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706Y1 - 콘덴서 마이크용 팝노이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콘덴서 마이크용 팝노이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706Y1
KR200319706Y1 KR20-2003-0010216U KR20030010216U KR200319706Y1 KR 200319706 Y1 KR200319706 Y1 KR 200319706Y1 KR 20030010216 U KR20030010216 U KR 20030010216U KR 200319706 Y1 KR200319706 Y1 KR 200319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present
light emitting
condenser microphon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호
Original Assignee
안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호 filed Critical 안기호
Priority to KR20-2003-0010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7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8Visual indication of individual signa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콘덴서 마이크용 팝노이즈 제거장치는, 콘덴서 마이크의 출력단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고, 콘덴서와 저항의 직렬결합으로 이루어진 전위차 유지부; 및 온/오프 조작시 선택적으로 상기 저항 양단을 쇼트시키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소형 경량으로 콘덴서 마이크에 구비되어 스위치의 온/오프시 발생하는 팝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콘덴서 마이크용 팝노이즈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pop-noize of condenser mike}
본 고안은 콘덴서 마이크용 팝노이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시 마이크 출력단에 일정한 전위차가 유지되도록 하여 팝노이즈를 제거하게 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덴서 마이크는 동작을 위해 예컨대, 48V에 해당하는 팬텀(phantom)전원을 필요로 하며, 외부로부터 음압이 가해질 때 정전용량이 변화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신호의 변화를 출력단에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콘덴서 마이크는 스위치가 온(on) 상태가 될 경우 출력단자 사이에 급격히 5mV 정도의 직류전압이 걸리면서 팝노이즈가 발생되고,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경우에는 상기 직류전압이 급격히 0V로 떨어지면서 팝노이즈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팝노이즈는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스위치의 온/오프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서, 공지된 팝노이즈 제거회로로는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69463호와 같이 스위치의 온/오프시 소정시간 동안 오디오출력을 접지시키는 기술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71032호와 같이 마이컴을 이용하여 사운드앰프를 뮤트시키는 기술을 들 수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팝노이즈 제거회로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신뢰성의 문제가 있고 특히 콘덴서 마이크와 같이 소형 경량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장치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측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콘덴서 마이크의 온/오프시 출력단에 일정한 전위차가 유지되도록 하여 팝노이즈를 제거하게 되는 콘덴서 마이크용 팝노이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노이즈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콘덴서 마이크 출력단 11...전위차 유지부 12...구동스위치
13...인덕터 14...발광소자 15...저항부
16...제너다이오드 20...오디오 입력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팝노이즈 제거장치는, 콘덴서 마이크의 출력단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콘덴서와 저항의 직렬결합으로 이루어진 전위차 유지부; 및 온/오프 조작시 선택적으로 상기 저항 양단을 쇼트시키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는 상기 출력단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인덕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에는 상기 구동스위치에 연동하여 점멸되는 발광소자;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는 상기 발광소자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출력단에 병렬로 접속되는 저항부;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저항부의 저항 이분지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소자에는 제너다이오드가 병렬로 연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덴서용 팝노이즈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전위차 유지부(11) 및 구동스위치(12)를 포함한다.
전위차 유지부(11)는 콘덴서 마이크 출력단(10)에 병렬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상호 직렬결합된 콘덴서 C1과 저항 R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콘덴서 C1으로는 바람직하게 무극성 콘덴서가 채용되고, 임피던스를 최소화하도록 예컨대 1000㎌의 대용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스위치(12)는 온/오프 조작시 선택적으로 상기 저항 R1의 양단을 쇼트시키도록 설치된다. 도면에는, 상기 구동스위치(12)가 오프되어 상기 저항 R1의 양단을 쇼트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스위치(12)의 오프시 콘덴서 마이크 출력단(10)에서 발생되는 교류신호는 상기 콘덴서 C1및 구동스위치(12)를 통해 쇼트되므로 앰프가 구비되어 있는 오디오 입력단(20) 측으로의 신호전달이 차단된다.
또한, 콘덴서 마이크 출력단(10)을 이루는 출력단자2와 출력단자3 간의 직류전압은 상기 콘덴서 C1의 양단에 인가되어, 상기 구동스위치(12)의 오프에 의해 실질적으로 콘덴서 마이크가 오프된 상태에도 그 전위차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구동스위치(12)가 온 상태로 전환될 경우에는 상기 전위차 유지부(11)의 콘덴서 C1및 저항 R1을 경유하여 교류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출력단자2와 출력단자3 간의 직류전압이 대부분 콘덴서 C1의 양단에 인가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구동스위치(12)의 온/오프시 출력단자2와 출력단자3 간에는 직류 전위차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팝노이즈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는 상기 콘덴서 마이크 출력단(10)에 대하여 병렬로 인덕터(13)가 결합된다. 이 인덕터(13)는 저항의 오차나 마이크 내부의 불균형 등의 원인에 의해 출력단자2와 출력단자3 간에 직류 전위차가 발생할 경우 이에 상응하는 급격한 전류의 상승을 억제하여 잡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에는 상기 구동스위치(12)의 온/오프 조작에 연동하여 점멸되는 발광소자(14)가 더 구비되어 본 고안의 팝노이즈 제거장치를 비롯한 콘덴서 마이크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14)로는 전력소모가 적고 다양한 칼라의 발광이 가능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발광소자(14)는 콘덴서 마이크의 출력단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이 되고, 상기 구동스위치(12)의 온/오프 동작에 연동하여 점멸되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에는 상기 콘덴서 마이크 출력단(10)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발광소자(14)에 전압을 공급하는 저항부(15)가 포함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소자(14)는 상기 저항부(15)의 저항 이분지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콘덴서 마이크의 두 출력단자(2,3)로부터 균형있게 전류를 공급받음으로써 전류불균형에 의한 잡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는 상기 저항부(15)가 동일 크기를 갖는 저항 R2및 R3로 이루어지고, 상기 R2과 R3의 중간지점에 발광소자(14)가 연결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발광소자(14)에는 제너다이오드(16)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소자(14)의 오프 순간에 발생할 수 있는 잡음을 방지한다. 즉, 발광소자(14)가 오프될 경우 상기 제너다이오드(16)로 전류가 흐름으로써 오디오 입력단(20)에 가해지는 급격한 전압변동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는 잡음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팝노이즈 제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구동스위치(12)가 오프 상태일 경우, 콘덴서 마이크 출력단(10)에서 발생되는 교류신호는 전위차 유지부(11)의 콘덴서 C1과 구동스위치(12)를 거쳐 쇼트되므로 오디오 입력단(20)으로의 신호전달이 차단된다. 아울러, 상기 콘덴서 마이크출력단(10)을 이루는 출력단자2와 출력단자3 사이의 직류전압이 상기 콘덴서 C1의 양단에 걸리게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콘덴서 마이크가 오프된 상태에도 출력단자2와 출력단자3 사이의 직류 전위차가 유지된다.
이어서, 상기 구동스위치(12)가 온 상태로 전환될 경우에는 콘덴서 C1과 저항 R1을 통해 교류전류가 흐르면서 오디오 입력단(20)으로 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고, 출력단자2와 출력단자3 사이의 직류전압이 상기 콘덴서 C1에 대부분 걸림으로써 결과적으로 콘덴서 마이크의 출력단에 전위차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팝노이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에는 상기 콘덴서 마이크 출력단(10)에 병렬로인덕터(13)가 결합되어 마이크 내부의 불균형 등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할 경우 급격한 전류의 상승을 억제하여 잡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한편, 본 고안에는 상기 구동스위치(12)의 온/오프 전환에 연동하는 발광소자(14)가 설치되어 콘덴서 마이크 및 본 고안에 따른 팝노이즈 제거장치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광소자(14)는 콘덴서 마이크의 출력단자2 및 출력단자3으로부터 각각 동일 크기의 저항 R2및 R3를 경유하여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전류불평형에 의한 잡음발생을 방지하게 되고, 오프시에는 상기 발광소자(14)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16)로 전류가 흐름으로써 급격한 전압의 변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구동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관계없이 콘덴서 마이크의 출력단에 일정한 직류 전위차를 유지하여 팝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발광소자의 동작시 회로 전체의 전압변동이나 전류불균형 문제가 없으므로 잡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팝노이즈 제거장치는 종래의 기술들과는 달리 소형 경량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콘덴서 마이크의 스탠드 내부에 장착되는 등 콘덴서 마이크와의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콘덴서 마이크의 출력단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콘덴서와 저항의 직렬결합으로 이루어진 전위차 유지부; 및
    온/오프 조작시 선택적으로 상기 저항 양단을 쇼트시키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하는 팝노이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는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팝노이즈 제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위치에 연동하여 점멸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노이즈 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출력단에 병렬로 접속되는 저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소자가, 상기 저항부의 저항 이분지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노이즈 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와 병렬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팝노이즈 제거장치.
KR20-2003-0010216U 2003-04-03 2003-04-03 콘덴서 마이크용 팝노이즈 제거장치 KR200319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216U KR200319706Y1 (ko) 2003-04-03 2003-04-03 콘덴서 마이크용 팝노이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216U KR200319706Y1 (ko) 2003-04-03 2003-04-03 콘덴서 마이크용 팝노이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706Y1 true KR200319706Y1 (ko) 2003-07-16

Family

ID=4933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216U KR200319706Y1 (ko) 2003-04-03 2003-04-03 콘덴서 마이크용 팝노이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7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0171B1 (en) Headset with microphone and wired remote control
US7061327B2 (en) Single supply headphone driver/charge pump combination
US7714661B2 (en) Single supply direct drive amplifier
US8073158B2 (en) Circuit for eliminating noise
US8379896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a microphone
JP2673919B2 (ja) 保護回路
JP5254251B2 (ja) トランシーバ等の通信機のスピーカ付ハンドマイクにおける音声入出力自動切替回路
KR200319706Y1 (ko) 콘덴서 마이크용 팝노이즈 제거장치
US4947110A (en) Test apparatus to check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ower and communication networks
JP2011109642A (ja) 初段増幅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031710B2 (ja) 増幅器回路
JP5497616B2 (ja) マイクロホンおよびマイクロホン装置
US7583556B2 (en) Switching circuit for CMOS circuit
JP2009542179A5 (ko)
US11522528B2 (en) Voltage control
KR100309407B1 (ko) 보호 회로
JP5182891B2 (ja) オーディオデバイス
JPH10290128A (ja) マイクロフォン回路
EP1397022A1 (en) Microphone devices
US20240088839A1 (en) An amplifier for a dual backplate mems microphone
JP4079671B2 (ja) 給電装置
KR20020059528A (ko) 마이크로폰 회로
JP2001296930A (ja) 電源装置
JPH0833090A (ja) マイクロホン用電源回路
JP2002182755A (ja) 電圧印加装置及び電流印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