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675Y1 - 낙지 주낙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낙지 주낙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675Y1
KR200324675Y1 KR20-2003-0017598U KR20030017598U KR200324675Y1 KR 200324675 Y1 KR200324675 Y1 KR 200324675Y1 KR 20030017598 U KR20030017598 U KR 20030017598U KR 200324675 Y1 KR200324675 Y1 KR 200324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opus
fixed
plate
lifting devi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순열
Original Assignee
신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순열 filed Critical 신순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살아있는 미끼의 파손과 이탈을 막으면서 낙지를 편리하게 포획할 수 있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선체 갑판의 일측판 상단의 전방에 연결판을 통해 고정되어 이 연결판에는 내측 수직축과 상부 수평축 및 하단에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바를 포함하는 외측 수직안내축이 절곡 구성되어 내부에 주낙 관통부가 구비된 주낙 이탈 방지브라켓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내측 수직축의 중간에는 상기 주낙 관통부를 통과한 주낙의 낚시가 고정된 아랫줄이 외측으로 미끄러지면서 원줄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외측 하부로 경사진 회전 원통바가 구비되어 있는 아랫줄 분리기와; 상기 아랫줄 분리기의 후방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일측판의 상단에 착탈판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착탈판에는 수직 연결축이 고정되어 이 수직 연결축에는 판이 고정되고 있고, 상기 판의 전방에는 상기 주낙의 원줄을 인취할 수 있도록 구동부를 통해 회전되는 탄성체로 구성된 상부 인취롤 및 이 상부 인취롤과 밀착 회전되는 하부 인취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인취롤의 밀착부 둘레에는 원줄이 상부로 이동되어 분리된 아랫줄을 선체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수평의 타원형 와이어가 구비되어 있는 주낙 인양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낙지 주낙 인양장치{A fishing line pulling apparatus}
본 고안은 바다에서 어선을 통해 낙지를 포획하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수중에 침수되어 중량이 무거운 주낙의 인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지 주낙(이하, "주낙"이라 합니다.)이라 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다수의 부력찌(202)가 장착되어 있는 원줄(201)과, 이 원줄(201)로부터 분기되어 하단에는 살아있는 게 등의 미끼가 고정되는 낚시(204)를 포함하는 아랫줄(20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어선에서 주낙(200)을 바다에 침수시켜 이를 다시 걷어올리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낙지를 포획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어선이 정지된 상태에서 주낙을 걷어올리는 과정을 통해 낙지는 어선의 갑판으로 회수하고 미끼인 게는 다시 바다로 침수시켜 다음 낙지 포획을 준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이 주낙을 걷어올리면서 다시 주낙을 바다에 침수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주낙(200)의 낚시(204)에 잡힌 낙지를 반복적으로 포획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주낙을 바다에 침수시켜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끌어올리게 되면 작업자는 많은 힘이 소진되게 됨으로서, 주낙을 끌어올리는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됨에 따라 포획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작업자 힘이 소진되게 되면 주낙의 침수력보다 당기는 힘이 약하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주낙의 침수력으로 인하여 바다로 빠져 실종되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어선의 대형화로 인하여 먼 바다까지 나가 낙지를 포획하게 됨으로서, 길이가 길고 그에 장착되어 있는 낚시의 개수가 3000에서 4000개를 가지는 주낙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형화된 주낙을 끌어올릴 경우에는 작업자의 인원이 많이 필요하게 됨으로서 인건비가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살아있는 미끼의 파손과 이탈을 막으면서 낙지를 편리하게 포획할 수 있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주낙의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인양속도를 일정하면서 빠르게 함으로서, 낙지의 포획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또 배의 진행 위치 또는 물의 흐름에 따라 선체의 일측은 물론 타측에서도 주낙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인취롤의 승강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낙의 길이에 따라 인장력의 조정도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체 갑판의 일측판 상단의 전방에 연결판을 통해 고정되어 이 연결판에는 내측 수직축과 상부 수평축 및 하단에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바를 포함하는 외측 수직안내축이 절곡 구성되어 내부에 주낙 관통부가 구비된 주낙 이탈 방지브라켓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내측 수직축의 중간에는 상기 주낙 관통부를 통과한 주낙의 낚시가 고정된 아랫줄이 외측으로 미끄러지면서 원줄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외측 하부로 경사진 회전 원통바가 구비되어 있는 아랫줄 분리기와; 상기 아랫줄 분리기의 후방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일측판의 상단에 착탈판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착탈판에는 수직 연결축이 고정되어 이 수직 연결축에는 판이 고정되고 있고, 상기 판의 전방에는 상기 주낙의 원줄을 인취할 수 있도록 구동부를 통해 회전되는 탄성체로 구성된 상부 인취롤 및 이 상부 인취롤과 밀착 회전되는 하부 인취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인취롤의 밀착부 둘레에는 원줄이 상부로 이동되어 분리된 아랫줄을 선체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수평의 타원형 와이어가 구비되어 있는 주낙 인양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랫줄 분리기가 선체의 타측판 상단 전방에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선체 갑판의 중앙에는 상기 주낙 인양기를 일측판으로부터 분리시켜 갑판의 타측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갑판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세워지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상단에 구비되어 끝단이 상기 주낙 인양기의 내측과 연결되는 회전바로 구성된 회전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주낙 인양기는, 판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인취롤의 중심축이 관통되는 원호형의 장홀과, 상기 판의 후방에 상기 장홀의 중심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중심축이 관통되어 너트를 통해 고정되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하부 인취롤 위치 변경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낙 인양장치가 선체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낙 인상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C부 확대도.
도 6은 도 1의 D부 확대도.
도 7은 통상의 주낙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랫줄 분리기
11 : 연결판
111 : 고정축, 112 : 원호장홀, 113 : 고정볼트
12 : 주낙 이탈 방지브라켓
121 : 내측 수직축, 122 : 상부 수평축, 123 : 외측 수직축,
124 : 주낙 관통부, 125 : 경사 안내바
13 : 회전 원통바
14 : 원통체
2 : 주낙 인양기
21 : 착탈판
22 : 판
23 : 상부 인취롤
231 : 구동부
24 : 하부 인취롤
241 : 중심축
25 : 타원형 와이어
3 : 가이드대
31 : 내측 수직축
32 : 외측 수직안내축
321 : 아랫줄 통과부
4 : 회전대
41 : 회전축
42 : 회전바
5 : 위치 변경수단
51 : 장홀
52 : 회전바
53 : 너트
100 : 선체
101 : 갑판
102 : 일측판
103 : 타측판
200 : 주낙
201 : 원줄
202 : 부력찌
203 : 아랫줄
204 : 낚시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낙 인양장치가 선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이다.
이에, 본 고안의 주낙 인양장치는, 선체(100) 갑판(101)의 일측판(102) 상단의 전방에 고정되어 침수되어 있는 주낙(200)을 이동시키면서 주낙(200)의 아랫줄(203)을 분리하는 아랫줄 분리기(1)와, 이 아랫줄 분리기(1)의 후방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일측판(102)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주낙(200)의 원줄(201)과 아랫줄(203)을 분리되게 인취한 후 이를 다시 바다에 침수 시키는 주낙 인양기(2)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아랫줄 분리기(1)는, 선체(100) 갑판(101)의 일측판(102) 상단의 전방에 고정되는 연결판(11)과, 이 연결판(11)의 상부에 절곡 구비되어 있으며 내측 수직축(121)과 상부 수평축(122) 및 하단에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바(125)를 포함하는 외측 수직 안내축(123)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주낙 관통부(124)가 구비되어 있는 주낙 이탈 방지브라켓(12), 및 상기 내측 수직축(121)의 중간에 외측 하부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주낙 관통부(124)를 통과한 주낙(200)의 아랫줄(203)이 외측으로 미끄러지면서 원줄(2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원통바(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낙 인양기(2)는, 상기 아랫줄 분리기(1)의 후방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일측판(102)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착탈판(21)과, 이 착탈판(21)에 고정되는 수직 연결축(21) 및 이 수직 연결축(21)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는 판(22)과, 상기 판(22)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주낙(200)의 원줄(201)을 인취할 수 있도록 구동부(231)를 통해 회전되는 탄성체로 구성된 상부 인취롤(23)과 이 상부 인취롤(23)과 밀착 회전되는 하부 인취롤(24), 및 상기 상,하부 인취롤(23,24)의 밀착부 둘레에 구비되어 있으며 원줄(201)이 상부로 이동되어 분리된 아랫줄(203)을 선체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수평의 타원형 와이어(25)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주낙 인양기(2)의 전방측에는, 내측으로 주낙(200)의 원줄(201)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 수직축(31)과 아랫줄(203)을 상기 타원형 와이어(25)의 외측으로 안내할 있도록 하부에 아랫줄 통과부(321)가 구비되는 외측 수직안내축(32)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대(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랫줄 분리기(1)의 회전 원통바(13)의 하부 후방에는 아랫줄(203)의 하부 이탈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바(13)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는 원통체(14)가 내,외측 브라켓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회전 원통바(13)의 경사각도는 상기 내측 수직축(31)에 대하여 주낙(200)의 침몰 깊이에 따라 110도 내지 14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 원통바(13)의 경사 각도를 110도 미만으로 하게 되면 주낙(200)의 원줄(201)에서 아랫줄(203)이 분리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서, 원줄(201)과 아랫줄(203)이 상호 엉키게 되어 미끼 또는 낙지가 상기 상,하부 인취롤(23,24)의 사이로 투입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반대로 상기 회전 원통바(13)의 경사 각도가 140도 보다 더 경사지게 장착되면 주낙의 원줄(201)과 아랫줄(203)이 회전 원통바(13)를 타고 전체적으로 흘러내리게 됨으로서, 주낙(200)을 낙지 인양기 쪽으로 안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주낙(200) 자체의 인양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회전 원통바(13)가 상기한 범위 각도 안에서 장착되어야만 주낙(200)의 원줄(201)과 아랫줄(202)을 상호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경사 안내바(125)는 외측 수직 안내축(123)을 기준으로 하여 약 150도의 각도로 경사짐으로서, 아랫줄(203)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아랫줄(203)이 경사 안내바(125)을 따라 서서히 내려가게 됨으로서, 미끼 또는 낙지가 주낙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상부 인취롤(23)을 구동하는 구동부(231)는, 주낙의 끌어올리는 인양력을 줄 수 있도록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인취롤(23)은 내부에 공기가 찬 타이어 바퀴를 사용함으로서, 주낙(200)의 원줄에 등간격으로 구비된 부력찌(202)와 함께 원줄(201)을 인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타이어 바퀴의 둘레면은 신축성을 가짐에 따라서 상,하부 인취롤(23,24)의 밀착부에서 부력찌(202; 지름이 약18mm ~ 약 45mm임)를 감싸면서 원줄(201)을 인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낙 인상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주낙 인양장치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먼저 바다에 침수되어 있는 주낙(200)의 끝단부를 들어올려 아랫줄 분리기(1)의 주낙 관통부(124)에 통과시킨 다음, 주낙 관통부(124)를 통과한 주낙(200)을 주낙 인양기(2)의 상,하부 인취롤(23,24)의 사이에 삽입시킨다.
그 후, 주낙 인양기(2)의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부(231)를 작동시켜 상,하부 인취롤(23,24)이 상호 밀착되게 회전되게 함으로서,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주낙을 주낙 인양기의 후방으로 인출한다.
그러면 상기 아랫줄 분리기(1)를 구성하는 회전 원통바(13)의 상면을 타고 이동되는 주낙(20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원줄(201)에 등간격으로 결속되어 있는 아랫줄(203)이 낚시에 걸려있는 미끼 또는 낙지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회전 원통바(13)를 타고 외부로 떨어져 원줄(201)로부터 아랫줄(203)이 분리된 후 하부로 처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 원통바(13)는 선체(200)의 외측 하부로 경사지게 장착됨으로서, 원줄(201)은 주낙 인양기(2)를 향해 이동되는 반면에 아랫줄(203)은 원줄(201)에서 하부로 늘어져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낙(200)이 회전 원통바(13)를 타고 이동되면서 아랫줄(203)이 원줄(201)로부터 이탈되는 순간에는 아랫줄(203)이 외측 수직안내축(123)의 하단에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 안내바(125)를 따라 하부로 늘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아랫줄(203)이 상기 경사 안내바(125)를 타고 내려감과 동시에 상기 회전 원통바(13)의 외측과 이탈되게 됨으로서, 아랫줄(203)의 하부에 미끼 또는 낙지가 급격히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끼 또는 낙지가 순간적으로 떨어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미끼 또는 낙지의 이탈을 예방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미끼 또는 낙지가 낚시(204)에 걸린 상태에서 아랫줄 분리기(1)와 주낙 인양기(2)의 사이를 이동하는 순간에는, 작업자가 미끼만가 걸린 아랫줄은 그냥 통과시키고 낙지가 걸린 아랫줄(203)을 선별하여 낙지를 갑판 쪽으로 분리함으로서 낙지를 포획한다.
다음, 주낙 인양기(2)로 인입되는 주낙(200)은 원줄(201)과 아랫줄(203)이 분리되어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원줄(201)은 가이드대(3)의 사이도 공급된 후 후방으로 이동되어 바다에 침수되고, 원줄(201)의 하부에 처져서 이동되는 아랫줄(203)은 주낙 인양기(2)의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타원형 와이어(25)의 외측을 타고 후방으로 이동되어 바다에 침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원줄(201)과 아랫줄(203)이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주낙 인양기를 통과함에 따라서, 주낙(200)의 아랫줄에 걸려있는 살아있는 게인 미끼가 주낙 인양기(2)와 충돌되는 것을 예방함에 따라서, 미끼가 손상되거나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바다로 다시 침수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아랫줄 분리기(1)와 주낙 인양기(2)를 통해 살아있는 미끼의 파손과 이탈을 막으면서 낙지를 편리하게 포획할 수 있으며, 주낙(200)을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구동부(231)를 사용함으로서 주낙(200)을 일정하면서 빠르게 인양함에 따라 낙지의 포획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수동 작업으로 주낙(200)을 인양할 경우에는 주낙(200)을 수심 20m까지 밖에 침수시킬 수 없으나, 상기 주낙 인양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심 60m까지 주낙을 침수시킬 수 있음에 따라서 낙지의 포획량을 최대로 늘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인양장치를 통해 주낙(200)을 인양할 경우에는 낙지를 주낙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인원 밖에 필요 없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도 1의 C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D부 확대도로서, 도 1 및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랫줄 분리기(1)가 선체의 타측판(103) 상단 전방에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선체(100) 갑판(101)의 중앙에는 상기 주낙 인양기(2)을 일측판(102)으로부터 분리시켜 갑판(101)의 타측판(103)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갑판(101)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세워지는 회전축(41)과 이 회전축(41)의 상단에 구비되어 끝단이 상기 주낙 인양기(2)의 내측과 연결되는 회전바(42)로 구성된 회전대(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배의 진행 위치 또는 물의 흐름에 따라서, 상기 선체의 일측이 아닌 타측에서도 주낙(200)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아랫줄 분리기(1)가 선체의 타측판(103) 상단 전방에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선체(100) 갑판(101)의 중앙에는 상기 주낙 인양기(2)를 일측판(102)으로부터 분리시켜 타측판(103)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회전대(4)가 더 구비됨으로서, 상기와 같이 주낙(200)을 선체(100)의 일측에서는 물론 타측에서도 인양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선체(100)의 일측에서는 물론 타측에서도 주낙을 인양할 경우에 주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주낙 인양기(2)의 전방측에는, 내측으로 주낙(200)의 원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 수직축(31)과 아랫줄(203)을 상기 타원형 와이어(25)의 외측으로 안내할 있도록 하부에 아랫줄 통과부(321)가 구비되는 외측 수직안내축(32)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대(3)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주낙 인양기(2)의 후방측에는, 상기 주낙 인양기(2)가 회전바(42)를 통해 타측판(103)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되어 주낙(200)의 원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 수직축(31)과 상기 주낙 인양기(2)가 회전바(42)를 통해 타측판(103)에 고정된 상태에서 아랫줄(203)을 상기 타원형 와이어(25)의 외측으로 안내할 있도록 하부에 아랫줄 통과부(321)가 구비되는 외측 수직안내축(32)으로 이루어진 주낙 가이드대(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방 가이드대(3)는 선체(100)의 일측에서 주낙(200)을 인양할때 사용되고, 후방 가이드대(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체의 타측에서 주낙(200)을 인양할 경우에 사용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랫줄 분리기(1)는, 연결판(11)의 내측 전방에 구비되어 연결판(11)을 회전 가능하게 측판의 상단에 고정하는 고정축(111)과 이 고정축(111)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판(11)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호장홀(112) 및 이 원호장홀(112)의 관통되어 측판(102,103)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볼트(113)로 구성된 설치 각도 변경수단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선체(200)의 측판의 형상에 따라서 회전 원통바(1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낙 인양기(2)는, 판(22)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인취롤(24)의 중심축(241)이 관통되는 원호형의 장홀(51)과, 상기 판(22)의 후방에 상기 장홀(51)의 중심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중심축(241)이 관통되어 너트(53)를 통해 고정되는 회전바(52)를 포함하는 하부 인취롤(24) 위치 변경수단(5)을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위치 변경수단(5)을 구성하는 회전바(52)의 회전을 통해 상기 하부 인취롤(24)의 승강 높이를 조정함으로서 주낙(200)의 인장력을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회전바(52)를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하부 인취롤(24)의 중심축(241)의 위치가 변경되는데, 이와 같이 중심축(241)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241)에 너트(53)를 체결하게 되면, 중심축(241)이 회전바(52)와판(22)의 장홀(51)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중심축(241)이 변경된 위치를 유지함으로서 상,하부 인취롤(23,24) 사이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낙 인양기(2)는, 상기 수평 타원형 와이어(25)의 하측에 구비되어 아랫줄(203)의 미끼가 장치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 타원형 와이어(26)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보조 타원형 와이어(26)의 외측을 타고 주낙(200) 아랫줄의 밀착되어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서 아랫줄(203)에 구비되어 있는 미끼가 인양기와 충돌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양장치는, 낙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장어, 농어, 돔, 놀래미 등의 어류를 포획하는데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살아있는 미끼의 파손과 이탈을 막으면서 낙지를 편리하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낙의 인양인원을 최소화(2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낙의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인양속도를 일정하면서 빠르게 함으로서 낙지의 포획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의 낙지를 포획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배의 진행 위치 또는 물의 흐름에 따라 선체의 일측은 물론 타측에서도 주낙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낙지이동에 따른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할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인취롤의 승강 높이를 조정하여 주낙의 길이에 따라 인장력의 조정도 가능하게 함으로서, 길이가 긴 주낙의 인양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1)

  1. 선체(100) 갑판(101)의 일측판(102) 상단의 전방에 연결판(11)을 통해 고정되어 이 연결판(11)에는 내측 수직축(121)과 상부 수평축(122) 및 하단에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바(125)를 포함하는 외측 수직안내축(123)이 절곡 구성되어 내부에 주낙 관통부(124)가 구비된 주낙 이탈 방지브라켓(12)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내측 수직축(121)의 중간에는 상기 주낙 관통부(124)를 통과한 주낙(200)의 아랫줄(203)이 외측으로 미끄러지면서 원줄(2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외측 하부로 경사진 회전 원통바(13)가 구비되어 있는 아랫줄 분리기(1)와;
    상기 아랫줄 분리기(1)의 후방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일측판(102)의 상단에 착탈판(21)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이 착탈판(21)에는 수직 연결축(21)을 통해 판(22)이 고정되고 있고, 상기 판(22)의 전방에는 상기 주낙(200)의 원줄(201)을 인취할 수 있도록 구동부(231)를 통해 회전되는 탄성체로 구성된 상부 인취롤(23) 및 이와 밀착되어 회전되는 하부 인취롤(2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인취롤(23,24)의 밀착부 둘레에는 원줄(201)이 상부로 이동되어 분리된 아랫줄(203)을 선체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수평의 타원형 와이어(25)가 구비되어 있는 주낙 인양기(2);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낙 인양기(2)의 전방측에는, 내측으로 주낙(200)원줄(201)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 수직축(31)과 아랫줄(203)을 상기 타원형 와이어(25)의 외측으로 안내할 있도록 하부에 아랫줄 통과부(321)가 구비되는 외측 수직안내축(32)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대(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줄 분리기(1)가 선체의 타측판(103) 상단 전방에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선체(100) 갑판(101)의 중앙에는 상기 주낙 인양기(2)를 일측판(102)으로부터 분리시켜 갑판(101)의 타측판(103)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갑판(101)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세워지는 회전축(41)과 이 회전축(41)의 상단에 구비되어 끝단이 상기 주낙 인양기(2)의 내측과 연결되는 회전바(42)로 구성된 회전대(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낙 인양기(2)의 전방측에는, 내측으로 주낙(200) 원줄(201)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 수직축(31)과 아랫줄(203)을 상기 타원형 와이어(25)의 외측으로 안내할 있도록 하부에 아랫줄 통과부(321)가 구비되는 외측 수직안내축(32)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대(3)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주낙 인양기(2)의 후방측에는, 상기 주낙 인양기(2)가 회전바(42)를 통해 타측판(103)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되어 주낙(200)의 원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내측 수직축(31)과 주낙(200) 아랫줄(203)을 상기 타원형 와이어(25)의 외측으로 안내할 있도록 하부에 아랫줄 통과부(321)가 구비되는 외측 수직안내축(32)으로 이루어진 주낙 가이드대(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원통바(13)의 경사각도는 상기 내측 수직축(121)에 대하여 주낙(200)의 침몰 깊이에 따라 110도 내지 140도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줄 분리기(1)의 회전 원통바(13)의 하부 후방에는 아랫줄(203)의 하부 이탈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바(13)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는 원통체(14)가 내,외측 브라켓을 통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줄 분리기(1)는, 연결판(11)의 내측 전방에 구비되어 연결판(11)을 회전 가능하게 측판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축(111)과 이 고정축(111)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판(11)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원호장홀(112) 및 이 원호장홀(112)의 관통되어 측판(102,103)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볼트(113)로 구성된 설치 각도 변경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낙 인양기(2)는,판(22)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인취롤(24)의 중심축(241)이 관통되는 원호형의 장홀(51)과, 상기 판(22)의 후방에 상기 장홀(51)의 중심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중심축(241)이 관통되어 너트(53)를 통해 고정되는 회전바(52)를 포함하는 하부 인취롤 위치 변경수단(5)이 더 구비됨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낙 인양기(2)는, 상기 수평 타원형 와이어(25)의 하측에 구비되어 아랫줄(203)의 미끼가 장치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 타원형 와이어(26)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31)는, 유압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31)는, 전기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 인양장치.
KR20-2003-0017598U 2003-02-03 2003-06-04 낙지 주낙 인양장치 KR20032467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158 2003-02-03
KR20030003158 2003-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675Y1 true KR200324675Y1 (ko) 2003-08-27

Family

ID=4941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598U KR200324675Y1 (ko) 2003-02-03 2003-06-04 낙지 주낙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6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613B1 (ko) * 2015-07-20 2017-06-09 조영안 로프 정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613B1 (ko) * 2015-07-20 2017-06-09 조영안 로프 정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42512B (zh) 一种渔船捕鱼装置
KR200324675Y1 (ko) 낙지 주낙 인양장치
JP2017007628A (ja) 小型艇揚収装置
US8230814B2 (en) Mechanized collector of juvenile lobsters
US3722126A (en) Marine hauling apparatus
CN211252919U (zh) 一种水下观测舱体的回收装置
CN108349579B (zh) 鱼笼脱落装置及包括其的鱼笼打捞机
CN210882537U (zh) 一种渔业养殖用无人捕鱼船
JPH0971292A (ja) ボート揚降装置
CN206182150U (zh) 一种滚筒内导叶推送式收鱼成套装置
KR20230097662A (ko)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JP4236007B2 (ja) 回転式自動魚釣り機、及び、釣針作動装置。
JP3803572B2 (ja) かけまわし網の整反方法
CN208233300U (zh) 一种新型艇架
KR101239928B1 (ko) 주낙용 양승장치
CN112293359A (zh) 苗绳养殖的贻贝的分解装置
KR102267011B1 (ko)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JP2006149352A (ja) 旋綱の網処理方法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網処理装置
JP3663513B2 (ja) 漁労装備自動分離装置
CN217945441U (zh) 一种自航型鱼类收集平台用安全防护装置
CN220936350U (zh) 一种黄鱼快速捕捞转移装置
JP3741516B2 (ja) フック装置
CN110790138B (zh) 便于将误钓的保护鱼类放生的鱼船起吊装置
CN220023880U (zh) 一种大型海上养殖装备
CN213008642U (zh) 一种浮标锚石抛设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