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443Y1 - 교면방수구조 - Google Patents

교면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443Y1
KR200318443Y1 KR20-2003-0009214U KR20030009214U KR200318443Y1 KR 200318443 Y1 KR200318443 Y1 KR 200318443Y1 KR 20030009214 U KR20030009214 U KR 20030009214U KR 200318443 Y1 KR200318443 Y1 KR 200318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waterproof
reinforcing member
laye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형
Original Assignee
인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9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4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4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교면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강상판인 하부구조물에 택코팅되면서 보강부재가 고착되면 아스팔트 매스틱이 포설되도록 이루어진 방수층이 형성되고, 이 방수층에 포장층이 포설되어 교면의 방수구조를 이룸으로써, 작업공정이 간략화되면서 양생 또는 건조 등으로 소요되는 공정간의 지연시간이 최소화됨은 물론 속성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공기의 단축이 유도되고, 우수한 방수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보수공사 시 방수기능이 유지되도록 보강부재의 상면까지만 절삭되고 절삭부위에 대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교면방수구조{Structure of waterproof for constitute upside of bridge}
본 고안은 교량의 교면 방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을 이루는 하부구조물에 신(新)방수공법에 의해 방수층과 포장층이 연속적인 현장 시공이 가능하도록 되어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이 최소화됨은 물론 우수한 방수성능이 지속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교면 포장에는 침투수(浸透水)에 의한 균열 및 파손이최소화되도록 방수공법에 의한 방수층이 하부구조물과 포장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면방수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도1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방수구조에 대해 공법과 더불어 설명하자면, 교면(100)에 방수층(120)을 형성하기 위한 방수공법으로는 대략, 방수재가 콘크리트 교량 슬래브와 같은 하부구조물(110)에 침투되도록 하는 침투식, 고무계 용제형과 아스팔트-합성고무 가열형, 수지계 경화형으로 접착 및 방수를 위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도막식, 개질아스팔트를 함침한 합성섬유재인 부직포가 개재되는 시트(Sheet)식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 침투식은 슬래브와 같은 하부구조물(110)의 균열에 의한 방수기능 상실과 침투가 용이치 않은 고강도의 하부구조물(110)에는 그 이용이 제한되는 등 최근 그 이용이 감소되고 있고, 상기 도막식은 슬래부와 같은 하부구조물(110)이 수분함량의 적정치 이하로 건조되지 않으면 시공이 불가능함은 물론 시공시 경우에 따라 2 ~ 3일 정도의 양생기간이 필요하여 유지보수 공사의 짧은 기간에 완벽한 시공이 어려운 실정이며, 상기 시트식은 하부구조물(110)의 균열에도 우수한 방수성과 포장층(130)과의 접착성 등이 고려되어 그 이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시공 후 지속적인 관리를 요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교면(100)의 보수공사 시 단시간에 공정을 마쳐야 하는 작업시간의 제약 때문에, 택코팅(Tack-coating)만하여 방수기능이 현저히 약화됨과 아울러 교량의 수명이 단축되기도 하였고, 효율적인 보수를 위해 도막방수가 시공되지만 도막방수층(120)의 품질과 규정두께의 현장 관리가 매우 어려웠으며, 방수층(120)과 포장층(130)의 부착 및 마찰저항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포장층(130)이 손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부구조물의 상면에 택코팅되면서 메쉬를 갖는 보강부재가 고착되면 아스팔트 매스틱이 소정두께로 포설되어 이루어진 방수층이 하부구조물과 포장층 사이에 형성되도록 현장 시공되어 그 작업공정이 간략화되면서 양생 또는 건조 등으로 소요되는 공정간의 지연시간이 최소화되어 공기의 단축이 유도되고, 우수한 방수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교량의 교면방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교량의 교면 방수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면 방수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교면 20...하부구조물,
30...방수층 32...택코팅(Tack-Coating),
34...보강부재 36...아스팔트 매스틱,
40...포장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구조물의 상측으로 포장층이 포설되도록 이루어진 교량의 교면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조물과 포장층의 사이에는 하부구조물의 상면에 도포된 택코팅층, 이 택코팅층의 상면에 고착되고 고상체가 망사형상으로 제작된 보강부재, 이 보강부재가 매몰되도록 소정의 두께로 포설된 아스팔트 매스틱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방수층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는 그물눈이 형성되도록 타공 또는 체인링크 방식으로 제작된다.
상기 매스틱은 첨가제, 모래가 포함된 잔골재, 석회석분이 포함된 개질 아스팔트에 이 아스팔트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한 화이버류가 첨가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교면 방수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면의 방수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부분 사시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교면방수구조(10)는 강(鋼)상판 또는 콘크리트 슬래브인 하부구조물(20)의 상측으로 방수층(30)과 포장층(40)이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방수층(30)은 하부구조물(20)의 상면에 택코팅(32)이 도포되고, 이 택코팅(32)의 상면에 강철, 플라스틱, 알루미늄, 유리섬유 등이 포함된 고상체(固狀體)가 망사(網紗)형상으로 엮어서 제작된 보강부재(34)가 고착되며, 이 보강부재(34)가 매몰되면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아스팔트 매스틱(36)이 포설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택코팅(32)은 아스팔트와 물이 혼합되거나 또는 개질아스팔트인 유제(油濟)가 이용되므로 하부구조물(20)에 습기가 함유되어 있어도 유제가 도포되어 교착(膠着)되면 압축공기로 표면의 물기를 불어내어 양생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자연건조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보강부재(34)는 현장에서 요구되는 방수층(30)의 두께가 손쉽게 확보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이 보강부재(34)의 설치로 방수층(30)에 요구되는 별도의 양생시간 없이 즉시 포장층(40)이 포설될 수 있으며, 또한 차후 유지공사 시 시행되는 절삭작업에서 작업의 범위가 보강부재(34)까지 한정되어 작업비용의 저감과 더불어 작업 중에도 방수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필요에 의해 고착부재가 이용되어고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34)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부재에 타공(打孔)이 이루어져 그물눈이 형성되도록 제작되거나, 세장(細長)형의 부재 다수개가 상호 얽히도록 체인링크(chain-link)방식으로 그물눈이 형성되도록 제작된다. 상기 그물눈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선택된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스팔트 매스틱(36)은 개질 아스팔트 또는 아스팔트용 첨가제(添加劑)가 포함된 아스팔트에 모래등의 잔골재, No.200의 체를 통과한 세립골재인 석회석분 등이 혼합되어 조성됨을 기본으로, 아스팔트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천연섬유나 기타 화이버(fiber)가 첨가되어 조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교면방수구조를 작업공정에 의거 간략히 설명한다.
신설 포장의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강상판의 하부구조물(20)의 상면에 택코팅(32)이 이루어지면 보강부재(34)가 고착되고, 이 보강부재(34)가 매몰되도록 포설된 아스팔트 매스틱(36)에 포장층(40)이 포설되면 작업이 완성된다.
유지보수 작업의 경우, 작업이 요구되는 부위가 평삭기로 보강부재(34)까지 절삭되어 일소(一掃)되고, 상기 보강부재(34)에 아스팔트 매스틱(36)과 포장층(40)이 차례로 포설되면 작업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 작업의 각 공정은 필요에 의해 양생과정 등 지연시간이 요구될 수도 있지만, 연속적인 공정으로 작업시간이 최단기화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방수층에 보강부재가 설치되어 일정한 두께의 방수층이 손쉽게 확보되면서 우수한 방수 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공정이 간략화되고, 각 공정에서 요구되는 양생과정 등이 불필요하거나 최소화되어 작업의 지연시간이 단축되면서 연속적인 공정으로 공기(工期)가 축소된다. 또한, 보수작업의 경우 보강부재까지만 절삭이 요구되어 작업 중에도 방수의 기능이 유지됨은 물론 간략화된 공정으로 단시간에 작업이 마무리될 수 있고, 본 고안의 가장 큰 잇점은 현장에서 속성으로 타설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부구조물의 상측으로 포장층이 포설되도록 이루어진 교량의 교면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조물과 포장층의 사이에는 하부구조물의 상면에 도포된 택코팅층, 이 택코팅층의 상면에 고착되고 고상체가 망사형상으로 제작된 보강부재, 이 보강부재가 매몰되도록 소정의 두께로 포설된 아스팔트 매스틱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방수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방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그물눈이 형성되도록 타공 또는 체인링크 방식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방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스틱은 첨가제, 모래가 포함된 잔골재, 석회석분이 포함된 개질 아스팔트에 이 아스팔트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한 화이버류가 첨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방수구조.
KR20-2003-0009214U 2003-03-27 2003-03-27 교면방수구조 KR200318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14U KR200318443Y1 (ko) 2003-03-27 2003-03-27 교면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14U KR200318443Y1 (ko) 2003-03-27 2003-03-27 교면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443Y1 true KR200318443Y1 (ko) 2003-06-28

Family

ID=4940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214U KR200318443Y1 (ko) 2003-03-27 2003-03-27 교면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4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74627B (zh) 一种预防旧水泥路面加铺沥青反射裂缝的接缝构造方法
KR101189549B1 (ko) 아스팔트 포장 균열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및 교량 방수 포장 방법
CN106012743A (zh) 适用于高温差地区的半刚性基层抗裂路面结构及施工方法
KR100505302B1 (ko) 도로 포장 구조물의 보강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도로포장 구조물
CN108086081A (zh) 一种道路维修施工方法
CA2162219A1 (en) Drainage concrete
CN109056453A (zh) 一种工厂预制的自粘型路面贴及其制备、施工方法
KR100886158B1 (ko) 가스 홀을 갖춘 방수시트를 이용하는 방수공법
DK1540083T3 (da) Fremgangsmåde til forstærkning af en med vejbelægning forsynet flade og til at gøre sidstnævnte vandtæt
CN103334364B (zh) 微表路面结构及微表路面施工方法
US6192650B1 (en) Water-resistant mastic membrane
KR100672004B1 (ko) 교면 방수공법
KR200318443Y1 (ko) 교면방수구조
EP0804648A1 (en) A method of produc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KR100991501B1 (ko) 투수콘크리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AU611026B2 (en) Self-adhesive combination web for preventing and making good cracks, especially in asphalt and concrete surfaces
KR101133426B1 (ko) 친환경 수밀성 메가폴리머 콘크리트를 사용한 그라우팅 오버레이 슬림형 도로포장의 보수?보강공법
KR101133427B1 (ko) 친환경 수밀성 메가폴리머 콘크리트를 사용한 고탄성 및 고강성을 갖는 슬림형 도로포장공법
CN205893846U (zh) 适用于高温差地区的半刚性基层抗裂路面结构
KR102199561B1 (ko)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
CN114960331A (zh) 一种刚柔复合式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621355B1 (ko)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존 아스팔트 포장의 박층덧씌우기 공법
ATE329089T1 (de) Verfahren zum verstärken von strassenoberflächen, verstärkte strassenoberfläche und asphaltbeton dafür
KR200424749Y1 (ko) 접착식 교면방수부재
KR101736261B1 (ko) 부직포,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부직포를 이용한 교량의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