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891Y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891Y1
KR200306891Y1 KR20-2002-0029130U KR20020029130U KR200306891Y1 KR 200306891 Y1 KR200306891 Y1 KR 200306891Y1 KR 20020029130 U KR20020029130 U KR 20020029130U KR 200306891 Y1 KR200306891 Y1 KR 200306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p
cosmetic container
coupled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봉
Original Assignee
신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봉 filed Critical 신기봉
Priority to KR20-2002-0029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8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8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Landscapes

  • Tub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캡이 원통형 튜브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전체적인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시키고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은, 그 하부에는 열접착부(13)가 형성된 원통형 튜브(10)의 상부에는 토출관(11)이 형성되고, 튜브(10)의 상부 주연부에 형성된 연결편(30)에는 원통형 캡(20)이 결합되어 튜브(10)와 캡(2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캡(20)을 닫으면 튜브(10)의 상부에 형성된 원통형 돌출부(12)에 캡(20)이 결합되고, 캡(20)의 내부 중앙에 돌출된 결합관(21)이 튜브(10)의 토출관(11)에 결합되어 튜브(10)를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튜브(10)와 캡(2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결국 화장품 용기가 1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것이므로 그 제작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별도의 조립작업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용기의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지출이 필요 없는 것으로서 상당한 원가절감이 이루어져 화장품 용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a receptacle of cosmetics}
본 고안은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캡이 원통형 튜브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전체적인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시키고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매우 다양하나 이중에서도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원통형 튜브의 내부에 액이나 겔(gel) 상태의 화장품이 주입되어 튜브를 눌러주면 입구를 통해 화장품이 짜여지면서 배출되는 형태의 용기들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주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원통형 튜브의 상부에 뚜껑이 나사 결합되어 그 내부를 밀폐시키고, 뚜껑의 상부에는 캡이 연결편으로 결합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열려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 용기는 튜브, 뚜껑 및 캡으로 구성되어 3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용기들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이므로 부품의 수가 증가되는 경우에는 사출금형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부품들의 조립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결국 인건비의 지출이 증대되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화장품 용기의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대외 경쟁력을 높여줄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기에 결합되는 캡이 원통형 튜브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전체적인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시키고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그 하부에는 열접착부(13)가 형성된 원통형 튜브(10)의 상부에는 토출관(11)이 형성되고, 튜브(10)의 상부 주연부에 형성된 연결편(30)에는 원통형 캡(20)이 결합되어 튜브(10)와 캡(2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캡(20)을 닫으면 튜브(10)의 상부에 형성된 원통형 돌출부(12)에 캡(20)이 결합되고, 캡(20)의 내부 중앙에 돌출된 결합관(21)이 튜브(10)의 토출관(11)에 결합되어 튜브(10)를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캡이 열려진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튜브
11 : 토출관
11a : 패킹
12 : 돌출부
13 : 열접착부
20 : 캡
21 : 결합관
22 : 걸림편
30 : 연결편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원통형 튜브(10)의 하부에는 열접착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열접착부(13)는 튜브(10)의 내부에 화장품 용액을 주입시킨 후 열을 가하여 접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튜브(10)의 상부에는 토출관(11)이 형성되어 있고, 튜브(10)를 눌러주면 토출관(11)을 통해 화장품 용액이 배출된다.
상기 튜브(10)의 상부 주연부에는 연결편(3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편(30)에는 그 상부가 막혀진 원통형 캡(2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20)은 연결편(30)으로 연결된 튜브(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 튜브(10)의 상부에는 원통형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캡(20)을 닫으면 돌출부(12)의 주연부에 캡(20)이 끼워져 결합되고, 캡(20)의 내부 중앙에는 결합관(21)이 돌출 형성되어 튜브(10)의 토출관(11)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튜브(10)는 토출관(11)의 외부에 끼워지는 결합관(21)에 의하여 그 내부가 밀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토출관(11)에는 고무재질의 패킹(11a)이 삽입되어 결합관(21) 사이를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캡(20)의 하부 주연부에는 걸림편(22)이 형성되어 캡(20)을 매우 간편하게 열어 젖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원터치 식으로 열려지는 캡(20)에 의하여 튜브(10)의 토출관(11)이 신속하게 열고 닫히는 것이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튜브(10)와 캡(2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면서 연결편(30)으로 연결되어 결국 화장품 용기가 1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것이므로 그 제작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별도의 조립작업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용기의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지출이 필요 없는 것으로서 상당한 원가절감이 이루어져 화장품 용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토출관(11)에는 고무재질의 패킹(11a)이 삽입되어 튜브(10) 내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화장품 용기의 유통 과정에서 튜브(10)에서 화장품 용액이 누설되는 등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튜브(10)와 캡(2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결국 화장품 용기가 1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것이므로 그 제작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별도의 조립작업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용기의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지출이 필요 없는 것으로서 상당한 원가절감이 이루어져 화장품 용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동시에 토출관(11)에 삽입되는 고무재질의 패킹(11a)에 의하여 튜브(10)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그 하부에는 열접착부(13)가 형성된 원통형 튜브(10)의 상부에는 토출관(11)이 형성되고, 튜브(10)의 상부 주연부에 형성된 연결편(30)에는 원통형 캡(20)이 결합되어 튜브(10)와 캡(2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캡(20)을 닫으면 튜브(10)의 상부에 형성된 원통형 돌출부(12)에 캡(20)이 결합되고, 캡(20)의 내부 중앙에 돌출된 결합관(21)이 튜브(10)의 토출관(11)에 결합되어 튜브(10)를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11)에는 고무재질의 패킹(11a)이 삽입되어 결합관(21) 사이를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02-0029130U 2002-09-30 2002-09-30 화장품 용기 KR200306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130U KR200306891Y1 (ko) 2002-09-30 2002-09-30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130U KR200306891Y1 (ko) 2002-09-30 2002-09-30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891Y1 true KR200306891Y1 (ko) 2003-03-10

Family

ID=4933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130U KR200306891Y1 (ko) 2002-09-30 2002-09-30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8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6435A3 (ko) * 2010-09-14 2012-06-28 (주)연우 링 플립-탑 튜브용기
KR20160061030A (ko) 2014-11-21 2016-05-31 (주)연우 도포부재를 구비한 튜브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6435A3 (ko) * 2010-09-14 2012-06-28 (주)연우 링 플립-탑 튜브용기
KR200465659Y1 (ko) * 2010-09-14 2013-03-05 (주)연우 링 플립-탑 튜브용기
CN103096754A (zh) * 2010-09-14 2013-05-08 株式会社衍宇 环拉盖管容器
KR20160061030A (ko) 2014-11-21 2016-05-31 (주)연우 도포부재를 구비한 튜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0721B2 (en) Liquid dispensing closure
US7299952B2 (en) Container closure and method of assembly
JP5477721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MX165643B (es) Paquete para la distribucion de liquidos
KR200476920Y1 (ko) 포장용 용기 뚜껑
AR006994A1 (es) Tapon de cierre para su recepcion a rosca por un envase para cerrar una abertura de salida de ese envase, y artefacto de moldeo para fabricar dichotapon
CN103879646A (zh) 一种塑料桶
KR200306891Y1 (ko) 화장품 용기
KR200424083Y1 (ko) 수액팩용 밀봉 캡 및 그것을 제조하는 금형
JP2008297010A (ja) ヒンジキャップ一体型チューブ管容器
KR200451631Y1 (ko) 이중 구조의 저장용기
CN201591783U (zh) 用于大输液软包装的双胶塞组合盖
KR200403309Y1 (ko) 내부 세척이 용이한 병
CN203889264U (zh) 一种塑料桶
KR200255388Y1 (ko) 패킹이 형성된 내열 광구 용기용 뚜껑
CN216003691U (zh) 一种方便倒油的塑料桶
CN220721987U (zh) 一种带有按摩功能的瓶盖
CN215206254U (zh) 一种密封性良好的抗菌塑料瓶盖
CN215460760U (zh) 一种预充式注射器
CN219278266U (zh) 一种塑封西林瓶
JPH0739812Y2 (ja) 容器の注出装置
CN201791085U (zh) 用于药瓶的封盖
CN208150031U (zh) 一种具有嵌件定位的螺纹盖
JP2000255656A (ja) カートリッジ式吐出容器
KR20210001062U (ko) 소형 식품저장용기에 사용되는 일체형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