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805Y1 -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805Y1
KR200321805Y1 KR20-2003-0013830U KR20030013830U KR200321805Y1 KR 200321805 Y1 KR200321805 Y1 KR 200321805Y1 KR 20030013830 U KR20030013830 U KR 20030013830U KR 200321805 Y1 KR200321805 Y1 KR 200321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oking apparatus
cooking
hole
block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관
Original Assignee
박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관 filed Critical 박병관
Priority to KR20-2003-0013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8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8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 하부용기가 개폐가능토록 결합된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상, 하부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정 위치에서 내측면과 외측면 중 어느 한 면을 향하여 단턱부가 형성된 통공과; 상기 통공에 삽결되며 내부 소정영역이 소정형상으로 절취된 차단막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리시 조리장치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보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내부압력의 세기와 온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차단막의 절취부가 벌어져 내부압력이나 가스 등이 외부로 배출되어 일정수준의 내압을 보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조리를 할 수 있으며, 특히, 상, 하부용기를 뒤집으면서 조리를 할 경우에도 기름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화상의 방지는 물론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Valve for adjustting pressure of cooking pan}
본 고안은 상, 하부용기가 개폐가능토록 결합된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시 조리장치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보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내부압력의 세기와 온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차단막의 절취부가 벌어져 내부압력이나 가스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리시 일정수준의 내압을 보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조리를 할수 있는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상부용기(2)와 하부용기(3)가 개폐는 물론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 하부용기(2)(3) 중 어느 곳에나 음식을 수용하고 상, 하부용기(2)(3) 모두를 가열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조리장치(1)를 양면팬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조리장치(1)는 상, 하부용기(2)(3)가 모두 가열판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 량의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아울러, 상, 하부용기(2)(3)를 폐쇄한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내부 기밀성이 유지되어야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않음으로 해서 순환되는 내부 열기로 인해 음식물을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조리장치(1)는 상, 하부용기(2)(3)가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폐쇄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조리되면, 내압이 상승하고 자칫 조리장치(1)가 폭발하여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 하부용기(2)(3) 중 어느 하나에 압력조절공(4)을 뚫어서 조리장치(1)의 내부압력이 압력조절공(4)으로 배출되어 폭발을 방지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리장치(1)는 조리시 조리장치(1)의 내압이 상승함으로써 우려되는 폭발은 예방할 수 있었으나, 조리장치(1)(양면팬)의 내부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압력조절공(4)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내부압력과 내부습기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음식물이 지나치게 건조되어 조리 후에도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지 못함으로써 맛있는 조리를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압력조절공(4)이 단순히 측벽(5)을 관통하는 형식으로 형성된 종래의 조리장치(1)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되어질 경우 조리장치(1)를 기울이는 등의 행위에 의해 일정 각도에서는 압력조절공(4)을 통해서 기름 등이 새어 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내부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압력조절공(4)에서 나오는 연기의 양과 속도 등을 보아 직감적으로 내부의 상태를 판단하여야 하는 조리장치(1)(양면팬)의 구조상, 전면에 압력조절공(4)이 위치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뜨거운 열기로 인해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으며, 옆면 또는 상, 하면에 위치할 경우에는 조리장치(1)(양면팬)을 뒤집을 때 기름 등이 새어나오는 문제점 때문에 후단에 설치할 수 밖에 없는 곤란성이 있었다.
따라서, 후단에 압력조절공(4)이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압력조절공(4)을 통해 배출되는 연기의 양과 속도를 쉽게 감지할 수 없어 내부압력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압력조절공(4)이 한번 뚫린 경우에는 그 구멍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 요리에 따른 압력조절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조리시 조리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밸브가 개방되어 압력을 배출하고 설정된 압력보다 미달일 경우에는 밸브가 폐쇄되도록 하여 조리장치 내부의 압력을 일정수준으로 보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장치의 조작시에는 개폐판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내용물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여 청결한 사용을 이루게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조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조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도 3a에서 차단막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차단막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도 5a에서 차단막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고안 절취부가 벌어져 개방통로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조리장치 102,103 : 상, 하부용기
104 : 통공 105 : 단턱부
106 : 절취부 107 : 차단막
108 : 결합돌기 109 : 결합홈
110 : 씰링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 하부용기가 개폐가능토록 결합된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용기(102)(1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정 위치에서 내측면과 외측면 중 어느 한 면을 향하여 단턱부(105)가 형성된 통공(104)과; 상기 통공(104)에 삽결되며 소정 영역이 소정 형상으로 절취된 절취부(106)를 가지는 차단막(1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공(104)의 선단 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08)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막(107)의 외주연부에 연계형성된 결합홈(109)과; 상기 결합홈(109)에 결합되는 내열성 수지재의 씰링(11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107)은, 내열성 수지, 금속판재, 형상기억합금, 바이메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 하부용기(102)(1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기에 본 고안에 따른 압력조절밸브가 설치될 수 있으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용기(103)의 측벽 소정 위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04)이 단턱(105)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공(104)의 단턱부(105)에는 차단막(107)이 억지끼움되는데, 이 차단막(10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 'Z'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소정영역이 절취된 절취부(106)를 갖는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지만 궁극적으로는 이 차단막(107)이 일정 수준의 압력에 의하여 절취부(106)가 벌어짐으로써 개방통로가 형성되어 조리장치(101) 내부의 압력이나 가스 등이 방출되어질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상기와 같이 통공(104)의 단턱부(105)에 차단막(107)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억지끼움되면 통공(104) 연부의 소정 영역을 프레싱한다.
따라서, 상기 통공(104)의 연부가 차단막(107)측으로 문드러지면서 차단막(107)을 도 3b와 같이 결속하여 조리용기의 내압에 의하여 차단막(107)이 밀리거나 탈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통공(104)의 연부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결합돌기(108)를 성형하여 통공(104)의 단턱부(105)에 억지끼움된 차단막(107)을 결속할 때, 결합돌기(108)에 프레싱 작업을 함으로써, 도 4b와 같이 결합돌기(108)만 문드러지면서 차단막(107)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차단막(107)의 외주연부에는 도 2 또는 도 5a와 같이 결합홈(109)을 연계형성하고, 이 결합홈(109)에 내열성 수지재인 씰링(11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도 5a와 같이 통공(104)의 단턱부(105)에 억지끼움함으로써 통공(104)과 차단막(107) 사이에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조리장치(101)의 압력조절밸브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상기 통공(104)에 삽결된 차단막(107)은 도 3,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때에는 이 통공(104)과 차단막(107)측으로 기름이나 음식물이 유입된다 하더라도 절취부(106)가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기름 등이 새어 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세정시 물과 세정제를 용기에 수용시킨 후 상, 하부용기(102)(103)를 닫고 흔들면 용기 내부를 간단히 세정할 수 있는 데, 이때에도 물이 통공(104)측으로 차오른다 하여도 새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평소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차단막(107)이 조리시 가열되어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내부압력의 상승과 온도의 상승으로 인해 차단막(107)의 절취부(106)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차단막(107)은 내열성 수지, 금속판재, 형상기억합금, 바이메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소정 크기의 압력이 되면 도 6과 같이 벌어지면서 개방통로를 형성하여 내압이나 가스 등이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
부연하여, 상기한 바이메탈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정도가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판을 맞붙여 놓은 것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팽창이 덜 되는 쪽으로 휘게 되며, 바이메탈의 재료로는 팽창이 작은 쪽에는 니켈과 철의 합금, 팽창이 큰 쪽에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 등이 사용된다.
따라서, 조리장치(101) 내부의 온도상승과 내압은 비례관계에 있기 때문에 내압이 상승하면 이에 따라 온도역시 상승하게 되는 것에 착안하여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차단막(107)의 내측면이 먼저 팽창하게 되어 절취부(106)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개방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형상기억합금(形狀記憶合金 : shape memory alloy)은, 가공된 어떤 물체가 망가지거나 변형되어도 열을 가하여 일정온도가 되면 금속이 기억하고 있던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합금을 일컫는 것으로, 차단막(107) 가공시 일정 온도에서 절취부(106)를 벌어진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차단막(107)에 조리장치(101)의 내부온도가 전이되면서 일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차단막(107)은 가공시의 모양대로 절취부(106)가 벌어지게 되어 개방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부연하여, 상기한 바이메탈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정도가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판을 맞붙여 놓은 것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팽창이 덜 되는 쪽으로 휘게되며, 바이메탈의 재료로는 팽창이 작은 쪽에는 니켈과 철의 합금, 팽창이 큰 쪽에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 등이 사용된다.
따라서, 조리장치(101) 내부의 온도상승과 내압은 비례관계에 있기 때문에 내압이 상승하면 이에 따라 온도역시 상승하게 되는 것에 착안하여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상승하게 되면 차단막(107)의 내측면이 먼저 팽창하게 되어 절취부(106)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개방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형상기억합금(形狀記憶合金 : shape memory alloy)은, 가공된 어떤 물체가 망가지거나 변형되어도 열을 가하여 일정온도가 되면 금속이 기억하고 있던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합금을 일컫는 것으로, 차단막(107) 가공시 일정 온도에서 절취부(106)가 폐쇄된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차단막(107)에 조리장치(101)의 내부온도가 전이되면서 일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차단막(107)은 가공시의 모양대로 절취부(106)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내압이 보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팽창하는 내압이 임계치를 벗어나는 순간 내압에 의해 절취부(106)가 도 6와 같이 벌어지면서 내압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형상기억합금이 일정온도에서 가공시의 설정온도를 기억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공지된 바와 같이 상온에서도 형상을 기억할 수 있게 가공할 수 있으며, 조리시 조리장치(101)가 가열될 수 있는 온도에서 형상을 기억할 수 있게 가공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온과 고온에서 형상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리장치는 가열되었지만 내압이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에 따라 차단막(107)의 절취부(106)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열성 수지의 경우는 팽창정도나 일정온도하에서 형상을 기억하는 것은 아니지만 내열성이기 때문에 열에 강하며 재질상의 특성에 의하여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이 내재되어 있는 상태로 평상시에는 절취된 절취부(106)가 폐쇄된 상태를 이루고 있지만, 조리장치(101)의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내부압력이 내열성 수지의 차단막(107)을 외측으로 밀어 내고, 이 힘이 클수록 내열성 수지의 절취부(106)가 크게 개방되어 다량의 압력이나 가스 등이 방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리장치의 내부압력이 일정한 수준에서 보지될 수 있도록 하여 음식이 건조해짐으로써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조리시 조리장치를 뒤집으면서 사용하여도 차단막을 통해 기름 등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청결한 조리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압력이 일정수준에 도달하면 압력조절밸브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육안으로 압력과 증기가 배출되는 정도를 식별할 수 있어 조리상태를 관능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상, 하부용기가 개폐가능토록 결합된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정 위치에서 내측면과 외측면 중 어느 한 면을 향하여 단턱부가 형성된 통공과;
    상기 통공에 삽결되며 소정 영역이 소정 형상으로 절취된 절취부를 가지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선단 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의 외주연부에 연계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내열성 수지재의 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차단막은 내열성 수지, 금속판재, 형상기억합금, 바이메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
KR20-2003-0013830U 2003-05-02 2003-05-02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 KR200321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830U KR200321805Y1 (ko) 2003-05-02 2003-05-02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830U KR200321805Y1 (ko) 2003-05-02 2003-05-02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805Y1 true KR200321805Y1 (ko) 2003-07-31

Family

ID=4933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830U KR200321805Y1 (ko) 2003-05-02 2003-05-02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8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378B1 (ko) 2007-12-20 2008-08-08 (주)유티앤케미칼 압력 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
KR100896198B1 (ko) 2008-07-23 2009-05-12 이운성 양면팬의 가스 밸브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378B1 (ko) 2007-12-20 2008-08-08 (주)유티앤케미칼 압력 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
KR100896198B1 (ko) 2008-07-23 2009-05-12 이운성 양면팬의 가스 밸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1461B2 (ja) 蓋体及びこの蓋体を備える容器並びにこの蓋体を成型する金型装置及びこの蓋体の製造方法
KR0170125B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US6619192B2 (en) Frying pan
CN204427772U (zh) 自动投料装置和烹饪器具
US20070075078A1 (en) Container lid for preventing overbrimming
CZ293444B6 (cs) Zařízení pro tepelné zpracování, zejména fritéza, s vyjímatelnou nádobou
JP4618104B2 (ja) 加熱調理器
US5441169A (en) Saucepan
KR200321805Y1 (ko)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
KR20150065248A (ko) 안정성과 열효율이 향상된 이중조리용기
JP3692527B2 (ja) 保温釜
KR200395285Y1 (ko) 보조뚜껑이 구비된 조리용기
KR200321804Y1 (ko) 조리장치의 압력조절밸브 및 이를 구비한 조리장치
KR200368226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200344572Y1 (ko) 프라이팬의 구조
CN111110000B (zh) 烹饪器具和用于烹饪器具的控制方法
KR100272600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비등방법
EP3846628B1 (en)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sealing element
CN215127435U (zh) 炒锅锅盖及设有其的烹饪器具
KR20180026167A (ko) 전기압력밥솥의 보온 커버 어셈블리
KR200405516Y1 (ko) 가열조리용 밀봉용기
JP3717727B2 (ja) 焼物調理器
JP3016967B2 (ja) 調理器用自動消火装置
KR200297374Y1 (ko) 압력용기의 스팀배출구조
KR100191569B1 (ko) 취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