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710B1 - 차량용 에어 스프링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710B1
KR100326710B1 KR1019990020608A KR19990020608A KR100326710B1 KR 100326710 B1 KR100326710 B1 KR 100326710B1 KR 1019990020608 A KR1019990020608 A KR 1019990020608A KR 19990020608 A KR19990020608 A KR 19990020608A KR 100326710 B1 KR100326710 B1 KR 100326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ston
air spring
spring
bell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410A (ko
Inventor
박형철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2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71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3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 B60G11/4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flui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2Mechanical
    • B60G2204/83022Mechanical using cables, wire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별도의 지지부재 없이도 에어 스프링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공간이 협소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장착부에서의 장착상을 향상시킨 차량용 에어 스프링을 제공할 목적으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리프 스프링에 장착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밀폐 접합되어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에어 벨로즈로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 스프링에서,
상기 에어 스프링은 피스톤과 에어 벨로즈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일단이 에어 벨로즈 상부의 어퍼 플레이트에 접합되고, 타단은 피스톤의 상단면상에 형성된 장착구를 통하여 끼워져 스토퍼가 형성된 이탈 방지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스프링{AIR SPRING FOR VEHICLES}
본 발명은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차량용 에어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스프링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차량이 주행중 풀 리바운드 상태가 되어도 견고한 장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상용 차량이나 대형 버스 등에 사용되며 차축과 차체 사이에 에어 스프링을 설치하여 구성되고, 에어 탱크의 에어를 차고에 따라 제어되는 레벨링 밸브의 작동으로 에어 스프링에 공급 및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선회시 주행 안정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에 적용된 종래의 에어 스프링(106)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00)과 에어 벨로즈(101)로 이루어지며, 피스톤(100)은 하부 브라켓(102)을 통하여 리프 스프링(103)에 장착되고, 에어 벨로즈(101)는 상부 브라켓(104)을 통하여 차체 프레임(105)에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의 에어 스프링(106)은 리프 스프링(103)의 궤적(미도시)을 따라 액슬 축(미도시)과 함께 작동하여 차체의 하중이나 노면 조건에 따라 차고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차량이 주행중 심한 요철 노면을 주행이나 급선회로 풀 리바운드 상태가 되면, 리프 스프링(103)의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에어 스프링(106)의 피스톤(100)이 에어 벨로즈(101)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에어 스프링(106)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에어 스프링(106) 측부의 차체 프레임(105)과 리프 스프링(103) 사이에 쇽 업소버(미도시)를 설치하여 에어 스프링(106)의 충격 흡수작용을 보충하면서 에어 스프링(106)의 피스톤이 에어 벨로즈(10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여 주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과 에어 벨로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된 쇽 업소버는 협소한 장착 공간 내에서 견고하게 장착하기 곤란하며, 차량이 주행중 풀 리바운드 상태가 되면, 쇽 업소버를 차체 프레임과 리프 스프링에 장착해주는 장착 프레임이 내구성이 부족하여 자주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지지부재 없이도 에어 스프링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공간이 협소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장착부에서의 장착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에어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종래 기술에 의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 스프링은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리프 스프링에 장착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밀폐 접합되어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에어 벨로즈로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 스프링에서,
상기 에어 스프링은 피스톤과 에어 벨로즈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일단이 에어 벨로즈 상부의 어퍼 플레이트에 접합되고, 타단은 피스톤의 상단면상에 형성된 장착구를 통하여 끼워져 스토퍼가 형성된 이탈 방지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하프 리프 스프링(1)의 일측 선단 스프링 아이(2)가 마운팅 브라켓(3)을 통하여 차체 프레임(4)에 장착되고, 중간부분은 액슬 축(5)에 U-볼트(6)로 고정되며, 그 타측 선단은 에어 스프링(7)을 통하여 차체 프레임(4)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에어 스프링(7)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8)과 에어 벨로즈(9)로 구성되고, 이 피스톤(8)과 에어 벨로즈(9) 사이에는 이탈 방지 와이어(10)가 구성된다.
상기한 피스톤(8)은 하부 브라켓(11)을 통하여 하프 리프 스프링(1)에 장착되고, 에어 벨로즈(9)는 그 상부에 접합된 상부 플레이트(12)가 상부 브라켓(13)을 통하여 차체 프레임(4)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탈 방지 와이어(10)는 일단이 에어 벨로즈(9)의 상부 플레이트(12)에 접합되고, 타단은 피스톤(8)의 상단면상에 형성된 장착구(15)를 통하여 끼워진다.
이때 상기 피스톤(8)의 장착구(15)에 끼워진 이탈 방지 와이어(10)의 타단에는 상기 장착구(15)의 직경보다 큰 스토퍼(14)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탈 방지 와이어(10)는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서로 대칭되도록 이루어졌으나, 구성이 용이한 범위내에서 2개 이상의 이탈 방지 와이어(10)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프링(7)은 차량이 주행중 심한 요철 노면을 주행하거나 급선회등으로 풀 리바운드 상태가 될 때, 피스톤(8)이 하프 리프 스프링(1)의 궤적(L)을 따라 움직이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8)이 상기 하프 리프 스프링(1)의 궤적(L)을 따라 움직이면서 차체 프레임(4)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 벨로즈(9)로부터 이탈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어도 일단이 에어 벨로즈(9)의 상부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있는 이탈 방지 와이어(10)의 타측 선단 스토퍼(14)가 피스톤(8)의 장착구(15)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됨으로 피스톤(8)과 에어 벨로즈(9)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에어 스프링(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측부의 차체 프레임(4)과 리프 스프링(1)사이에 쇽 업소버(미도시)를 설치하지 않아도 에어 스프링(7)의 이탈없이 충격 흡수작용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장착 공간이 협소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장착부상에 에어 스프링(7)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의 장착성이 향상되며, 에어 스프링(7)의 외측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에어 벨로즈(9)와 피스톤의 내부 공간에 이탈 방지 와이어(10)를 구성함으로써 에어 스프링(7) 자체의 내구성도 향상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 스프링은 피스톤과 에어 벨로즈 사이에 이탈 방지 와이어를 설치하여 차량이 주행중 심한 요철 노면을 주행하거나 급선회등으로 풀 리바운드 상태되어 피스톤이 에어 벨로즈로부터 이탈하려 할 때, 상기 이탈 방지 와이어에 의해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 종래의 에어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쇽 업소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장착 공간이 협소한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장착부상에 에어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의 장착성이 향상되며, 에어 스프링의 외측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에어 벨로즈와 피스톤의 내부 공간에 이탈 방지 와이어를 구성함으로써 에어 스프링 자체의 내구성도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리브 스프링에 장착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밀폐 접합되어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에어 벨로즈와; 상기 피스톤과 에어 벨로즈 사이에는 이탈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일단이 에어 벨로즈 상부에 구성된 상부 플레이트에 접합되고, 타단은 피스톤의 상단면상에 형성된 장착구를 통하여 끼워져 스토퍼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스프링.
KR1019990020608A 1999-06-04 1999-06-04 차량용 에어 스프링 KR100326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608A KR100326710B1 (ko) 1999-06-04 1999-06-04 차량용 에어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608A KR100326710B1 (ko) 1999-06-04 1999-06-04 차량용 에어 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410A KR20010001410A (ko) 2001-01-05
KR100326710B1 true KR100326710B1 (ko) 2002-03-12

Family

ID=1959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608A KR100326710B1 (ko) 1999-06-04 1999-06-04 차량용 에어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7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035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버스의 에어스프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035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버스의 에어스프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410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592B1 (ko) Tm마운트의 스토퍼
KR102540392B1 (ko) Tm마운트의 스토퍼
US10350955B2 (en) Vehicle body structure for a two-track vehicle
US6893033B2 (en) Integrated air spring and strut
KR100326710B1 (ko) 차량용 에어 스프링
KR100471830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2529387B1 (ko)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JP2002316523A (ja) 独立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471829B1 (ko) 상용차 현가장치의 에어스프링
KR200315482Y1 (ko) 현가장치의 스프링 부재의 탄성간 지지부재
CN102407743A (zh) 一种重型卡车车身前悬置结构
KR100312564B1 (ko) 차축식 현가 장치
KR19980045482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KR100361296B1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19990043216A (ko) 판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이 적용된 버스의 현가장치
KR200158671Y1 (ko) 자동차용 리어서스페션 구조
KR101552151B1 (ko) 분리 결합이 가능한 차량용 이중 지지 쇽업소버
KR100412872B1 (ko) 차량 현가장치의 부시어셈블리
KR20030049213A (ko) 자동차의 휠 지오메트리 가변형 현가장치
KR100398613B1 (ko) 판 스프링을 이용한 트럭의 전방 지지구조
KR200269001Y1 (ko) 차량용 리어 트레일링 암의 부싱부 장착구조
KR20090062956A (ko) 차량용 스트럿 인슐레이터
KR20040018801A (ko) 화물차용 캐빈의 현가 장치
JPH02142944A (ja) 油圧緩衝器
KR19980016502A (ko) 차량의 과하중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