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835A -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 - Google Patents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835A
KR20220045835A KR1020200128959A KR20200128959A KR20220045835A KR 20220045835 A KR20220045835 A KR 20220045835A KR 1020200128959 A KR1020200128959 A KR 1020200128959A KR 20200128959 A KR20200128959 A KR 20200128959A KR 20220045835 A KR20220045835 A KR 20220045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lap
pair
long side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893B1 (ko
Inventor
김장민
Original Assignee
듀팩장원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팩장원기계(주) filed Critical 듀팩장원기계(주)
Priority to KR102020012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8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 B31B50/72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on already formed boxes
    • B31B50/724Applying tapes on the corners of set-up boxes, e.g. involving sett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3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mechanically interlocking integral parts, e.g. by tongues and slots
    • B31B50/73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mechanically interlocking integral parts, e.g. by tongues and slots by folding or tucking-in lockin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31B50/782Mechanically by pushing the opposite ends of collapsed blanks towards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작하게 접혀진 복수의 블랭크박스(1)를 직립시켜 전후로 밀착된 상태로 연속 공급하는 박스공급수단(10); 상기 박스공급수단(10)의 전방에서 직립된 포스트(21)와, 이 포스트(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블랭크박스(1)를 사각통 형태로 펼치는 개함부재(22)를 포함하는 박스개함수단(20); 상기 박스공급수단(10)의 전방에 위치되며, 박스개함수단(20)에서 펼쳐진 박스(1) 하단의 전후로 이격된 한 쌍의 단변부 플랩(1b)을 접는 고정날개(31)와, 박스(1)의 하단의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장변부 플랩(1a)을 각각 접어서 파지하는 한 쌍의 회동날개(32,33)를 포함하는 플랩접이수단(30); 상기 플랩접이수단(30)에서 좌우측 장변부 플랩(1a) 중 일측 플랩(1a)이 타측 플랩(1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태가 틀어지게 접혀진 박스(1)의 형태를 교정하는 박스형태교정수단(40); 및 상기 박스형태교정수단(40)에서 형태가 교정된 박스(1)의 장변부 플랩(1a)을 테이핑하는 테이핑수단(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이다.

Description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Box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rrecting shape}
본 발명은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랭크박스가 펼쳐질 때 직사각형이 되지 않고 일측으로 틀어지는 것을 논스톱으로 교정할 수 있는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판지박스와 같은 포장용 박스는 컨베이어를 따라 직립 상태로 이송되는 납작하게 접혀진 블랭크박스를 펼친 후 하단에 구비된 플랩을 서로 포개지도록 접어서 접착테이프로 봉합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제함기가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제함기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의 제함기는 납작하게 접혀진 블랭크박스(1)를 직립 상태로 전후로 밀착시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박스공급수단(2)과, 이 박스공급수단(2)에서 공급되는 블랭크박스(1)를 하나씩 분리하여 사각통 형태로 펼치는 박스개함수단(3)과, 상기와 같이 펼쳐진 블랭크박스(1) 하단의 플랩(1a)을 서로 포개지도록 접는 플랩접이수단(7)과, 이 플랩접이수단(7)으로부터 전달되는 박스(1)를 이송시키면서 접혀진 하단부의 플랩(1a)을 테이핑하여 고정하는 테이핑수단(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박스개함수단(3)은 이송컨베이어(2)에서 직립된 포스트(9)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고정판(4) 및 이 고정판(4)에 대해 소정각을 이루도록 회동되는 회동판(5)으로 이루어지고, 고정판(4) 및 회동판(5)에는 블랭크박스(1)의 도시안된 골에 삽입되는 결합핀(6)이 구비된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종래에는 박스개함수단(3)에서 박스를 사각통 형태로 펼칠 때, 박스개함수단(3)의 회동판(5)이 고정판(4)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되지 못하거나 회동되더라도 블랭크박스(1)의 두께와 박스개함수단(3)의 결합핀(6)의 위치 등에 따라 블랭크박스(1)가 직사각형이 아니라 일측이 틀어지는 형태로 펼쳐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플랩접이수단(7)에 의해 박스(1)의 한 쌍의 플랩(1a)이 정렬되도록 접히지 않고 어긋나게 되며, 이 상태로 테이핑이 이루어지게 되어 박스가 일측이 틀어진 상태가 되므로, 외부충격에 취약하여 수납물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고 차량적재시 다른 박스와 정렬되지 않아서 효과적으로 적재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제함기의 작동을 중단하고 회동판(5)의 위치 등을 조절하여 고정판(4)과 요구되는 각도를 이루도록 회동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비가동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61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이 틀어진 형태로 펼쳐지고 플랩이 정렬되지 않게 접혀진 박스의 틀어짐을 테이핑 이전에 논스톱으로 자동 교정하여 박스가 외부충격에 대해 보다 견고해져서 수납물품을 좀 더 안전하게 보호하여 수납물품의 훼손을 방지하고 다른 박스들과 좀 더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어 물류가 편리하고 물류비가 절감되며 작업자의 상주가 요구되지 않아서 인건비가 절감되고 비가동시간이 줄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납작하게 접혀진 복수의 블랭크박스(1)를 직립시켜 전후로 밀착된 상태로 연속 공급하는 박스공급수단(10); 상기 박스공급수단(10)의 전방에서 직립된 포스트(21)와, 이 포스트(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블랭크박스(1)를 사각통 형태로 펼치는 개함부재(22)를 포함하는 박스개함수단(20); 상기 박스공급수단(10)의 전방에 위치되며, 박스개함수단(20)에서 펼쳐진 박스(1) 하단의 전후로 이격된 한 쌍의 단변부 플랩(1b)을 접는 고정날개(31)와, 박스(1)의 하단의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장변부 플랩(1a)을 각각 접어서 파지하는 한 쌍의 회동날개(32,33)를 포함하는 플랩접이수단(30); 상기 플랩접이수단(30)에서 좌우측 장변부 플랩(1a) 중 일측 플랩(1a)이 타측 플랩(1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태가 틀어지게 접혀진 박스(1)의 형태를 교정하는 박스형태교정수단(40); 및 상기 박스형태교정수단(40)에서 형태가 교정된 박스(1)의 장변부 플랩(1a)을 테이핑하는 테이핑수단(90);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형태교정수단(40)은, 상기 플랩접이수단(30)의 상단 좌우 양측에 전후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50,51);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50,51)에 각각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며, 장변부 플랩(1a)이 플랩접이수단(30)의 회동날개(32,33)에 의해 접혀져서 파지된 상태의 박스(1)를 테이핑수단(90)으로 밀어주는 푸셔(60); 및 상기 푸셔(6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박스(1)의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타측 장변부 플랩(1a)의 후단부와 마주보는 일단부로 갈수록 푸셔(60)에서 점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진 경사교정판(70);을 포함하며, 상기 푸셔(60)가 전진하면서 경사교정판(70)의 전방으로 돌출된 일단부가 박스(1)의 후방으로 돌출된 타측 장변부 플랩(1a)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박스(1)의 형태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푸셔(60)의 좌우 양단부를 각각 전후로 관통하여 선단이 경사교정판(70)의 배면에 고정된 한 쌍의 볼트축(82)과, 이 한 쌍의 볼트축(82)에 나사결합되며 푸셔(60)의 배면에 걸려지는 조임헤드(83)와, 이 조임헤드(83)와 경사교정판(70) 사이에 개재되어 경사교정판(70)을 지지하는 스프링(84)을 포함하여 경사교정판(70)의 경사를 조절하는 한 쌍의 경사조절볼트(80,81)를 더 포함하는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박스개함수단(20) 및 플랩접이수단(30)에 의해 좌우측 장변부 플랩(1a) 중 일측 플랩(1a)이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틀어진 상태로 접혀진 박스(1)를 박스형태교정수단(40)에 의해 형태를 교정시키면서 테이핑수단(90)으로 공급하므로, 작업자가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수작업으로 교정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블랭크박스(1)가 플랩(1a)이 접혀서 테이핑까지 되는 공정이 작동중단 없이 논스톱으로 진행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작업자가 요구되지 않아서 인건비가 절감된다. 그리고 박스(1)가 틀어지지 않고 한 쌍의 장변부 플랩(1a)이 정렬되어 외부충격에 대해 보다 견고해지므로, 외부충격에 의해서도 수납물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물품의 훼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다른 박스들과 좀 더 밀착되게 적재될 수 있어 적재가 용이하고 적재시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물류비가 절감된다.
한편, 상기 박스형태교정수단(40)이 박스(1)를 테이핑수단(90)으로 공급하는 푸셔(60)의 전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경사교정판(70)이 결합된 형태이므로, 경사교정판(70)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부품이 요구되지 않아서 구조가 간단하다. 그리고 박스(1)의 틀어진 형태에 따라 경사교정판(70)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볼트(80,81)가 구비되어, 단일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틀어진 박스(1)를 보다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이때, 경사조절볼트(80,81)에 스프링(84)이 구비되어 경사교정판(70)이 박스(1)에 의해 밀리지 않고 박스(1)를 과도하게 가압하여 박스(1)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박스(1)를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제함기의 일례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 제함기의 박스개함수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박스의 플랩이 접혀지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및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박스의 교정을 보인 평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는 납작하게 접혀진 블랭크박스(1)를 직립된 상태로 공급하는 박스공급수단(10)과, 이 박스공급수단(10)의 전방에 구비되어 블랭크박스(1)를 사각통 형태로 펼치는 박스개함수단(20)과, 이 박스공급수단(10)의 전방에 위치되며 사각통 형태로 펼쳐진 박스(1)의 하단 플랩(1a,1b)을 접는 플랩접이수단(30)과, 일측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틀어진 박스(1)를 교정하는 박스형태교정수단(40)과, 교정된 박스(1)의 접혀진 플랩(1a,1b)을 테이핑하는 테이핑수단(90)을 포함한다.
상기 박스공급수단(10)은 납작하게 접혀져서 직립된 블랭크박스(1)를 전후로 밀착된 상태로 상기 박스개함수단(20)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다이(11)에 설치된 이송체인(12) 등을 이용하여 블랭크박스(1)를 전방으로 단계적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박스개함수단(20)은 박스공급수단(10)의 전방에 위치되어 공급되는 블랭크박스(1)를 하나씩 분리하여 사각통 형태로 펼치는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박스공급수단(10)의 다이(11)에서 직립된 포스트(21)와, 이 포스트(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블랭크박스(1)를 사각통 형상으로 펼치는 개함부재(22)를 포함한다. 개함부재(22)는 주지된 바와 같이 포스트(21)에 구비된 고정판과 회동판에 각각 블랭크박스(1)의 골에 삽입되는 결합핀 또는 블랭크박스(1)를 흡착시키는 석션 등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랩접이수단(30)은 박스개함수단(20)의 하측이며 박스공급수단(1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각통 형태로 펼쳐진 박스(1)의 하단 플랩(1a)을 서로 포개지도록 접는 것으로, 박스(1)의 전후로 이격된 한 쌍의 단변부 플랩(1b)을 접는 고정날개(31)와, 박스(1)의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장변부 플랩(1a)을 접는 회동날개(32,33)를 포함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박스개함수단(20)의 개함부재(22)가 포스트(21)에서 하강되면서 상기와 같이 사각통 형태로 펼쳐진 박스(1)의 단변부 플랩(1b)이 플랩접이수단(30)의 고정날개(31)에 부딪치면서 접혀진다.
그리고 회동날개(32,33)가 박스(1)의 장변부 플랩(1a)을 파지한 상태로 단변부 플랩(1b)에 밀착되도록 회동된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각 회동날개(32,33)는 박스(1)의 장변부 플랩(1a)이 삽입되는 삽입구(36)가 형성되도록 한 쌍의 단위회동날개(34,35)가 회전판(37)의 중심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소정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때, 회전판(37)은 실린더(3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박스(1)의 장변부 플랩(1a)이 삽입구(36)로 투입되면, 도 6과 같이 회전판(37)이 회전에 의해 한 쌍의 단위회동날개(34,35)가 회동되면서 상기 장변부 플랩(1a)이 이미 접혀진 단변부 플랩(1b)의 저면에 근접되도록 접혀지게 된다. 이때, 박스(1)의 장변부 플랩(1a)이 회동된 한 쌍의 단위회동날개(34,35)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박스형태교정수단(40)은 상기 박스개함수단(20) 및 플랩접이수단(30)을 통해 플랩(1a,1b)이 접혀진 박스(1)의 좌우측 장변부 플랩(1a) 중 어느 일측 플랩(1a)이 타측 플랩(1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틀어진 상태를 교정한다. 이때, 동일한 규격의 다수의 블랭크박스(1)는 박스개함수단(20)에 의해 상기와 같이 틀어진 상태로 펼쳐지며, 이에 따라 일측 장변부 플랩(1a)이 타측 장변부 플랩(1a)과 정렬되지 않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은 박스형태교정수단(40)은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50,51), 푸셔(60) 및 경사교정판(70)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50,51)은 플랩접이수단(30)의 상단 좌우 양측에 전후로 연장되며 박스공급수단(10)의 다이(11)의 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푸셔(60)는 양단부가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50,51)에 각각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와 같이 플랩접이수단(30)의 고정날개(31)에 의해 접혀진 단변부 플랩(1b)에 장변부 플랩(1a)이 밀착되도록 회동날개(32,33)가 장변부 플랩(1a)을 접은 상태로 박스(1)를 상기 테이핑수단(90)으로 밀어서 공급해준다. 이와 같은 푸셔(60)는 푸셔실린더(61)에 의해 전후진되며, 푸셔실린더(61)는 박스공급수단(10)의 다이(11)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교정판(70)은 푸셔(60)의 전면에 구비되며, 도 7과 같이 박스(1)의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타측의 장변부 플랩(1a)과 마주보는 일단부로 갈수록 점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진다. 이에 따라, 도 6과 같이 박스(1)의 장변부 플랩(1a)이 플랩접이수단(30)의 각각 한 쌍의 단위회동날개(34,35)에 의해 접혀져서 파지된 상태 즉, 플랩(1a,1b)이 접혀진 박스(1)가 단위회동날개(34,35)에 의해 붙잡혀서 형태가 어느 정도 고정된 상태로 박스(1)가 푸셔(6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질 때, 경사교정판(70)의 전방으로 돌출된 일단부가 상기 박스(1)의 타측의 장변부 플랩(1a)의 후단부를 가압함으로써 박스(1)의 형태가 교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는 한 쌍의 경사조절볼트(80,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조절볼트(80,81)는 경사교정판(7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푸셔(60)의 좌우 양단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선단이 교정판(70)의 배면에 고정된 볼트축(82)과, 푸셔(60)의 배면에 걸려지며 볼트축(82)에 나사결합된 조임헤드(83)와, 이 조임헤드(83)와 경사교정판(70) 사이에 개재되어 경사교정판(70)을 지지하는 스프링(84)을 포함한다. 이때, 스프링(84)은 금형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조임헤드(83)를 조이거나 풀어주면 경사교정판(7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푸셔(60)에 근접되거나 이격되면서 경사교정판(7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테이핑수단(90)은 박스형태교정수단(40)을 통해 교정된 박스(1)의 하단 한 쌍의 장변부 플랩(1a)을 테이핑한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형태교정된 박스(1)가 도시안된 테이프와 정렬되도록 가이드롤러(91)가 구비되고, 이 가이드롤러(91)를 통해 정렬된 박스(1)는 주지된 바와 같이 이송벨트(92)를 통해 이송되면서 테이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는 도 3, 도 5 및 도 6과 같이 블랭크박스(1)가 박스개함수단(20)에 의해 사각통 형태로 펼쳐지고 플랩접이수단(30)에 의해 플랩(1a,1b)이 접혀질 때, 일측 장변부 플랩(1a)이 타측 장변부 플랩(1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틀어지게 접혀질 수 있다. 이때, 도 5 및 도 6과 같이 플랩접이수단(30)의 각 회동날개(32,33)의 한 쌍의 단위회동날개(34,35)의 삽입구(36)로 박스(1)의 장변부 플랩(1a)이 삽입된 상태에서 단위회동날개(34,35)가 회동되어 접혀지므로, 박스(1)의 장변부 플랩(1a)이 접혀진 상태로 한 쌍의 단위회동날개(34,35)에 의해 형태가 어느 정도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박스(1)가 형태가 어느 정도 고정된 상태에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푸셔(6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경사교정판(70)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박스(1)의 좌우측 중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타측의 후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박스(1)의 후방으로 돌출된 타측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박스(1)의 형태가 교정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장변부 플랩(1a)이 정렬되어 외부충격에 보다 견고해지므로, 수납된 물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블랭크박스 10 : 박스공급수단
20 : 박스개함수단 30 : 플랩접이수단
40 : 박스형태교정수단 50,51 : 가이드프레임
60 : 푸셔 70 : 경사교정판
80,81 : 경사조절볼트

Claims (2)

  1. 납작하게 접혀진 복수의 블랭크박스(1)를 직립시켜 전후로 밀착된 상태로 연속 공급하는 박스공급수단(10);
    상기 박스공급수단(10)의 전방에서 직립된 포스트(21)와, 이 포스트(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블랭크박스(1)를 사각통 형태로 펼치는 개함부재(22)를 포함하는 박스개함수단(20);
    상기 박스공급수단(10)의 전방에 위치되며, 박스개함수단(20)에서 펼쳐진 박스(1) 하단의 전후로 이격된 한 쌍의 단변부 플랩(1b)을 접는 고정날개(31)와, 박스(1)의 하단의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장변부 플랩(1a)을 각각 접어서 파지하는 한 쌍의 회동날개(32,33)를 포함하는 플랩접이수단(30);
    상기 플랩접이수단(30)에서 좌우측 장변부 플랩(1a) 중 일측 플랩(1a)이 타측 플랩(1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태가 틀어지게 접혀진 박스(1)의 형태를 교정하는 박스형태교정수단(40); 및
    상기 박스형태교정수단(40)에서 형태가 교정된 박스(1)의 장변부 플랩(1a)을 테이핑하는 테이핑수단(90);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형태교정수단(40)은,
    상기 플랩접이수단(30)의 상단 좌우 양측에 전후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50,51);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50,51)에 각각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며, 장변부 플랩(1a)이 플랩접이수단(30)의 회동날개(32,33)에 의해 접혀져서 파지된 상태의 박스(1)를 테이핑수단(90)으로 밀어주는 푸셔(60); 및
    상기 푸셔(6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박스(1)의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타측 장변부 플랩(1a)의 후단부와 마주보는 일단부로 갈수록 푸셔(60)에서 점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진 경사교정판(70);을 포함하며,
    상기 푸셔(60)가 전진하면서 경사교정판(70)의 전방으로 돌출된 일단부가 박스(1)의 후방으로 돌출된 타측 장변부 플랩(1a)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박스(1)의 형태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60)의 좌우 양단부를 각각 전후로 관통하여 선단이 경사교정판(70)의 배면에 고정된 한 쌍의 볼트축(82)과, 이 한 쌍의 볼트축(82)에 나사결합되며 푸셔(60)의 배면에 걸려지는 조임헤드(83)와, 이 조임헤드(83)와 경사교정판(70) 사이에 개재되어 경사교정판(70)을 지지하는 스프링(84)을 포함하여 경사교정판(70)의 경사를 조절하는 한 쌍의 경사조절볼트(80,81)를 더 포함하는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
KR1020200128959A 2020-10-06 2020-10-06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 KR102385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959A KR102385893B1 (ko) 2020-10-06 2020-10-06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959A KR102385893B1 (ko) 2020-10-06 2020-10-06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835A true KR20220045835A (ko) 2022-04-13
KR102385893B1 KR102385893B1 (ko) 2022-04-14

Family

ID=8121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959A KR102385893B1 (ko) 2020-10-06 2020-10-06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8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05Y1 (ko) * 2003-05-16 2003-08-25 김장민 박스 제함 장치
KR200398610Y1 (ko) 2005-07-15 2005-10-13 장현규 제함기
KR101293533B1 (ko) * 2012-12-05 2013-08-07 이성 주식회사 랜덤 제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함방법
KR101463862B1 (ko) *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의 거치대 통합형 박스개함장치
KR101801036B1 (ko) * 2016-04-12 2017-11-27 이맹현 박스 제조시스템용 형상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05Y1 (ko) * 2003-05-16 2003-08-25 김장민 박스 제함 장치
KR200398610Y1 (ko) 2005-07-15 2005-10-13 장현규 제함기
KR101293533B1 (ko) * 2012-12-05 2013-08-07 이성 주식회사 랜덤 제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함방법
KR101463862B1 (ko) *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의 거치대 통합형 박스개함장치
KR101801036B1 (ko) * 2016-04-12 2017-11-27 이맹현 박스 제조시스템용 형상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893B1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3482B2 (en) Blank and machine for forming a container
US20160159026A1 (en) Carton feeding system and method and related carton forming and sealing machine
US20240124174A1 (en) Box template folding process and mechanisms
US20060068981A1 (en) Assembly device of plate elements for a processing machine
JP5878517B2 (ja) カートンをカートントラックに供給するためのカートン供給装置及び方法
US20100204030A1 (en) Collapsed Tubular Carton Erecting Apparatus & Methods
KR101735206B1 (ko) 오픈형 골판지 박스 덮개 제조장치
US20220080691A1 (en) Box erecting machine
KR102385893B1 (ko) 박스형태 교정이 가능한 제함기
US66165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paper box
EP0492744B1 (en) Blank feeder
US20190276245A1 (en) Case turner
KR102510979B1 (ko) 만드렐 둘레에서 블랭크를 형상화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18151B1 (ko)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KR102144637B1 (ko) 제함기
CN115384832A (zh) 一种纸盒自动锁口生产线
JP7161772B2 (ja) カートン搬送装置
EP4182235A1 (en) Device for feeding carton stacks
KR102385896B1 (ko) 제함기용 박스피딩 제어장치
FR2641758A1 (fr) Emballage renforce en carton ou matiere similaire et le procede de fabrication de cet emballage
CN216885399U (zh) 纸板翻折装置
CN212827096U (zh) 一种新型半自动粘箱机
KR102427196B1 (ko)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
CN118062345A (zh) 折盖装置及开箱机
JPS6037282Y2 (ja) 箱起し装置における箱起し補助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