 양측단에는 입구측 승강장(9) 및 출구측 승강장(1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5)과 그 양옆의 스커트 패널(6) 사이에 소정의 틈새(G)가 필연적으로 생기게 되는 바, 이 틈새(G) 내로 승객의 옷가지나 신발 등의 물체가 끼이게 되면 승객의 안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종래에는 스커트 패널(6)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승객의 신발이 고무재질인 경우, 스커트 패널(6)에 승객의 신발이 맞닿게 되면 높은 마찰력이 발생되어 신발이 스커트 패널(6)에 대하여 강하게 끌리게 되면서 틈새(G) 내로 끼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라운딩 처리된 회전체가 표면에 구비된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예시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구조가 예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커트 패널이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예시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의 일예가 예시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의 다른 일예가 예시된 도면,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의 또 다른 일예가 예시된 도면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은, 구동기를 통하여 발생된 동력이 구동 체인을 통하여 일측 스프로킷 및 타측 스프로킷으로 전달되고, 상기 구동 체인의 이동에 의해 상기 구동 체인과 연결된 발판이 이동되고, 상기 일측 스프로킷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스커트 패널 상의 파티션 플레이트에 지지된 핸드 레일이 상기 발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스커트 패널의 양측단에 입구측 승강장 및 출구측 승강장이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패널의 표면에는 라운딩 처리된 회전체가 상기 발판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스커트 패널이 적용된 에스컬레이터가 예시되어 있다. 도 4에 예시된 에스컬레이터에서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6)은 라운딩 처리된 회전체가표면에 구비된 것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는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발판(5)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5에는 회전체의 일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5의 회전체는 회전축(61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원통형 회전봉(61)이며, 이러한 원통형 회전봉(61)은 그 회전축(61a)이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발판(5)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발판(5)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전봉(61)은 회전축(61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회전축(61a)과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다. 회전봉(61)이 회전축(61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회전축(61a)은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든지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든지 상관이 없으나, 회전봉(61)이 회전축(61a)과 일체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회전축(61a)이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회전축(61a)이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설치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6에는 회전체의 다른 일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6의 회전체는 회전축(63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주판알(63)이며, 이러한 주판알(63)은 그 회전축(63a)이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발판(5)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발판(5)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6에서 주판알(63)의 돌출된 꼭지점 부분은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전봉(63)은 주판알(63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회전축(63a)과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다. 주판알(63)이 회전축(63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회전축(63a)은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든지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든지 상관이 없으나, 주판알(63)이 회전축(63a)과 일체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회전축(63a)이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회전축(63a)이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설치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7에는 회전체의 또 다른 일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7의 회전체는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형성된 구형 홈(65a) 내에 회전 가능하면서도 이탈되지 않게 삽입된 복수의 구(65)이며, 이러한 구(65)는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라운딩 처리된 회전체가 스커트 패널의 표면에 직접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스커트 패널의 표면에 라운딩 처리된 회전체가 구비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서, 라운딩 처리된 회전체가 별도의 패널의 표면에 설치되고 이렇게 회전체가 형성된 별도의 패널이 스커트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회전체는, 스커트 패널(6)에 승객의 신발과 맞닿았을 경우, 스커트 패널(6)과 신발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회전체가 스커트 패널(6)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회전체는 전체의 스커트 패널(6)에서 입구측 승강장(9)에 해당하는부분, 전체의 스커트 패널(6)에서 출구측 승강장(10)에 해당하는 부분, 또는 전체의 스커트 패널(6)에서 입구측 승강장(9)과 출구측 승강장(10)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회전체가 승객의 신발 등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회전체는 별도의 동력구동원 및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자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그 주요 특징을 이루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예와 실시예는 어느 경우에나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즉,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현재의 스커트 패널의 모든 라운딩 처리된 회전체에 관한 구조 변경, 변형, 부착 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에 의하면, 라운딩 처리된 회전체가 스커트 패널의 표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승객의 신발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저감시켜 발판(5)과 그 양옆의 스커트 패널(6) 사이의 틈새(G) 내로 승객의 신발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구동기(1)를 통하여 발생된 동력이 구동 체인(2)을 통하여 일측 스프로킷(3) 및 타측 스프로킷(4)으로 전달되고, 상기 구동 체인(2)의 이동에 의해 상기 구동 체인(2)과 연결된 발판(5)이 이동되고, 상기 일측 스프로킷(3)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스커트 패널(6) 상의 파티션 플레이트(7)에 지지된 핸드 레일(8)이 상기 발판(5)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스커트 패널(6)의 양측단에 입구측 승강장(9) 및 출구측 승강장(10)이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는 라운딩 처리된 회전체가 상기 발판(5)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회전축(61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원통형 회전봉(61)이며, 상기 회전축(61a)은 상기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상기 발판(5)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발판(5)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회전축(63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주판알(63)이며, 상기 회전축(63a)은 상기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상기 발판(5)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발판(5)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주판알(63)의 돌출된 꼭지점 부분이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형성된 구형 홈(65a) 내에 회전 가능하면서도 이탈되지 않게 삽입된 복수의 구(65)이며, 상기 구(65)는 상기 스커트 패널(6)의 표면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전체의 스커트 패널(6)에서 상단의 입구측 승강장(9)에 해당하는 부분, 전체의 스커트 패널(6)에서 하단의 출구측 승강장(10)에 해당하는 부분, 또는 전체의 스커트 패널(6)에서 상단의 입구측 승강장(9)과 하단의 출구측 승강장(10)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KR20-2003-0018735U 2003-06-14 2003-06-14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KR200324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735U KR200324876Y1 (ko) 2003-06-14 2003-06-14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735U KR200324876Y1 (ko) 2003-06-14 2003-06-14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472A Division KR20030051589A (ko) 2003-06-14 2003-06-14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876Y1 true KR200324876Y1 (ko) 2003-08-29

Family

ID=4941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735U KR200324876Y1 (ko) 2003-06-14 2003-06-14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8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485B1 (ko) 2006-12-04 2008-01-02 남승우 안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485B1 (ko) 2006-12-04 2008-01-02 남승우 안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5040A (en) Escalator step
JPH0126992B2 (ko)
US7571797B2 (en) Newel guide for supporting a handrail traveling over a newel
KR200324876Y1 (ko)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KR20030051589A (ko)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JP5651427B2 (ja) 乗客コンベア
KR200324875Y1 (ko)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JP6471071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製造方法
JP6367431B1 (ja) 乗客コンベア
KR20030051588A (ko) 승객 컨베이어용 스커트 패널
JP6544327B2 (ja) 滑落防止機能を有する乗客コンベア用ステップ
JP2011219228A (ja) 乗客コンベアの乗降部床装置
JP2006069800A (ja) 乗客コンベア
JPH04153195A (ja) マンコンベア乗降口安全装置
US6257390B1 (en) Skirt panel for a passenger conveyor
JP7004406B1 (ja) レバー支持構造
JP2019119531A (ja) 櫛板部材及び乗客コンベア
JP2005320073A (ja) 乗客コンベア
JP6781240B2 (ja) 手摺り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乗客コンベア
JP5437985B2 (ja) 乗客コンベアおよびその踏段
JP200634195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4201985A (ja) 乗客コンベアの乗降口装置
JP3873024B2 (ja) 乗客コンベア
JPH06263373A (ja) エスカレータ
JP2581854B2 (ja) マンコンベ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