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561B1 -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 - Google Patents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561B1
KR102199561B1 KR1020200091482A KR20200091482A KR102199561B1 KR 102199561 B1 KR102199561 B1 KR 102199561B1 KR 1020200091482 A KR1020200091482 A KR 1020200091482A KR 20200091482 A KR20200091482 A KR 20200091482A KR 102199561 B1 KR102199561 B1 KR 102199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waterproof layer
asphalt
waterproofing
ld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하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화이엠씨
김영훈
하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화이엠씨, 김영훈, 하대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화이엠씨
Priority to KR102020009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에 LDPE 필름을 부착한 방수층 보호재를 방수층 상부에 부착시킨 후 아스팔트 포설시 방수층 보호재가 녹으면서 점성이 있는 풀(glue) 형태로 변해서 아스팔트층과 방수층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방수성능 향상은 물론 아스팔트 포장체의 내구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Coating type waterproofing structure using LDPE and non-woven fabric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도막식 교면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팔트층과 방수층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방수성능 향상은 물론 아스팔트 포장체의 내구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교, 철도교 및 보도교 등의 교면(橋面)의 구조는 하부로부터 슬래브, 방수층, 포장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져 있다. 1960∼70년대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슬래브 상면에 직접 아스팔트를 포장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인 슬래브를 보호했는데, 아스팔트 포장을 해도 포장 자체나 이음부로부터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침투수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방수 기능을 갖출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1980년대부터 슬래브 상부에 방수 시공을 하기 시작했는데, 초기에는 방수층의 접착불량 때문에 차량주행의 동하중과 제동으로 인해 방수층이 밀리고 포장층의 들뜸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서 방수 시공을 일시적으로 중단했었다. 그러나 콘크리트 슬래브의 습윤상태에서 되풀이되는 교통하중을 받으면 피로저항이 극단적으로 저하되고, 슬래브에 침투하는 침투수에 의해 포장층과 슬래브의 접착성이 손상되며, 동절기에 염화칼슘 등의 동결방지제를 살포하는 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내부의 철근 및 콘크리트 부식을 촉진시키는 주원인으로 밝혀지게 되면서 1980년대 중반부터 교량 슬래브의 방수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중요성을 다시 깨닫게 되면서, 현재는 교면 포장에서 차수성이 있는 방수층을 두는 교면 방수가 기본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교면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는 침투식, 시트식, 도막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침투식은 슬래브 표면에 액상의 방수제를 도포하여 방수제가 슬래브에 침투되어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시트식은 부직포에 아스팔트를 함침시킨 방수시트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슬래브와 방수시트 사이의 접착력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도막식은 상온형과 가열형으로 분류되는데, 상온형은 캔에 포장된 액상의 도막제를 슬래브 상부에 직접 도포하는 방식으로, 방수층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3회 정도를 도포해야 하므로 가격은 저렴하지만 시공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가열형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SBS 고무와 유화제를 혼합하여 고체 형태로 만들어지고 시공할 때 가열하여 용융된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도막방수제를 바닥면에 포설하면 곧바로 굳으면서 방수층을 형성하게 되므로 시공속도가 빨라서 2000년대 이후 많은 시공현장에서 널리 실시하고 있는 방식이다.
한편, 아스팔트 포장층은 주로 교통하중과 온도변화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구조적 파손이 발생되는데, 반복적인 교통하중은 가장 큰 인장응력으로 작용하여 아스팔트층 하부의 균열 발생을 유도하고 아스팔트와 콘크리트의 피로를 야기하여 결과적으로 포장층에 피로균열을 발생시키며, 온도변화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층에 깊이 방향으로 유도되는 온도 경사에 의한 응력의 차이에 의해 종방향 및 횡방향 균열이 나타나게 되며, 특히 여름철 온도 환경에서 포장체에 소성변형을 유발하여 포장체의 구조적 파괴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아스팔트 포장층의 구조적 파손에 대처하기 위하여 포장층 또는 방수층에 와이어 메쉬, 보강용 토목섬유, 부직포, 유리섬유, 그리드 등을 부착하여 포장체 내의 집중응력을 흡수·완화하는 응력완화 효과에 의해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1212519호 "교면 방수구조 및 교면 방수공법"에서는 도막방수층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부직포와 격자 형상의 그리드라는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한 후에 아스팔트 포장층을 포설하여 시공하는 기술이다. 특허등록 제1736261호 "부직포,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부직포를 이용한 교량의 방수공법"은 바탕면 상부에 아스팔트를 포설하고 그 상부에 부직포를 부착한 다음, 부직포의 상부에 아스팔트 포장층을 포설하는 기술이다. 특허등록 제1860800호 "보강섬유그리드와, 그 보강섬유그리드를 도포하는 도포장치 및 그 보강섬유그리드와 도포장치를 이용한 변형방지 보강 아스팔트 포장 시공방법"은 바탕면과 아스팔트 포장층 사이에 그리드를 부착시키는 기술이다. 특허등록 제2093465호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은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그리드를 부착하고 그 위에 다시 도막방수층을 형성한 후에 방수층 보호재로 부직포를 부착한 다음 아스팔트 포장층을 포설하여 시공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방수층 보호재는 방수층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방수층과 아스팔트 포장체와의 접착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도막방수층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부직포와 격자 형상의 그리드라는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한 후에 아스팔트 포장층을 포설하는 기술 및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그리드를 부착하는 기술은, 방수층 상부에 아스팔트를 포설하고 나서도 방수층 상부에 부착된 방수층 보호재가 녹아서 없어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아스팔트 포장층과 방수층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들 사이에 그대로 남아서 분리막 역할을 하게 되어 오히려 방수층과 아스팔트 포장체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키고 아스팔트 포장층의 내구성 증진에 역행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직포에 LDPE 필름을 부착한 방수층 보호재를 방수층 상부에 부착시킨 후 아스팔트 포설시 방수층 보호재가 녹으면서 점성이 있는 풀(glue) 형태로 변해서 아스팔트층과 방수층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방수성능 향상은 물론 아스팔트 포장체의 내구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는, 콘크리트 바탕면;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에 접착력 향상을 위해 아스팔트 원액과 SBS 고무를 혼합시켜 도포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 상부에 부착된 아스팔트가 함침된 메쉬망; 메쉬망 상부에 일정 두께로 형성된 도막방수층; 도막방수층 상부에 부착한 방수층 보호재; 방수층 보호재 상부에 포설한 아스팔트 포장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방수층 보호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부직포의 상부에 에틸렌을 중합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필름을 일체화시켜 만든 것으로, 아스팔트 포설시 열에 의해 방수층 보호재가 녹아서 풀(glue) 형태로 변해서 아스팔트 포장층과 방수층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준다.
바람직하게는, 도막방수층을 이루는 방수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48∼70 중량부; 석유탄화수소 수지 15∼20 중량부;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합성고무 5∼15 중량부; 파라핀 증류액 용제 5∼10 중량부; 탄산칼슘 2∼1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식 교면방수공법은,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를 청소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상부에 고강도 합성섬유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코팅한 메쉬망을 부착시키는 단계; 메쉬망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 도막방수제 상부에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시키는 단계; 방수층 보호재 상부에 아스팔트를 포설하는 단계를 거쳐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쉬망은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2.0∼10.0㎜ 간격의 격자 형상으로 제직한 후, 역청제로 코팅한 다음,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로 코팅하여 제작된 것으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고점성의 오일 또는 수지 상의 마르텐(marten)에 아스팔텐(Asphaltene)이 분산된 물질이다.
바람직하게는, 메쉬망을 부착시키고, 메쉬망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며, 도막방수제 상부에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시키는 단계는 기계 작업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공법은,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에 메쉬망을 부착시키고 그 위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한 다음, 부직포에 LDPE 필름을 부착한 방수층 보호재를 도막방수제 위에 부착하는 작업을 인력 또는 기계작업을 통해 실시하는 공법으로,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이 충격에는 강하지만 열에 약하다는 점을 활용하여 부직포에 LDPE 필름을 일체로 부착한 방수층 보호재를 사용하는데, 상기 방수층 보호재를 방수층 상부에 부착하고 나서 그 상부에 아스팔트를 포설하면 아스팔트 포설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방수층 보호재가 녹으면서 점성이 매우 강한 풀(glue) 형태로 변해서 아스팔트 포장층과 방수층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아스팔트 포장층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방수층의 방수성능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면방수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교면방수공법을 시행하는 포설기계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교면방수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식 교면방수공법의 기술적 특징은, 방수층 상부에 부착한 부직포에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부착한 방수층 보호재가 아스팔트 포설시 녹으면서 점성이 매우 강한 풀(glue) 형태로 변해서 아스팔트 포장층과 방수층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 아스팔트 포장층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방수층의 방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식 교면방수구조는 토목구조물인 교량의 슬래브(상판)에 시공되는 경우, 콘크리트 바탕면과,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에 접착력 향상을 위해 아스팔트 원액과 SBS 고무를 혼합시켜 도포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41)과, 프라이머층 상부에 부착된 아스팔트가 코팅된 메쉬망(42)과, 메쉬망 상부에 일정 두께로 형성된 도막방수층(43)과, 도막방수층 상부에 부착한 방수층 보호재(44) 및 방수층 보호재 상부에 포설한 아스팔트 포장층(45)이 적층된 구조이다(도 1 참조).
메쉬망(42)은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같은 고강도 합성섬유로 2.0∼10.0㎜ 간격의 격자 형상으로 제직한 후, 역청제 등으로 코팅한 다음, 최종적으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로 코팅하여 제작된 것이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고점성의 오일 또는 수지 상의 물질인 마르텐(marten)에 아스팔텐(Asphaltene)이라는 고분자의 고형물이 분산되어진 것으로, 신축성 및 접착력이 우수하여 방수제와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메쉬망(42)이 콘크리트 바탕면과 방수층(43)을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막방수층을 이루는 방수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48∼70 중량부와, 석유탄화수소 수지 15∼20 중량부와,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합성고무 5∼15 중량부와, 파라핀 증류액 용제 5∼10 중량부 및 탄산칼슘 2∼10 중량부를 혼합한 것으로, 품질이 고르며 일정한 가황속도, 탄성력, 열에 강하고 쉽게 마모되지 않으며, 우수한 방수성능과 변질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합성고무는 아스팔트 조성물의 균열 발생을 억제하고 방수성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석유 탄화수소 수지는 고온에서의 내유동성 및 저온에서의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15 중량부 보다 적게 혼합하면 석유 탄화수소 수지에 의한 개질 효과가 미미하고, 20 중량부보다 많은 양을 혼합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혼합물 제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파라핀 증류액(distillate)은 혼합 상용화제로써 가교제 역할을 하는데, 파라핀 증류액은 연화점 미만의 온도에서 아스팔트 방수제를 겔(gel)상태로 유지시켜주고 탄성 및 유연성을 더해 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탄산칼슘은 내알칼리 기능을 향상시키고 흡수율을 높여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혼합물의 압축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수층 보호재(44)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부직포의 상부에 에틸렌을 중합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필름을 부착하여 일체화시켜 만든 것으로, 방수층 보호재(44)는 유연성이 매우 우수하여 아스팔트 포설시 방수층 위로 작업차량이 이동할 때 작업차량에 의해 방수층의 방수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 주면서 방수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아스팔트를 포설하는 온도가 130∼160℃ 정도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고온의 포설 온도에 의해 방수층 보호재(44)가 녹아서 형태가 없어지면서 풀(glue) 형태로 변해서 아스팔트 포장층(45)과 방수층(43)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방수층 보호재(44)는 LDPE를 부착하지 않은 부직포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방수제와 메쉬망 및 프라이머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라는 동일한 재질이 함유되어 있어서 이들 사이의 접착력이 매우 강하고, 방수층 보호재(44)가 점성이 매우 강한 풀(glue) 형태로 변해서 방수층(43)과 아스팔트 포장층(45) 사이를 접착시켜 주기 때문에 교면방수구조 자체가 접착력이 매우 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식 교면방수공법은,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를 청소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S2), 프라이머가 도포된 상부에 고강도 합성섬유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코팅한 메쉬망을 부착시키는 단계(S3), 메쉬망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S4), 도막방수제 상부에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시키는 단계(S5), 방수층 보호재 상부에 아스팔트를 포설하는 단계(S6)를 거쳐서 시공한다.
메쉬망(42)을 부착시키고, 메쉬망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며, 도막방수제 상부에 방수층 보호재(44)를 부착시키는 단계는 기계 작업을 통해 연속적으로 시행할 수도 있고, 작업자가 인력으로 순차적으로 시행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기계 작업에 의해 교면방수공법을 시행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S2 단계를 시행한 후에 포설장비가 일정 속도로 진행하면서 메쉬망거치대(10)에 권취된 메쉬망을 풀어 주면서 포설장비에 설치된 제1롤러(11)로 눌러서 접착제인 프라이머가 도포된 콘크리트 바탕면에 메쉬망을 부착시키고, 방수제 저장탱크(20)에 저장된 도막방수제(21)를 메쉬망 상부에 일정 두께로 도포한다. 이때 방수제 저장탱크(20)에서 토출된 도막방수제(21)가 바탕면 상부에 도포된 후에 방수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스퀴즈(25)로 조절해 주게 되며, 스퀴즈(25)의 양단(兩端)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가이드(미도시)에 의해 도막방수제(21)가 도포되는 폭을 규제해 주게 된다. 또한, 방수제 저장탱크(20) 후미에 설치된 방수층 보호재거치대(30)에 권취된 방수층 보호재를 풀어 주면서 포설장비에 설치된 제2롤러(31)로 방수층 보호재를 눌러서 방수층 상부에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시킨다. 이와 같은 작업은 일련의 작업으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막식 교면방수공법에 따라 설치한 교면방수구조로 교면의 피로균열과 소성변형 평가를 위하여 휠트래킹 시험을 진행한 결과를 설명한다.
휠트래킹 시험은 온도 60℃, 반복주행 재하(載荷) 70㎏, 재하속도 42회/분 시험조건으로 시험하였으며, 공시체 표면이 시험온도인 60±0.5℃가 될 때가지 정치시키고 온도가 안정된 후 시험바퀴를 직진 주행시켰다. 이 때 가해진 시험바퀴의 하중은 70±1㎏으로 하였으며, 공시체의 다짐방향에 대하여 중심선을 따라 주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시험바퀴는 공시체 중앙부를 42±1회/분의 속도로 수평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켰으며, 주행거리는 230±10㎜이다
[휠트랙킹 시험결과]
변형량의 측정은 최초에 중심부를 통과한 때의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을 원점으로 하며 이때 변형량은 시험바퀴의 주행범위 중앙에서 측정한다. 즉 휠트랙킹 시험결과는 변형량(침하량) - 시간(또는 재하회수) 관계 곡선에서 변형량 증가율이 거의 일정하게 되는 45분에서 60분까지의 15분간 주행의 변형량을 취하여, 이것을 변형율(RD, Rate of Deformation. ㎜/min)로 나타낸다. 이때 1㎜ 변형하는데 소요되는 차륜의 통과회수로 나타낸 것을 동적안정도(DS, Dynamic Stability. 회/㎜)라고 한다. 동적안정도는 다음 식에 대입하여 수치화 할 수 있다.
Figure 112020076943072-pat00001
여기서,
DS = 동적안정도(회/min)
d2 = t2(표준방법에서 45분 시험)에서의 변형량(㎜)
d1 = t1(표준방법에서 60분 시험)에서의 변형량(㎜)
C1 = 체인에 의한 정속구동형의 시험기를 사용한 경우의 보정계수=1.5
크랭크에 의한 변속구동형읜 시험기를 사용한 경우의 보정계수=1.0
C2 = 현장 절취공시체(폭150㎜)를 사용한 경우의 보정계수=0.8
실내시험 및 현장에서 제작한 공시체(폭 300㎜)를 사용한 경우의 보정계수=1.0
휠트랙킹 시험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교통개방 이후에 도로포장에 반복하중(차량 바퀴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소성변형 깊이(Rutting depth)에 따른 동적안정도를 이용하여 혼합물의 내유동성 및 내구성을 예측할 수 있다. 시험을 통하여 측정한 결과 값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휠트래킹 비교시험 결과
구 분 최대침하량(60분) (㎜) 동적안정도 (회/㎜)
No. 1 No. 2 평 균 No. 1 No. 2 평 균
본발명 제품 1,384 1,438 1,411 1,632 1,570 1,601
비교 1 1,486 1,452 1,469 1,582 1,564 1,573
비교 2 1,569 1,532 1,550 1,423 1,476 1,449
비교 3 1,593 1,617 1,605 1,392 1,392 1,389
위 시험결과를 나타낸 [표1]에서 살펴보면, 본 발명 제품의 시험결과는 최종 침하량이 기존의 제품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내구성능을 나타내는 동적안정도는 기존 제품보다 매우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개발 기술을 이용하여 도막방수제의 시공에 따른 동적안정도의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휠트랙킹 시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도막방수제의 시공에 다른 소성변형의 저항 성능이 향상되었다고 단언할 수는 없으나, 최종침하 깊이에 따른 동적안정도를 고려했을 때 도막방수제가 혼합물의 균열저항에 따른 초기 소성변형을 지연시켜 동적안정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부착력 시험]
⑴ 시험방법
차량통행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하중이 작용할 때 도막방수제의 부착강도가 낮을 경우 방수층과 아스팔트 포장층의 경계면에서 도막방수제가 분리되어 탈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막방수제의 일체화 성능에 대한 평가로서 부착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부착강도 시험 공시체는 300×300×50㎜의 치수로 제작된 콘크리트 포장체 위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한 후 그 위에 아스팔트 포장(아스콘)을 5㎝ 높이로 포설한다. 코아 컷터로 100×100×50㎜ 크기의 3곳을 적당한 간격으로 절삭한 후 상부 인장용 지그에 접착제를 발라서 접착시킨 후 24시간 경화시킨다. 부착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료면에 수직방향으로 1kgf/㎠/sec의 하중 속도로 인장력을 가해 최대 인장하중을 구한다.
2)부착강도 시험결과
본 시험에서는 도막방수재를 시공한 시편과 시공하지 않은 시편의 부착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부착강도 시험결과는 [표2]에 나타나 있다.
부착강도 비교시험 결과
구 분 부착강도(㎫)
No. 1 No. 2 No. 3 평 균
본발명 제품 2.3 2.4 2.3 2.33
비교 1 2.1 2.0 2.1 2.07
비교 2 1.9 2.0 2.1 2.00
비교 3 1.82 1.95 1.97 1.91
부착강도 시험결과는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면방수공법에 따라 제작한 시편의 부착강도가 2.33MPa로 개발목표치 2.0MPa를 만족하여 부착성이 매우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메쉬망 거치대 11 : 제1롤러
20 : 방수제 저장탱크 21 : 도막방수제
25 : 스퀴즈
30 : 방수층 보호재거치대 31 : 제2롤러
41 : 프라이머층 42 : 메쉬망
43 : 방수층 44 : 방수층 보호재
45 : 아스팔트 포장층

Claims (9)

  1. 콘크리트 바탕면;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에 접착력 향상을 위해 아스팔트 원액과 SBS 고무를 혼합시켜 도포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부착된 아스팔트가 함침된 메쉬망;
    상기 메쉬망 상부에 일정 두께로 형성된 도막방수층;
    상기 도막방수층 상부에 부착한 방수층 보호재;
    상기 방수층 보호재 상부에 포설한 아스팔트 포장층;
    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막방수층을 이루는 방수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48∼70 중량부;
    석유탄화수소 수지 15∼20 중량부;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합성고무 5∼15 중량부;
    파라핀 증류액 용제 5∼10 중량부;
    탄산칼슘 2∼10 중량부;
    를 혼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보호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부직포의 상부에 에틸렌을 중합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필름을 일체화시켜 만든 것으로,
    아스팔트 포설시 열에 의해 방수층 보호재가 녹아서 풀(glue) 형태로 변해서 아스팔트 포장층과 방수층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보호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4. 삭제
  5.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를 청소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바탕면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상부에 고강도 합성섬유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코팅한 메쉬망을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메쉬망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막방수제 상부에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방수층 보호재 상부에 아스팔트를 포설하는 단계;
    를 거쳐서 시공하며, 상기 도막방수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48∼70 중량부;
    석유탄화수소 수지 15∼20 중량부;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합성고무 5∼15 중량부;
    파라핀 증류액 용제 5∼10 중량부;
    탄산칼슘 2∼10 중량부;
    를 혼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은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2.0∼10.0㎜ 간격의 격자 형상으로 제직한 후, 역청제로 코팅한 다음,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로 코팅하여 제작된 것으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고점성의 오일 또는 수지 상의 마르텐(marten)에 아스팔텐(Asphaltene)이 분산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공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보호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부직포의 상부에 에틸렌을 중합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을 부착하여 일체화시켜 만든 것으로,
    아스팔트 포설시 열에 의해 방수층 보호재가 녹아서 풀(glue) 형태로 변해서 아스팔트 포장층과 방수층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공법.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을 부착시키고, 메쉬망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며, 도막방수제 상부에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시키는 단계는 기계 작업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공법.
KR1020200091482A 2020-07-23 2020-07-23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 KR102199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482A KR102199561B1 (ko) 2020-07-23 2020-07-23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482A KR102199561B1 (ko) 2020-07-23 2020-07-23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561B1 true KR102199561B1 (ko) 2021-01-07

Family

ID=7412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482A KR102199561B1 (ko) 2020-07-23 2020-07-23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378B1 (ko) * 2021-08-30 2022-08-25 주식회사 명화이엠씨 아스팔트 및 라텍스가 함침된 메쉬를 이용한 교량 복합 시트 방수층 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74B1 (ko) * 2006-02-27 2007-06-04 김용호 방수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028144B1 (ko) * 2008-07-31 2011-04-08 한경희 교량 표면 방수 공법
KR101212519B1 (ko) * 2012-02-10 2012-12-18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교면 방수구조 및 교면 방수공법
KR101256108B1 (ko) * 2013-01-09 2013-05-02 주식회사 큐맥스 교면방수공법
KR101712845B1 (ko) * 2016-09-26 2017-03-07 (유)이지스건설 도막방수와 그리드를 이용한 교면 방수구조
KR101756186B1 (ko) * 2016-10-25 2017-07-11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시트식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 2층 방수층 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74B1 (ko) * 2006-02-27 2007-06-04 김용호 방수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028144B1 (ko) * 2008-07-31 2011-04-08 한경희 교량 표면 방수 공법
KR101212519B1 (ko) * 2012-02-10 2012-12-18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교면 방수구조 및 교면 방수공법
KR101256108B1 (ko) * 2013-01-09 2013-05-02 주식회사 큐맥스 교면방수공법
KR101712845B1 (ko) * 2016-09-26 2017-03-07 (유)이지스건설 도막방수와 그리드를 이용한 교면 방수구조
KR101756186B1 (ko) * 2016-10-25 2017-07-11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시트식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 2층 방수층 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378B1 (ko) * 2021-08-30 2022-08-25 주식회사 명화이엠씨 아스팔트 및 라텍스가 함침된 메쉬를 이용한 교량 복합 시트 방수층 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163B1 (ko) 카보팔트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소성변형 방지 공법
KR101256108B1 (ko) 교면방수공법
KR101798443B1 (ko) Sbs 개질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EP0784722B1 (en) Stress absorbing composite for road repair
KR101712845B1 (ko) 도막방수와 그리드를 이용한 교면 방수구조
KR101189549B1 (ko) 아스팔트 포장 균열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및 교량 방수 포장 방법
Nithin et al. State-of-the art summary of geosynthetic interlayer systems for retarding the reflective cracking
KR102002499B1 (ko) 교면 방수용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과 시공장치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EP3686344A1 (en) Waterproofing paving fabric interlayer system and method of waterproofing, repairing or constructing a roadway
KR102199977B1 (ko) 포장층과 방수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교량 상판 방수구조 및 교량 상판 방수공법
RU2347031C2 (ru) Способ упрочнения и гидроизоляции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варианты)
KR102041901B1 (ko) 덧씌우기 복합 방수구조
KR101953381B1 (ko) 택코팅용 섬유융착코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US5827008A (en) Pavement sealing product and method
KR102199561B1 (ko) Ldpe 및 부직포를 이용한 도막식 교면방수구조 및 교면방수공법
CN101487216A (zh) 提高沥青面层与水泥稳定基层界面连接强度的结构和方法
KR101955570B1 (ko) 아스팔트섬유보강재가 일체 형성된 택코팅용 섬유융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KR100886158B1 (ko) 가스 홀을 갖춘 방수시트를 이용하는 방수공법
KR100672004B1 (ko) 교면 방수공법
KR102149220B1 (ko) 현장제작 방수시트를 이용한 3중 복합식 방수 공법
US20230088563A1 (en) Asphalt reinforcement comprising asphalt emulsion-impregnated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repairing pavement using the same
AU611026B2 (en) Self-adhesive combination web for preventing and making good cracks, especially in asphalt and concrete surfaces
US3608444A (en) Pavement laying or patching with aggregate,fabric,and adhesive
KR100724163B1 (ko)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도로 또는 교면의 포장 또는보수공법
KR102431798B1 (ko) 아스팔트 함침 부직포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보강재를 이용한 포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