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482Y1 -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482Y1
KR200315482Y1 KR20-2003-0008347U KR20030008347U KR200315482Y1 KR 200315482 Y1 KR200315482 Y1 KR 200315482Y1 KR 20030008347 U KR20030008347 U KR 20030008347U KR 200315482 Y1 KR200315482 Y1 KR 200315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pring member
spring
presen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운
Original Assignee
이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운 filed Critical 이강운
Priority to KR20-2003-0008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4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3Attachments or mountings comprising inserts and spacers between the windings for changing the mechanical o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1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e.g. comprising materials providing for particular spr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에 장착되는 지지부재(100)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각각이 연이어 형성되는 상부부재(130)와 하부부재(160)를 가진다. 각각의 상부부재(130) 및 하부부재(160)는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이 관통하는 관통부(135)(165)를 각각 가진다. 또한 상기 관통부(135)(165)의 주위부의 일 곳(138)(168)은 절단되어 있다.

Description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Holding member for holding elastic rod of spring member on suspension}
본 고안은 차량의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본 고안에 따라서, 차량의 승차감 및 차량의 코너링(cornering)시 발생하는 쏠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차량이 노면 등에서 받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차량에는 현가장치(suspension)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승용차에서 많이 사용되는 맥퍼슨 타입(MacPherson type)의 현가장치(10)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장치(10)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13)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 진동의 감쇄(damping)를 촉진하기 위하여 쇽 압서버(11)를 가진다.
차량의 운전자는 운전시 승차감을 개선할 필요성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진동이 오래 지속된다고 느끼어 그 개선을 원하는 경우가 있다. 다른 예로서는 차량의 코너링(cornering)시 바깥쪽으로 쏠림이 심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다.
통상의 경우, 메이커에서 출고되는 차량의 현가장치는 이미 고정된 것으로서, 위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하여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만일 간단한 부재를 종래의 차량의 현가장치에 부착하여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의 지속 및 코너링시의 쏠림을 개선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욕구를 만족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현가장치의 부품의 교체 없이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를 현가장치의 스프링에 장착하여, 차량의 진동시간을 줄이고 또한 코너링시의 쏠림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의 탄성간에 장착되는 지지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폴리우레탄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이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관통부를 감싸는 주위부는 일 곳에서 절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특별히,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가 상하로 연이어 붙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현가장치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간 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상기 탄성간 지지부재를 현가장치의 스프링에 장착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지지부재 130: 상부부재
160: 하부부재 135, 165: 관통부
138, 168: 절단부 10: 현가장치
11: 쇽압서버 13: 스프링 부재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100)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100)는 폴리우레탄재질로 만들어지며 각각이 연이어 형성되는 상부몸체(130)와 하부몸체(160)를 가진다. 상기 상부몸체(130)에는 현가장치의 스프링(13)의 탄성간(elastic rod)이 관통하는 관통부(13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60)에는 상기 스프링(13)의 다른 탄성간이 관통하는 관통부(165)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몸체(130)의 상기 관통부(135)를 감싸는 주위부의 일 곳(138)은 절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60)의 상기 관통부(165)를 감싸는 주위부의 일 곳(168)은 절단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각각이 연이어 형성되는 상기 상부몸체(130)와 하부몸체(160)는 각각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삼각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100)는 현가장치(10)의 스프링(13)의 탄성간에 장착된다. 도 3을 참고로, 상부몸체(130) 및 하부몸체(160)의 각각의 절단된 곳(138)(168)을 벌린다. 그러면 이들이 감싸는 관통부(135)(165)가 각각 개방이 되며, 여기에 상기 스프링(13)의 탄성간을 끼워 넣는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이는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절단된 곳(138)(168)을 벌린 후 상기 탄성간을 끼워 넣으면 다시 각각의 절단된 곳(138)(168)이 맞붙여지게 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100)를 현가장치(10)의 스프링부재(13)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 부재(13)의 압축과 팽창의 탄성작용을 감소시키게 된다. 즉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을 가지는 지지부재(100)가 스프링 탄성간의 사이에서 지지됨으로써, 스프링 부재의 압축을 방해하고 또한 그 복원을 방해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도 4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그 진동시간이 감소하게 된다. 점선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100)를 장착하기 전이고 실선은 장착 후를 보인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를 경우 도 4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차량이 코너링(cornering)을 하는 경우 그 하중이 쏠리는 측의 현가장치의 스프링의 압축을 방해한다. 즉 Hb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100)를 장착하기 전에는 현가장치에서 하중에 대한 스프링(13)의 압축이 많이 일어남에 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100)를 장착하면 그 압축(Ha)이 현저히 줄어든다. 이에 따라 코너링 시의 쏠림이 현저히 감소한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현가장치(10)의 스프링부재(13)의 탄성간이 관통하는 몸체부는 하나로 형성되어도 족하다. 도 5는 이러한 경우의 실시예를 보인다. 이 경우, 현가장치(10)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200)는 단일의 몸체를 가지며 그 중앙에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이 관통하는 관통공(23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를 감싸는 주위부의 일곳(238)은 절단되어 있다. 이러한 단일의 몸체로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재(200)는 도시된바와 같이 그 절단된 곳(238)을 벌려 상기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13)에 끼워 넣어 장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몸체(200)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차량의 진행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대하여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압축을 방해하게 되어 그 진동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차량의 코너링시 쏠림현상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현가장치 자체의 부품의 교환없이, 간단한 구조로서 현가장치의 스프링에 장착되어 차량의 진동시간을 줄이고 또한 코너링시의 쏠림을 개선하여 전체적으로 차량의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제공한다.
이로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Claims (3)

  1.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폴리우레탄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이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관통부를 감싸는 주위부는 일 곳에서 절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가 상하로 연이어 붙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
KR20-2003-0008347U 2003-03-20 2003-03-20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 KR200315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347U KR200315482Y1 (ko) 2003-03-20 2003-03-20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347U KR200315482Y1 (ko) 2003-03-20 2003-03-20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482Y1 true KR200315482Y1 (ko) 2003-06-02

Family

ID=4940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347U KR200315482Y1 (ko) 2003-03-20 2003-03-20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4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7819A (zh) * 2015-02-05 2015-08-19 苏州中太动力弹簧有限公司 一种弹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7819A (zh) * 2015-02-05 2015-08-19 苏州中太动力弹簧有限公司 一种弹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1923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US8191692B2 (en) Cylinder apparatus
JPH05612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ヨンの取付装置
JP2009535251A (ja) 自動車用スタビライザーバー
US10350955B2 (en) Vehicle body structure for a two-track vehicle
US20110121500A1 (en) Vibration absorber for a vehicle suspension spring
KR200315482Y1 (ko)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
US20040012168A1 (en) Suspension system with magnetic resiliency
KR102187630B1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2452684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부시, 인슐레이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16219B1 (ko) 완충력 조절이 가능한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마운트
KR100527784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시스템
KR102237071B1 (ko) 서브프레임 부시
JP3822292B2 (ja) 車両用懸架装置のダンパマウント
KR102512791B1 (ko) 스태빌라이저 바 부시
KR102131808B1 (ko)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EP0182478A2 (en) Shear mount assembly for a strut-type automotive suspension
KR100471830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0326710B1 (ko) 차량용 에어 스프링
JP2007127172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2418628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20210136283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456885B1 (ko) 후륜 현가 장치의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KR20040000177A (ko) 차량용 쇽 업소버의 상부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