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560Y1 - 전기로용 절연핀 - Google Patents

전기로용 절연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560Y1
KR200321560Y1 KR20-2003-0013891U KR20030013891U KR200321560Y1 KR 200321560 Y1 KR200321560 Y1 KR 200321560Y1 KR 20030013891 U KR20030013891 U KR 20030013891U KR 200321560 Y1 KR200321560 Y1 KR 200321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wall
insulating
electric furnac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조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호 filed Critical 조성호
Priority to KR20-2003-0013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1/00Arrangement of elements for electric heating in or on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로용 절연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핀의 제조공정 및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핀부재가 절연부재에서 빠지지 않도록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진 전기로용 절연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전기로(1)를 이루는 벽체(2)의 내측에 구비되는 전열선(3)을 고정하도록 상기 벽체(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절연핀에 있어서, 일측에 나사부(112)가 형성되고 타측은 걸림턱(111)이 형성되어 상기 벽체(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핀부재(110); 상기 핀부재(110)의 걸림턱(111)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절연부재(120); 상기 핀부재(110)의 나사부(112)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전열선(3)을 고정하도록 상기 벽체(2)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수단(130); 상기 절연부재(1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중공의 캡(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로용 절연핀{Insulation pin for electric furnace}
본 고안은 전기로용 절연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핀의 제조공정 및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핀부재가 절연부재에서 빠지지 않도록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진 전기로용 절연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비금속 등을 가열하거나 금속의 열처리, 성형, 소결 등에 주로 사용되는 전기 가열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내열재 또는 절연체 등으로 이루어져 진기로(1)를 이루는 벽체(2)와, 상기 벽체(2)의 내측면에 층별로 배치되는 전열선(3)과, 상기 전열선(3)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벽체(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절연핀(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로(1)는 상기 전열선(3)에 전원를 인가함으로써 전열선(3)이 가열되어 발열을 하게 되는것으로, 이때 발열된 열은 앞서 설명한 가열, 열처리, 소결 등의 목적에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연핀(1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나사부(11a)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2)를 관통하는 일정한 길이의 핀부재(11)와, 상기 핀부재(11)의 나사부(11a)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열선(3)을 고정하는 고정부(12)와, 상기 핀부재(11)의 타측에 구비되되 핀부재(11)의 단부가 내부로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무기접착제 등으로 접착되는 원기둥 형태의 절연부재(13)와, 상기 절연부재(13)를 감싸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절연부재(13)와 무기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캡(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4)은 상기 벽체(2)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철판(2a)에 용접으로 접합된다.
따라서, 상기 절연핀(10)은 상기 전열선(3)이 상기 벽체(2) 내측면에 층별로 설치될 수 있도록 벽체(2)의 각 위치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다수의 절연핀(10)의 각 고정부(12)에 상기 전열선(3)이 거치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절연핀(10)은 상기 핀부재(11)와 절연부재(13)를 무기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1차 접착공정과 상기 무기접착제가 경화된 후 상기 절연부재(13)와 캡(14)을 무기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2차 접착공정을 거쳐 완성 됨에 따라 공정 및 작업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상기 접착공정시 접착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핀부재(11)가 상기 절연부재(13)에서 빠질 우려가 있으며 이렇게 되면 상기 벽체(2)에서 절연핀(10)이 빠지게 되어 결국 상기 전열선(3)이 상기 절연핀(10)에 고정되지 못하고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절연핀의 제조공정 및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핀부재가 절연부재에서 빠지지 않도록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져 접착불량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한 전기로용 절연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기로에 절연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핀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에 절연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절연핀 110: 핀부재
111: 걸림턱 112: 나사부
120: 절연부재 121,131a: 몸체
122: 수용공 122a: 수용홈
123: 걸림홈 130: 고정수단
131: 거치대 131b: 확장판
131c,132a: 관통공 132: 걸림판
133: 너트 140: 캡
141: 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로를 이루는 벽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전열선을 고정하도록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절연핀에 있어서,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벽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핀부재; 상기 핀부재의 걸림턱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절연부재; 상기 핀부재의 나사부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전열선을 고정하도록 상기 벽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수단; 상기 절연부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중공의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핀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에 절연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1)는 크게, 전기로(1)를 이루는 벽체(2)와,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발열하며 상기 벽체(2)의 내측면에 층별로 설치되는 전열선(3)과, 상기 벽체(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3)을 벽체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절연핀(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핀(100)은 벽체(2)를 관통하는 핀부재(110)와, 상기 벽체(2)를 사이에 두고 핀부재(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절연부재(120) 및 고정수단(130)과, 상기 절연부재(120)를 감싸는 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핀부재(110)는 일측에 나사부(112)가 형성되고 타측은 확장되는걸림턱(111)이 형성되어 상기 벽체(2)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120)는 상기 핀부재(110)의 걸림턱(111)측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핀부재(110)의 일부를 감싸는 분할된 두 개의 몸체(121)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각 몸체(121)의 내부에는 상기 핀부재(110)가 수용되는 수용홈(122a)이 형성되어 이들이 결합될시 하나의 수용공(122)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122)의 일정 부분은 상기 핀부재(110)의 걸림턱(111)이 수용되어 걸릴 수 있도록 확장형성된 걸림홈(12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핀부재(110)의 나사부(112)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에 확장판(131b)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31a)의 중앙에 상기 핀부재(110)가 관통하도록 관통공(131c)이 형성되어 상기 전열선(3)이 거치되는 거치대(131)와, 상기 거치대(131)와 함께 핀부재(110)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공(132a)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131)에 거치된 전열선(3)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거치대(131)의 일측에 밀착되는 걸림판(132)과, 상기 거치대(131)와 걸림판(132)이 핀부재(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이들을 상기 벽체(2)의 내측면측으로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핀부재(110)의 나사부(112)에 체결되는 너트(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140)은 중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핀부재(110)와 절연부재(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부재(120)를 감싸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상기 절연부재(120)가 빠지지 않도록 턱(141)이 절곡 형성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벽체(2)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철판(2a)에 용접된다.
한편, 상기 핀부재(110)와 절연부재(120) 및 캡(1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140)의 내부로 무기접착제를 투입하여 이들이 한번의 접착공정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핀부재(110)의 걸림턱(111)측에 결합되어 접착이 완료된 절연부재(120) 및 캡(140)은 상기 벽체(2)의 가장자리측에 함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연핀은 상기 핀부재(110)의 걸림턱(111)측에 절연부재(120)가 결합되고 계속해서 상기 절연부재(120)는 상기 캡(1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캡(140)의 내부로 투입되는 무기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되며 상기 무기접착제가 경화된 후에는 상기 벽체(2)의 형성된 다수의 통과공(2b)으로 상기 핀부재(110)를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핀부재(110)의 나사부(112)측은 벽체(2)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되며, 여기서 상기 나사부(112)측에 상기 고정수단(130)인 거치대(131) 및 걸림판(132)을 순차적으로 끼운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너트(133)를 상기 나사부(112)에 체결하여 상기 거치대(131) 및 걸림판(132)을 벽체(2)의 내측면측으로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벽체(2)에 절연핀(100)이 다수 설치되게 되면 상기 고정수단(130)에는 파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열선(3)이 연속적으로 거치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상기 절연부재(13:종래)에 삽입된 핀부재(11:종래)가 빠지지 않도록 이들을 무기접착제로 1차 접착하고 상기 무기접착제가 완전히 건조된 다음상기 절연부재(13:종래)와 캡(14:종래)을 다시 무기접착제로 2차 접착함에 따른 공정 및 시간이 증가했던 문제와 접착불량시 핀부재(11:종래)가 절연부재(13:종래)에서 빠졌던 문제를 해결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절연부재(12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홈(123)에 상기 핀부재(110)의 걸림턱(111)이 걸리도록 결합하고 절연부재(120)는 다시 캡(140)으로 감싼 상태에서 캡(140)의 내부로 무기접착제를 투입하는 한번의 접착공정으로 이들이 접착되기 때문에 상기 절연핀(100)의 제조공정 및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접착공정에서 접착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핀부재(110)의 걸림턱(111)이 상기 절연부재(120)의 걸림홈(123)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되어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핀부재의 걸림턱이 내부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절연부재가 결합되고 여기에 절연부재를 감싸도록 캡이 결합됨과 아울러 이들이 한번의 접착공정으로 접착됨으로써, 상기 절연핀의 제조공정 및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의 향상과 제조비용이 절감됨과 아울러 상기 핀부재의 걸림턱이 상기 절연부재의 걸림홈에 걸려 빠지지 않는 보다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져 접착불량시 발생하는 문제가 해소되는 것이다.

Claims (4)

  1. 전기로(1)를 이루는 벽체(2)의 내측에 구비되는 전열선(3)을 고정하도록 상기 벽체(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절연핀에 있어서,
    일측에 나사부(112)가 형성되고 타측은 걸림턱(111)이 형성되어 상기 벽체(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핀부재(110);
    상기 핀부재(110)의 걸림턱(111)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절연부재(120);
    상기 핀부재(110)의 나사부(112)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전열선(3)을 고정하도록 상기 벽체(2)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수단(130);
    상기 절연부재(1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중공의 캡(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용 절연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120)는 분할된 두 개의 몸체(121)가 결합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몸체(121)의 내부에는 상기 핀부재(110)의 일측이 수용되는 수용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122)의 일정 부분은 확장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11)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1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용 절연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40)은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절연부재(120)가 빠지지 않도록 일측에 턱(14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벽체(2)의 외측면을 감싸는철판(2a)과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용 절연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110)와 절연부재(120) 및 캡(140)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140)의 내측으로 투입되는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용 절연핀.
KR20-2003-0013891U 2003-05-03 2003-05-03 전기로용 절연핀 KR200321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891U KR200321560Y1 (ko) 2003-05-03 2003-05-03 전기로용 절연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891U KR200321560Y1 (ko) 2003-05-03 2003-05-03 전기로용 절연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560Y1 true KR200321560Y1 (ko) 2003-07-28

Family

ID=4941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891U KR200321560Y1 (ko) 2003-05-03 2003-05-03 전기로용 절연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5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10181B2 (ja) 放熱装置の受熱部構造
WO2013175902A1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治具
JP2011134699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のエンドプレート固定方法
WO2014181698A1 (ja) 端子化電線
KR200321560Y1 (ko) 전기로용 절연핀
US20130033877A1 (en) Light head, light device using the same, assembling method of light head and light device
JP3127610U (ja) 立方形状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コア
US9425602B2 (en) Busbar
TWI437185B (zh) 燈頭及使用此燈頭的燈具以及燈頭的組裝方法
JP2011210414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半田付け冶具及び該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半田付け冶具を用いた半田付けの方法
JP2011090804A (ja) 端子金具付き電線および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4697676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H06198448A (ja) 溶接/切断トーチのための鞘付トーチヘッド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4481Y1 (ko) 파이프용 연결장치
JP4584064B2 (ja) 線材の接続方法
JP4407928B2 (ja) 電磁拡管成形用コイル
JP2014216288A (ja) 被覆電線の端末構造
JP3223098U (ja) カバー付き圧縮スリーブ
CN212826668U (zh) 注塑机用陶瓷电热圈穿丝陶瓷组件和外壳装配的包边结构
JP2018137216A (ja) 電線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並びに接続構造体の取り付け構造
JP6133080B2 (ja) 圧着端子、圧着端子の製造方法、電線接続構造体、並びに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2013004391A (ja) 端子、及び、端子のキャップ形成方法
JPS5834683Y2 (ja) 管形白熱電球
JP2008084641A (ja) 立方形状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コア
KR101761159B1 (ko) 전기 모터 고정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