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370Y1 - 튜브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튜브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370Y1
KR200324370Y1 KR20-2003-0017741U KR20030017741U KR200324370Y1 KR 200324370 Y1 KR200324370 Y1 KR 200324370Y1 KR 20030017741 U KR20030017741 U KR 20030017741U KR 200324370 Y1 KR200324370 Y1 KR 200324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ube
closing
contents
closing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경
Original Assignee
정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경 filed Critical 정미경
Priority to KR20-2003-0017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3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3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3Membranes with a tear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튜브의 몸체부 일방에 돌출 형성되는 마개부 끝단에 탄성재질을 갖는 개폐막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개폐막이 절개선을 경계로 하여 면접촉하도록 함으로서, 몸체부의 가압시 내용물이 개폐막을 밀면서 틈새로 배출되고, 몸체부의 가압을 해제시 개폐막이 복원력에 의해 마개부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튜브의 개폐구조는 별도의 마개 구성없이 한손으로 용이하게 튜브의 내용물을 배출하거나 튜브를 폐쇄시킬수 있다.

Description

튜브의 개폐구조{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TUBE}
본 고안은 튜브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튜브의 몸체부 일방에 돌출 형성되는 마개부 끝단에 탄성재질을 갖는 개폐막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개폐막이 절개선을 경계로 하여 면접촉하도록 함으로서, 몸체부의 가압시 내용물이 개폐막을 밀면서 틈새로 배출되고, 몸체부의 가압을 해제시 개폐막이 복원력에 의해 마개부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튜브는 치약과 같은 생필품이나 연고와 같은 의약품 또는 본드와 같은 공업품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튜브는 그 재질에 따라 크게 금속을 압출하여 제작하는 금속압출튜브와, 열과 압력을 가하여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라미네이트 튜브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부식되지 않으면서 내용물이 잘 굳지 않고, 유연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튼튼하며 알루미늄 튜브의 단점을 보강한 라미네이터 튜브가 주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치약과 같은 생필품은 거의 다 이러한 라미네이터 튜브를 사용하는데, 도 1a는 종래 뚜껑이 분리되는 튜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뚜껑이 결합된 튜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내부에는 치약과 같은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기 본체(11)의 일단은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타단에는 토출부(1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토출부(12)에는 내용물이 배출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12)에는 분리뚜껑(13)이 회전하여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서토출부(12)를 개폐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내용물을 사용할 때마다 분리뚜껑을 회전시켜 내용물을 일정량 배출시킨 다음 다시 분리뚜껑을 토출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양손을 다 사용하여야만 하는데, 한 손에 다른 물품을 쥐고 있는 경우 분리뚜껑과 토출부를 결합 또는 분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도1b와 같은 뚜껑 결합형 튜브가 사용되는데, 이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몸체(15)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에는 뚜껑부(16)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뚜껑부(16)에는 상단에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18)를 구비한 배출통(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8)를 개폐하는 커버(19)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19)와 배출통(17)은 연질의 이음판(1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으로 커버(19)를 밀어 배출구(18)를 개방한 다음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고, 사용이 끝나면 커버(19)를 닫을 수 있는데, 배출물이 커버의 하단에 묻으면 뚜껑부에 내용물이 번져 미관상 좋지 않고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치약과 같이 내용물이 굳어버리면 커버가 배출구를 완벽하게 닫을 수 없어서 튜브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도 굳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은 튜브의 일단에 마개부를 형성하되, 상기 마개부 끝부분에 탄성재질의 개폐막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개폐막은 절개선에 의해 서로 면접촉하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마개없이 효과적인 튜브 내용물의 배출 및 차단을 가능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 뚜껑이 분리되는 튜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종래 뚜껑이 결합된 튜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고안에서 마개부에 형성되는 절개선의 일 실시예.
도 3b는 본 고안에서 마개부의 개폐막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몸체부 22 : 폐쇄부
23 : 마개부 24 : 절개선
25 : 개폐막 30 : 경사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용물을 내부에 저장시키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단을 접합시키는 폐쇄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고, 끝부분에 다수의 절개선이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개폐막을 구비한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상기 절개선은 굴곡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개폐막의 저면은 절개선에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한 손으로 튜브를 눌러주면, 튜브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이 개폐막의 절개선 사이로 배출되고, 사용자가 튜브에 가압된 힘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개폐막은 원상태로 되돌아와 마개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사용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a는 본 고안에서 마개부에 형성되는 절개선의 일 실시예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서 마개부의 개폐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튜브의 개폐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치약이나 연고와 같은 물질을 내부에 저장시키는 몸체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1)의 일단은 서로 접합되어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데, 이를 폐쇄부(22)라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1)의 타단에는 튜브에 저장된 내용물의 개페를 담당하는 마개부(23)가 형성되는데, 상기 마개부(23)는 몸체부(21)에서 돌출 형성되고, 끝부분에 탄성재질의 개폐막(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막(25)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직선형상을 갖는 절개선(24)을 형성시켜, 개폐막(25)이 이러한 절개선(24)에 의해 면접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절개선(24)이 도 3a와 같이 굴곡진 형상을 가지면 절개선을 경계로 한 개폐막의 면접촉이 증대되어 개폐막(25)을 보다 효과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튜브의 내용물이 절개선(24)을 경계로 하는 개폐막(25)의 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을 경우 내용물이 묻어 굳어지기가 쉽고, 이렇게 굳어지면 튜브의 개폐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절개선(24)을 기준으로 상기 개폐막(25)의 저면은 경사면(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튜브의 몸체부(21)를 가압하면, 상기 가압에 의해 튜브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은 마개부(23)로 이동을 하게 되고, 개폐막(25)을 가압하게 된다.
즉, 내용물이 개폐막(25)을 밀어줌으로서, 개폐막(25)에 형성된 절개선(24)으로 인해 절개선(24)을 경계로 하여 면접촉하고 있는 개폐막(25)이 서로 분리 되고, 이러한 틈새로 튜브의 내용물이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배출로 사용자가 원하는 량을 취득한 후, 튜브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탄성재질을 갖는 개폐막(25)은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와 절개선(24)을 경계로 하여 서로 면접촉함으로서, 마개부(23)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튜브의 개폐구조는 별도의 마개를 필요로 하지 않아 사용자가 한손만으로도 튜브를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튜브를 가압하면 개폐막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배출되고, 가압된 힘을 제거하면 개폐막이 폐쇄되어 누구라도 사용이 가능하고,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품에 적용하기가 유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내용물을 내부에 저장시키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단을 접합시키는 폐쇄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고, 끝부분에 다수의 절개선이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개폐막을 구비한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개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개폐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막의 저면은 절개선에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개폐구조.
KR20-2003-0017741U 2003-06-05 2003-06-05 튜브의 개폐구조 KR200324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41U KR200324370Y1 (ko) 2003-06-05 2003-06-05 튜브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41U KR200324370Y1 (ko) 2003-06-05 2003-06-05 튜브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370Y1 true KR200324370Y1 (ko) 2003-08-25

Family

ID=4941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741U KR200324370Y1 (ko) 2003-06-05 2003-06-05 튜브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3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631B1 (en) Container with formed memory valve
JP4883506B2 (ja) 吐出容器
KR101611211B1 (ko)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JP2008133003A (ja) 詰替え用袋
JP5674467B2 (ja) 流動性物質保存容器及びその蓋部
KR200324370Y1 (ko) 튜브의 개폐구조
JP2007084136A (ja) チューブ容器
JP2006111335A (ja) 二重構造スクイズ容器
JPH03218715A (ja) 加熱機能付容器
JP2005014953A (ja) 包装容器
JP4520218B2 (ja) 複室容器及び該容器の内容物の混合及び排出方法
JP2004231270A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04210345A (ja) 注出容器
JP6657930B2 (ja) フレキシブル包装体
JP2004231273A (ja) 合成樹脂製容器
KR200379462Y1 (ko) 튜브타입 용기의 숄더부 구조
JP5522660B2 (ja) 液体注出容器
KR200205967Y1 (ko) 튜브형 보관용기
DE20010210U1 (de) Ausgießelement zum Applizieren auf eine Flachgiebelpackung
KR102565786B1 (ko) 분리형 펌프용기
JPH0885561A (ja) ディスペンサーポンプ
JP4092440B2 (ja) 逆止弁付き口栓
JPH11159447A (ja) 内装ばねの取り出し可能な流体注出ポンプ
JP7383877B2 (ja) チューブ容器
JP4574218B2 (ja) 合成樹脂製の充填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