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151B1 -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151B1
KR101718151B1 KR1020150109091A KR20150109091A KR101718151B1 KR 101718151 B1 KR101718151 B1 KR 101718151B1 KR 1020150109091 A KR1020150109091 A KR 1020150109091A KR 20150109091 A KR20150109091 A KR 20150109091A KR 101718151 B1 KR101718151 B1 KR 101718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quick
conveyor
guides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981A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주)진성 테크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성 테크템 filed Critical (주)진성 테크템
Priority to KR102015010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1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265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31B1/04
    • B31B1/26
    • B31B1/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B41/04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B41/04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 B65B41/06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7/00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 B65B47/04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pressure
    • B65B47/06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pressure using folding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상자 포장방식의 자동포장시스템에서 작업자에 의존하지 않고 완전 자동으로 작동되는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로서, 속상자재(Im)를 낱장으로 공급하는 매거진(21)과, 회전하는 원반(24)의 픽업(23)이 상기 매거진(21)에서 속상자재(Im)를 1장씩 인출하여 공급하는 카톤 피더(22)로 이루어진 속상자재 공급부(2); 상기 픽업(23)을 통해 낱장으로 공급되는 속상자재(Im)를 이송시키면서 양측 장변 접힘부(Ia)를 접는 제1 컨베이어(41) 및 제2 컨베이어(42), 장변폴더(43)와 제1 폴딩가이드(44)를 갖춘 속상자재 이송부(4); 상기 속상자재(Im)에 대하여 경사로를 제공하도록 상하로 배열된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와, 상기 속상자재(Im)의 앞 뒤쪽 장변 접힘부(Ia)가 끼워져 임시 고정되는 앞 뒤쪽 클리핑돌기(67)(68)를 구비하여 상기 속상자재(Im)를 낱개로 반송하는 제1 버킷컨베이어(63)와, 상기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의 양측에서 이송되는 속상자재(Im)의 폭방향 자세를 정정하는 수정가이드(65)와, 수정된 속상자재(Im)를 일시 구속하여 바른 자세로 앞 뒤쪽 클리핑돌기(67)(68)에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푸시바(66)를 갖춘 속상자재 전개부(6); 상기 속상자재(Im)의 양쪽 접합부(Ic)를 접는 제1 및 제2 폴딩 휠(84)(86)과, 접어진 양쪽 접합부(Ic)의 외측에 핫멜트를 분사하는 제1 및 제2 노즐(85, 87)을 갖춘 피포장물 수납부(8); 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feeder supply to autofold innerbox wherein autopackage system with sliging box package}
본 발명은 속박스에 피포장물을 수용한 것을 겉박스 안으로 밀어 넣어 포장하는 미닫이 상자 포장방식의 자동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펼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전개된 속상자가 자동으로 접히면서 자동 포장시스템에 제공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미닫이 상자 포장방식의 자동포장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박스 포장은 상 하변에 플랩이 달린 상자체에서, 상기 플랩을 접어 붙이면서 내부에 피포장물이 수납되게 하는 랩 어라운드 포장방식이 채용되고 있는가 하면, 플랩이 없는 형태의 속상자를 컨베이어에 실어 연속 공급하면 로봇 핸드가 피포장물을 픽업하여 속상자 안에 수납하고, 다음 공정에서 푸시 컨베이어가 속상자를 겉상자 안쪽으로 밀어 넣어 자동포장되게 하는 미닫이 상자 포장방식도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상술한 미닫이 상자 포장방식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방식은 내부에 피포장물(P)이 수납된 속상자(I)를 겉상자(O)에 밀어넣어 포장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의 포장상자는 다음 특허문헌 1 및 2를 통해 공개되어 있다.
종래의 미닫이 박스 포장방식에서 속상자(I)는 도 2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상자형태로 붙여진 것을 사용하고 있다. 즉 속상자(I)는 별도 공정에서 접히고 붙여진 플랩 없는 상자의 네 모서리를 납작하게 접어 휴대 및 운반이 간편한 형태로 만든 것으로 미닫이 박스 포장에 제공되고 있고, 작업자는 제공된 속상자(I)를 손 조작으로 펼치고 컨베이어에 얹어 로봇 핸드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속상자(I)를 펼치고 컨베이어에 얹는 과정을 작업자가 전담해야 하는 인력 의존방식이기 때문에 완전한 자동포장이라 할 수 없다.
미닫이 상자 포장에서 채용되는 속상자(I)는 종이에서 재단되었을 때는, 도 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장변과 단변을 따라 각각 장변접힘부(Ia)와 단변접힘부(Ib)가 연장되고 이들 장 단변접힘부(Ia)(Ib) 끼리 상호 직교하는 부분의 어느 한쪽으로 접합부(Ic)가 부여된 형태의 속상자재(Im)로 제공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11345호,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20-1989-37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단된 속상자재가 자동으로 접히면서 컨베이어로 공급되도록 한 미닫이 상자 포장방식의 자동포장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에 의존하지 않고 완전 자동으로 피포장물을 미닫이 상자 포장방식으로 포장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는 본 발명의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는, 속상자재가 1열로 배열되는 슈트를 통해 낱장으로 공급되는 매거진과, 회전하는 원반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픽업이 진공 흡인력으로 상기 매거진에서 속상자재를 1장씩 인출하여 공급하는 카톤 피더로 이루어진 속상자재 공급부(2); 상기 픽업을 통해 낱장으로 공급되는 속상자재를 인수하여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와 이 제1 컨베이어의 상방으로 겹쳐지게 배치되는 제2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양측방으로 배치된 장변폴더와 제1 폴딩가이드에 의해 속상자재의 양측 장변 접힘부를 접으면서 출구 플랫폼으로 이동시켜 사출하는 속상자재 이송부; 상기 속상자재에 대하여 경사로를 제공하도록 상하로 배열된 상 하측 전개가이드와, 이들 상 하측 전개가이드에 연속하여 연장되고, 상기 속상자재의 앞 뒤쪽 장변 접힘부가 끼워져 임시 고정되는 앞 뒤쪽 클리핑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속상자재를 낱개로 반송하게 되는 제1 버킷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속상자재 전개부; 상기 속상자재의 양쪽 접합부를 접어주는 제1 및 제2 폴딩 휠과, 접어진 양쪽 접합부의 외측에 핫멜트를 분사 도포하는 제1 및 제2 노즐을 갖춘 피포장물 수납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속상자재 전개부에는 제2 폴딩가이드가 설치되어서, 상기 속상자재의 이동 중에 한쪽 단변접힘부가 하측으로 약간 접혀지게 하여 이후의 피포장물 공급에 트러블이 일어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속상자재 전개부의 제1 버킷컨베이어는, 각각 앞쪽 클리핑돌기가 구비된 외측체인과, 뒤쪽 클리핑돌기가 구비된 내측체인의 2조 1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속상자재 전개부에서 상 하측 전개가이드 사이의 출구 안쪽 높이를, 속상자재의 장변접힘부 높이에 일치하거나 약간 작은 치수로 설정하여 속상자재가 상 하측 전개가이드를 통과하여 나오는 동안에 뒤쪽 장변 접힘부가 간섭에 의해 펼쳐지게 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속상자재 전개부에서 상 하측 전개가이드의 양측에는 이송되는 속상자재의 폭방향 자세를 정정하는 수정가이드와, 수정된 속상자재를 일시 구속하여 바른 자세로 앞 뒤쪽 클리핑돌기에 끼워지게 하는 푸시바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미닫이 상자 포장방식의 일반적인 포장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미닫이 상자 포장방식에 채용되고 있는 속상자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속상자를 재단된 직후의 속상자재 형태로 나타내고 있는 전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미닫이 상자 포장방식의 자동포장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속상자재 낱장 공급부와, 이송컨베이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속상자재가 낱장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속상자재 전개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속상자재 전개부에서 속상자재가 전개되는 과정의 초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속상자재 전개부에서 속상자재의 앞쪽 장변접힘부가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속상자재 전개부에서 속상자재의 뒤쪽 장변접힘부가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속상자재부에서 속상자재의 앞 뒤쪽 장변접힘부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피포장물이 수납된 속상자재의 전후 접힘부가 접합부로 접착되고 겉상자에 미닫이 방식으로 수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는 도 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속상자재 공급부(2)와, 속상자재 이송부(4), 속상자재 전개부(6), 및 피포장물 수납부(8)로 구성되어 있다.
속상자재 공급부(2)는 속상자재(Im)를 낱장으로 인출할 수 있는 상태로 슈트 상에 1열로 정돈하여 공급하는 매거진(21)과, 진공 흡인력으로 속상자재(Im)를 1장씩 인출하여 속상자재 이송부(4)로 인도하는 카톤 피더(22)를 갖추고 있고, 속상자재 이송부(4)는 제1 컨베이어(41)와 제2 컨베이어(42)로 이루어져 있으며, 속상자재 전개부(6)는 상하로 배열되어서 속상자재(Im)에 대하여 경사로를 제공하는 상측 및 하측 전개가이드(61)(62)와, 속상자재(Im)를 낱장으로 반송하는 제1 버킷컨베이어(63)로 구성되어 있고, 피포장물 수납부(8)는 피포장물(P)을 운송하는 제2 버킷컨베이어(81)와, 상기 피포장물을 제2 버킷 컨베이어(81)에서 제1 버킷 컨베이어(63)의 속상자재(Im)로 이동 수납하는 푸싱 컨베이어(82)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카톤피더(22)는 종래부터 공지된 장치로서, 도 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등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픽업(23)을 갖춘 원반(24)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원반(24)이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그 주위로 배열된 다수의 픽업(23)도 역시 화살표방향에 따라 자전하면서 상기 매거진(21)의 말단을 지나게 되고, 이때 흡반을 통한 진공작용으로 상기 매거진(21)의 끝 부분에 놓인 속상자재(Im)를 흡착하여 인출한다.
이렇게 인출된 1장의 속상자재(Im)가 원반(24)의 계속된 회전으로 속상자재 이송부(4)의 상방으로 이송된 때에 진공이 해제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속상자재(Im)는 제1 컨베이어(41)의 상면으로 낙하하여 환승된다.
속상자재 이송부(4)는 도 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이트 컨베이어 형태로 상기 제1 컨베이어(41)의 상방으로 겹쳐지게 배치된 제2 컨베이어(42)와, 그 양측방에 순차 설치된 장변폴더(43)와 제1 폴딩가이드(44)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속상자재(Im)는 최종적으로 제1 컨베이어(41)와 제2 컨베이어(42)에 의해 추진되고, 이때 양측으로 연장된 장변접힘부(Ia)는 장변폴더(43)에 간섭 안내되어 직각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또한, 접혀진 장변접힘부(Ia)는 계속 이동되면서 제1 폴딩가이드(44)에 접촉 간섭되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최종적으로 출구 플랫폼(45)을 통해 다음의 속상자재 전개부(6)로 인도된다.
다시 말하면, 속상자재(Im)는 출구 플랫폼(45)에서 제1 및 제2 컨베이어(41)(42)의 추진력으로 사출되어 속상자재 전개부(6)로 인도된다.
속상자재 전개부(6)에는 도 7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된 상측 전개가이드(61)와 하측 전개가이드(62)의 측방으로 스토퍼(64)가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출구 플랫폼(45)에서 사출되는 속상자재(Im)는 상기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 사이에서 정지하여 인수된다.
상기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는 상기 속상자재(Im)를 반송시키기 위한 제1 버킷컨베이어(63)보다 약간 높게 배치되고, 또한 제1 버킷컨베이어(63)의 양측에는 인수한 속상자재(Im)가 폭방향의 올바른 위치로 놓이도록 안내하는 수정가이드(65)와, 올바른 위치로 수정된 속상자재(Im)가 폭방향으로 다시 위치 이동되는 일이 없도록 구속하는 푸시바(66)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버킷컨베이어(63)는 2조 1쌍의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외측체인 각각에는 소정위치마다 앞쪽 클리핑돌기(67)가 설치되어서, 상기 속상자재(Im)에서 앞에 놓이게 되는 장변접힘부(Ia)를 끼워 고정하게 되고, 또한 각각의 내측체인에는 소정위치마다 뒤쪽 클리핑돌기(68)가 설치되어서, 상기 속상자재(Im)에서 뒤에 놓이게 되는 장변접힘부(Ia)를 끼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버킷컨베이어(63)에서 상기 푸시바(66)의 다음 위치에는 후술하는 피포장물의 수납방향에 제2 폴딩가이드(69)가 설치되어서, 속상자재(Im)의 이동 중에 한쪽 단변접힘부(Ib)는 하측으로 약간 접히면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속상자재(Im)가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로 인수되었을 때 양측의 장변접힘부(Ia)는 대부분 직각에 못미치는 각도로 접혀져 인도된다.
또한, 속상자재(Im)는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 사이로 이송되면, 도 8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버킷컨베이어(63)의 앞 뒤쪽 클리핑돌기(67)(68) 사이로 놓여져서 일시적으로 하측 전개가이드(62)의 경사면을 따라 반송되고, 이때 수정가이드(65)에 안내되는 것에 의해 상기 속상자재(Im)는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 사이에서 폭방향의 위치 조정이 병행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의 출구 안쪽 높이(H)는, 뒤쪽 장변접힘부(Ia)가 최종적으로 통과할 때 간섭을 일으켜 펼쳐지도록, 상기 장변접힘부(Ia)의 높이에 일치하는 치수, 또는 그보다 약간 작게 설정하여 놓고 있다.
이에 따라, 속상자재(Im)는 하측 전개가이드(62)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할 때, 앞쪽 장변접힘부(Ia)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경사지면서 앞쪽 클리핑돌기(67)의 윤곽에 일치하도록 자세 변환되고, 거듭되는 이동의 결과로 상기 앞쪽 장변접힘부(Ia)가 앞쪽 클리핑돌기(67)의 윤곽에 맞춰 자세 변환되면서 끼워져 임시로 고정된다.
상술한 과정에 연속하여 속상자재(Im)의 반송이 계속되면, 이번에는 뒤쪽 장변접힘부(Ia)가, 도 1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 사이의 출구를 빠져나갈 때, 그 출구의 높이(H)로 설정된 상측 전개가이드(61)의 끝 부분에 간섭되면서 세워지게 되고, 이어서 속상자재(Im)가 도 11의 도시와 같이, 경사면을 벗어날 때 뒤쪽 장변접힘부(Ib)가 뒤쪽 클리핑 돌기(68)로 끼워져 임시 고정되면서 제1 버킷컨베이어(63)로 환승 완료됨과 동시에 앞쪽 장변접힘부(Ia)에 형성된 홈형상부로 푸시바(66)가 끼워지면서 속상자재(Im)는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일시 구속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속상자재(Im)가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를 통과한 위치에서, 후술하는 피포장물이 진입하는 방향의 단변 접힘부(Ib)는 제2 폴딩가이드(69)를 통과하게 되어 약간 밑으로 접히게 된다.
상기 제2 폴딩가이드(69)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반드시 필요한 구성부는 아니고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2 폴딩가이드(69)를 통과한 속상자자재(Im)는 제1 버킷컨베이어(63)의 주행에 편승하여 피포장물 수납부(8)를 지나게 되고, 여기에 배치된 제2 버킷컨베이어(81)와 나란히 주행하면서 푸싱컨베이어(82)의 푸싱 바(83)에 떠밀려 공급되는 피포장물(P)을 수용하게 된다.
푸싱컨베이어(82)는 일정위치에서 푸싱 바(83)를 횡방향 이동과 동시에 전진 및 후진작동을 1회 수행하는 것이나, 그 구조는 공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포장물(P)이 수용된 속상자재(Im)는 다음 단계에서 양쪽의 접합부(Ic)가 접어지고 그 위로 단변 접힘부(Ib)를 접합시키는 것에 의해 속상자(I)로 변환된다.
즉, 도 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버킷컨베이어(63)는 피포장물 수납부(8)에서 푸싱컨베이어(82)를 통과하면, 양측에 배열된 제1 폴딩 휠(84)과 만나게 되고, 이들 제1 폴딩 휠(84)의 화살표방향 회전에 의해 뒤쪽 접합부(Ic)가 접혀짐과 동시에, 그 외측으로 제1 노즐(85)에 의한 핫 멜트 분사로 풀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제1 버킷컨베이어(63)의 속상자재(Im)는 제1 폴딩 휠(84)에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폴딩 휠(85)을 통과함에 따라 앞쪽 접합부(Ic)가 접히게 되고, 그 외측으로 제2 노즐(87)에 의한 핫 멜트 분사로 풀칠이 완료되고, 이동을 계속하면서 양쪽의 단변 접힘부(Ib)가 제3 폴딩가이드(88)을 따라 상방으로 접히면서 양 접합부(Ic)에 접착되는 것에 의해 속상자(I)로 접어진다.
이렇게 접어진 속상자(I)는 상기 푸싱컨베이어(82)와 동일한 수단에 의해 같상자(O)의 내부로 밀려져 수납됨에 따라 미닫이 상자의 자동포장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속상자를 펼쳐 제1 버킷컨베이어에 탑재하여 공급하는 인략의존방식을, 재단된 속상자재에서 장 단변접힙부를 접합부에 붙여 속상자로 형성하고 이를 제1 컨베이어로 공급하여 탑재시키는 일련의 조작을 완전 자동화한 것이다.
2: 속상자재 공급부
21: 매거진 22: 카톤피더
23: 픽업 24: 원반
4: 속상자재 이송부
41: 제1 컨베이어 42: 제2 컨베이어
43: 장변폴더 44: 제1 폴딩가이드
45: 출구플랫폼
6: 속상자재 전개부
61: 상측 전개가이드 62: 하측 전개가이드
63: 제1 버킷컨베이어 64: 스토퍼
65: 수정가이드 66: 푸시바
67: 앞쪽 클리핑돌기 68: 뒤쪽 클리핑돌기
69: 제2 폴딩가이드
8: 피포장물 수납부
81: 제2 버킷컨베이어 82: 푸싱컨베이어
83: 푸싱 바 84: 제1 폴딩 휠
85: 제1 노즐 86: 제2 폴딩 휠
87: 제2 노즐 88: 제3 폴딩가이드

Claims (5)

  1. 속상자재(Im)가 1열로 배열되는 슈트를 통해 낱장으로 공급되는 매거진(21)과, 회전하는 원반(24)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픽업(23)이 진공 흡인력으로 상기 매거진(21)에서 속상자재(Im)를 1장씩 인출하여 공급하는 카톤 피더(22)로 이루어진 속상자재 공급부(2);
    상기 픽업(23)을 통해 낱장으로 공급되는 속상자재(Im)를 인수하여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41)와 이 제1 컨베이어(41)의 상방으로 겹쳐지게 배치되는 제2 컨베이어(4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41)의 양측방으로 배치된 장변폴더(43)와 제1 폴딩가이드(44)에 의해 속상자재(Im)의 양측 장변 접힘부(Ia)를 접으면서 출구 플랫폼(45)으로 이동시켜 사출하는 속상자재 이송부(4);
    상기 속상자재(Im)에 대하여 경사로를 제공하도록 상하로 배열된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와 이들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에 연속하여 연장되고, 상기 속상자재(Im)의 앞 뒤쪽 장변 접힘부(Ia)가 끼워져 임시 고정되는 앞 뒤쪽 클리핑돌기(67)(68)를 구비하여 상기 속상자재(Im)를 낱개로 반송하게 되는 제1 버킷컨베이어(63)와, 상기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의 양측으로 배치되어서 이송되는 속상자재(Im)의 폭방향 자세를 정정하는 수정가이드(65)와, 수정된 속상자재(Im)를 일시 구속하여 바른 자세로 앞 뒤쪽 클리핑돌기(67)(68)에 끼워지게 하는 푸시바(66)로 이루어진 속상자재 전개부(6);
    상기 속상자재(Im)의 양쪽 접합부(Ic)를 접어주는 제1 및 제2 폴딩 휠(84)(86)과, 접어진 양쪽 접합부(Ic)의 외측에 핫멜트를 분사 도포하는 제1 및 제2 노즐(85, 87)을 갖춘 피포장물 수납부(8);
    로 구성되어 있는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상자재 전개부(6)에는 상기 푸시바(66)에 연속하는 위치로 제2 폴딩가이드(69)가 설치되어서, 상기 속상자재(Im)의 이동 중에 한쪽 단변접힘부(Ib)가 하측으로 접혀지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상자재 전개부(6)의 제1 버킷컨베이어(63)는, 각각 앞쪽 클리핑돌기(67)가 구비된 외측체인과, 뒤쪽 클리핑돌기(68)가 구비된 내측체인의 2조 1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상자재 전개부(6)에서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 사이의 출구 안쪽 높이(H)를, 속상자재(Im)의 장변접힘부(Ia) 높이에 일치하거나 작은 치수로 설정하여 속상자재(Im)가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를 통과하여 나오는 동안에 뒤쪽 장변 접힘부(Ib)가 간섭에 의해 펼쳐지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상자재 전개부(6)에서 상 하측 전개가이드(61)(62)의 양측으로 배치되어서 이송되는 속상자재(Im)의 폭방향 자세를 정정하는 수정가이드(65)와, 수정된 속상자재(Im)를 일시 구속하여 바른 자세로 앞 뒤쪽 클리핑돌기(67)(68)에 끼워지게 하는 푸시바(66)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KR1020150109091A 2015-07-31 2015-07-31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KR101718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091A KR101718151B1 (ko) 2015-07-31 2015-07-31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091A KR101718151B1 (ko) 2015-07-31 2015-07-31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981A KR20170014981A (ko) 2017-02-08
KR101718151B1 true KR101718151B1 (ko) 2017-03-20

Family

ID=5815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091A KR101718151B1 (ko) 2015-07-31 2015-07-31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074A (ko) 2019-10-23 2021-05-03 임재선 포장박스 내지 접힘장치
KR20230140270A (ko) 2022-03-29 2023-10-06 (주)혜성수출포장산업 접이식 상자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101A (ja) 2002-07-08 2004-02-05 Fuji Photo Film Co Ltd 箱体供給装置および箱詰包装装置
KR101501246B1 (ko) 2013-07-29 2015-03-10 (주)진성 테크템 랩 어라운드 포장기에 적합한 플랩 폴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200B1 (ko) * 2001-09-04 2004-05-10 김학서 물품의 자동 포장장치
KR20090011345U (ko) 2008-05-02 2009-11-05 나철주 미닫이형 포장 상자
KR101209255B1 (ko) * 2010-08-31 2012-12-06 (주)진성 테크템 바타입 물품에 적합한 사이드 공급형 자동 포장방법과 그 카토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101A (ja) 2002-07-08 2004-02-05 Fuji Photo Film Co Ltd 箱体供給装置および箱詰包装装置
KR101501246B1 (ko) 2013-07-29 2015-03-10 (주)진성 테크템 랩 어라운드 포장기에 적합한 플랩 폴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074A (ko) 2019-10-23 2021-05-03 임재선 포장박스 내지 접힘장치
KR20230140270A (ko) 2022-03-29 2023-10-06 (주)혜성수출포장산업 접이식 상자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981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8517B2 (ja) カートンをカートントラックに供給するためのカートン供給装置及び方法
JP4933614B2 (ja) 連続動作梱包システム
JP5878518B2 (ja) 複数のピックアップヘッドを利用することによって複数のカートンをコンベアトラックに同時に供給するためのカートン供給システム及び方法
US4571923A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JP2000501679A (ja) 包装装置
JPH11502802A (ja) 多数個パックの包装装置
KR101501768B1 (ko) 다수의 병 포장물을 일괄포장하는 랩 어라운드 포장기
CN113272228B (zh) 用于将薄膜包装在物品周围的包装机
KR101718151B1 (ko) 미닫이 상자 포장의 자동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속상자 자동 폴딩 공급장치
US74755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acks from at least two partial packs
US6625957B2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hinged-lid packets of cigarettes
JP7101257B2 (ja) カートン給送システムを備える包装機
US2844929A (en) Mechanism for forming and filling cigarette cartons
JP2023072041A (ja) ロボット箱詰め装置
JP2003267328A (ja) 製品包装ラインにシート材料要素を送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230264906A1 (en) Device for feeding carton stacks
KR101501893B1 (ko) 랩 어라운드 포장기에 있어서 상자의 플랩 폴딩장치
JP2017001685A (ja) 箱詰め装置および箱詰め方法
US11969966B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tective element to a packaging
JP2019142539A (ja) 箱詰め装置
TW425366B (en) Carton loading mechanism
JP2002029508A (ja) シート状製品をコンベヤに供給する方法及び繰出し装置
US20200148401A1 (en) Strapping machine for strapping an article with a weldable plastic strap
JP7327812B2 (ja) ラップアラウンドカートナー及び方法
JP5432216B2 (ja) 箱詰機における添付書類の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