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712Y1 - 커튼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커튼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712Y1
KR200322712Y1 KR20-2003-0016509U KR20030016509U KR200322712Y1 KR 200322712 Y1 KR200322712 Y1 KR 200322712Y1 KR 20030016509 U KR20030016509 U KR 20030016509U KR 200322712 Y1 KR200322712 Y1 KR 200322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urtain
main body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원
Original Assignee
(주) 코인씨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인씨앤엠 filed Critical (주) 코인씨앤엠
Priority to KR20-2003-0016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7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44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튼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구성을 가져 고장발생 확률을 감소시키면서도 자중에 의해 커튼천이 임의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튼용 캐리어{Carrier for curtain}
본 고안은, 커튼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가져 고장발생 확률을 감소시키면서도 자중에 의해 커튼천이 임의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커튼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커튼에는 수평방향의 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창과 같은 소정의 영역을 개방 및 차폐하는 것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창을 개폐하는 것이 있다.
전자에 것에는 커튼천을 일체로 제조한 일반 커튼과, 커튼천을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리시킨 후 로프로 연결한 소위 버티컬 블라인드라 하는 것이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것에는 소위, 라인 블라인드, 롤스크린 및 로만쉐이드라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하에서 커튼이라 함은, 커튼천이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총칭하는 것으로 한다.
종래의 커튼은, 천장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창과 같은 소정의 개방영역(이하, "창문"이라 함)을 가리거나 개방하는 커튼천과, 지지부에 마련되어 커튼천을 권취 및 권취해제하는 권취부재와, 권취부재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프를 갖는다.
이에, 사용자가 로프를 일방향으로 당기면, 권취부재가 회전하면서 커튼천이 권취부재에 권취되어 창문을 개방하게 되고, 반대로 로프를 전술한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권취부재에 권취되었던 커튼천이 풀리면서 창문을 가리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커튼에 의하면, 사용자가 로프를 당겨 커튼천을 권취부재에 권취시킨 상태에서 로프에 가했던 힘을 풀 경우, 커튼의 자중에 의해 다시 커튼천이 하방으로 낙하하여 창문을 차폐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권취부재에 별도의 로킹장치를 마련하여 자중에 의해 임의로 커튼천이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려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기는 하나, 개발된 기술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보수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을 가져 고장발생 확률을 감소시키면서도 자중에 의해 커튼천이 임의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에, 간단한 구성을 가져 고장발생 확률을 감소시키면서도 자중에 의해 커튼천이 임의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커튼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튼에 마련된 커튼용 캐리어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권취부에 마련된 더미부의 일방향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지지부 16 : 보스부
18 : 사각링 20 : 제2지지부
30 : 커튼천 40 : 권취드럼
50 : 권취결합구 54 : 제1플랜지부
60 : 로프 70 : 권취부
80 : 본체부 84 : 회전축
90 : 더미부 92 : 요홈
94 : 고정핀 95 : 기어조립체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는,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판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내측에 비원형 단면의 보스공이 형성된 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권취결합구는, 상기 보스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몸체와; 상기 결합구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지지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편 일정 길이구간에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드럼이 끼워지는 한 쌍의 제1플랜지부와; 상기 관통공 내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홈을 포함한다.
상기 권취부는, 측부에 핀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삽입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외측에 요홈이 형성된 더미부와; 상기 본체부의 핀공으로 삽입되고 삽입단부가 상기 더미부의 요홈에 배치되는 고정핀과;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기어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대적으로 단면 지름이 큰 관상체로 된 제1단위부분과; 상기 제1단위부분에 비해 단면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단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제2단위부분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단위부분이 상호 만나는 영역에는 상기 권취결합구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이격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단위부분의 단부 측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내측에 태양기어가 형성된 원통기어부와;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단위부분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제2단위부분의 단부를 통해 노출되어 노출단이 상기 보스부의 보스공에 결합되는 제2축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의 제2축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홈은, 상기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고정핀의 일방향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나선형경로와; 상기 회전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고정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나선형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요홈은 상기 더미부의 외측 판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조각돌기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기어조립체는, 주몸체와, 일측에 상기 태양기어에 치형맞물림되어 상기 태양기어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복수의 유성기어가 마련된 기어몸체와, 상기 기어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몸체를 상기 주몸체에 착탈시키는 후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튼에 마련된 커튼용 캐리어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권취부에 마련된 더미부의 일방향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튼용 캐리어는, 상호 이격배치되어 천장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지지부(10,20)와, 창과 같은 소정의 개방영역(이하, "창문"이라 함)을 가리거나 개방하는 커튼천(30)의 이동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지지부(10,20) 사이에 배치되어 커튼천(30)을 권취 및 권취해제시키는 권취드럼(40)과, 권취드럼(40)과 제1지지부(10) 사이에 배치되어 권취드럼(40)을 회전시키는 한편 커튼천(30)이 낙하하는 방향에 순간적인 반대방향으로의 저항을 가지는 권취부(70)와, 권취부(70)와 제1지지부(10) 사이에 배치되는 권취결합구(50)와, 권취부(7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프(60)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할 때, 제1지지부(10)는, 그 위치에 따라 스크루 등을 통해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12)와, 고정부(12)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14)를 가진다. 연장부(14)의 판면에는 후술할 회전축(84)의 일단이 삽입되는 보스공(16a)을 갖는 보스부(16)가 돌출되어 있다.
보스부(16) 내에 형성된 보스공(16a)은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후술할 회전축(84)의 노출단 역시, 비원형 단면을 가지게 되는데, 회전축(84)의 노출단이 보스공(16a)에 헐겁게 끼워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회전축(84)의 노출단에는 별도의 사각링(18)이 결합된다. 사각링(18)은 유연재질의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제2지지부(20) 역시, 제1지지부(10)와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제1지지부(10)에 대해 천장에 이격배치되어 고정되는데, 제2지지부(2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권취결합구(50)는 보스부(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52a)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몸체(52)와, 결합구몸체(52)의 외주면으로부터 회전축(84) 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편 일정 길이구간에 절취부(54a)가 형성된 한 쌍의 제1플랜지부(54)를 가지고 있다. 제1플랜지부(54)의 외측에는 권취드럼(40)이 끼워진다. 관통공(52a) 내의 외측에는 후술할 본체부(80)에 형성된 한 쌍의 이격돌기(83)가 끼워지는 한 쌍의 돌기홈(5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권취부(70)는, 커튼천(30)이 낙하하는 방향에 순간적인 반대방향으로의 저항을 갖도록 설치된다. 이는 다음의 구조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권취부(70)는, 측부에 핀공(80a)이 형성된 본체부(80)와, 본체부(80) 내에 삽입배치되는 회전축(84)과, 회전축(84)에 삽입되어 본체부(80) 내에 배치되고 외측에 요홈(92)이 형성된 더미부(90)와, 본체부(80)의 핀공(80a)으로 삽입되고 삽입단부가 더미부(90)의 요홈(92)에 배치되는 고정핀과, 본체부(80)의 일단에 결합되는 기어조립체(95)를 포함한다.
본체부(80)는, 통상의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조될 수 있는데, 그 형상은 상대적으로 단면 지름이 큰 관상체로 된 제1단위부분(81)과, 제1단위부분(81)에 비해 단면 지름이 작게 형성된 관상체의 제2단위부분(82)이 상호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된 형태를 취한다. 제1단위부분(81)과 제2단위부분(82)이 상호 만나는 영역에는 권취결합구(50)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홈(52b)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이격돌기(83)가 형성되어 있다.
제1단위부분(81)의 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제2플랜지부(81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연장플랜지부의 판면에는 결합공(81b)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공(81b)으로는 기어조립체(95)에 형성된 후크(96a)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부(80) 내에 마련되는 회전축(84)은 그 위치에 따라, 제1단위부분(81)의 단부 측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통기어부(85)와,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제1단위부분(81)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축부(86)와, 제1축부(86)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고 제2단위부분(82)의 단부를 통해 노출되어 그 노출단이 보스부(16)의 보스공(16a)에 결합되는 제2축부(87)로 이루어져있다.
원통기어부(85)의 내측면에는 기어조립체(95)의 유성기어(97a)가 치형맞물림되는 태양기어(85a)가 형성되어 있다. 만일, 도시된 회전축(84)이 본체부(80) 내에 그대로 삽입된다면, 본체부(80)로부터 쉽게 빠지게 된다. 이에, 권취부(70)의 조립을 위해 회전축(84)을 본체부(80) 내에 삽입시키고 나서는 회전축(84)의 제2축부(87)에 별도의 스토퍼(88)를 장착해서 회전축(84)이 쉽게 본체부(8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스토퍼(88)는 판면에 제2축부(87)가 삽입되는 축공(88a)이 형성된 얇은 판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축부(87)에 삽입된 후에는 그 외주면이 휘어지면서 제2단위부분(82)의 내면에 압입된다. 이에, 회전축(84)이 본체부(8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회전축(84)의 제1축부(86)에는 더미부(90)가 삽입되어 있다. 제1축부(86)의 단면이 비원형상을 가지는 바, 더미부(90)의 형상 역시 비원형으로 제조되어 제1축부(86)에 삽입된다. 이에, 더미부(90)는 회전축(84)에서 임의로 회전하지 않고 회전축(84)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84)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더미부(90)의 외측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의 삽입단부가 배치되어 회전축(84)이 회전할 경우, 고정핀의 삽입단부를 통해 회전궤적을 형성하는 요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요홈(9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에 따라 회전축(84)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고정핀의 일방향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나선형경로(92a)와, 회전축(84)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고정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나선형경로(92b)를 포함한다.
실제로 제품을 제조할 경우 요홈(92)은, 복수의 조각돌기부(93)에 의해 형성된다. 각 조각돌기부(93)는 단부가 첨예되어 상호 나선형으로 배치됨으로써, 고정핀의 삽입단부를 통해 회전궤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기어조립체(95)는, 주몸체(96)와, 후크(96a)에 의해 주몸체(96)에 결합되는 기어몸체(97)를 갖는다. 기어몸체(97)에는 전술한 태양기어(85a)에 치형맞물림되어 태양기어(85a)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복수의 유성기어(97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96a)는 주몸체(96)를 기어몸체(97)에 대해 결합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기어조립체(95)를 본체부(80)에 결합시키는 용도로 활용된다.
이에, 도 2의 각 구성들을 차례로 결합시킨 후, 제1지지부(10)를 천장에 결합시키고, 제1지지부(10)와 이격되게 제2지지부(20)를 천장에 결합시킨다. 그리고는 권취부(70)에 로프(60)를 배치하고, 제1지지부(10)와 제2지지부(20) 사이에 커튼천(30)이 부분적으로 고정되게 권취드럼(40)을 장착한다.
장착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로프(60)를 일방향으로 당기면, 권취부(70)가 회전하면서 권취드럼(40)을 회전시킨다. 이에, 커튼천(30)은, 권취드럼(40)에 권취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창문을 개방하게 된다.
물론, 이 때는 로프(60)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84)이 본체부(80) 내에서 회전하고, 고정핀의 삽입단부가 제1나선형경로(92a)를 따라 움직이는 궤적을 형성한다. 원하는 만큼 창문이 개방되면 일방향으로 로프(6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고정핀의 삽입단부가 상호 나선형으로 되어 있는 복수의 조각돌기부(93)의 일단부에 일시적으로 걸림유지됨으로써, 상측으로 이동하였던 커튼천(30)이 자중에 의해 임의로 낙하하는 것이 저지된다.
반대로, 창문을 차폐하고자 한다면, 로프(60)를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당긴다. 그러면, 권취부(70) 역시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권취드럼(4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어, 권취드럼(40)에 권취되어 있던 커튼천(30)은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커튼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을 가져 고장발생 확률을 감소시키면서도 자중에 의해 커튼천(30)이 임의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을 가져 고장발생 확률을 감소시키면서도 자중에 의해 커튼천이 임의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커튼용 캐리어이 제공된다.

Claims (10)

  1. 상호 이격배치되어 천장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지지부와;
    창문 등의 개방영역을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커튼천의 이동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튼천을 권취 및 권취해제시키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과 상기 제1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권취드럼을 일체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편 상기 커튼천이 낙하하는 방향에 순간적인 반대방향으로의 저항을 가지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와 상기 제1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권취결합구와;
    상기 권취부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프를 포함하는, 커튼용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판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내측에 비원형 단면의 보스공이 형성된 보스부를 포함하는, 커튼용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결합구는, 상기 보스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몸체와; 상기 결합구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지지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편 일정 길이구간에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드럼이 끼워지는 한 쌍의 제1플랜지부와; 상기 관통공 내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홈을 포함하는, 커튼용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측부에 핀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삽입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외측에 요홈이 형성된 더미부와; 상기 본체부의 핀공으로 삽입되고 삽입단부가 상기 더미부의 요홈에 배치되는 고정핀과;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커튼용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대적으로 단면 지름이 큰 관상체로 된 제1단위부분과; 상기 제1단위부분에 비해 단면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단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제2단위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단위부분이 상호 만나는 영역에는 상기 권취결합구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이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용 캐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단위부분의 단부 측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내측에 태양기어가 형성된 원통기어부와;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단위부분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제2단위부분의 단부를 통해 노출되어 노출단이 상기 보스부의 보스공에 결합되는 제2축부를 포함하는, 커튼용 캐리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제2축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커튼용 캐리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고정핀의 일방향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나선형경로와; 상기 회전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고정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나선형경로를 포함하는, 커튼용 캐리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더미부의 외측 판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조각돌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용 캐리어.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조립체는, 주몸체와, 일측에 상기 태양기어에 치형맞물림되어 상기 태양기어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복수의 유성기어가 마련된 기어몸체와, 상기 기어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몸체를 상기 주몸체에 착탈시키는 후크를 포함하는, 커튼용 캐리어.
KR20-2003-0016509U 2003-05-27 2003-05-27 커튼용 캐리어 KR200322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509U KR200322712Y1 (ko) 2003-05-27 2003-05-27 커튼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509U KR200322712Y1 (ko) 2003-05-27 2003-05-27 커튼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712Y1 true KR200322712Y1 (ko) 2003-08-14

Family

ID=4941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509U KR200322712Y1 (ko) 2003-05-27 2003-05-27 커튼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7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9217B1 (en)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AU2005203064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US7523777B2 (en) Roman shade
JP2008260518A (ja) ヒンジ式引張り棒および矩形支持棒付の側面窓ローラブラインド
KR100669485B1 (ko) 롤블라인드
JP6505783B2 (ja) 日射遮蔽装置、ボトムレールの下限位置調整装置
JP5324852B2 (ja) ブラインド
KR101131850B1 (ko) 롤 블라인드
KR200322712Y1 (ko) 커튼용 캐리어
EP3478921B1 (en) Pull cord arrangement
KR200449680Y1 (ko) 롤 스크린의 스크린 회동장치
JP4994778B2 (ja) 日射遮蔽部材用減速装置
KR200143468Y1 (ko) 롤 스크린 장치
JP5675414B2 (ja) 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
JP3178123U (ja) 日射遮蔽装置
JP2020525673A (ja) 巻き上げブラインド用巻き取り装置
JP7002250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200355858Y1 (ko) 권취식 방충망의 방충망체 권취구조
KR200322852Y1 (ko)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KR200346715Y1 (ko) 롤 블라인드의 종동 브래킷 어셈블리
KR200254701Y1 (ko)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KR102114065B1 (ko)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JP3913891B2 (ja) 旋回シャッター羽根開口部装置
JP680475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KR20190001312A (ko) 롤 블라인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