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061B1 - 튜브용기 - Google Patents

튜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061B1
KR101447061B1 KR1020120101862A KR20120101862A KR101447061B1 KR 101447061 B1 KR101447061 B1 KR 101447061B1 KR 1020120101862 A KR1020120101862 A KR 1020120101862A KR 20120101862 A KR20120101862 A KR 20120101862A KR 101447061 B1 KR101447061 B1 KR 101447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cap
coupler
thread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073A (ko
Inventor
김동하
이민철
김은지
안혜영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선일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0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0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12Connections between body and closure-receiving bush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3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77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before removal of the tamper element
    • B65D43/0283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before removal of the tamper element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성이 높은 액상 혹은 겔상의 화장품, 화장용 크림류 등과 같이 용기 내에서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내용물을 가압하거나 짜서 배출시키는 튜브형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용물의 잔량 없이 완전한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액상 화장품용 튜브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된 튜브바디와, 상기 튜브바디의 개구부에 하부가 융착 결합되고,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나사 결합되도록 하부 내주면에 상기 커플러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면에 내용물 배출구멍이 형성된 숄더 및 상기 숄더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고, 하부 외주면에 상기 숄더와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숄더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캡을 포함하는 튜브용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튜브용기{TUBE-TYPE PACKAGE VESSELS}
본 발명은 튜브형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성이 높은 액상 혹은 겔상의 화장품, 화장용 크림류 등과 같이 용기 내에서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내용물을 가압하거나 짜서 배출시키는 액상 화장품용 튜브용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림이나 젤 등과 같이 점성이 높은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담는 화장품용기는 연질형 튜브나 경질형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으로 형성되며, 특히 튜브용기의 경우 주로 흐름성이 낮은 형태의 내용물을 포장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튜브용기는 압착에 따른 작용으로 내용물이 배출구(숄더)를 통해 밀려나오는 물리적 특성상 내용물이 일정량 이상으로 담겨 있는 경우에는 몸체를 가볍게 눌러주는 것만으로도 내용물을 비교적 쉽게 배출시킬 수 있지만, 내용물이 소량으로 잔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내용물을 짜내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뿐더러 몸체를 강하게 쥐어짜더라도 배출구(숄더) 부분에 내용물의 일부가 남아 완전히 배출되지 않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즉, 이러한 튜브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은 물론 공기의 유입 없이 뚜껑(3)을 기밀하게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체(1)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숄더(2)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므로 내용물을 짜낼 때 숄더(2) 부분은 납작하게 형태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몸체(1)와 숄더(2)가 만나는 경계지점에 공간이 존재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공간 내에 내용물이 잔존하여 버려지므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88034호 등에 용기 내부에 잔여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의 튜브용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압출부재가 몸체에 내장되는 구조적 특성상 제작이 상당히 어렵고, 내용물을 배출 시 반드시 압출부재를 밀어올려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도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 밖에 노즐을 누르는 펌핑 동작에 의하여 내용물이 일정량씩 배출되는 방식의 이른바 펌프용기가 제안되어 있으나 용기 내에 잔류하는 배출 및 진공압에 의해 내용물이 의도하지 않게 배출구를 통해 일부 누출되어 흘러내리면서 불필요한 낭비가 발생하는 데다 노즐 부분이 항상 개방되어 있는 관계로 내용물이 쉽게 건조되면서 노즐이 막히거나 오염될 수 있고, 아울러 펌프의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튜브형 용기보다 생산원가가 상당히 높은 문제점 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1677호(2011.12.19)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649호(2011.11.1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052호(2006.10.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7798호(2006.09.2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9702호(2006.10.2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88034호(2001.09.2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 해결에 역점을 두어 간단한 구조로 제조는 물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내용물의 잔량 없이 완전한 소비가 가능할 수 있는 튜브용기를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바디에 담긴 소량의 내용물은 숄더와 캡을 이용한 소형용기에 간편하게 옮겨 담아서 남김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보관 및 휴대가 안정적이고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 양태는,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된 튜브바디와, 상기 튜브바디의 개구부에 하부가 융착 결합되고,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나사 결합되도록 하부 내주면에 상기 커플러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면에 내용물 배출구멍이 형성된 숄더 및 상기 숄더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고, 하부 외주면에 상기 숄더와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숄더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커플러와 숄더의 나사 결합된 상태를 풀어서 간편하게 분해한 후 튜브바디에 담긴 소량의 내용물은 숄더와 캡을 변형 조립한 소형용기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옮겨 담을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의 남김없이 효율적이고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및 보관 시 공간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숄더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캡과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1결합돌기가 소정 간격을 다수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응하는 상기 캡의 하부 내주면에 상기 제1결합돌기와 탄력적으로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칼라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양태는,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된 튜브바디와, 상기 튜브바디의 개구부에 하부가 융착 결합되고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나사 결합되도록 하부 외주면에 상기 커플러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면에 내용물 배출구멍이 형성된 숄더 및 상기 숄더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고 하부 내주면에 상기 숄더와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숄더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커플러의 상부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하단부 테두리에 상기 걸림턱과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제2결합돌기가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숄더는 상방의 배출구멍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협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숄더의 배출구멍을 막기 위한 스토퍼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캡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상기 스토퍼를 결합하기 위한 꽂이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튜브바디에 담긴 내용물이 소량일 경우 커플러와 숄더의 나사 결합된 상태를 풀어서 분해한 후 그 개구부를 통해 남김없이 숄더와 캡을 변형하여 조립한 소형용기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옮겨 담아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소량으로 잔존하는 내용물을 짜내기 위해 튜브바디를 강하게 쥐어짤 필요없이 간편하게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튜브용기와 달리 내용물이 남김없이 고스란히 배출되기 때문에 미사용분을 폐기함에 따른 손실 및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일정량 사용한 후에는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용기의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 시 공간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튜브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튜브용기는 크림이나 겔과 같이 점성이 높은 상태의 각종 화장품을 포장하기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용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점성이 높은 액상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모든 튜브형 연질 용기를 의미한다.
<제1실시 예>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는 크게 튜브바디(10), 커플러(20), 숄더(30) 및 캡(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튜브바디(10)는 내용물을 담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크림 또는 젤 등과 같이 점성이 높은 내용물을 손쉽게 짜낼 수 있도록 형태 변형이 용이한 연질의 합성수지를 원통형으로 성형한 후 그 상면은 개구된 상태로, 하부는 고주파 또는 열융착 등으로 접착하여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커플러(20)는 튜브바디(10)의 상부 형태를 원통형으로 유지시키도록 경질의 합성수지로 원형 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튜브바디(10)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고주파 또는 열융착 등으로 압착 결합되어 있고, 상부 외주면에는 회전조작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다.
숄더(30)는 커플러(20)의 지름과 대응하는 크기의 결합부(33)를 가지며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커플러(20)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결합부(33) 내주면에 커플러의 나사산(21)과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고, 튜브바디(10)의 내용물을 짜내어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면에 배출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숄더(30)의 하부 외주면에는 캡(40)과의 결합 시 억지 끼움 방식에 따른 면접촉으로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1결합돌기(36)가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숄더(30)는 상방의 배출구멍(35)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협소하게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량을 훨씬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캡(40)은 숄더(30)의 상부를 탄력적으로 커버하면서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정량의 내용물을 담아 저장할 수 있도록 경질의 합성수지로 상부가 개구된 마치 항아리 혹은 컵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숄더(30)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하부 외주면에 숄더의 나사산(31)과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숄더의 배출구멍(35)과 대향하는 캡(40)의 내측면에는 그 튜브용기를 포장 시 배출구멍(35)을 동시에 막아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9)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숄더의 제1결합돌기(36)와 대응하는 캡(40)의 하부 내주면 테두리에는 캡(40)을 숄더(30)에 결합 시 제1결합돌기(36)와 탄력적인 변형으로 접촉간섭을 일으키면서 그 결합상태가 쉽게 해제되거나 캡(40)이 숄더(30)에서 자유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칼라(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30)와 캡(40)을 소형용기로 변형하여 사용할 경우 숄더의 배출구멍(35)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막아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뚜껑 구실을 하기 위한 마개(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튜브용기로 사용 시 마개(50)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캡(4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마개(50)의 하부를 꽂아서 결합하기 위한 꽂이홈(4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는 튜브바디(10)의 개구부에 열융착 혹은 열압착 결합된 상태의 커플러(20)를 통해 내용물을 주입한 후 숄더(30)와 캡(40)을 차례대로 나사 및 억지 끼움 결합하면 내용물이 밀폐 및 포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사용 등에 의해 튜브바디(10)에 담긴 내용물을 거의 소진한 상태가 되면, 캡(40) 및 커플러(20)와 숄더(30)의 나사 결합된 상태를 풀어서 분해한 다음 캡(40)을 뒤집고, 튜브바디(10)의 내용물을 그 개구부를 통해 캡(40)으로 남김없이 옮겨 담은 후 캡(40)의 개구부와 숄더(30)의 하부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형용기에 담긴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캡(40)에 담긴 내용물은 기존과 같이 튜브바디(10)를 힘겹게 짤 필요없이 숄더(30)를 풀어서 개방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전 배출시켜 소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숄더의 배출구멍(35)은 마개(50)를 꽂아 밀폐시킴으로써 내용물이 접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지연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소량으로 잔존하는 내용물을 짜내기 위해 튜브바디(10)를 강하게 쥐어짤 필요가 없고 내용물의 잔량 없이 완전소비가 가능하여 손실 및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일정량 이상 사용한 상태에서는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용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 시 공간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와 하드형 용기를 일체로 겸비 및 병치하여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 및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물품으로 두 가지 물품 기능을 겸용하여 동시에 사용 및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그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하는 등 사용상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다.
<제2실시 예>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는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크게 튜브바디(10), 커플러(20), 숄더(30) 및 캡(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부분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커플러(20)는 튜브바디(10)의 상부를 원통형과 같이 유지시키도록 경질의 합성수지로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튜브바디(10)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고주파 또는 열융착 등으로 압착 결합되어 있고, 상부 내주면에는 회전조작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나사산(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플러(20)의 상부 내주면에는 걸림턱(25)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는 캡(40)의 하단부 테두리에는 걸림턱(25)과 탄력적인 변형으로 접촉간섭을 일으키면서 결합이 가능하고, 그 결합상태가 쉽게 해제되거나 캡(40)이 커플러(20)에서 자유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결합돌기(46)가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숄더(30)는 커플러(20)의 지름과 대응하는 크기의 결합부(33)를 가지며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커플러(20)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결합부(33) 외주면에 커플러의 나사산(22)과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32)이 형성되어 있고, 튜브바디(10)의 내용물을 짜내어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면에 배출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숄더(30)는 상방의 배출구멍(35)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협소하게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량을 한결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캡(40)은 숄더(30)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커플러(20)와 억지 끼움 방식으로 탄력적인 결합이 가능함과 동시에 내용물을 담아 저장할 수 있도록 경질의 합성수지로 마치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숄더(30)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하부 내주면에 숄더의 나사산(32)과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40)의 하부 외주면에는 커플러(20)와의 결합 시 억지 끼움 방식에 따른 면접촉으로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2결합돌기(46)가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캡(40)의 개구부가 커플러(20)의 걸림턱(25)과 접촉 결합될 때 제2결합돌기(46)가 탄력적인 변형을 유도하여 한층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는 걸림턱(25)과 접촉간섭을 일으켜 그 결합상태가 쉽게 해제되거나 캡(40)이 커플러(20)에서 자유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숄더의 배출구멍(35)과 대향하는 캡(40)의 내측면에는 그 튜브용기를 포장 시 배출구멍(35)을 동시에 막아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튜브용기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30)와 캡(40)을 소형용기로 변형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숄더의 배출구멍(35)을 막아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뚜껑 구실을 하기 위한 마개(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튜브용기로 사용 시 마개(50)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캡(4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마개(50)의 하부를 꽂아서 결합하기 위한 꽂이홈(48)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튜브바디 20: 커플러
21/22: 나사산 25: 걸림턱
30: 숄더 31/32: 나사산
33: 결합부 35: 배출구멍
36: 제1결합돌기 40: 캡
41/42: 나사산 45: 칼라
46: 제2결합돌기 48: 꽂이홈
49: 스토퍼 50: 마개

Claims (8)

  1.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된 튜브바디와, 상기 튜브바디의 개구부에 하부가 융착 결합되는 커플러와, 하부가 상기 커플러와 결합되고 상면에 내용물 배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멍 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협소하게 형성된 숄더 및 상기 숄더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진 튜브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숄더는 상기 커플러와 나사 결합되도록 하부 내주면에 상기 커플러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캡은 하부 외주면에 상기 숄더와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숄더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숄더를 상기 커플러에서 분리하면 상기 숄더와 나사 결합하여 소형용기를 형성하며,
    상기 소형용기를 형성할 시 상기 숄더의 배출구멍을 막아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마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캡과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제1결합돌기가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상기 캡의 하부 내주면에 상기 제1결합돌기와 탄력적으로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칼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3.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된 튜브바디와, 상기 튜브바디의 개구부에 하부가 융착 결합되는 커플러와, 하부가 상기 커플러와 결합되고 상면에 내용물 배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멍 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협소하게 형성된 숄더 및 상기 숄더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진 튜브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숄더는 상기 커플러와 나사 결합되도록 하부 외주면에 상기 커플러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캡은 하부 내주면에 상기 숄더와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숄더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숄더를 상기 커플러에서 분리하면 상기 숄더와 나사 결합하여 소형용기를 형성하며,
    상기 소형용기를 형성할 시 상기 숄더의 배출구멍을 막아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마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상부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하단부 외주면 테두리에 상기 걸림턱과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의 배출구멍과 대향하는 상기 캡의 내측면에 상기 배출구멍을 막기 위한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캡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상기 마개를 꽂아두기 위한 꽂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KR1020120101862A 2012-09-14 2012-09-14 튜브용기 KR101447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862A KR101447061B1 (ko) 2012-09-14 2012-09-14 튜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862A KR101447061B1 (ko) 2012-09-14 2012-09-14 튜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073A KR20140036073A (ko) 2014-03-25
KR101447061B1 true KR101447061B1 (ko) 2014-10-13

Family

ID=5064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862A KR101447061B1 (ko) 2012-09-14 2012-09-14 튜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092A (ko) 2018-09-07 2020-03-18 진범신 포장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141B1 (ko) * 2021-05-12 2022-05-17 안경민 공기 구멍이 형성된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628A (ja) * 2004-11-17 2005-02-24 Sunstar Eng Inc 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高粘調液充填体
JP2008230626A (ja) * 2007-03-16 2008-10-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チューブ
KR20090008021U (ko) * 2008-02-03 2009-08-06 이기연 재사용 할 수 있는 연질의 플라스틱튜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628A (ja) * 2004-11-17 2005-02-24 Sunstar Eng Inc 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高粘調液充填体
JP2008230626A (ja) * 2007-03-16 2008-10-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チューブ
KR20090008021U (ko) * 2008-02-03 2009-08-06 이기연 재사용 할 수 있는 연질의 플라스틱튜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092A (ko) 2018-09-07 2020-03-18 진범신 포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073A (ko)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5910C (en) Dispensing cap for a container
US20140361016A1 (en) Dispensing and mixing device
US20150272197A1 (en) Container
WO2018205568A1 (zh) 保鲜瓶
JP2014500202A (ja) 容器首に結合して使用する受容装置
KR101447061B1 (ko) 튜브용기
US2757824A (en) Dispensing closure for receptacles
KR20090008046U (ko) 수동식 드롭퍼
KR200462502Y1 (ko) 화장품용기
JP2007197030A (ja) パウチ用口栓、口栓付きパウチ、および包装体
KR101745364B1 (ko) 용기뚜껑에 돌출리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362397Y1 (ko) 스포이트 타입 화장품 용기
JPH02205583A (ja) 流動液容器及び流動液吐出方法
KR20160001945U (ko) 내용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EP3290351B1 (en) Liquid container sealing device
KR20100045288A (ko) 튜브형 용기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JP2013230838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30036444A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JP2011084282A (ja) 流動物押出用容器
CN108357775B (zh) 一种无螺纹插扣式容器盖
JPH0353185B2 (ko)
US11772877B2 (en) Device for packaging at least one fluid
KR200371205Y1 (ko) 이중격실 용기
CN217261875U (zh) 一种具有双层结构的储料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