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967Y1 - 튜브형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튜브형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967Y1
KR200205967Y1 KR2020000021189U KR20000021189U KR200205967Y1 KR 200205967 Y1 KR200205967 Y1 KR 200205967Y1 KR 2020000021189 U KR2020000021189 U KR 2020000021189U KR 20000021189 U KR20000021189 U KR 20000021189U KR 200205967 Y1 KR200205967 Y1 KR 200205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ans
discharge
stopper
storage container
dischar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순
Original Assignee
이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순 filed Critical 이구순
Priority to KR2020000021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9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출부가 몸체 양쪽에 형성된 튜브형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PE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몸체(10)의 일측에는 결합수단(22)을 외주면에 형성하고 중앙에 배출공(24)을 갖춘 배출부(20)를 형성하여 내부에 결합수단(42)을 형성한 마개(40)를 이용하여 배출부(20)를 개폐가능케 하고 몸체(10)의 배출부(20) 반대쪽은 고주파접착등으로 접합부(30)를 형성하여 몸체(10) 내부에 연고 타입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공지의 튜브형 보관용기에 있어서, 외주면에 결합수단(22)을 구비한 배출부(20)(20a)를 몸체(10) 양측에 서로 대향하게 형성하여 내부에 결합수단(42)을 구비한 각각의 마개(40)로 배출부(20)(20a)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므로서 몸체 내부의 내용물을 짜서 배출하기가 용이하며 내부의 내용물을 깔끔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튜브형 보관용기{Tube type storing vessel}
본 고안은 배출부가 몸체 양쪽에 형성된 튜브형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고나 치약과 같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튜브형 보관용기의 앞·뒤 양쪽에 배출부를 형성하여 마개로 개폐할 수 있게 하므로서 튜브형 몸체 내부의 내용물을 보다 쉽게 배출시킬 수 있게하여 보관용기의 사용이 편리하게 한 것이다.
종래의 튜브형 보관용기는 일측에 배출부가 형성되고 그 반대쪽은 고주파접착에 의한 방법으로 밀폐되어 있어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배출부에 결합되는 마개를 열고 PE등으로 된 보관용기의 몸체 외부를 손으로 눌러서 그 압력에 의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였으나 보관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어느정도 배출되고나면 용기내부에 여유공간이 생겨서 몸체 외부를 눌러도 내용물이 쉽게 잘 배출되지 않기때문에 배출부 반대쪽 접합부분부터 배출부쪽으로 몸체를 말거나 손으로 눌러올려서 보관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짜서 배출하여야 하므로서 사용이 매우 불편할 뿐 만 아니라 치약과 같이 길이가 다소 긴 용기의 경우 접합부분에서 배출부까지 내용물을 손으로 짜서 사용하는 경우에 용기 내부에는 소량의 내용물이 남아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때문에 이 내용물을 알뜰하게 사용할 수 없으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한 것으로 튜브형 보관용기의 몸체 양측 끝에 배출부를 형성하므로서 내용물 배출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보관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보다 쉽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부분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결합수단을 나타낸 확대 단면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튜브형 보관용기를 나타낸 부분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20a : 배출부
22 : 결합수단 22a : 수나사
22b : 걸부 24 : 배출공
30 : 접합부 40 : 마개
42 : 결합수단 42a : 암나사
42b : 걸편 50 : 내용물
PE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몸체(10)의 일측에는 수나사(22a)와 같은 결합수단(22)을 외주면에 형성하고 중앙에 배출공(24)을 갖춘 배출부(20)를 형성하여 내부에 암나사(42a)와 같은 결합수단(42)을 형성한 마개(40)를 이용하여 배출부(20)를 개폐가능케 하고 몸체(10)의 배출부(20) 반대쪽은 고주파접착등으로 접합부(30)를 형성하여 몸체(10) 내부에 연고 타입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공지의 튜브형 보관용기에 있어서, 외주면에 결합수단(22)을 구비한 배출부(20)(20a)를 몸체(10) 양측에 서로 대향하게 형성하여 내부에 결합수단(42)을 구비한 각각의 마개(40)로 배출부(20)(20a)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한 구조이며, 상기의 배출부(20)(20a)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수단(22)은 수나사(22a) 또는 환상의 걸부(22b)를 형성한 것이며, 마개(40) 내부에 형성된 결합수단(42)은 암나사(42a) 또는 방사형으로 걸편(42b)을 형성하여서 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몸체(10)의 양측 단부에 배출부(20)(20a)를 서로 대향하게 형성하므로서 몸체(10) 내부의 내용물(50)을 어느 방향으로든지 쉽게 배출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즉, 첨부도면 도 2와 같이 외주면에 수나사(22a)를 형성하고 중심부에 배출공(24)을 구비한 배출부(20)(20a)가 몸체(10)의 양측에 각각 대향하게 형성되어 암나사(42a)를 형성한 마개(40)를 이용하여 각각의 배출부(20)(20a)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자가 몸체(10) 내부의 내용물(50)을 짜서 사용할 때 어느 방향이든지 원하는 방향의 마개(40)를 열어서 몸체(10) 외부에 압력을 가하면 내용물을 짜여져서 배출공(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되며 배출부(20)(20a)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을 배출부(20)(20a)까지 밀어서 짜야하는 거리가 몸체(10)의 중앙에서 배출부(20)(20a)까지가 되기때문에 짜야하는 거리도 짧아지므로서 그만큼 사용이 편리할 뿐 만 아니라 몸체(10) 내부의 내용물도 보다 알뜰하게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배출부(20)(20a)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수단(22)으로 걸부(22b)를 형성하고 마개(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수단(42)으로는 방사형으로 걸편(42b)을 형성하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약의 마개와 같이 마개(40)을 회전시키기 않고 원터치식으로 개폐가 가능케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튜브형 보관용기의 몸체 양측에 각각 배출부를 형성하므로서 몸체 내부의 내용물을 짜서 배출하기가 용이하며 내부의 내용물을 깔끔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PE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몸체(10)의 일측에는 결합수단(22)을 외주면에 형성하고 중앙에 배출공(24)을 갖춘 배출부(20)를 형성하여 내부에 결합수단(42)을 형성한 마개(40)를 이용하여 배출부(20)를 개폐가능케 하고 몸체(10)의 배출부(20) 반대쪽은 고주파접착등으로 접합부(30)를 형성하여 몸체(10) 내부에 연고 타입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공지의 튜브형 보관용기에 있어서, 외주면에 결합수단(22)을 구비한 배출부(20)(20a)를 몸체(10) 양측에 서로 대향하게 형성하여 내부에 결합수단(42)을 구비한 각각의 마개(40)로 배출부(20)(20a)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보관용기
  2. 상기 1항에 있어서, 배출부(20)(20a)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수단(22)은 수나사(22a)이며, 마개(40) 내부에 형성된 결합수단(42)은 암나사(42a)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보관용기
  3. 상기 1항에 있어서, 배출부(20)(20a)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수단(22)은 환상의 걸부(22b)이며, 마개(40) 내부에 형성된 결합수단(42)은 방사형으로 형성된 걸편(42b)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보관용기
KR2020000021189U 2000-07-25 2000-07-25 튜브형 보관용기 KR200205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189U KR200205967Y1 (ko) 2000-07-25 2000-07-25 튜브형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189U KR200205967Y1 (ko) 2000-07-25 2000-07-25 튜브형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967Y1 true KR200205967Y1 (ko) 2000-12-01

Family

ID=1966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189U KR200205967Y1 (ko) 2000-07-25 2000-07-25 튜브형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9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06163A (en) Article for holding and dispensing flowable materials
JP2006111335A (ja) 二重構造スクイズ容器
KR200205967Y1 (ko) 튜브형 보관용기
CN109250294A (zh) 一种带点状螺纹的可以快速拆卸的盖子
KR200494144Y1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US6460732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ntainers having flexible walls
US4453653A (en) Collapsible wall closure for dispensers
CN203989022U (zh) 口服液专用pet瓶
CN112515445A (zh) 一种带酱料保存功能的叉子
KR101447061B1 (ko) 튜브용기
US20150284172A1 (en) Flexible tube
KR200252931Y1 (ko) 양방향에 출구부가 형성된 튜브용기
JP2005096776A (ja) 絞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WO2005035375A3 (en) Dispenser apparatus
KR200379462Y1 (ko) 튜브타입 용기의 숄더부 구조
KR20000016228U (ko) 액체용기 캡
KR200171823Y1 (ko) 개량형 튜브용기
JP4407878B2 (ja) 押出容器用蓋
KR200412107Y1 (ko) 포장튜브의 구조
KR200182733Y1 (ko) 튜브형 용기
CN219237911U (zh) 一种具有内外瓶的双瓶容器
KR200280817Y1 (ko) 포장용 용기
KR940004358Y1 (ko)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 방식의 용기 개구장치
KR200323127Y1 (ko) 튜브용 공기 주입구
KR200306891Y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