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474A -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 Google Patents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474A
KR19990030474A KR1019980064168A KR19980064168A KR19990030474A KR 19990030474 A KR19990030474 A KR 19990030474A KR 1019980064168 A KR1019980064168 A KR 1019980064168A KR 19980064168 A KR19980064168 A KR 19980064168A KR 19990030474 A KR19990030474 A KR 19990030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outlet
container
lin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1998006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474A/ko
Publication of KR1999003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474A/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든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마개에 유출대를 형성한 특징이 있는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마개(1)는 상면부(2)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부(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면부(4)의 일측에는 손잡이(5)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3,4)가 만나는 격층 선상에는 절취선(7)을 형성하되, 상기 절취선(7)은 손잡이(5)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절취선(8)과 각각 연결되어져 있으며, 그리고 상기 상면부(2)의 저면으로는 내마개(9)가 있고, 측면부(3,4)의 내벽면에는 걸림턱(10)과 하부걸림돌기(11)가 형성되어져 있는 선행의 마개(1)에 있어서, 상기 마개(1)는 상면부(2) 임의 일측에 공간부(12)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2)의 저부에는 1개 이상의 환테(14)와 공기유입로(15)가 있는 유출대(13)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유출대(13) 상단의 외·내측으로는 환형의 절취선(16,17)을 형성하되, 상기 절취선(17)을 구획으로한 그 내측에는 절취막(18)에 형성되어 있음과, 그 절취막(18)의 일측에는 연결부(20)로서 일체화 된 당김고리(19)와, 그 연결부(20)의 반대편에는 미절취부(21)가 형성되어져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본 발명은 용기에 든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마개에 유출대를 형성한 특징이 있는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선행기술로서는 본 발명인의 것으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63957호,제063958호가 있다.
본 발명인의 선행인 실용신안등록 제063957∼8호는 금속재의 뚜껑에 유출대(유출구)를 구성하는 방식을 취하였던 바, 그 적용시 상기의 뚜껑에 유출대를 부착하는 접착의 기술이 난해함은 물론, 상기의 금속재 뚜껑은 그 높이가 한정된 관계로 유출대를 접착하게 되면 그 공급과정이 불안정하여 양산체제에는 그 접목이 사실상 어려운 관계로 지금껏 실용화되지 못한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 발명은 상기의 선행을 개량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당김고리를 당겨 절취막을 파괴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c와 d는 연속적인 것으로서 유출대가 상향된후 당김고리와 절취막이 유출대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인 것임과, 도1e는 도1a선e-e에 따른 종단면도를, 도1f∼f'는 도1e A 부위의 변형의 예를 보인 것임과, 도 1g는 마개가 용기의 목에 조립된 상태를, 도 1h는 유출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a∼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단면도,도 3b∼c는 유출대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개 2 : 상면부 3,4 : 측면부
5 : 손잡이 6,20 : 연결부 7,16,17 : 절취선
8 : 측면절취선 9 : 내마개 10 : 걸림턱
12 : 공간부 13,13' : 유출대 14 : 환테
15 : 공기유입로 18 : 절취막 19,19' : 당김고리
21 : 미절취부 22 : 유출구 23 : 밀폐부위
24,29 : 환돌기 25,30 : 환홈 26 : 접착
27 : 유출대마개 28 : 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용기 마개는 기본적으로 그재질을 합성수지로 하였으며, 상기 마개의 상연 임의 일측에는 상면부의 저부에 형성된 매우 위생적인 유출대를 끌어 올릴 목적의 당김고리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용기 마개는 외부와 단절된체로 내부에 유출대가 형성되어 있는 바, 그 음용이 매우 위생적임은 물론 상부로 돌출되게 된 본 발명의 유출대는 젖꼭지의 형상을 하고 있는 관계로 어린아이나 노약자등도 안정적으로 용기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h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마개(1)는 상면부(2)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부(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면부(4)의 일측에는 외향을 따라 길게구멍이 형성된 안내부가 있는 손잡이(5)를 형성하되, 상기 안내부의 반대편인 구멍의 상측으로는 측면부(3,4)를 연결시키는 연결부(6)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6)의 양측이면서도 측면부(3,4)가 만나는 격층 선상에는 절취선(7)을 형성하되, 상기 절취선(7)은 손잡이(5)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절취선(8)와 각각 연결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의 저면으로는 내마개(9)가 있고, 측면부(3.4)의 내벽면에는 걸림턱(10)과 하부걸림돌기(11)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상과 같은 마개(1)의 상면부(2) 임의 일측에는 함몰된 형의 공간부(12)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2)의 저부에는 걸림 및 밀폐용으로 된 적어도 1개 이상의 환테(14)와 공기유입로(15)가 있는 내부가 공간으로 된 유출대(13)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유출대(13) 상단의 외·내측으로는 환형의 절취선(16,17)을 형성하되, 상기 절취선(17)을 구획으로한 그 내측에는 절취막(18)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절취막(18)의 일측에는 연결부(20)로서 일체화된 당김고리(19)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연결부(20)의 반대편에는 미절취부(21)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마개(1)를 용기(1OO)의 목 상부에 위치 시킨 후 일련의 기계장치로서 압압하게 되연 걸림턱(10)과 하부걸림돌기(11)는 용기(100) 목의 상·하단외돌환부(101,102)에 각각 걸리게 되고, 내마개(9)는 용기(100) 목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밀폐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g와 같으며, 이런 상태애서 마개(1)를 완전히 벗기고자 할때는 손잡이(5)의 단부인 안내부를 당겨 구멍이 형성되게 한 후 그 구멍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5)를 당기게 되면 측면절취선(8)과 동 연장선상의 절취선(7)이 절취되고 동시 걸림턱(10)은 용기(100) 목의 상단외돌환부(101)를 탄력적으로 타고 벗어나면서 마개(1)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핵심적인 설명으로서, 유출대(13)를 포함한 당김고리(19)의 사용은; 도 1a와 같은 상태의 마개(1)가 용기(1OO)의 목에 조립되어졌다고 가정하고,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당김고리(19)를 잡아 당기게 되면 도 1b와 같이 절취선(17)이 절취되면서 절취막(18)이 상향되어지다가 미절취부(21)에 이르게 되면 절취막(18)은 상기 미절취부(21)에 의해 더이상 확대되어지지 아니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좀더 힘을 주어 당김고리(19)를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미절취부(21)의 위치에 있는(상기 유출대(13)를 구획하고 있는) 절취선(16)이 점진적으로 환형상으로 절취되면서 상기의 유출대(13)가 상향되다가 일정 선상에서는 그 하측의 환테(14)에 의해 상기의 유출대(13)는 더이상 상향되지 못하고 멈추게 되는데, 이러한상태가 도 1c와 같다.
상기 도 1c와 같은 상태에서 절취막(18)을 일측으로 비틀게 되면 미절취부(21)가 찢기면서 유출대(13)로 부터 이탈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가 도 1d 또는 도 1h와 같으며, 그 사용시는(일예로) 도 1h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100)를 유출대(13) 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면 공기유입로(15)로는 공기가 유입되고, 유출구(22)로는 내용물이 유출되게 되는 것이다.
계속된 것으로서,그 사용시 용기(100)의 내부로 공기가 윈활하게 유입되게 할 목적으로 가급적 미절취부(21)의 방향에 있는 절취선(16)을 약간 돌출되게 형성하면 그 사용시 용기(100) 내부로의 공기유입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며, 또한 유출대(13)의 형성에 있어서도 그 사용시 절취선(16,17)이 원활하게 절취되게 하기 위하여 어느 일측의 유출대(13) 상면이 그 상대보다도 더 상향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출대(13)가 용이하게 절취되어 상향됨은 물론 상향된후 그 지지력을 강하게 할 목적으로, 환테(14)가 있는 곳을 기준으로 일정 높이 까지 약간 돌출되게 밀폐부위(23)를 형성하거나 또는 절취선(16)이 있는 그 상면을 내방향으로 약간 돌출 되게 환돌기(24)를 형성하여 그 사용시 유출대(13)의 외벽면이 상기 환돌기(24)에 긴히 끼어 그 밀폐력을 향상시키게 하는 것이다.
상기의 설명이 도 1f에서 잘 표현되어 있으며, 또 다른 것으로서는 도 1f'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절취선(16)이 형성된 그 하방에 유출대(13)의 환테(14)가 삽입될 수있는 환홈(25)을 형성한 것이며, 그 사용시는 당깅고리(19)를 당기어 유출대(13)가 상향되게 되면 환테(14)가 상기의 환홈(25)에 삽입되어 지지(밀폐)력을 유지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마개(1)는 경우에 따라 공간부(12)에 형성된 당김고리(19)를 별도로 제작하여 접착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2), 상기의 마개(1)는 공간부(12)를 없앤 평면형으로 하여된 미절취부(21)의 반대측 절취막(18)에 별도의 당김고리(19')를 접착(26)시킨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a∼c), 마개(1)는 상면부(2)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부(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4)의 일측에는 외향을 따라 길게 구멍이 형성된 안내부가 있는 손잡이(5)를 형성하되, 상기 안내부의 반대편인 구멍의 상측으로는 측면부(3,4)를 연결시키는 연결부(6)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6)의 양측이면서도 측면부(3,4)가 만나는 격층 선상에는 절취선(7)을 형성하되, 상기 절취선(7)은 손잡이(5)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절취선(8)과 각각 연결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의 저면으로는 내마개(9)가 있고,측면부(3,4)의 내벽면에는 걸림턱(10)과 하부걸림돌기(11)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상과 같은 상기 상면부(2)의 임의 일측에는 환형의 절취선(16)으로 구획된 유출대마개(27)를 형성하되,그 상방에는 당김고리(19)를 두고 하방에는 유출대(13')의 환돌기가 끼일 수 있도륵 내멱면에 환홈을 갖고 있는 테(28)를 형성한 것이며,상기의 유출대마개(27)에 조립되어질 유출대(13')는 상측의 외주로 환돌기(29)를 두고 하측의 외주로는 환홈(30)이 형성되게 환테(14')를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태가 도 3a와 같으며, 상기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당김고리(19' )를 잡아 당기게 되면 도 3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절취선(16)이 파괴되면서 유출대(13' )가 상향되게 되고, 그 유출대(13')의 환홈(30)은 상기 절취선(16)이 파괴되어 된 그 내벽면에 꽉 끼이게 되는 것이며, 이어 좀더 힘을 주어 당김고리(19')를 잡아당기게 되면 도 3c에서 보인 바와 같이 유출대마개(27)가 유출대(13')의 환돌기(29)를 벗어 나면서 사용상의 상태로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4),상기 마개(1)의 공간부(12)상에서 또는 공간부(12)가 없는 평면상의 유출대마개(27) 상면 일측에 별도의 당김고리(19')를 접착(26)를 시킨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마개(1)에 적용된 손잡이(5)는 본 발명의 부수적인 것으로서 손잡이(5)가 없이도 형성될 수 있으나, 있을 경우, 그 손잡이(5)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그 손잡이(5)는 별개의 영역일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의 마개(1)는 회전형으로서 용기에 조립될 수 있도록 측면부의 내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임과,상면부(2)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의 상면부(2)에는 별도의 덮개를 씌우거나 또는 일측을 당길 수 있는 형의 스티커를 부착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는 유출대가 마개의 저부에 내장되어 있는 바, 사용시 원터치방식으로 그 유출대를 꺼내 용기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특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마개(1)는 상면부(2)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부(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면부(4)의 일측에는 손잡이(5)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3,4)가 만나는 격층 선상에는 절취선(7)을 형성하되, 상기 절취선(7)은 손잡이(5)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절취선(8)과 각각 연결되어져 있으며,그리고 상기 상면부(2)의 저면으로는 내마개(9)가 있고,측면부(3,4)의 내벽면에는 걸림턱(10)과 하부걸림돌기(11)가 형성되어져 있는 마개(1)에 있어서,
    상기 마개(1)는 상면부(2) 임의 일측에 공간부(12)를 형성하고,상기 공간부(12)의 저부에는 1개 이상의 환테(14)와 공기유입로(15)가 있는 유출대(13)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유출대(13) 상단의 외·내측으로는 환형의 절취선(16,17)을 형성하되, 상기 절취선(17)을 구획으로한 그 내측에는 절취막(18)이 형성되어 있음과
    그 절취막(18)의 일측에는 연결부(20)로서 일체화 된 당김고리(19)와, 그 연결부(20)의 반대편에는 미절취부(21)가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대(13)가 상향된 후 그 지지력을 강하게 할 목적으로, 환테(14)가 있는 곳을 기준으로 일정 높이까지 약간 돌출되게 밀폐부위(2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대(13)가 용이하게 절취되어 상향됨은 물론 상향된후 그 지지력을 강하게 할 목적으로, 절취선(16)이 있는 그 상면을 내방향으로 약간 돌출되게 환돌기(24)를 형성하여 그 사용시 유출대(13)의 외벽면이 상기 환돌기(24)에 긴히 끼어 그 밀폐력을 향상시킨 특징의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16)이 형성된 그 하방에 유출대(13)의 환테(14)가 삽입될 수 있는 환홈(2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마개(1)에 당김고리(19,19')를 별도로 부착함에 있어서,그 당김고리(19,19')는 공간부(12)상이나 공간부(12)를 없앤 평면형으로 하여 된 미절취부(21)의 반대측 절취막(18)에 별도의 당김고리(19,19')를 접착(26)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6. 마개(1)는 상면부(2)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부(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면부(4)의 일측에는 손잡이(5)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3,4)가 만나는 격층 선상에는 절취선(7)을 형성하되, 상기 절취선(7)은 손잡이(5)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절취선(8)과 각각 연결되어져 있으며, 그리고 상기 상면부(2)의 저면으로는 내마개(9)가 있고, 측면부(3,4)의 내벽면에는 걸림턱(10)과 하부걸림돌기(11)가 형성되어져 있는 마개(1)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2)의 임의 일측에는 환형의 절취선(16)으로 구획된 유출대마개(27)를 형성하되, 그 상방에는 당김고리(19)를 두고 하방에는 유출대(13')의 환돌기가 끼일수 있도록 내벽면에 환홈을 갖고 있는 테(28)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의 유출대마개(27)에 조립되어질 유출대(13')는 상측의 외주로 환돌기(29)를 두고 하측의 외주로는 환홈(30)이 형성되게 환테(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의 공간부(12)상에서 또는 공간부(12)가 없는 평면상의 유출대마개(27) 상면 일측에 별도의 당김고리(19')를 접착(26) 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의 마개(1)는 손잡이(5)가 없이 된 것을 특징으로한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의 마개(1)는 회전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측면부의 내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KR1019980064168A 1998-12-30 1998-12-30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KR19990030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4168A KR19990030474A (ko) 1998-12-30 1998-12-30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4168A KR19990030474A (ko) 1998-12-30 1998-12-30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474A true KR19990030474A (ko) 1999-04-26

Family

ID=6595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4168A KR19990030474A (ko) 1998-12-30 1998-12-30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47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6182A (en) * 1976-08-23 1978-01-03 Buckeye Molding Company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KR890004856Y1 (ko) * 1986-12-30 1989-07-25 주식회사금성사 기판에 형성되는 스파아크 갭 구조
KR900012105U (ko) * 1988-12-12 1990-07-03 이정민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 방식의 용기 개구장치
KR950003637U (ko) * 1993-07-08 1995-02-17 함상국 원뿔형 토출구가 내장된 음료수 캔
KR20000041528A (ko) * 1998-12-17 2000-07-15 이정민 상면부에 별도의 당김고리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6182A (en) * 1976-08-23 1978-01-03 Buckeye Molding Company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KR890004856Y1 (ko) * 1986-12-30 1989-07-25 주식회사금성사 기판에 형성되는 스파아크 갭 구조
KR900012105U (ko) * 1988-12-12 1990-07-03 이정민 내용물 유출장치가 형성된 원터치 방식의 용기 개구장치
KR950003637U (ko) * 1993-07-08 1995-02-17 함상국 원뿔형 토출구가 내장된 음료수 캔
KR20000041528A (ko) * 1998-12-17 2000-07-15 이정민 상면부에 별도의 당김고리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8148C2 (ru) Укупорочное и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индикацией вскрыт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пакета
JP2664728B2 (ja) 容器のプラスチック鎖錠装置
KR100558236B1 (ko) 단일편으로 성형된 플립형 캡 덮개
JP2005511441A (ja) 関節付飲み口を有する飲料用缶の蓋
JPS63232156A (ja) 封止体と容器からなる安全包装器
CA2411402A1 (en) Synthetic resin bottle cap unit
KR19990030474A (ko) 유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KR200195236Y1 (ko)
JP3849815B2 (ja) キャップ構造
JPH0331710Y2 (ko)
KR200196226Y1 (ko) 파우치 음료용기용 원터치식 스파우트
JP2593497Y2 (ja)
JP4575793B2 (ja) 液飛び防止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S6213955Y2 (ko)
JPH0333633Y2 (ko)
JP3655348B2 (ja) 合成樹脂製容器
KR20000041528A (ko) 상면부에 별도의 당김고리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JPH0333629Y2 (ko)
JPH0219379Y2 (ko)
JPH08119265A (ja) 再封可能な容器開封装置
JPS5916276Y2 (ja) 壜蓋
JP2704858B2 (ja) 容器キャップ及びボトムハンガー
JP2006062690A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H0333627Y2 (ko)
JP3198096B2 (ja) 容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