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358Y1 -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 방식의 용기 개구장치 - Google Patents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 방식의 용기 개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358Y1
KR940004358Y1 KR2019880020426U KR880020426U KR940004358Y1 KR 940004358 Y1 KR940004358 Y1 KR 940004358Y1 KR 2019880020426 U KR2019880020426 U KR 2019880020426U KR 880020426 U KR880020426 U KR 880020426U KR 940004358 Y1 KR940004358 Y1 KR 940004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plate
outlet
annula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105U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2019880020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358Y1/ko
Publication of KR900012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1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 B65D2517/005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formed as part of the 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 방식의 용기 개구장치
제1a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분리 사시도, 제1b도는 본 고안의 용기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종 단면도, 제1c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 단면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제2b도는 제2a도에서 보인 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 제2c도는 제2a도에서 보인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 제2d도는 제2a도의 Ⅹ-Ⅹ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개구공 3 : 걸림턱
4 : 개구판 5 : 환상돌출부
7 : 유출구
본 고안은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방식의 용기 개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먹기 좋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본 실개소 61-150740호로 알려진 흡음용구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86-6643호로 알려진 위생스파우트를 내장한 음료용기등을 들수 있는데, 전자는 개방시킨 용기의 개구부 즉, 구멍에 암나사구멍과 보조마개를 가진 개구부 삽입판을 상기 개구부 주위에 끼워맞춤하고, 상기 개구부 삽입판의 암나사구멍에는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흡음관을 나사결합시켜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흡음관의 출구를 개구부 삽입판에 있던 보조마개로 개, 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흡음용 구멍이 개방된 용기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내용물을 편리하게 먹을 수는 있지만 용기를 밀봉시켜 줄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후자는 이탈패널이 있는 용기덮개와, 이탈패널이 한쪽에 덮개와 같이 접해있는 따개와, 덮개의 안쪽에 붙어 있으면서 이탈패널과 연장된 스파우트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탈패널과 연속된 스파우트가 용기 상부로 솟아나오게한 것인바, 이 용기는 용기를 밀봉함과 아울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편리하게 먹을 수는 있지만 덮개에 있는 이탈패널과 따개를 리벳팅하고, 이탈패널에 스파우트를 리벳팅한 것이기 때문에 고가이고 규모가 매우 큰 자동화된 용기제작 설비를 필요로 하고 스파우트가 비록 용기 상부로 솟아나오지만 스파우트에 의해서 부상을 입을 우려가 많고, 실질적으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입에 대고 먹기가 불편하여서 컵과 같은 음료수잔에 부은 다음 먹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오래의 제반문제점들을 해결한 것인바,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에 내용물을 담은후 부터 소비자가 내용물을 먹을 때 까지 용기를 밀봉시켜 줄 수 있음과 아울러 내용물을 직접 입으로 빨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어 다품종 소량생산 형태가 요구되는 현대산업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방식의 용기 개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a도, b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용기의 덮개인 평판부(1)의 개구공(2) 주위를 위로 굽혔다가 다시 아래로 굽혀진 절곡된 걸림턱(3)으로 만들고,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개구판(4)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턱(3)의 끝과 억지끼워맞춤되는 쐐기형단부를 가진 환상돌출부(5)를 형성하며, 개구판(4)의 저면에는 상기 환상돌출부(5)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체 하단부에 쐐기형스토퍼(6)를 가진 유출구(7)를 형성하고, 상기 환상돌출부(5)와 유출구(7)의 뿌리쪽 틈새사이로 상기 개구판(4)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만든 보강링(8)을 끼워맞춤함으로서 상기 개구공(2)의 걸림턱(3)에 개구판(4)을 조립하여서 된 것이다.
제2a도, b도, d도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는데, 유출구(7)에 상기 스토퍼(6)와 개구판(4)의 안쪽과 절취선(9)(10)으로 연결된 연결판(11)을 형성시킨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손잡이, 13, 13′, 14, 14′는 절취선, 15는 개구판(4)과 환상돌출부(5)의 단차에 의한 홈, 16은 환상돌출부(5)와 유출구(7)의 직경차이에 의한 보강링(8)의 삽입홈, 17은 절취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b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조립된 상태 즉, 용기에 내용물을 담은 후 최종 소비자에게 이를 때까지는 개구판(4)의 아래로 형성된 쐐기형단부를 가진 환상돌출부(5)와 유출구(7) 사이의 삽입홈(16)내로 끼워진 보강링(8)에 의해서 상기 환상돌출부(5)가 용기의 덮개인 평판부(1)의 개구공(2) 주위에 형성된 걸림턱(3)과 매우 견고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개구공(2)을 밀봉해주고, 최종소비자가 내용물을 먹기 위해서 손잡이(12)를 잡아당기면 제1c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개구판(4)에 달린 환상돌출부(5)가 유출구(7)보다 짧은 길이를 갖기 때문에 환상돌출부(5)는 개구판(4)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유출구(7)는 당겨지는 개구판(4)과 함께 개구공(2) 밖으로 노출된다.
이어서 유출구(7)의 쐐기형스토퍼(6)가 보강링(8)에 걸린 상태에서 계속하여 손잡이(12)를 잡아당기면 유출구(7)와 붙어있던 개구판(4)이 쇄선으로 표현한 바와같이 분리되면서 유출구(7)가 개방된다.
그리고 제2a도~d도에 예시된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개구판(4)이 유출구(9)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연결판(11)을 통해서 유출구(9)에 달려있게 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먹는 도중 잠시 유출구(9)를 개구판(4)으로 덮을수도 있고, 내용물을 다먹은 후 용기를 버릴때 개구판(4)도 함께 버릴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용기의 밀봉과 내용물을 편리하게 빨아먹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통상적인 합성수지사출방식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고, 용기의 밀봉상태를 개구판(4)에 달린 환상돌출부(5)와 유출구(7)로 즉, 2중으로 밀봉시켜 주는것이기 때문에 탄산음료와 같이 상당한 내압으로 충전되는 음료용기가 운반 및 취급도중 수축, 팽윤 팽창하더라도 내용물을 견고하게 담을 수 있고, 내용물을 바로 입으로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용기의 덮개인 평판부(1)의 개구공(2) 주위를 위로 굽혔다가 아래로 굽힌 절곡된 걸림턱(3)으로 만들고, 합성수지제 개구판(4)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턱(3)의 끝과 억지끼워맞춤되는 쐐기형 단부를 가진 환상돌출부(5)를 형성하며, 개구판(4)의 저면에는 상기 환상돌출부(5)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체 하단부에 쐐기형스토퍼(6)를 가진 유출구(7)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판(4)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제 보강링(8)을 상기 환상돌출부(5)와 유출구(7) 사이에 끼워맞춤하여서 개구공(2)을 개구판(4)으로 밀봉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 방식의 용기 개구장치.
KR2019880020426U 1988-12-12 1988-12-12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 방식의 용기 개구장치 KR940004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426U KR940004358Y1 (ko) 1988-12-12 1988-12-12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 방식의 용기 개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426U KR940004358Y1 (ko) 1988-12-12 1988-12-12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 방식의 용기 개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105U KR900012105U (ko) 1990-07-03
KR940004358Y1 true KR940004358Y1 (ko) 1994-06-25

Family

ID=1928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426U KR940004358Y1 (ko) 1988-12-12 1988-12-12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 방식의 용기 개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3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474A (ko) * 1998-12-30 1999-04-26 이정민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105U (ko) 199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5065A (en) Spout for packaging containers
US6460726B1 (en) Closure with articulated lid
AU708793B2 (en) Liquid container tap for drinks, such as a can, party keg or drum
US5353983A (en) Beverage container
KR940004358Y1 (ko)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 방식의 용기 개구장치
JPS63166954U (ko)
JP4454202B2 (ja) 紙製容器用の注出具
US3251499A (en) Closure means for a container with an opening
JP3140207B2 (ja) カートン用注出口
JPH0211314Y2 (ko)
CN214421214U (zh) 嵌入式组合盖
FR2772006A1 (fr) Dispositif de sortie pour conteneur de fluide
JP4449458B2 (ja) 螺合方式密封機構を有する容器
CN112793915A (zh) 嵌入式组合盖
JPH0718588Y2 (ja) 容器の注出口
CN2284197Y (zh) 一种拉压式密封瓶盖
JP3135701B2 (ja) カートン用注出口
KR920008855Y1 (ko) 액체육젖 포장용 용기
KR100526153B1 (ko) 액체 용기용 마개
JP3587698B2 (ja) 液体容器用キャップユニット
KR200236154Y1 (ko) 액체충전용기의배출대와삽입유출대구조
JPS5942355Y2 (ja) 壜口の密封装置
JPH0242592Y2 (ko)
JP2536731Y2 (ja) 容 器
KR20060059750A (ko)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