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221Y1 - 상품권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상품권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221Y1
KR200316221Y1 KR20-2002-0017765U KR20020017765U KR200316221Y1 KR 200316221 Y1 KR200316221 Y1 KR 200316221Y1 KR 20020017765 U KR20020017765 U KR 20020017765U KR 200316221 Y1 KR200316221 Y1 KR 200316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upport plate
gift certificate
holding mean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욱
Original Assignee
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욱 filed Critical 강욱
Priority to KR20-2002-0017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2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0Elements, e.g. fingers, plates, rollers, inserted or traversed between articles to be separated and remainder of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러의 일측 하방에 받침판이 경사 밀착되고 압지수단을 구비하여 상품권의 하단이 롤러의 중심부 하방으로 구부러들어 상품권이 한장씩만 취출되도록 구성하여 자동운용에 있어서 신뢰감을 확보하도록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배출수량에 오류발생이 많아 자동운용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품권을 취출하기 위한 롤러와, 상기 롤러의 샤프트와, 상기 롤러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과, 상기 롤러의 일측 하방에 일단부가 소정각도로 경사 접촉되며, 상품권의 일단을 받혀주기 위하여 지지봉에 지지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지지되며 상기 받침판에 세워지는 상품권을 롤러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압지수단과, 상기 압지수단의 일측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압지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과 프레임의 소정위치 사이에 지지되어 상기 받침판의 하단부를 롤러에 밀착시키기 위한 스프링2와, 상기 받침판에 세워지는 상품권을 소정 경사각도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와, 상기 롤러에 의하여 취출되는 상품권이 낙하되어 배출되기 위한 배출대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상품권 배출장치{A EJECTOR FOR EXCHANGE TICKET}
본 고안은 상품권 등의 지엽류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롤러의 일측 하방에 받침판이 경사 밀착되고 압지수단을 구비하여 상품권의 하단이 롤러의 중심부 하방으로 구부러들어 상품권이 한장씩만 취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여 자동운용에 있어서 신뢰감을 확보하도록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권 등의 지엽류(이하 "상품권"이라 칭함) 배출기는 상품권 등을 영업 마켓팅 전략의 일환으로 연계된 프로그램 등에 의하여 자동배출시켜 지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물건을 구입할 경우 옵션식으로 상품권을 지급하기 위하여 그 특정 물건의 자동판매기에 연계 설치되거나, 게임에서 소정의 성적을 거둘 경우 부상으로 상품권이 주어지기 위하여 게임기 등에 연계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품권 배출기는 연계 프로그램에 의하여 한장 또는 다수장이 배출되게 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배출수량에 오류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상품권 배출기(100)는 상품권(2)을 취출하기 위한 롤러(110)의 중심 최외측점에 상품권의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수평상으로 구성된 받침판(120)에 상품권이 탑재되어 롤러 회동시 상품권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상품권(2)과 롤러(110)의 접촉면이 좁고 뒷쪽에 대기중인 상품권이 롤러에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배출수량의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롤러에 접촉되는 상품권의 면적이 선단에 그침으로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한편, 뒤쪽으로 적재된 상품권이 하방으로 처지면서 롤러에 접촉되어 한꺼번에 두장 또는 그 이상의 수량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품권 배출기가 무인 자동제어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그 운용에 치명적인 문제점으로 작용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품권을 배출시킴에 있어서, 롤러의 일측 하방에 받침판이 경사 밀착되고 압지수단을 구비하여 상품권의 하단이 롤러의 중심부 하방으로 구부러들게 하는 구성으로서,
상품권의 취출이 한장씩만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출수량의 오류 발생이 방지됨과 아울러,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하여 자동배출되는 배출기 운용에 있어서 신뢰감을 확보하도록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생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부 상세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상품권 배출장치 2: 상품권
10: 구동수단 11: 롤러
13: 샤프트 15: 모터
20: 받침판 21: 지지봉
22: 지지부 23: 압지수단 지지부
25: 가이드웨이 26: 하방돌조
30; 압지수단 31: 가압자
33: 가압추 35: 가이드 돌조
41: 스프링1 43: 스프링2
50: 프레임 51: 가이드
53: 배출대 60: 광센서
100: 종래 기술의 상품권 배출장치 110; 롤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는,
상품권을 취출하기 위한 롤러와, 상기 롤러의 샤프트와, 상기 롤러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과;
상기 롤러의 일측 하방에 일단부가 소정각도로 경사 접촉되며, 상품권의 일단을 받혀주기 위하여 지지봉에 지지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지지되며 상기 받침판에 세워지는 상품권을 롤러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압지수단과;
상기 압지수단의 일측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압지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과 프레임의 소정위치 사이에 지지되어 상기 받침판의 하단부를 롤러에 밀착시키기 위한 스프링2와;
상기 받침판에 세워지는 상품권을 소정 경사각도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와;
상기 롤러에 의하여 취출되는 상품권이 낙하되어 배출되기 위한 배출대와:
상기 구동수단, 받침판의 지지봉, 스프링1, 스프링2, 가이드, 배출대를 지지하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압지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압지수단 지지부와, 후술하는 가이드 돌조가 끼워져 왕복되기 위한 가이드웨이를 구비하고,
상기 압지수단은 봉상의 가압자와 상기 가압자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가압추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자의 소정위치에 압지수단의 가이드기능과 상기 스프링1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돌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출대의 일측에는 상품권의 배출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동모터는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게임기의 프로그램에 연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동모터는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자동판매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상품권 배출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상품권 배출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권(2)을 취출하기 위한 롤러(11)와, 상기 롤러(11)의 샤프트(13)와, 상기 롤러(11)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모터(15)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10), 상품권을 받혀주기 위한 받침판(20), 상품권(2)을 롤러(11)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압지수단(30), 상기 압지수단(30)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41), 상기 받침판(20)의 하단부를 롤러(11)에 밀착시키기 위한 스프링2(43), 상품권을 소정 경사각도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51), 배출대(53), 및 프레임(50)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상기 받침판(20)은 롤러(11)의 일측 하방에 일단부가 소정 각도로 경사 접촉되어 상품권(2)이 롤러에 의하여 취출되도록 상품권을 롤러(11)에 밀착시키며,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봉(21)에 결합된다.
상기 받침판(20)은 상기 지지봉(21)에 결합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22)와, 상기 압지수단(30)을 지지하기 위한 압지수단 지지부(23)와, 후술하는 압지수단(30)의 가이드 돌조(35)가 끼워져 왕복되기 위한 가이드웨이(25)를 구비하였다.
상기 압지수단(30)은 상기 받침판의 압지수단 지지부(23)에 지지되며, 봉상의 가압자(31)와 상기 가압자(3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가압추(33)로 이루어지고,상기 가압자(31)의 소정위치에 압지수단(30)의 가이드기능과 상기 스프링1(41)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돌조(35)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지수단(30)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41)은 상기 압지수단의 가이드돌조(35)와 상기 받침판(20)의 하방에 돌조(26)를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지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스프링2(43)는 상기 받침판(20)의 일측과 프레임(50)의 소정 위치 사이에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받침판의 지지봉(21)을 중심으로 받침판(20)의 하단부가 상향되어 롤러(11)에 밀착되도록 하였다.
상품권을 소정각도로 경사 지지하기 위한 상기 다수의 가이드(51)는 프레임(50)의 소정위치에 봉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가이드(5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배출대(53)의 일측에는 상품권의 배출을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6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동모터(15)는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게임기의 프로그램에 연계 구성되어 게임기에 부설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게임프로그램이 게임자가 소정의 점수를 올리게 되면 상기 구동수단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도록 설계되어 모터를 소정 시간동안 작동시킴으로 상품권이 한 장 또는 두 장 또는 그 이상 자동 배출되도록 제어된다.
본 고안의 일 시시예로서,상기 구동모터(15)는 동전투입 또는 지폐투입 신호를 받는 자동판매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상품권 배출장치의 작용상태를 살펴 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이는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1)의 일측 하방에 상품권이 탑재되는 받침판(20)의 하단부가 소정 경사각으로 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여기에 세워지는 상품권(2) 중 롤러에 접하고 있는 한장의 하단이 롤러(11)에 밀착된다.
이 때, 상품권(2)의 하단은 롤러(11)의 하방에 위치되고 여기에 상기 압지수단(30)의 가압자(31)가 상품권의 하단부를 롤러(11)쪽으로 밀어줌으로 상품권의 하단은 롤러(11)의 하방으로 밀착되어 롤러 구동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판(20)이 경사형성되어 받침판에 세워지는 상품권(2)은 롤러(11)에서 뒤로 갈수록 하단의 위치가 올라가게 적재됨으로 롤러에는 언제나 한장의 상품권만 접촉되고, 이에 따라서 취출시 한 장 이상이 배출될 염려가 없다.
즉, 상품권(2)은 롤러(11)의 하방에 위치되며, 롤러와 단 한장만 접촉되게 되는 것이다.
상품권이 취출되는 동안에는 상기 받침판(20)이 상기 지지봉(21)을 중심으로 롤러(11)와의 사이에 상품권(2)의 두께만큼 벌어졌다가 롤러의 취출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스프링2(43)의 탄력에 의하여 복귀된다.
또한, 상기 압지수단(30)은 상품권의 장수가 줄어들 경우에도 상기 가압추(33)의 자중과 상기 스프링1(41)의 탄력으로 상품권(2)에 압력을 가하여 롤러(11)에 접촉되게 한다.
상기 스프링1(41)은 상기 가압추(33)가 자중에 의하여 뒤로 넘어가는 것을잡아주는 기능도 갖는다.
상기 광센서(60)는 상품권의 배출 여부, 배출수량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게임기에 장착시킬 경우, 게임자가 소정의 점수를 올리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신호를 보내도록 설계된 게임프로그램과 연결됨으로써 게임 부상으로서 상품권이 배출되도록 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상품권을 배출시킴에 있어서, 롤러의 일측 하방에 받침판이 경사 밀착되고 압지수단을 구비하여 상품권의 하단이 롤러의 중심부 하방으로 구부러들게 하여 상품권이 정확하게 한장씩만 취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수량의 오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는,
상품권을 배출시킴에 있어서, 롤러의 일측 하방에 받침판이 경사 밀착되고 압지수단을 구비하여 상품권의 하단이 롤러의 중심부 하방으로 구부러들게 하여 상품권이 한장씩만 취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품권 배출수량의 오류 발생을 방지, 정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하여 자동배출되는 배출기 운용에 있어서 신뢰감을 확보하도록 하는 잇점을 갖는 기술이다.

Claims (5)

  1. 상품권을 취출하기 위한 롤러와, 상기 롤러의 샤프트와, 상기 롤러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과;
    상기 롤러의 일측 하방에 일단부가 소정각도로 경사 접촉되며, 상품권의 일단을 받혀주기 위하여 지지봉에 지지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지지되며 상기 받침판에 세워지는 상품권을 롤러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압지수단과;
    상기 압지수단의 일측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압지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과 프레임의 소정위치 사이에 지지되어 상기 받침판의 하단부를 롤러에 밀착시키기 위한 스프링2와;
    상기 받침판에 세워지는 상품권을 소정 경사각도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와;
    상기 롤러에 의하여 취출되는 상품권이 낙하되어 배출되기 위한 배출대와:
    상기 구동수단, 받침판의 지지봉, 스프링1, 스프링2, 가이드, 배출대를 지지하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압지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압지수단 지지부와, 후술하는 가이드 돌조가 끼워져 왕복되기 위한 가이드웨이를 구비하고,
    상기 압지수단은 봉상의 가압자와 상기 가압자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가압추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자의 소정위치에 압지수단의 가이드기능과 상기 스프링1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돌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의 일측에는 상품권의 배출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게임기의 프로그램에 연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자동판매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
KR20-2002-0017765U 2002-06-11 2002-06-11 상품권 배출장치 KR200316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765U KR200316221Y1 (ko) 2002-06-11 2002-06-11 상품권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765U KR200316221Y1 (ko) 2002-06-11 2002-06-11 상품권 배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635A Division KR20030095111A (ko) 2002-06-11 2002-06-11 상품권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221Y1 true KR200316221Y1 (ko) 2003-06-12

Family

ID=4933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765U KR200316221Y1 (ko) 2002-06-11 2002-06-11 상품권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2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74B1 (ko) 2006-11-13 2008-02-26 (주)코인빌 카드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74B1 (ko) 2006-11-13 2008-02-26 (주)코인빌 카드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559B1 (ko) 게임기의 메달 받침 접시 및 메달 게임기
KR100879171B1 (ko) 게임기
JP3967391B2 (ja) プッシャーゲーム装置
JP4027812B2 (ja) 遊技機用基板
KR200316221Y1 (ko) 상품권 배출장치
JP3916111B2 (ja) メダルプッシャーゲーム機
JP2004113611A (ja) 弾球遊技機
KR20030095111A (ko) 상품권 배출장치
KR100710796B1 (ko) 게임기
JP4398625B2 (ja) 遊技媒体補給装置
JP2003210790A (ja) パチンコ遊技機
JPH052224Y2 (ko)
JP2003180969A (ja) 弾球遊技機
JP2706804B2 (ja) 弾球遊技機
JP3054087B2 (ja) メダル供給装置
JP2002172237A (ja) パチンコ遊技機
JP3023581U (ja) カード類の払出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ゲーム機
JPH0241015Y2 (ko)
KR200363487Y1 (ko) 상품권의 자동배출제어장치의 상품권 수용부의 폭 조절구조
JP3231387B2 (ja) 遊技機
KR950004413Y1 (ko) 지폐 지급기의 지폐자동인도장치
JP2668720B2 (ja) 弾球遊技機
JP2747712B2 (ja) 弾球遊技機
JP2000288198A (ja) パチンコ機の球誘導樋
JP3168033U (ja) 景品獲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