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715Y1 -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의 제조 금형 및 그 렌즈 - Google Patents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의 제조 금형 및 그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715Y1
KR200319715Y1 KR20-2003-0010426U KR20030010426U KR200319715Y1 KR 200319715 Y1 KR200319715 Y1 KR 200319715Y1 KR 20030010426 U KR20030010426 U KR 20030010426U KR 200319715 Y1 KR200319715 Y1 KR 200319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imary
lens
cavit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희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희라이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희라이팅
Priority to KR20-2003-0010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후미 복합등(rear combination lamp)의 렌즈를 제조하는 공정에 사용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색상이 다른 수지의 접합 경계면의 미관을 뛰어나게 하는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의 제조 금형 및 그 렌즈에 관한 것이며, 공통금형(50)의 1차 캐비티(60)와 2차 캐비티(61)의 맞닿는 부분에 각각 곡면부(54)(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통금형(50)의 2차 캐비티(61)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1차 금형(51)에 형성되며, 2차 금형(56)은 그 하면을 자유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1차 금형(51)과 2차 금형(56)에 각각 1차 게이트(52)와 2차 게이트(57)가 형성되는 금형 및 상기 금형에 의하여 생산되며 1차 수지부와 2차 수지부가 맞닿는 부분이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경계선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의 제조 금형 및 그 렌즈{A mold of lens for a car lamp and a lens using the mold}
본 고안은 자동차용 후미 복합등(rear combination lamp)의 렌즈를 제조하는 공정에 사용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색상이 다른 수지의 접합 경계면의 미관을 뛰어나게 하는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의 제조 금형 및 그 렌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하는 자동차 후미복합등의 렌즈는 대부분 플라스틱 사출로서 제조한다. 후미복합등의 경우 후미등, 제동등, 후퇴등, 방향지시등 등의 여러 기능들이 하나의 제품에 집합되어 있고, 각 기능별로 법규에서 정한 등광색을 나타내기 위하여 적색, 투명, 호박색 등의 서로 다른 수지를 접합하여 제조한다. 기존에는 각각의 수지를 별도로 사출하여 접합하거나 먼저 성형된 제품을 다른 금형에 삽입하여 사출하는 방법(insert 방식)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제품의 고급감을 살리기 위하여 금형내에서 서로 다른 수지를 사출하여 성형하는 다색 사출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다색 사출시 색상이 다른 수지의 접합 경계면은 다른 부위보다 강도가 약하므로 도 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출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방식중 맞대기 방식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1차 캐비티(2)와 2차 캐비티(8)가 형성되어 있는 공통금형(1) 위에 2차 캐비티(8)와 같은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1차 금형(4)을 올려놓고, 상기 1차 금형(4)의 1차 게이트(3)를 통하여 1차 수지(5)를 주입하여 1차 수지부를 완성하고, 상기 1차 금형(4)을 제거하고 하부가 평면을 포함하는 자유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2차 캐비티(8)로 2차 게이트(7)가 형성되어 있는 2차 금형(6)을 놓고 2차 수지(9)를 주입하여 1차 수지(5)와 2차 수지(9)를 맞대어 사출한다. 이 경우 접합구조가 단순하여 정밀한 금형 가공이 요구되지 않지만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경계선(10)이 형성되어 제품의 고급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방식중 오버레이(overlay)방식은 도 3과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오버레이 방식은 가운데 부분은 두배의 두께로 홈이 파여진 공통 금형(11)에 가운데 부분이 돌출된 1차 금형(12)을 놓고 1차 게이트(13)를 통해 1차 수지(14)를 주입하여 전체적으로 일정두께를 가지고 계단식으로 가운데가 아래로 절곡된 1차 수지부를 형성한다. 상기 1차 수지부가 형성된 위에 하부가 평면을 포함하는 자유면으로 형성된 2차 금형(15)를 놓고 2차 게이트(16)를 통하여 2차 수지(17)를 주입하여 1차 수지부의 중앙 부분에 2차 수지부를 형성한다. 이 경우 맞대기 방식에 비하여 경계선(18)이 1줄밖에 안보이므로 제품의 외관이 깨끗한 편이나 접합구조가 복잡하여 정밀한 금형 가공이 요구되고 완제품의 두께 증가로 중량 및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으며 경계선이 1줄이 보이므로 외관상 완전히 고급스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종래 맞대기 방식과 오버레이 방식의 단점을 제거하여 접합구조가 단순하며 외관상 경계선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렌즈 제조 금형 및 그 렌즈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통금형의 1차 캐비티와 2차 캐비티의 맞닿는 부분에 각각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통금형의 2차 캐비티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1차 금형에 형성되며, 2차 금형은 그 하면을 자유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1차 금형과 2차 금형에 각각 1차 게이트와 2차 게이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의 제조 금형 및 상기 금형에 의하여 생산되며 1차 수지부와 2차 수지부가 맞닿는 부분이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경계선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맞대기 방식의 렌즈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공정에서 나온 제품의 도면.
도 3은 종래의 오버레이 방식의 렌즈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공정에서 나온 제품의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자동차의 렌즈 제조 금형을 이용한 렌즈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공정에서 생산된 제품의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11, 50 : 공통 금형 2, 60 : 1차 캐비티(cavity)
3, 13, 52 : 1차 게이트 4, 12, 51 : 1차 금형
5, 14, 55 : 1차 수지 6, 15, 56 : 2차 금형
7, 16, 57 : 2차 게이트 8, 61 : 2차 캐비티
9, 17, 58 : 2차 수지 10, 18 : 경계선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통 금형(50)에 형성되는 렌즈홈(59)은 1차 캐비티(60)와 2차 캐비티(61)로 구성되며, 상기 1차 캐비티(60)와 2차 캐비티(61)의 맞닿는 부분에 각각 곡면부(54)(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통금형(50)의 2차 캐비티(61)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1차 금형(51)에 형성되고 상기 1차 캐비티(60)와 관통되도록 1차 게이트(52)가 일측에 형성된다. 2차 금형(56)은 하면이 자유면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2차 게이트(57)가 2차 캐비티(61)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2차 금형(56)의 하면은 렌즈의 표면과 같으므로 렌즈의 형상에 따른 자유면을 가지게 되며 그 자유면은 평면을 포함한다.
상기 공통 금형(50)에 1차 금형(51)을 놓고 1차 금형(51)에 형성된 1차 게이트(52)를 통하여 1차수지(55)를 주입하여 1차 수지부를 형성한다. 상기 1차수지부를 형성한 다음 2차 금형(56)을 놓고 상기 2차 금형(56)에 형성된 2차 게이트(57)를 통하여 2차 수지(58)를 주입하여 2차 수지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생산된 렌즈는 1차 수지부와 2차 수지부가 맞닿는 부분이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금형을 사용하여 자동차용 렌즈를 제조하면, 금형의 형상과 같이 1차 수지부와 2차 수지부가 서로 맞닿는 선을 제외하고는 경계선이 발생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제품이 나오고, 접합 구조가 단순하여 정밀한 금형 가공이 요구 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접합구조가 단순하여 정밀한 금형 가공이 요구되지 않고, 경계선이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외관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공통금형(50)의 1차 캐비티(60)와 2차 캐비티(61)의 맞닿는 부분에 각각 곡면부(54)(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통금형(50)의 2차 캐비티(61)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1차 금형(51)에 형성되며, 2차 금형(56)은 그 하면을 자유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1차 금형(51)과 2차 금형(56)에 각각 1차 게이트(52)와 2차 게이트(5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의 제조 금형.
  2. 제 1 항의 금형에 의하여 생산되며 1차 수지부와 2차 수지부가 맞닿는 부분이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경계선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
KR20-2003-0010426U 2003-04-07 2003-04-07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의 제조 금형 및 그 렌즈 KR200319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26U KR200319715Y1 (ko) 2003-04-07 2003-04-07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의 제조 금형 및 그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26U KR200319715Y1 (ko) 2003-04-07 2003-04-07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의 제조 금형 및 그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715Y1 true KR200319715Y1 (ko) 2003-07-16

Family

ID=4933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426U KR200319715Y1 (ko) 2003-04-07 2003-04-07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의 제조 금형 및 그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7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9840B2 (en) Light guide for a vehicle lighting unit
US5642228A (en) Resin-molded lens having no sink mark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0592755B1 (ko) 차량용 등기구의 렌즈
CN105538599A (zh) 双色成形法和双色成形用模具以及双色成形品
US8998465B2 (en) Method for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material lenticular bodies for lights of motor vehicles and similar, and lenticular body for lights of motor vehicles and similar
US8043672B2 (en) Lens for a vehicular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0319715Y1 (ko) 자동차 등화용 수지제 렌즈의 제조 금형 및 그 렌즈
US6607296B2 (en) Lens in vehicular lamp, method of shaping the lens and an apparatus for shaping the lens
JP2001079899A (ja) 車輌用灯具のレンズ製造装置
KR100326671B1 (ko) 인서트 주형 방법
US20050270787A1 (en) Light
KR20050050718A (ko)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렌즈구조
CN218268866U (zh) 一色件和二色件交界处无尖锐角的双色灯罩、车灯
JP2681316B2 (ja) 車輌用灯具レンズ
JP4698884B2 (ja) 射出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73673B1 (ko) 차량의 리어램프용 아우터 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3967032B2 (ja) 車両用灯具の製造方法
JP2001135104A (ja) 車両用灯具のハウジング
CN117162393A (zh) 一种汽车前格栅旗标灯面罩的注塑工艺
JP2500083Y2 (ja) 車両用灯具
KR20000039550A (ko) 자동차용 다색 램프 렌즈의 주형방법
US20080018006A1 (en) Method of injection molding lens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plastic material for producing car lights and similar
JPH0648646Y2 (ja) 車両用灯具のレンズ
JPH0754881Y2 (ja) 自動車用灯具
KR100758846B1 (ko) 디자인의 변화가 용이한 자동차 범퍼와 옆발판 금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