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305Y1 - 박스 제함 장치 - Google Patents

박스 제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305Y1
KR200324305Y1 KR20-2003-0015119U KR20030015119U KR200324305Y1 KR 200324305 Y1 KR200324305 Y1 KR 200324305Y1 KR 20030015119 U KR20030015119 U KR 20030015119U KR 200324305 Y1 KR200324305 Y1 KR 200324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wing
pusher
taping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민
Original Assignee
김장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민 filed Critical 김장민
Priority to KR20-2003-0015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3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4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Landscapes

  • Package Closur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핑되는 박스의 날개를 들뜨지 않게 박스 몸체에 밀착시켜 제함된 박스의 포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송벨트와 박스 간의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동력 소모를 절감하고 이송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박스 제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박스(10)의 전후방 날개(11a)를 박스 몸체(12) 측으로 접어 올리는 제1회동수단(131, 132) 및 이 제1회동수단(131, 132)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박스(10)의 좌우측 날개(11b)를 박스 몸체(12) 측으로 접어 올리는 제2회동수단(133)이 구비된 날개절곡부(130)와, 이 날개절곡부(1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신축되어 날개(11a, 11b)가 접혀진 박스(10)를 날개절곡부(130) 외측으로 밀어 이송하는 푸셔(134)와, 이 푸셔(134)의 이송방향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134)에 의해 이송된 박스(10)의 양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벨트(141) 및 이 이송벨트(141) 사이의 가이드판(142)을 타고 이송되는 박스(10)의 좌우측날개(11b)를 테이핑하는 테이핑기구(144)가 구비된 테이핑 컨베이어(140)를 포함하는 박스 제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141)는 그 이송방향(c)이 상기 푸셔(134)에 의한 박스(10)의 전진방향(d)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142)은 박스(10)의 저면에 밀착되는 그 상면이 이송방향 후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제함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박스 제함 장치 {Apparatus for box casing}
본 고안은 접혀진 박스를 펼친 후 날개를 접착테이프로 붙여 함 형태로 만드는 박스 제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핑되는 박스의 날개를 들뜨지 않게 박스 몸체에 밀착시켜 제함된 박스의 포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송벨트와 박스 간의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동력 소모를 절감하고 이송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박스 제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박스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형으로 연결되어 전후좌우 측면부를 이루는 몸체 및 이 몸체의 각 측면부 상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면부 및 저면부를 이루는 복수의 날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포장용 박스는 각 날개를 상기 몸체 측으로 서로 중첩되게 접어 올리거나 내린 후, 각 날개의 잇닿은 부분을 접착테이프로 붙여 봉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박스 테이핑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박스 제함 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박스 제함 장치에는 박스(10)의 날개(11a, 11b)를 접어 올려 박스(10)의 상면부 또는 저면부을 형성하는 날개절곡부(130)와, 이 날개절곡부(130)로부터 전달된 박스(10)를 이송시키면서 접혀진 양측 날개(11b)를 테이핑하여 봉합하는 테이핑 컨베이어(140)와, 상기 날개절곡부(130)로부터 테이핑 컨베이어(140)로 박스(10)를 밀어 전달하는 푸셔(134)가 구비되며, 상기 날개절곡부(130)에는 하강되는 박스(10)의 전후방 날개(11a)를 접어 올리는 전방 회동판(131) 및 후방 회동판(132)과, 상기 전후방 날개(11a)가 접혀진 후에 박스(10)의 좌우측 날개(11b)를 접어 올리는 한 쌍의 회동아암(13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테이핑 컨베이어(140)는 그 양측에 이송벨트(141)가 구비되고, 이 이송벨트(141) 사이에는 박스(10)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이드판(142)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판(142)의 저부에 상하 회동되는 테이핑기구(144)가 노출되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부에 소정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펼쳐진 상태로 상기 날개절곡부(130)에 공급된 박스(10)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회동판(131, 132)과 회동아암(133)에 의해 각 날개(11a, 11b)가 접혀지고, 상기 푸셔(134)에 의해 테이핑 컨베이어(140)의 양측 이송벨트(141) 사이로 이송되어 이 테이핑 컨베이어(14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테이핑기구(144)에 의해 좌우측날개(11b)가 테이핑된다.
이러한 종래의 박스 제함 장치에서, 상기 박스(10)의 좌우측날개(11b)는 상기 회동아암(133)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상향회동된 후에, 박스(10)가 상기 푸셔(134)에 의해 테이핑 컨베이어(140) 내측으로 전진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판(142)의 입구측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드되어 박스 몸체(12) 측으로 밀착된다. 그러나, 상기 박스(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골판지 등의 판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혀진 날개(11a, 11b)에는 원상태로 펼쳐지려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복원력은 상기 가이드판(142) 상에서 박스(10)의 좌우측날개(11b)가 벌어져 박스 몸체(12)와 이격된 상태로 부실하게 테이핑되는 결과를 낳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 중의 하나로 강구된 것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이송벨트(141)를 박스(10)의 진입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A)만큼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박스 제함 장치는 상기 이송벨트(141)가 박스(10)의 측면에 수평방향 이송력과 하향 지지력을 동시에 가하게 되므로, 이송되는 박스(10)의 좌우측날개(11b)가 상기 가이드판(142)에 의해 박스 몸체(12) 측으로 밀착될 수 있어 테이핑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박스 제함 장치는 상기 이송벨트(141) 자체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었기 때문에, 상기 박스(10)가 이송벨트(141) 사이로 진입될 때, 박스(10)에 가해지는 푸셔(134)에 의한 이송력의 방향(a)은 수평방향인데 반해 상기 이송벨트(141)에 의해 박스(10) 측면에 가해지는 이송력의 방향(b)은 하향 경사진 방향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141) 사이로 진입되는 박스(10)의 측면에 불필요한 마찰저항이 가해지게 되어 동력이 낭비되고, 상기 이송벨트(141)의 접촉면이 마모되어 그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핑되는 박스의 날개를 들뜨지 않게 박스 몸체에 밀착시켜 포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송벨트와 박스 간의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동력 소모를 절감하고 이송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박스 제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박스 제함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제함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박스 제함장치의 테이핑 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펼침 회동기구 130 : 날개 절곡부
131 : 전방 회동판 132 : 후방 회동판
133 : 회동아암 134 : 푸셔
140 : 테이핑 컨베이어 141 : 이송벨트
142 : 가이드판 144 : 테이핑기구
210 : 가이드부재
본 고안에 따르면, 박스(10)의 전후방 날개(11a)를 박스 몸체(12) 측으로 접어 올리는 제1회동수단(131, 132) 및 이 제1회동수단(131, 132)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박스(10)의 좌우측 날개(11b)를 박스 몸체(12) 측으로 접어 올리는 제2회동수단(133)이 구비된 날개절곡부(130)와, 이 날개절곡부(1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신축되어 날개(11a, 11b)가 접혀진 박스(10)를 날개절곡부(130) 외측으로 밀어 이송하는 푸셔(134)와, 이 푸셔(134)의 이송방향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134)에 의해 이송된 박스(10)의 양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벨트(141) 및 이 이송벨트(141) 사이의 가이드판(142)을 타고 이송되는 박스(10)의 좌우측날개(11b)를 테이핑하는 테이핑기구(144)가 구비된 테이핑 컨베이어(140)를 포함하는 박스 제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141)는 그 이송방향(c)이 상기 푸셔(134)에 의한 박스(10)의 전진방향(d)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142)은 박스(10)의 저면에 밀착되는 그 상면이 이송방향 후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제함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회동수단(131, 132)은 박스(10)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회동 승강되어 각각 박스(10)의 전후방 날개(11a)를 접어 올리는 전방 및 후방 회동판(131, 132)과, 상기 전방 및 후방 회동판(131,132)에 연결 설치되어 각 회동판(131, 132)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136)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회동판(131)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판(142) 측으로 연장된 판형의 가이드부재(2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제함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제함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테이핑 컨베이어의 측면 상세도이다.
본 고안의 박스 제함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하게 접혀 포개어진 다수의 박스(10)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피딩 컨베이어(110)와, 이 피딩 컨베이어(110)의 이송방향 후단에 설치되어 접혀진 박스(10)를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펼치는 펼침 회동기구(120)와, 이 펼침 회동기구(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박스(10)의 각 날개(11a, 11b)를 박스 몸체(12) 측으로 접어 상향 회동시키는 날개절곡부(130)와, 이 날개절곡부(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날개(11a, 11b)가 접혀진 박스(10)를 날개절곡부(130) 외측으로 밀어 이송하는 푸셔(134)와, 이 푸셔(134)의 이송방향 후단에 설치되어 푸셔(134)에 의해 공급된 박스(10)를 설비 외부로 이송시키면서 좌우측 날개(11b)의 잇닿은 부분을 박스몸체(12)에 테이핑하는 테이핑 컨베이어(14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날개절곡부(130)에는, 상기 펼침 회동기구(120)에 의해 펼쳐진 후 하강되는 박스(10)의 전후방 양측 저면에 밀착되도록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하 회동되는 전방 회동판(131) 및 후방 회동판(132)과, 이 전방 및 후방 회동판(131, 132)의 좌우측에 이격 설치되어 각각 그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형 절개부(135)가 형성된 한 쌍의 회동아암(133)구비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회동판(131, 132)과 회동아암(133)에는 각각 구동실린더(136)가 연결 설치되어 이 구동실린더(136)의 신축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및 후방 회동판(131, 132)은 펼침 회동기구(120)로부터 박스(10)가 하강될 때, 서로 대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회동된다. 이에 따라, 박스(10)의 전후방 날개(11a)는 각각 전방 및 후방 회동판(131, 132)의 상면에 슬라이드되면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이때, 박스(10)의 좌우측날개(11b)는 상기 회동아암(133)의 절개부(135)에 각각 삽입된다. 이어서, 박스(10)의 하강이 완료되면, 상기 전방 및 후방 회동판(131, 132)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회동되고, 이에 따라 박스(10)의 전후방 날개(11a)가 상향 회동되어 박스몸체(12)의 하부 입구에 수평상태로 배치된다. 다음에, 양측 회동아암(133)이 그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좌우측 날개(11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접혀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푸셔(134)가 전진되어 박스(10)가 상기 테이핑 컨베이어(140)로 이송된다.
상기 테이핑 컨베이어(140)는 그 양측에 상기 박스(10)의 좌우 측면에 밀착되어 이송력을 가하는 한 쌍의 이송벨트(141)가 설치되고, 양측 이송벨트(141)의 사이에는 이송되는 박스(10)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이드판(142)이 설치되며, 이 가이드판(142)의 소정 위치에는 절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142)의 하측에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승강 동작하면서 박스(10) 좌우측 날개(11b)의 잇닿은 부분을 이송방향을 따라 테이핑하는 테이핑기구(144)가 노출되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142)의 입구측에는 경사면부재(145)가 설치되어 상기 푸셔(134)에 의해 이송벨트(141) 사이로 유입되는 박스(10)의 좌우측 날개(11b)가 슬라이드 되면서 접혀 몸체(12) 측으로 보다 근접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테이핑 컨베이어(140)의 이송벨트(141)는 상기 푸셔(134)에 의한 박스(10)의 전진방향(c)과 동일한 이송방향(d)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142)은 이송방향 후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통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벨트(141)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판(142)의 상면이 소정 각도(B)만큼 상향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141)와 푸셔(134)가 동일한 이송방향을 갖도록 설치되어 이송벨트(141) 사이로 유입되는 동안에 박스(10)의 양측면에 하향 마찰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마찰저항에 의한 동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이송벨트의 마모가 경감되어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박스(10)가 이송벨트(141) 사이에 완전히 진입된 후에는 박스(10)의 저면이 상향 경사진 가이드판(142)의 상면을 타고 이송되어 박스(10)의 좌우측 날개(11b)가 박스 몸체(12) 측으로 자연스럽게 가압되어밀착되므로, 박스 몸체(12)와 날개(11a, 11b)가 들뜨지 않고 정확하게 테이핑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 회동판(131)의 일측단에는 판형의 가이드부재(210)가 테이핑 컨베이어(140)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전방 회동판(131)이 수평 상태로 회동되면 이 가이드부재(210)가 가이드판(142) 상면에 근접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박스(10)가 푸셔(134)에 의해 테이핑 컨베이어(140)로 이송될 때, 박스(10)의 좌우측날개(11b)는 상기 가이드판(142) 전방의 경사면부재(145)를 타고 슬라이드되어 상향 회동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재(210)에 의해 하향 지지력을 받게 되어 날개(11a, 11b)의 들뜸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박스 제함 장치는, 박스(10)가 이송벨트(141) 사이로 유입될 때, 박스(10) 좌우측날개(11b)의 이송방향 전방부에는 경사진 가이드판(142)에 의한 상향 지지력이 가해지고, 그 이송방향 후방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10)에 의한 하향 지지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상기 좌우측날개(11b)가 박스 몸체(12) 측으로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으므로, 박스(10)의 테이핑이 보다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박스 제함 장치에서, 상기 가이드판(142)은 테이핑 컨베이어(140)의 베이스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식으로 설치되는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가이드판(142)의 이송방향 양측 중 일측에 승강용 스크류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이 승강용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판(142)의 경사각도를 조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테이핑되는 박스(10)의 저면이 상향 경사진 가이드판(142)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상향지지되도록 하여 박스(10)의 날개(11a, 11b)와 몸체(12)가 정확하게 밀착된 상태로 테이핑될 수 있는 동시에 이송벨트(141)와 푸셔(134)가 동일한 이송방향을 갖도록 설치되어 이송벨트(141) 사이로 유입되는 박스(10)의 양측면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마찰저항에 의한 동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이송벨트의 마모가 경감되어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된 박스 제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박스(10)의 전후방 날개(11a)를 박스 몸체(12) 측으로 접어 올리는 제1회동수단(131, 132) 및 이 제1회동수단(131, 132)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박스(10)의 좌우측 날개(11b)를 박스 몸체(12) 측으로 접어 올리는 제2회동수단(133)이 구비된 날개절곡부(130)와, 이 날개절곡부(1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신축되어 날개(11a, 11b)가 접혀진 박스(10)를 날개절곡부(130) 외측으로 밀어 이송하는 푸셔(134)와, 이 푸셔(134)의 이송방향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134)에 의해 이송된 박스(10)의 양측면을 밀착 지지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벨트(141) 및 이 이송벨트(141) 사이의 가이드판(142)을 타고 이송되는 박스(10)의 좌우측날개(11b)를 테이핑하는 테이핑기구(144)가 구비된 테이핑 컨베이어(140)를 포함하는 박스 제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141)는 그 이송방향(c)이 상기 푸셔(134)에 의한 박스(10)의 전진방향(d)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142)은 박스(10)의 저면에 밀착되는 그 상면이 이송방향 후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제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수단(131, 132)은 박스(10)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회동 승강되어 각각 박스(10)의 전후방 날개(11a)를 접어 올리는 전방 및 후방 회동판(131, 132)과, 상기 전방 및 후방 회동판(131, 132)에 연결 설치되어 각 회동판(131, 132)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136)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회동판(131)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판(142) 측으로 연장된 판형의 가이드부재(2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제함 장치.
KR20-2003-0015119U 2003-05-16 2003-05-16 박스 제함 장치 KR200324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119U KR200324305Y1 (ko) 2003-05-16 2003-05-16 박스 제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119U KR200324305Y1 (ko) 2003-05-16 2003-05-16 박스 제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305Y1 true KR200324305Y1 (ko) 2003-08-25

Family

ID=4933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119U KR200324305Y1 (ko) 2003-05-16 2003-05-16 박스 제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3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598B1 (ko) 2005-05-13 2006-10-23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 밑날개 접이장치의 푸셔연동유니트
KR20170014970A (ko) 2015-07-31 2017-02-08 주식회사 제팩 유연 제함 시스템의 박스 전달 장치
KR20220045835A (ko) * 2020-10-06 2022-04-13 듀팩장원기계(주)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598B1 (ko) 2005-05-13 2006-10-23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 밑날개 접이장치의 푸셔연동유니트
KR20170014970A (ko) 2015-07-31 2017-02-08 주식회사 제팩 유연 제함 시스템의 박스 전달 장치
KR20220045835A (ko) * 2020-10-06 2022-04-13 듀팩장원기계(주)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
KR102385893B1 (ko) 2020-10-06 2022-04-14 듀팩장원기계(주)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0925B2 (ja) ランダム箱閉じ機
KR102097888B1 (ko) 박스 포장장치
EP3482925A1 (en) Box opening device
US493681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opening the sealing flaps of a carton
KR200324305Y1 (ko) 박스 제함 장치
JP2009110994A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搬送方法
JP5412670B2 (ja) 冊子類の搬送装置
CN113428429B (zh) 一种连续化角边封箱工艺及封箱机
KR102294935B1 (ko) 다열 제함기
KR200293088Y1 (ko) 박스 제함장치
EP036977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ing cartons
ITBO20000654A1 (it) Macchina per il confezionamento di articoli, in particolare cd, dvd esimili, in relativi contenitori
JP4255320B2 (ja) 自動箱詰め装置およびその押し込み装置
US7322162B2 (en) Bag top folder and labeler
JP2003267327A (ja) 小箱詰機
JP6626422B2 (ja) 製品供給装置
JP7056869B2 (ja) 封緘装置、封筒搬送装置及び封止装置
ES2770307T3 (es) Aparato de inserción
JP2011162195A (ja) フラップ折込み装置およびカートニングマシーン
JP5153692B2 (ja) 商品充填方法および商品充填装置
KR20210029509A (ko) 박스 제함 장치
JP3577094B2 (ja) 封入装置
JP5266939B2 (ja) 物品搬送装置
JP2020063060A (ja) 蓋閉め機構、蓋閉め装置および蓋閉め方法
JP6129564B2 (ja) ラップアラウンドカート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