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416B1 -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416B1
KR101059416B1 KR1020110046226A KR20110046226A KR101059416B1 KR 101059416 B1 KR101059416 B1 KR 101059416B1 KR 1020110046226 A KR1020110046226 A KR 1020110046226A KR 20110046226 A KR20110046226 A KR 20110046226A KR 101059416 B1 KR101059416 B1 KR 101059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spring
rotating body
base fram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수
김상곤
김재준
박판성
어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쉐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쉐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쉐이드
Priority to KR102011004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누름스위치 조작을 통해 블라인드의 승강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블라인드의 승강 조절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라인드 원단(100) 하부에 구비되는 승강 구동장치에 있어서, 블라인드 원단(100)의 승강 조절을 위해 블라인드 원단(100)을 관통하여 아래로 연장된 조절끈(S,S')이 안내되어지도록 양측에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안내홈(12)이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고정돌기(11)가 일체로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고정돌기(11)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면에는 스프링 수용홈(21)이 형성되고, 측벽면에는 조절끈(S)이 감겨지는 권취홈(22)이 형성된 회동체(20)와; 상기 회동체(20)의 스프링 수용홈(21)에 안착 구성되어 회동체(20)에 회전력을 가하는 태엽 스프링(30)과; 상기 회동체(2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선단부가 회동체(20)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중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0)에 돌출 구비된 힌지돌부(13)에 의해 지지되며, 후단부는 탄성스프링(41)에 의해 지지되는 작동레버(40)와; 상기 작동레버(30)의 선단부가 회동체(20)와 접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10) 전면에 구비되는 누름스위치(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BLIND UP-DOWN OPERATING DEVICE}
본 발명은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지나 페이퍼 또는 부직포 등의 원단을 통 채로 또는 일정한 폭으로 지그재그로 접어 하나의 연속된 원단부를 형성한 후 상판과 하판을 부착하여 제조된 블라인드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얇고 좁은 띠 형태의 금속판이나 나무판 또는 플라스틱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엮어 늘어뜨려 커튼 대신 빛이나 시선을 차단하고 방음과 방서, 방한 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외에 인테리어 기능도 발휘하는 것으로서, 창의 상부에 위치한 커튼 박스에 매단 후 판의 경사를 조절하는 끈을 이용해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광선의 각도에 따라 판의 경사를 조절하고 전체를 올리고 내리는 조절끈을 이용해 블라인드 전체를 걷어 올리거나 내려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나무판 등을 재료로 사용한 블라인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띠 형태의 다수 개의 블라인드 편으로 구현되는 것이어서, 그 무게가 무겁고 또 블라인드 편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되게 되어 시선 차단, 빛 차단의 기능은 발휘할 수 있다 하더라도 방음 방한 방서의 기능이 극히 저조하였으며, 또 블라인드 단위편이 딱딱한 재질이기 때문에 그 취급 및 유지관리가 불편함과 아울러 파손율도 높은 문제점이 있었고, 또 블라인드편들이 서로 간에 부딪힘으로 인하여 많은 소음이 발생하는 폐단도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블라인드의 재료로 나무판과 같은 딱딱한 재료 대신 천과 같은 직물지나 페이퍼 또는 부직포 등의 원단을 통 채로 또는 일정한 폭으로 지그재그로 접어 하나의 연속된 원단부를 형성한 후 상판과 하판을 부착하여 블라인드를 제조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블라인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블라인드의 한 쪽 단부에 조절끈을 관통시킨 후 일일이 손으로 조절끈을 감으면서 블라인드를 올리거나 조절끈을 풀면서 블라인드를 내려야만 했으므로 몸이 불편한 사람이나 유년층 또는 노년층에 많은 불편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일일이 손으로 조절끈을 감거나 풀지 않고 보다 간편하게 블라인드의 승강 조절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블라인드 원단 하부에 구비되는 승강 구동장치에 있어서, 블라인드 원단의 승강 조절을 위해 블라인드 원단을 관통하여 아래로 연장된 조절끈이 안내되어지도록 양측에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안내홈이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고정돌기가 일체로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면에는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고, 측벽면에는 조절끈이 감겨지는 권취홈이 형성된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스프링 수용홈에 안착 구성되어 회동체에 회전력을 가하는 태엽 스프링과; 상기 회동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선단부가 회동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중단부는 베이스 프레임에 돌출 구비된 힌지돌부에 의해 지지되며, 후단부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선단부가 회동체와 접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 전면에 구비되는 누름스위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에 구비된 누름스위치 조작을 통해 블라인드의 승강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블라인드의 승강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좌우양측 조절끈이 각각 별도로 권취되어짐으로서 작동 과정에서 끈이 엉키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승강 구동장치가 장착된 블라인드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 구동장치의 부품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 구동장치의 회동체 및 커버체의 분리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회동체 평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회동체 측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 구동장치의 회동체 및 커버체 결합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 구동장치의 회동체 및 커버체 결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커버체와 베이스프레임 분리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구동장치의 정면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구동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 구동장치의 스위치 누름동작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 구동장치의 스위치 원위치상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는 공지된 블라인드 원단(100)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블라인드 원단(100)의 승강 조절을 위해 블라인드 원단(100)을 관통하여 아래로 연장된 조절끈(S,S')이 안내되어지도록 양측에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안내홈(12)이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고정돌기(11)가 일체로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고정돌기(11)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면에는 스프링 수용홈(21)이 형성되고, 측벽면에는 조절끈(S)이 감겨지는 권취홈(22)이 형성된 회동체(20)와, 상기 회동체(20)의 스프링 수용홈(21)에 안착 구성되어 회동체(20)에 회전력을 가하는 태엽 스프링(30)과, 상기 회동체(2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선단부가 회동체(20)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중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0)에 돌출 구비된 힌지돌부(13)에 의해 지지되며, 후단부는 탄성스프링(41)에 의해 지지되는 작동레버(40)와, 상기 작동레버(30)의 선단부가 회동체(20)와 접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10) 전면에 구비되는 누름스위치(50)와, 회동체(20)의 외측에는 2개가 쌍을 이루어 조립되는 커버체(60)로 이루어진다.
그중, 베이스 프레임(10)에는 탄성스프링(41)이 지지되어지는 스프링지지홈(14)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회동체(20)에는 좌,우 양측에서 안내되는 조절끈(S,S')이 상호 격리되어 감겨질 수 있도록 격벽(23)이 구비됨으로서 권취홈(22)이 상부와 하부 2개소에 각각 형성되었으며, 스프링 수용홈(21)에는 태엽 스프링(30)의 외측 단부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31)이 형성되었다.
이와 함께, 베이스 프레임(10)의 고정돌기(11)에는 태엽 스프링(30)의 내측 단부가 끼워지는 제2끼움홈(32)이 형성되었다.
한편, 회동체(20)의 외측에는 2개가 쌍을 이루어 조립되는 커버체(60)가 회동체(20)를 둘러싸는 형태로 고정 구성되되, 커버체(60) 양측에는 좌우 조절끈(S,S')이 안내되어지도록 안내통공(61,62)이 형성되었으며, 커버체(60) 외벽면에는 다수의 지지홈(6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었으며, 이와 대응되는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커버체(60)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판(15)이 돌출 구비된다.
상기 2개가 쌍을 이루는 커버체(60)는 상호간 조립을 위한 끼움돌기 및 끼움홈이 상호 대향면에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회동체(20)의 상부와 하부에는 톱니부(24)가 형성되었으며, 이와 대응되는 작동레버(40)의 선단부 역시 톱니부(44)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치합 되어질 수 있는 구조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 상부에는 내부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프레임(미도시)이 결합되어지며, 이러한 커버프레임 양측에는 조절끈(S,S')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통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6은 누름스위치(50)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스위치지지홈이며, 17은 커버프레임과의 조립을 위한 커버프레임 체결구이고, 25는 고정돌기(11)에 끼워지는 통공이며, 45는 힌지돌부(13)에 끼워지는 통공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승강 구동장치는 블라인드 원단(100)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좌,우 조절끈(S,S')이 안내홈(12)을 따라 안내되어진 후 회동체(20)에 형성된 2개의 권취홈(22)에 개별적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승강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평상시에는 탄성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레버(40)의 선단부에 형성된 톱니부(44)가 회동체(20)의 톱니부(24)와 치합된 상태를 이룸으로서 회동체(20)의 회동이 방지되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블라인드를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누름스위치(50)를 누르게 되면 도 12에서와 같이 누름스위치(50)가 작동레버(40)의 선단부를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레버(40)와 회동체(20)의 톱니부(24,44)가 이격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누름스위치(50)를 계속 눌러주고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을 아래로 잡아당기게 되면, 회동체(20)가 일방향으로 서서히 회동되어지도록 내부에서 태엽 스프링(30)이 풀림과 동시에 회동체(20)에 감겨져 있던 양측 조절끈(S,S')이 풀려짐으로서 블라인드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블라인드 원단(100)이 펼쳐짐으로서 블라인드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사용자는 누름스위치(50)에서 손을 떼어줌으로서 블라인드의 하강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즉, 누름스위치(5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도 13에서와 같이 작동레버(40)는 탄성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돌부(13)를 축으로 하여 원위치로 회동되어짐으로서 톱니부(24,44)간 치합상태가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회동체(20)의 회동이 방지되어짐과 함께 태엽 스프링(30)은 현재의 풀림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한편, 블라인드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누름스위치(50)를 눌러주기만 하면 작동레버(40)와 회동체(20)의 톱니부(24,44)가 이격되어지게 되고 따라서 그때까지 풀려있던 테엽스프링(30)은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복원력 때문에 강하게 말려들어서 회동체(20)를 감김방향으로 회동시켜 양측의 조절끈(S,S')에 감김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끈(S,S')에 감김력이 작용함으로서 블라인드는 자동적으로 상승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원하는 높이로 블라인드의 상승이 이루어지면 누름스위치(50)의 가압력을 해제함으로서 블라인드의 현재 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누름스위치(50)의 누름 조작만으로 쉽고 용이하게 블라인드의 승강 조절을 실시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10 : 베이스 프레임 11 : 고정돌기
12 : 안내홈 13 : 힌지돌부
14 : 스프링 지지홈 15 : 지지판
16 : 스위치지지홈 17 : 커버프레임 결합구
20 : 회동체 21 : 스프링 수용홈
22 : 권취홈 23 : 격벽
24,44 : 톱니부 25,45 : 통공
30 : 태엽 스프링 31 : 제1끼움홈
32 : 제2끼움홈 40 : 작동레버
41 : 탄성스프링 50 : 누름스위치
60 : 커버체 61,62 : 안내통공
63 : 지지홈
100 : 블라인드 원단 S,S': 조절끈

Claims (6)

  1. 블라인드 원단(100) 하부에 구비되는 승강 구동장치에 있어서,
    블라인드 원단(100)의 승강 조절을 위해 블라인드 원단(100)을 관통하여 아래로 연장된 조절끈(S,S')이 안내되어지도록 양측에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안내홈(12)이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고정돌기(11)가 일체로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고정돌기(11)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면에는 스프링 수용홈(21)이 형성되고, 측벽면에는 조절끈(S)이 감겨지는 권취홈(22)이 형성된 회동체(20)와;
    상기 회동체(20)의 스프링 수용홈(21)에 안착 구성되어 회동체(20)에 회전력을 가하는 태엽 스프링(30)과;
    상기 회동체(2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선단부가 회동체(20)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중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0)에 돌출 구비된 힌지돌부(13)에 의해 지지되며, 후단부는 탄성스프링(41)에 의해 지지되는 작동레버(40)와;
    상기 작동레버(30)의 선단부가 회동체(20)와 접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10) 전면에 구비되는 누름스위치(50);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20)는 좌,우 양측에서 안내되는 조절끈(S,S')이 상호 격리되어 감겨질 수 있도록 격벽(23)이 구비됨으로서 권취홈(22)이 상부와 하부 2개소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는 탄성스프링(41)이 지지되어지는 스프링지지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용홈(21)에는 태엽 스프링(30)의 외측 단부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31)이 형성되고, 고정돌기(11)에는 태엽 스프링(30)의 내측 단부가 끼워지는 제2끼움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20)의 외측에는 2개가 쌍을 이루어 조립되는 커버체(60)가 회동체(20)를 둘러싸는 형태로 고정 구성되되, 상기 커버체(60) 양측에는 좌우 조절끈(S,S')이 안내되어지도록 안내통공(61,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60) 외벽면에는 다수의 지지홈(6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었으며, 이와 대응되는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커버체(60)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판(15)이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KR1020110046226A 2011-05-17 2011-05-17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KR101059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226A KR101059416B1 (ko) 2011-05-17 2011-05-17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226A KR101059416B1 (ko) 2011-05-17 2011-05-17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416B1 true KR101059416B1 (ko) 2011-08-29

Family

ID=44933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226A KR101059416B1 (ko) 2011-05-17 2011-05-17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4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526B1 (ko) * 2018-12-03 2019-10-14 곽재석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
KR20210039123A (ko) * 2019-10-01 2021-04-09 케이에스에스 주식회사 레벨 조절 장치가 구비되는 셀프 블라인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453A (ja) 2003-06-02 2004-12-24 Springs Window Fashions Lp リフト機構を有する窓覆い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453A (ja) 2003-06-02 2004-12-24 Springs Window Fashions Lp リフト機構を有する窓覆いアセンブリ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526B1 (ko) * 2018-12-03 2019-10-14 곽재석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
KR20210039123A (ko) * 2019-10-01 2021-04-09 케이에스에스 주식회사 레벨 조절 장치가 구비되는 셀프 블라인드
KR102338578B1 (ko) * 2019-10-01 2021-12-13 김선희 레벨 조절 장치가 구비되는 셀프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969B2 (en) Multi-function shade assembly and method
US8505609B2 (en) Safety assembly for a roller blind
US7096917B2 (en) One way brake for a cordless blind
US20120211180A1 (en) Loop Cord Tension Device for Window Coverings
CA2475716C (en) Fabric window blind
KR101059416B1 (ko)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US4651795A (en) Pleated fabric window covering cord lock
JP6800136B2 (ja) コードイコライザー、遮蔽装置
KR101274197B1 (ko)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JPH089355Y2 (ja) ブラインド類の昇降コードの把手兼収納リール
JP4729271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操作装置
JP7407315B2 (ja) コード規制部材
KR101195828B1 (ko)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20170011136A (ko) 견인줄 수납식 막대슬라이더 안전장치, 및 이를 채용한 차양구동장치
JP2884514B1 (ja) ブラインドの昇降開閉ポ−ル
KR102344579B1 (ko)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의 개폐손잡이
JP6800631B2 (ja) 自動巻上式把手及び遮蔽装置
JP4710043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H0328710Y2 (ko)
JP5768905B2 (ja) ブラインド装置
GB2511561A (en) A Safety Device
KR200361792Y1 (ko) 로만쉐이드
JPH04231Y2 (ko)
KR200322852Y1 (ko) 로만쉐이드용 작동브래킷
JPH0319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