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852Y1 -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 Google Patents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852Y1
KR200322852Y1 KR20-2003-0014868U KR20030014868U KR200322852Y1 KR 200322852 Y1 KR200322852 Y1 KR 200322852Y1 KR 20030014868 U KR20030014868 U KR 20030014868U KR 200322852 Y1 KR200322852 Y1 KR 200322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lutch spring
gear
plate surface
wind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렬
Original Assignee
김창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렬 filed Critical 김창렬
Priority to KR20-2003-0014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8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852Y1/ko
Priority to US10/556,661 priority patent/US7523777B2/en
Priority to PCT/KR2003/002832 priority patent/WO2004101942A1/en
Priority to AU2003285801A priority patent/AU2003285801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커튼천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비원형의 권취바아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권취바아가 배치되는 관상의 보스부를 갖는 브래킷본체와; 상기 보스부의 외측에 결합되고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단부에 의해 작은둘레구간과 큰둘레구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각 돌출단부 중 어느 하나를 작은둘레구간에서 큰둘레구간 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회전이 구속되고 큰둘레구간에서 작은둘레구간 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풀림현상이 발생하여 회전되는 클러치스프링과; 상기 클러치스프링을 통해 상기 보스부에 배치되는 원반형상의 기어몸체와, 상기 기어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체인이 감겨지는 체인권취부와, 상기 기어몸체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큰둘레구간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작동부를 갖는 체인용 회전기어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권취바아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작은둘레구간에 배치되는 회전저지편을 갖는 권취바아용 기어부재와; 상기 클러치스프링, 상기 체인용 회전기어 및 상기 권취바아용 기어부재가 상기 브래킷본체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체인을 당겨 커튼천을 상측으로 위치이동시키더라도 커튼천의 자중에 의해 커튼천이 다시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Operating bracket for Roman-Shade}
본 고안은,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인을 당겨 커튼천을 상측으로 위치이동시키더라도 커튼천의 자중에 의해 커튼천이 다시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0179141호에 보면 로만쉐이드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개시된 로만쉐이드에는 커튼천을 상하로 동작시키기 위한 상하작동브래킷이 마련되어 있고, 상하작동브래킷에는 체인이 권취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가 체인의 어느 일측을 잡아당김으로써 커튼천을 상하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그러나, 공지된 기술에 의하면, 체인을 이용하여 커튼천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멈추게 되면 커튼천의 자중에 의해 아래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개시된 기술에서는 커튼천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브래킷에 부착된 고리에 체인을 끼워 고정시키고 있으나, 이 과정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커튼천을 올리고 나서는 일일이 고리에 체인을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로만쉐이드용 상하작동브래킷을 출원한 바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번호 제267467호로써 실용신안등록된 것에 의하면 체인을 당겨 커튼천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체인을 당겼던 힘을 풀더라도 자중에 의해 커튼천이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이 저지된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이에 더하여, 커튼천이 임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원하는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작동브래킷의 구조를 좀 더 개선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체인을 당겨 커튼천을 상측으로 위치이동시키더라도 커튼천의 자중에 의해 커튼천이 다시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로만쉐이드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클러치스프링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커튼천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체인을 당기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커튼천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이 저지되도록 권취바아용 기어부재가 클러치스프링에 대해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부 20 : 커튼천
30 : 작동브래킷 40 : 권취바아
50 : 브래킷본체 60 : 클러치스프링
70 : 체인용 회전기어 80 : 권취바아용 기어부재
90 : 커버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커튼천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비원형의 권취바아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권취바아가 배치되는 관상의 보스부를 갖는 브래킷본체와; 상기 보스부의 외측에 결합되고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단부에 의해 작은둘레구간과 큰둘레구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각 돌출단부 중 어느 하나를 작은둘레구간에서 큰둘레구간 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회전이 구속되고 큰둘레구간에서 작은둘레구간 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풀림현상이 발생하여 회전되는 클러치스프링과; 상기 클러치스프링을 통해 상기 보스부에 배치되는 원반형상의 기어몸체와, 상기 기어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체인이 감겨지는 체인권취부와, 상기 기어몸체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큰둘레구간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작동부를 갖는 체인용 회전기어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권취바아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작은둘레구간에 배치되는 회전저지편을 갖는 권취바아용 기어부재와; 상기 클러치스프링, 상기 체인용 회전기어 및 상기 권취바아용 기어부재가 상기 브래킷본체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판면에 인접한 상기 보스부에는 상기 클러치스프링을 상기 몸체부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지지부의 판면에는, 상기 보스부의 외측을 감싸지지하여 상기 클러치스프링이 상기 권취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1원형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를 향한 상기 스프링작동부의 노출면에 형성된 그루브와, 상기 지지부의 판면에 형성되어 상기 그루브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원형리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원형리브는 상기 제1원형리브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로만쉐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는 커튼 중에서도 하단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상측으로 말아 올라가는 로만쉐이드가 실시예로써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로만쉐이드는, 천장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로만쉐이드용 커튼천(20)과, 고정부(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커튼천(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동브래킷(30)을 갖는다.
물론, 로만쉐이드용 커튼천(20)은, 커튼천(20)이 직접 후술할 권취바아(40)에 권취 및 권취해제되지는 않으며, 별도의 로프(22)에 의해 커튼천(20)의 하부 일영역으로부터 단계적으로 말려 올라가는 구조를 취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커튼천(20)이 권취바아(40)에 권취 및 권취해제된다고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30)은, 권취바아(40), 브래킷본체(50), 클러치스프링(60), 체인용 회전기어(70),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 및 커버(90)가 도 3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에 이르도록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커튼천(20)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권취바아(40)는,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므로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에 의해 권취바아(40)가 헛도는 것이 저지된다. 본 고안에서는 권취바아(40)를 십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브래킷본체(50)는, 사각판상의 몸체부(51)와, 몸체부(51)의 판면 중앙영역으로부터 커버(90)를 향해 돌출된 보스부(52)를 갖는다. 보스부(52)는 관상체로 형성되며, 그 내측에 형성된 보스공(52a)으로는 권취바아(40)가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몸체부(51)의 판면에 인접한 보스부(52)에는 클러치스프링(60)을 몸체부(51)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리브(52b)가 형성되어 있다. 이격리브(52b)의 길이는 클러치스프링(6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이격리브(52b)와 후술할 지지부(81)의 제1원형리브(81a)로 인해 클러치스프링(60)은 보스부(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지 않게 된다.
클러치스프링(6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60a)가 복수회 감긴 상태에서 한 쌍의 돌출단부(60a,60b)가 상호 다른 각도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러치스프링(60)은 그 중심부(60a)가 보스부(52)의 외측으로 끼워져 보스부(52)에 형성된 이격리브(52b)에 안착된다.
클러치스프링(60)은 한 쌍의 돌출단부(60a,60b)를 중심으로 큰둘레구간(L)과 작은둘레구간(S)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돌출단부(60a,60b) 중 어느 하나를 작은둘레구간(S)에서 큰둘레구간(L) 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클러치스프링(60)에 조임현상이 발생하여 보스부(52)의 외측에서 클러치스프링(60)은 회전이 구속된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각 돌출단부(60a,60b) 중 어느 하나를 큰둘레구간(L)에서 작은둘레구간(S) 측으로 회전시킨다면 풀림현상이 발생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체인용 회전기어(70)는, 내부가 빈 원반형상의 기어몸체(71)와, 기어몸체(71)의 외측에 형성되어 체인(25)이 감겨지는 체인권취부(72)와, 기어몸체(71)의 내측에 상호 이격배치되어 클러치스프링(60)을 작동시키는 한 쌍의 스프링작동부(73)를 갖는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기술에서는, 체인권취부(72)에 해당하는 영역이 몸체부(51)의 판면에 접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경우, 체인(25)의 일측은 몸체부(51)의 판면에 직접 접촉하면서 구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처럼 체인(25)이 몸체부(51)의 판면에 접촉하면서 구동하게 되면 체인(25)을 잡아당길 경우, 체인(25)과 몸체부(51)의 판면과의 마찰에 의해 비교적 시끄러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이를 저지하기 위해, 체인(25)권취부가 커버(90) 측을 향하도록 체인(25)용 회전기어의 방향을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체인(25)권취부는 체인(25)의 각 볼이 하나씩 끼워 들어갈 수 있도록 체인(25)과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작동부(73)는 체인(25)을 당겨 체인용 회전기어(7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클러치스프링(60)이 보스부(52)의 외측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스프링작동부(73)는 기어몸체(71)의 내측에 형성되어 클러치스프링(60)의 큰둘레구간(L)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체인(25)을 잡아당기면, 스프링작동부(73)가 클러치스프링(60)의 돌출단부(60a,60b) 중 어느 하나를 큰둘레구간(L)에서 작은둘레구간(S) 측으로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클러치스프링(60)이 보스부(52)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커버(90)를 향한 스프링작동부(73)의 노출면에는 그루브(7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73a)에는 후술할 제2원형리브(81b)가 끼워진다.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는, 원판형상의 지지부(81)와, 지지부(8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권취바아(40)에 결합되는 결합부(82)와, 지지부(81)의 판면으로부터 결합부(82)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클러치스프링(60)의 작은둘레구간(S)에 배치되는 회전저지편(83)을 갖는다.
지지부(81)는 이격리브(52b)와 함께 클러치스프링(60)이 권취바아(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81)의 판면에는 제1원형리브(81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원형리브(81a)는, 돌출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지지부(81)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어 보스부(52)의 외측을 감싸지지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클러치스프링(60)은, 이격리브(52b)와 제1원형리브(81a) 사이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원형리브(81a)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제1원형리브(81a)의 직경에 비해 큰 제2원형리브(81b)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제2원형리브(81b)는 스프링작동부(73)의 노출면에 형성된 그루브(73a)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이처럼 그루브(73a)와 제2원형리브(81b)로 인해 체인용 회전기어(70)를 회전시키더라도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한편, 클러치스프링(60)의 작은둘레구간(S)에 배치되는 회전저지편(83)은 한 개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한 쌍으로 형성하여 하나는 클러치스프링(60)의 작은둘레구간(S)에 배치하고 나머지 하나는 큰둘레구간(L)에 배치하고 있다.
만일, 커튼천(20)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움직이려고 한다면, 커튼천(20)이 권취바아(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커튼천(20)의 자중에 의해 권취바아(40)가 회전하면 권취바아(40)에 결합된 결합부(82)를 통해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럴 경우, 클러치스프링(60)의 작은둘레구간(S)에 배치된 회전저지편(83)은 클러치스프링(60)의 양 돌출단부(60a,60b) 중 어는 하나를작은둘레구간(S)에서 큰둘레구간(L)으로 밀게 된다.
그러나, 이처럼 어느 하나의 돌출단부를 작은둘레구간(S)에서 큰둘레구간(L)으로 회전시키면 클러치스프링(60)의 중심부(60a)에서 조임현상이 발생되는 바, 클러치스프링(60)은 보스부(52)의 외측에서 회전할 수 없다. 결국, 클러치스프링(60)이 회전할 수 없으므로 커튼천(20)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자연스럽게 낙하하는 것은 저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의 외측에는 커버(90)가 결합된다. 커버(90)는, 클러치스프링(60), 체인용 회전기어(70) 및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가 브래킷본체(5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브래킷본체(5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브래킷본체(50)와 커버(90) 사이에는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결합보스(90a,90b)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결합보스(90a,90b)들이 상호 접한 상태에서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커버(90)를 브래킷본체(5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은, 위의 구성을 갖는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30)을 이용하여 커튼천(20)을 상하로 내리거나 혹은, 커튼천(20)이 자중에 의해 자연스레 낙하하는 것이 저지되는 것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와 도 1을 참조할 때, 체인(25)의 일측을 당기면, 체인(25)이 형상맞춤되게 끼워진 체인권취부(72)가 회전하면서 체인용 회전기어(70)를 도 5a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체인용 회전기어(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체인용 회전기어(70)에형성된 왼편의 스프링작동부(73)가 클러치스프링(60)의 돌출단부(60b)를 역시 시계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때, 스프링작동부(73)는 클러치스프링(60)의 큰둘레구간(L)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작동부(73)에 의해 클러치스프링(60)의 돌출단부(60b)는 큰둘레구간(L)에서 작은둘레구간(S) 측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클러치스프링(60)의 중심부(60a)에서는 풀림현상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클러치스프링(60)은 보스부(52)의 외측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의 회전저지편(83)을 밀어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를 회전시킨다.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가 회전함으로써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에 결합된 권취바아(40)는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로프(22)가 감기면서 도 1의 커튼천(20)은 예를 들어, 하측으로 내려갈 수 있다.
반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25)의 타측을 당기면, 체인용 회전기어(70)에 형성된 오른편의 스프링작동부(73)가 클러치스프링(60)의 돌출단부(60c)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때, 역시, 돌출단부(60c)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클러치스프링(60)의 큰둘레구간(L)에서 작은둘레구간(S)의 방향이 되므로 클러치스프링(60)의 중심부(60a)에는 풀림현상이 발생하다.
이에 따라 클러치스프링(60)은 보스부(52)의 외측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를 회전시키게 되고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가 권취바아(40)를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1의 커튼천(20)은 상측으로 올라갈 수 있다.
한편, 이처럼 커튼천(20)을 상측으로 올렸을 경우, 체인(25)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더라도 커튼천(20)은 그 위치에서 고정되어야만 한다. 즉, 커튼천(20)의 자중에 의해 커튼천(20)이 임의로 하측으로 내려와서는 않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위의 작동에 의해 커튼천(20)이 상측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체인(25)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커튼천(20)의 자중에 의해 권취바아(40)가 커튼천(20)을 권취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권취바아(40)가 회전하면 권취바아(40)에 결합된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어 권취바아용 기어부재(80)에 형성된 회전저지편(83) 역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회전저지편(83)은 체인용 회전기어(70)에 형성된 오른편의 돌출단부(60c)를 가압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회전저지편(83)이 작은둘레구간(S) 내에서 큰둘레구간(L) 측으로 돌출단부(60c)를 가압하게 되면, 클러치스프링(60)의 중심부(60a)에는 조임현상이 발생하여 보스부(52)의 외면에 고정됨으로써, 클러치스프링(60)은 보스부(52)의 외면에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커튼천(20)의 자중에 의해 커튼천(20)이 아래로 낙하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는, 방향성에 무관하게 도 6b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경우이므로 도 6b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체인(25)을 당겨 커튼천(20)을 상측으로 위치이동시키더라도 커튼천(20)의 자중에 의해 커튼천(20)이 다시 아래로 흘러내리는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체인을 당겨 커튼천을 상측으로 위치이동시키더라도 커튼천의 자중에 의해 커튼천이 다시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이 제공된다.

Claims (5)

  1. 커튼천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비원형의 권취바아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권취바아가 배치되는 관상의 보스부를 갖는 브래킷본체와;
    상기 보스부의 외측에 결합되고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단부에 의해 작은둘레구간과 큰둘레구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각 돌출단부 중 어느 하나를 작은둘레구간에서 큰둘레구간 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회전이 구속되고 큰둘레구간에서 작은둘레구간 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풀림현상이 발생하여 회전되는 클러치스프링과;
    상기 클러치스프링을 통해 상기 보스부에 배치되는 원반형상의 기어몸체와, 상기 기어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체인이 감겨지는 체인권취부와, 상기 기어몸체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큰둘레구간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작동부를 갖는 체인용 회전기어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권취바아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작은둘레구간에 배치되는 회전저지편을 갖는 권취바아용 기어부재와;
    상기 클러치스프링, 상기 체인용 회전기어 및 상기 권취바아용 기어부재가 상기 브래킷본체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판면에 인접한 상기 보스부에는 상기 클러치스프링을 상기 몸체부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이격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판면에는, 상기 보스부의 외측을 감싸지지하여 상기 클러치스프링이 상기 권취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1원형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향한 상기 스프링작동부의 노출면에 형성된 그루브와, 상기 지지부의 판면에 형성되어 상기 그루브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원형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형리브는 상기 제1원형리브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KR20-2003-0014868U 2003-05-14 2003-05-14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KR200322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868U KR200322852Y1 (ko) 2003-05-14 2003-05-14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US10/556,661 US7523777B2 (en) 2003-05-14 2003-12-24 Roman shade
PCT/KR2003/002832 WO2004101942A1 (en) 2003-05-14 2003-12-24 Roman shade
AU2003285801A AU2003285801A1 (en) 2003-05-14 2003-12-24 Roman sh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868U KR200322852Y1 (ko) 2003-05-14 2003-05-14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852Y1 true KR200322852Y1 (ko) 2003-08-14

Family

ID=4941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868U KR200322852Y1 (ko) 2003-05-14 2003-05-14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8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11Y1 (ko) 2013-03-14 2014-10-30 이-친 타오 커튼 구동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11Y1 (ko) 2013-03-14 2014-10-30 이-친 타오 커튼 구동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646B2 (en) Cord seat assembly
EP3039217B1 (en)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US5908062A (en) Lifting track of curtain
US7523777B2 (en) Roman shade
US6918424B2 (en) Cord winding device for a blind
US20040134627A1 (en) Window blind having an operating device for concealed pull ropes thereof
KR20170105568A (ko) 윈도우 쉐이드 및 그 제어 시스템
US20070084570A1 (en) Lift device of a blind
US7096918B2 (en) Winding device for a window blind
US9045934B1 (en) Devices and systems for accumulat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US8366033B2 (en) Cord winding device for window covering
KR200322852Y1 (ko)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KR200427481Y1 (ko) 롤브라인드의 권취장치
KR20100003093U (ko) 롤 스크린의 스크린 회동장치
KR101059416B1 (ko)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JP2011006928A (ja) ボールチェーン及び横型ブラインドのコード
KR200463388Y1 (ko) 시공이 용이한 롤스크린
JP6231371B2 (ja) 日射遮蔽装置
JP2009079372A (ja) ブラインド
JPH0510151Y2 (ko)
JPH0678595U (ja) ブラインド操作装置
JPH052146Y2 (ko)
KR19990017649U (ko) 깃대
JPH05321549A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200485530Y1 (ko) 전동식 망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