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804Y1 -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804Y1
KR200324804Y1 KR20-2003-0017013U KR20030017013U KR200324804Y1 KR 200324804 Y1 KR200324804 Y1 KR 200324804Y1 KR 20030017013 U KR20030017013 U KR 20030017013U KR 200324804 Y1 KR200324804 Y1 KR 200324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ubstrate
cover
guide pin
main body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문
박종갑
Original Assignee
에스이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이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7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8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8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부품 이송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액정표시패널(LCD) 등의 전자제품의 실장에 사용되는 플렉시블기판의 본딩 공정에서 플렉시블기판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꺽임, 찢어짐 등의 손상이 없이 플렉시블기판을 공정간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이송장치를 사용하면 플렉시블기판의 자동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CARRIER FOR FLEXIBLE CIRCUIT BOARD}
본 고안은 전자부품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액정표시패널(LCD) 등의 전자제품의 실장에 사용되는 플렉시블기판의 본딩공정에서 플렉시블기판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플렉시블기판을 이송하는 방법으로 일련의 연속된 플렉시블기판 본딩공정의 수행 중에는 플렉시블기판을 사람의 손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한 공정이 끝나면 다른 공정으로 이송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상기 플렉시블기판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COF(Chip on Flim), 플렉시블케이블 등 폴리아미드계 등의 연성필름 사이에 박판의 동판을 배열·접착하여 제작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플렉시블기판은 가볍고 내굴곡성이 우수한 반면 얇고 기계적 강도가 낮아 꺽이거나 찢어지기 쉬어 취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이송하는 경우 상당한 주의를 요하며 플렉시블기판이 손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작업 공정의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기판은 액정표시패널 등 플렉시블기판을 본딩하고자 하는 부품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여야 하는 바 플렉시블기판 본딩장비 내에서 플렉시블기판의 위치를 보정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플렉시블기판을 이송함에 있어서 각 공정간에 플렉시블기판의 손상없이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는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플렉시블기판을 본딩장비 내에 정확하고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의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의 본체의 본딩용 개구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커버가이드핀
12 -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 13 - 본딩용 개구부
14 - 클램프 20 - 커버
21 - 커버가이드핀용 홀 22 -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용 홀
23 - 본딩용 개구부 24 - 단자용 개구부
30 - 플렉시블기판 31 - 플렉시블기판 본딩부
32 - 플렉시블기판 단자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기판의 본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딩용 개구부와 상기 플렉시블기판의 외곽모양을 따라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과 판의 외면과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 사이의 공간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본체와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본딩용 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딩용 개구부와 상기 플렉시블기판 단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단자용 개구부와 상기 본체의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용 홀과 가로 또는 세로의 중심선에 중심이 위치하면서 판의 외면과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용 홀 사이의 위치에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이동수단관통부를 포함하고 하면이 상기 본체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클램프에 의하여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본체에는 본체의 외면과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 사이의 위치에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커버가이드핀이 더 포함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가이드핀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커버가이드핀용 홀이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의 끝단 형상이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기판을 이송하는 캐리어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캐리어는 본체(10),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판상을 이루며,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다수개의 상기 커버가이드핀(11)과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과 클램프(1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딩용 개구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면적은 상기 캐리어에 고정되는 플렉시블기판의 크기에 따라 적정하게 결정되며, 외형은 상기 캐리어가 장착되는 본딩장비의 장착부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가이드핀(11)은 원통형의 형상을 하며 하부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되는 홀에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커버가이드핀(11)의 높이는 상기 커버(20)와 상기 본체(10)가 결합될 때 상기 커버가이드핀(11)이 상기 커버(20)의 상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커버(20)의 두께와 유사한 정도로 한다. 상기 커버가이드핀(11)의 끝단형상은 도 2의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의 형상과 같이 반구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기 본체(10)와 상기 커버(2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가이드핀(11)의 수는 상기 본체(10)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수로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으로 하며 상기 본체(10)내의 상기 플렉시블기판(30) 고정면적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외곽을 따라 고정한다.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은 원통형의 형상을 하며 상기 커버가이드핀(11)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은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을 고정하는 것이 주기능이므로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의 높이는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의 직선부가 본딩하고자 하는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두께보다 조금 길게 형성한다.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의 끝단형상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구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기 본체(10)와 상기 커버(2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의 형성위치는 고정하고자 하는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외곽모양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고정에 필요한 위치를 선택하며, 형성되는 수는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형상에 따라 2개 이상의 적당한 수로 형성한다.
상기 클램프(14)는 영구자석을 사용하며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홀에 원통형의 영구자석을 삽입하여 만들게 된다. 삽입되는 상기 영구자석의 수와 위치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커버(20)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수로 형성한다. 상기 영구자석은 영구자석의 상면이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동일평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본체(10)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14)는 캐리어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본체(10)와 커버(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본딩용 개구부(13)는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본딩부(31)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로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본딩부(31) 형상에 따라 위치와 형상 및 크기가 결정되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딩용 개구부(13)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딩용 개구부(13)의 중심방향으로 본체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본딩시 본딩장비가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본딩부(31)에 원할하게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20)는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판상을 이루며, 상기 커버가이드핀용 홀(21)과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용 홀(22)과 본딩용 개구부(23)와 단자용 개구부(24) 및 이동수단관통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가이드핀용 홀(21)은 상기 본체(10)의 커버가이드핀(1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커버(2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한다. 상기 커버가이드핀용 홀(21)의 내경은 상기 커버(2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커버가이드핀(11)의 외경과 약간의 이격을 형성하도록 결정한다.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용 홀(22)은 상기 본체(10)의 플렉시블기판 가이트핀(1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커버(2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한다.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용 홀(22)의 내경은 상기 커버(2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1)의 외경과 약간의 이격을 형성하도록 결정한다.
상기 본딩용 개구부(23)는 상기 커버의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기판 본딩부(31)의 형상에 따라 위치와 형상 및 크기가 결정되어진다. 상기 본딩용 개구부(23)는 상기 본체의 본딩용 개구부(13)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크기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딩용 개구부(23)의 형상은 상기 본딩용 개구부(23)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커버(2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상기 단자용 개구부(24)는 상기 커버(20)의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장착되는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단자부(32)의 형상에 따라 모양과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단자용 개구부(24)는 상기 본체(10)와 커버(20)가 결합될 때 상기 플렉시블기판의 단자부(32)가 눌려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수단관통부(25)는 상기 커버(2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가로 또는 세로의 중심선에 이동수단관통부(25)의 중심이 위치하면서 상기 커버(20)의 외면과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용 홀(22) 사이에 적정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와 결합하는 별도의 이동수단이 상기 이동수단관통부(25)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10)와 결합하게 되며 상기 이동수단은 진공흡착방식에 의하여 상기 본체(10)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수단관통부(25)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의 바깥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클램프(14)로는 영구자석 외에도 볼트·너트 등의 일반적인 기계적 체결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클램프는 체결력이 너무 강하면 장착되는 상기 플렉시블기판(30)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결합력이 너무 강하지 않아야 하며 상기 커버(2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에 적정한 정도의 힘이 부여되도록 결정하여야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본체(10)의 상면의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 사이에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하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이 장착되고, 상기 커버(20)의 하면이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본체(10)와 상기 클램프(14)에 의하여 결합하여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상기 커버가이드핀(11)이 상기 커버(20)의 커버가이드핀용 홀(21)에 삽입되어 결합하며, 상기 본체(10)의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이 상기 커버(20)의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용 홀(22)에 삽입되어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결합된 캐리어는 상기 이동수단관통부(25)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와 결합하는 이동수단(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들어 올려져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진공흡착방식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상기 커버가이드핀(11)은 상기 커버(2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시 상기 커버(20)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커버(20)의 커버가이드핀용 홀(21)에 결합하여 상기 커버(2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은 본딩하고자 하는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이 상기 본체(10)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은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 사이에 장착된 후 그 상면에 상기 커버(20)가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본딩공정은 상기 플렉시블기판(30)과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이 본딩되는 액정표시패널 등 부품간의 상대적 위치정밀도가 요구되는 공정이므로, 상기 본체(10)와 상기 커버(20) 사이에 장착되는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위치를 일정하고도 정밀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은 본딩하고자 하는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형상에 맞추어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외면을 따라 적정한 수로 형성하며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12)과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외면 사이에는 가능한 이격이 없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14)는 상기 캐리어의 이송 중 상기 본체(10)와 상기 커버(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프(14)로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을 사용하였다. 즉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노출되어 있는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커버(20)를 상기 본체(10)에 고정하게 되어 상기 캐리어의 이송 중 상기 커버(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며, 본딩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커버(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준다.
상기 단자용 개구부(24)는 상기 커버(20)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상기 플렉시블기판 단자부(32)를 노출시키게 된다. 상기 플렉시블기판 단자부(32)는 상기 플렉시블기판(30)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단자용 개구부(24)는 본체(10)와 커버(20)의 결합시 상기 플렉시블기판 단자부(32)를 노출시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캐리어를 사용하면 상기 플렉시블기판을 꺽임, 찢어짐 등의 손상이 없이 공정간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이송장치를 사용하면 자동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캐리어를 사용하면 상기 플렉시블기판을 본딩장비에서 균일한 위치에 장착시킬 수 있어 상기 플렉시블기판의 장착위치 보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4)

  1. 플렉시블기판을 고정하여 이송하는 캐리어에 있어서,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기판의 본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딩용 개구부와 상기 플렉시블기판의 외곽모양을 따라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과 판의 외면과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 사이의 공간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본체;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본딩용 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딩용 개구부와 상기 플렉시블기판 단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단자용 개구부와 상기 본체의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용 홀과 가로 또는 세로의 중심선에 중심이 위치하면서 판의 외면과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용 홀 사이의 위치에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이동수단관통부를 포함하고 하면이 상기 본체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클램프에 의하여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본체의 외면과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 사이의 위치에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커버가이드핀이 더 포함되고, 상기커버에는 상기 커버가이드핀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커버가이드핀용 홀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핀과 상기 커버가이드핀의 끝단 형상이 구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KR20-2003-0017013U 2003-05-30 2003-05-30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KR200324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013U KR200324804Y1 (ko) 2003-05-30 2003-05-30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013U KR200324804Y1 (ko) 2003-05-30 2003-05-30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415A Division KR20040104307A (ko) 2004-02-20 2004-02-20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804Y1 true KR200324804Y1 (ko) 2003-08-27

Family

ID=4941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013U KR200324804Y1 (ko) 2003-05-30 2003-05-30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8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960A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에스티아이테크 전자부품용 디버깅 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960A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에스티아이테크 전자부품용 디버깅 툴
KR102377692B1 (ko) * 2020-06-30 2022-03-23 주식회사 에스티아이테크 전자부품용 디버깅 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7613A (en) High density connection system
US5526974A (en) Fine pitch electronic component 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US6123551A (en) Electronic circuit inter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6005106A (ja) 基板固定用治具及び基板固定方法
KR200324804Y1 (ko)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JP3825628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保持具及びそれを使用した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の保持方法。
KR20040104307A (ko) 플렉시블기판용 캐리어
JP2002152781A (ja)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102184215B1 (ko) Fpcb 정렬 이송에 의한 smd 공정 시스템
JP2002111141A (ja) フレキシブル基板
KR102045812B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솔더링용 지그
JPH1111574A (ja) Icキャリア・インサート
JPH10276000A (ja) 搬送キャリア
CN218275311U (zh) 显示模组接触装置
JP5326133B2 (ja) キャリアボード用位置合わせ治具
CN216087134U (zh) Pcb板传输夹紧机构
CN210609879U (zh) 一种多功能fpc载板
JPS63299300A (ja) プリント基板の部品実装方法
JPH01183899A (ja) 基板保持装置
JP2785922B2 (ja) 液晶表示装置用トレー
KR200301795Y1 (ko) 티씨피와피씨비의본딩을위한정렬장치
JP2011129608A (ja) 部品実装方法及び基板固定治具
JP2010122171A (ja) コネクタ付きモジュールの検査装置及びコネクタ付きモジュールの検査方法
JP2000331730A (ja) スタッキングコネクタ実装構造
JPH07122862A (ja) ケーブル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