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187Y1 - 육류구이용 화로 - Google Patents

육류구이용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187Y1
KR200319187Y1 KR20-2003-0010139U KR20030010139U KR200319187Y1 KR 200319187 Y1 KR200319187 Y1 KR 200319187Y1 KR 20030010139 U KR20030010139 U KR 20030010139U KR 200319187 Y1 KR200319187 Y1 KR 200319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zier
meat
ring
charco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춘
Original Assignee
이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춘 filed Critical 이양춘
Priority to KR20-2003-0010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1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1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류구이용 화로에 관한 것으로, 육류구이용 화로에 있어서, 하단이 밀폐된 통형상으로 상단은 외측으로 절곡된 상주연날개를 갖고 상주연날개 양측 하단에는 손잡이링이 체결되는 고리구멍을 갖는 링고리를 갖으며 몸체 외측면 하부 다수 곳에 용접되어 하단이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형성된 화로지지각을 갖고 몸체 일측면에는 공기량이 조절되는 개방구멍을 갖으며 몸체 내측 바닥면에 상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물그릇받침돌기를 갖는 화로몸체와, 내측 중앙에 숯이 적층된 숯통이 끼움결합되고 내측바닥면은 하부로 돌출되어 내부에는 물이 충진되고 하단면은 화로몸체의 물그릇받침돌기 상단에 얹혀지며 상단부에 육류구이판의 원주연부가 걸쳐져 고정되는 구이판재치부가 형성된 물그릇을 구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저가이면서 숯의 화력에 따라 숯통과 화로몸체로 육류구이판이 놓이는 위치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어 취식자가 고기가 익는 속도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와 조립이 손쉬워 청소가 수월하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육류구이용 화로{brazier fo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본 고안은 육류구이용 화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저가이면서 숯의 화력에 따라 숯통과 화로몸체로 육류구이판이 놓이는 위치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어 취식자가 고기가 익는 속도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와 조립이 손쉬워 청소가 수월하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육류구이용 화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로(火爐)는 숯불을 담아 놓는 그릇으로, 보통은 고기전문점 등의 식탁 중심측에 놓여지고 그 상단에는 육류구이판을 놓아 고기를 적당히 익혀 취식하는 것이다.
이때, 숯불에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는 식탁의 내부에 장착된 흡입공으로 흡입시키던가, 아니면 상부에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그 일측 선단을 육류구이판 상부에 위치되도록 내려서 냄새 및 연기를 식당 외부로 방출토록 하고있다.
이런 육류구이용 화로가 안착된 식탁의 일측에는 송풍기가 장착되어 화로의 하단으로 공기를 불어 냄으로써 화로 내부 숯불의 화력을 적당히 유지하면서 육류구이판의 고기를 적당히 익혀 취식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숯불의 화력이 너무 강하면 육류구이판에 얹혀진 고기는 금방 익게 되고 익는 속도를 못 따라가는 취식자의 먹는 속도에 의해 일부의 고기는 강한 화력으로 인해 금방 타게 되어 취식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취식자가 송풍장치의 속도를 급히 줄이더라도 화로 내부 숯통에서 발화되는 숯불의 화력은 금방 줄어들지 않고 한동안 화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취식자는 먹는 속도를 숯불의 화력에 맞춰서 빨리 취식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 종래의 화로와 식탁은 각종 배기장치 및 송풍장치 등의 각종 설비가 장착되는 바, 그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구조가 복잡하여 수리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 종래의 식탁에 설치된 화로는 물받침통만이 화로에서 분리되고 나머지는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분해청소가 어려워 기름때로 인해 불결하고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저가이면서 숯의 화력에 따라 숯통과 화로몸체로 육류구이판이 놓이는 위치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어 취식자가 고기가 익는 속도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와 조립이 손쉬워 청소가 수월하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육류구이용 화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육류구이용 화로에 있어서;
하단이 밀폐된 통형상으로 상단은 외측으로 절곡된 상주연날개를 갖고 상주연날개 양측 하단에는 손잡이링이 체결되는 고리구멍을 갖는 링고리를 갖으며 몸체 외측면 하부 다수 곳에 용접되어 하단이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형성된 화로지지각을 갖고 몸체 일측면에는 공기량이 조절되는 개방구멍을 갖으며 몸체 내측 바닥면에 상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물그릇받침돌기를 갖는 화로몸체와;
내측 중앙에 숯이 적층된 숯통이 끼움결합되고 내측바닥면은 하부로 돌출되어 내부에는 물이 충진되고 하단면은 화로몸체의 물그릇받침돌기 상단에 얹혀지며 상단부에 육류구이판의 원주연부가 걸쳐져 고정되는 구이판재치부가 형성된 물그릇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화로몸체의 상주연날개 내측면에는 육류구이판의 원주연부가 걸쳐져 고정되는 구이판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화로몸체의 개방구멍은 일측에 조절안내장공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곡면보상면과, 곡면보상면의 중심에 회전축에 의해 축결합되어 일측은 조절안내장공에 끼워지고 타측은 외측으로 돌출된 댐퍼손잡이를 갖고 개방구멍과 일치되는공기조절구멍이 형성된 댐퍼와, 댐퍼의 양측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댐퍼를 보호하는 댐퍼커버가 형성되며;
중심측에 화로받침설치구멍이 형성된 식탁과;
식탁의 화로받침설치구멍에 걸림고정되어 중앙에 공기순환및 열기순환구멍을 갖고 상단면은 식탁표면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는 화로받침이 더 구비되어 화로받침 중심측에 상기 화로몸체가 안착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화로몸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인 숯통의 구이판재치부에 육류구이판이 얹혀진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일부절취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인 화로몸체의 구이판걸림턱에 육류구이판이 얹혀진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일부절취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육류구이용 화로 10 : 화로몸체
11 : 상주연날개 12 : 물그릇받침돌기
13 : 개방구멍 14 : 화로지지각
15 : 지지돌기 16 : 링고리
17 : 고리구멍 18 : 손잡이링
19 : 구이판걸림턱 20 : 댐퍼
21 : 회전축 22 : 댐퍼손잡이
23 : 공기조절구멍 24 : 댐퍼커버
25 : 곡면보상면 26 : 조절안내장공
30 : 물그릇 31 : 물
32 : 구이판재치부 40 : 숯통
41 : 숯 51,52 : 육류구이판
60 : 화로받침 61 : 공기순환및 열기순환구멍
62 : 경사면 70 : 식탁
71 : 화로받침설치구멍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화로몸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인 숯통의 구이판재치부에 육류구이판이 얹혀진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일부절취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인 화로몸체의 구이판걸림턱에 육류구이판이 얹혀진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일부절취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육류구이용 화로(1)는 일측에 유입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20)를 갖고 상주연날개(11) 내측면에 구이판걸림턱(19)이 형성된 화로몸체(10)와, 물(31)이 충진되고 화로몸체(10) 중심에 끼움결합되는 물그릇(30)과, 숯(41)이 충진되고 물그릇(30) 중심에 끼움결합되는 숯통(40)과, 화로받침설치구멍(71)을 갖는 식탁(70)과, 화로받침설치구멍(71)에 끼워져 바닥면에 화로몸체(10)가 안착되는 화로받침(60)으로 구성된다.
화로몸체(10)는 하단이 밀폐된 통형상의 놋쇠 또는 주물로 형성된 것으로, 상단은 외측으로 절곡된 상주연날개(11)를 갖고, 상주연날개(11) 양측 하단에는 손잡이링(18)이 체결되는 고리구멍(17)이 형성된 링고리(16)를 갖으며, 몸체 외측면 하부 다수 곳에는 용접되어 하단이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5)가 형성된 화로지지각(14)을 갖고, 몸체 일측면에는 공기량이 조절되는 개방구멍(13)을 갖으며, 몸체 내측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물그릇받침돌기(12)가 형성된다.
상기 화로몸체(10)의 상주연날개(11) 내측면에는 육류구이판(51)의 원주연부가 걸쳐져 고정되는 구이판걸림턱(19)이 형성된다.
상기 화로몸체(10)의 개방구멍(13)은 일측에 조절안내장공(26)을 형성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곡면보상면(25)과, 곡면보상면(25)의 중심에 회전축(21)에 의해 축결합되어 일측은 조절안내장공(26)에 끼워지고 타측은 외측으로 돌출된 댐퍼손잡이(22)를 갖고 개방구멍(13)과 일치되는 공기조절구멍(23)이 형성된 댐퍼(20)와, 댐퍼(20)의 양측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댐퍼(20)를 보호하는 댐퍼커버(24)가 형성된다.
물그릇(30)은 금속재질로, 내측 중앙에는 숯(41)이 적층된 숯통(40)이 끼움결합되고, 내측바닥면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내부에는 물(31)이 충진되고 하단면은 화로몸체(10)의 물그릇받침돌기(12) 상단에 얹혀지며 상단부에는 육류구이판(52)의 원주연부가 걸쳐져 고정되는 구이판재치부(32)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화로몸체(10)는 중심측에 화로받침설치구멍(71)이 형성된 식탁(70)의 화로받침설치구멍(71)에 걸림고정되어 중앙에 공기순환및열기순환구멍(61)을 갖고 상단면은 식탁상면방향으로 경사면(62)을 갖는 화로받침(60) 중심측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식탁(70)의 화로받침설치구멍(71)에 화로받침(60)을 안착시키고, 화로받침(60)의 공기순환및 열기순환구멍(61)에 중심부가 위치되도록 그 상면에 화로몸체(10)를 안착시키며, 도 2와 같이, 물(31)이 충진된 물그릇(30)을 화로몸체(10)의 물그릇받침돌기(12) 상면에 안착시킨 뒤, 개방된 물그릇(30) 중심부에 화력을 갖는 숯(41)이 충진된 숯통(40)을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물그릇(30)의 구이판재치부(32)에 육류구이판(51)의 원주연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육류구이판(51) 상면에서 고기를 구워 취식하여 어느 정도 빠른 속도로 취식한 다음에는, 화로몸체(10) 일측면의 댐퍼(20)를 작동시켜서 공기순환및 열기순환구멍(61)을 통해 숯통(40)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줄이면 된다.
이때, 사용자는 댐퍼손잡이(22)를 잡고 회전축(21)을 축으로 댐퍼(2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댐퍼(20)의 공기조절구멍(23)은 곡면보상면(25)의 개방구멍(13)과 어긋나면서 개방구멍(13)을 통해 화로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게 되고 공기의 흐름이 없는 숯통(40)의 숯(41)은 점차적으로 화력이 약해지게 된다.
그러나, 이때 숯통(40)의 숯(41)으로 유입되는 유통공기가 차단되더라도 숯(41)불의 화력은 바로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물그릇(30)의 구이판재치부(32)에 안착된 육류구이판(52)보다 조금 커서 화로몸체(10)의 구이판걸림턱(19)에 걸림고정되는 육류구이판(51)을 위치시켜 숯통(40)의 숯(41)불에서 보다 멀어진 육류구이판(51)에서 고기를 구워 취식하면 된다.
이에 따라, 화력이 강한 숯통(40)의 숯(41)불에서 보다 멀리 위치한 화로몸체(10)의 구이판걸림턱(19)에 안착된 육류구이판(51)에 위치한 고기는 그 거리만큼 숯(41)불의 화력이 약하게 미치기 때문에 서서히 익게되고, 사용자는 어느 정도 취식한 후이기 때문에 취식하는 속도를 천천히 하면서 취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댐퍼손잡이(22)를 잡고 댐퍼(20)를 회전축(21)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댐퍼손잡이(22)는 조절안내장공(26)을 따라 이동되어 숯통(40)의 숯(41)불 화력은 점차로 강해지고 사용자는 좀더 강한 숯(41)불로 좀더 빠르게 익는 고기를 취식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의 육류구이용 화로(1)는 경우에 따라 육류구이판(51)(52)의 고정위치를 물그릇(30)의 구이판재치부(32) 또는 화로몸체(10)의 구이판걸림턱(19)으로 이동시키면서 고기의 익는 속도나 시기하는 속도를 적당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육류구이용 화로(1)는 식탁(70)의 화로받침설치구멍(71)에 화로받침(6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숯통(40)과 물그릇(30)이 조립된 화로몸체(10)만을 들어내어 숯(41)불이 붙은 숯통(40)을 물그릇(30)에서 분리한 후, 물그릇(30)과 화로받침(10)과 육류구이판(51)(52)을 각각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저가이면서 숯의 화력에 따라 숯통과 화로몸체로 육류구이판이 놓이는 위치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어 취식자가 고기를 익히고 또한 취식하는 속도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와 조립이 손쉬워 청소가 수월하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육류구이용 화로에 있어서;
    하단이 밀폐된 통형상으로 상단은 외측으로 절곡된 상주연날개(11)를 갖고 상주연날개(11) 양측 하단에는 손잡이링(18)이 체결되는 고리구멍(17)을 갖는 링고리(16)를 갖으며 몸체 외측면 하부 다수 곳에 용접되어 하단이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5)가 형성된 화로지지각(14)을 갖고 몸체 일측면에는 공기량이 조절되는 개방구멍(13)을 갖으며 몸체 내측 바닥면에 상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물그릇받침돌기(12)를 갖는 화로몸체(10)와;
    내측 중앙에 숯(41)이 적층된 숯통(40)이 끼움결합되고 내측바닥면은 하부로 돌출되어 내부에는 물(31)이 충진되고 하단면은 화로몸체(10)의 물그릇받침돌기(12) 상단에 얹혀지며 상단부에 육류구이판(52)의 원주연부가 걸쳐져 고정되는 구이판재치부(32)가 형성된 물그릇(3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용 화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몸체(10)의 상주연날개(110 내측면에는 육류구이판(51)의 원주연부가 걸쳐져 고정되는 구이판걸림턱(19)과;
    상기 화로몸체(10)의 개방구멍(13)은 일측에 조절안내장공(26)을 형성하고외측으로 돌출된 곡면보상면(25)과, 곡면보상면(25)의 중심에 회전축(21)에 의해 축결합되어 일측은 조절안내장공(26)에 끼워지고 타측은 외측으로 돌출된 댐퍼손잡이(22)를 갖고 개방구멍(13)과 일치되는 공기조절구멍(23)이 형성된 댐퍼(20)와, 댐퍼(20)의 양측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댐퍼(20)를 보호하는 댐퍼커버(24)와;
    중심측에 화로받침설치구멍(71)이 형성된 식탁(70)과;
    식탁(70)의 화로받침설치구멍(71)에 걸림고정되어 중앙에 공기순환및 열기순환구멍(61)을 갖고 상단면은 식탁(70)표면방향으로 경사면(62)을 갖는 화로받침(60)이 더 구비되어 화로받침(60) 중심측에 상기 화로몸체(10)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용 화로.
KR20-2003-0010139U 2003-04-03 2003-04-03 육류구이용 화로 KR200319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139U KR200319187Y1 (ko) 2003-04-03 2003-04-03 육류구이용 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139U KR200319187Y1 (ko) 2003-04-03 2003-04-03 육류구이용 화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994A Division KR20040086652A (ko) 2003-04-03 2003-04-03 육류구이용 화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187Y1 true KR200319187Y1 (ko) 2003-07-10

Family

ID=4933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139U KR200319187Y1 (ko) 2003-04-03 2003-04-03 육류구이용 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1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765B1 (ko) 2020-05-28 2021-10-27 배병태 고기구이용 화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765B1 (ko) 2020-05-28 2021-10-27 배병태 고기구이용 화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5179B2 (ja) 焼き器
CA2911929C (en) Fuel efficient grill for direct and indirect cooking
KR100681456B1 (ko) 바베큐용 오븐 조리기
US20160174767A1 (en) Fuel efficient grill for direct and indirect cooking
US11058255B2 (en) Grill using flue
KR101710701B1 (ko) 바비큐 그릴 장치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100896198B1 (ko) 양면팬의 가스 밸브판
KR200407369Y1 (ko) 숯불구이기
KR200319187Y1 (ko) 육류구이용 화로
KR200438301Y1 (ko)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KR20040086652A (ko) 육류구이용 화로
CA2935170C (en) Fuel efficient grill for direct and indirect cooking
KR102332793B1 (ko) 난로형 구이기
KR200493461Y1 (ko) 다기능 화덕
KR20080003396U (ko) 숯불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야외용 숯불구이기
JPH08173327A (ja) 無煙ロースター
KR20170011231A (ko) 로스터용 후드
KR200306126Y1 (ko) 숯불구이기
KR200312305Y1 (ko) 숯불구이기
KR102073752B1 (ko) 바베큐 오븐
JP2006230931A (ja) コンロ用加熱器及びコンロ
KR19980065176U (ko) 구이판 및 상기 구이판을 가지는 다목적 구이기
KR200169890Y1 (ko) 회전식 고기 구이기
KR200232658Y1 (ko) 숯불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