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942Y1 - 침낭 - Google Patents

침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942Y1
KR200308942Y1 KR20-2002-0035007U KR20020035007U KR200308942Y1 KR 200308942 Y1 KR200308942 Y1 KR 200308942Y1 KR 20020035007 U KR20020035007 U KR 20020035007U KR 200308942 Y1 KR200308942 Y1 KR 200308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ing bag
zipper
hands
ba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영귀
Original Assignee
엄영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영귀 filed Critical 엄영귀
Priority to KR20-2002-0035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9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낭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팔소매부와 다리부를 몸체와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취침 중에 급한 용무나 전화를 받아야하는 경우와 같이 부득이하게 손과 다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행동을 최대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손과 발을 사용시 침낭의 개방된 부분을 최소화하여 침낭 안의 보온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한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침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낭{A sleeping bag}
본 고안은 침낭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취침시 급한 용무 등으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손과 발을 사용하여할 경우 침낭 안에서 손과 발을 최대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손과 발을 사용시 침낭의 개방된 부분을 최소화하여 침낭 안의 보온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온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침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낭의 형태는 앞가슴부에 지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안면개구부가 장착된 자루형으로서 일단 앞가슴부에 형성된 지퍼를 열고 침낭 속으로 들어간 후 내부에서 지퍼를 올려 잠자리에 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침낭의 경우에는 다리를 붙인 상태에서 잠을 자야하기 때문에 행동의 제약이 크며, 특히 잠버릇이 심한 사람의 경우에는 다리가 불편하여 숙면을 취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수면 중에 급한 용무 등이 있을 경우에는 행동의 제약이 크기 때문에 침낭으로 부터 빠져나와서 용무를 보고 다시 침낭 안으로 들어와야 하므로 보온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실안 출원번호 제2002-8446호에서는 사용자의 수면습관에 따라 자루형 또는 바지형으로 자유롭게 개조시켜 이용할 수 있는 바지형 침낭을 소개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바지형 침낭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바지형 침낭은 연질 비닐재의 반원형 투명차양(1)이 침낭두부에 장착되어 있고, 앞가슴부에는 앞가슴지퍼(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몸체 이하의 낭심부위에서 양측발목까지 바지속지퍼(3)가 형성되어 있고, 안측양단에는 바지바깥지퍼(4)가 전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부에는 조임끈(5)이 봉재성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바지형 침낭은 바지바깥지퍼(4)를 잠가 자루형 침낭으로 하였다가 다시 바지바깥지퍼(4)를 개방하면 바지형 침낭으로 간단히 변형시켜 사용자의 수면습관에 맞춰 사용할 수 있었으며, 수면 중에 긴급 용무 등으로 인하여 이동시에는 바지형 침낭으로 변형하여 보행이 가능하므로 활동성도 좋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바지형 침낭은 전화를 받거나 물을 마셔야 하는 경우와 같이 부득이하게 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앞가슴에 있는 지퍼를 열고 손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침낭 안의 보온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침낭 안의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침낭에서 취침시 급한 용무 등으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손과 발을 사용하여할 경우 손과 발을 최대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손과 발을 사용시 침낭의 개방된 부분을 최소화하여 침낭 안의 보온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아 방한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침낭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바지형 침낭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침낭을 나타낸 정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침낭을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침낭에 발보호개 장착된 것을 보여준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지퍼부
20a ; 상부지퍼 20b ; 하부지퍼
30 ; 안면개구부
40 ; 팔소매부
50 ; 다리부
60 ; 조임끈
60a ; 노리쇠
70 ; 발보호개
80 ; 벨크로테잎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보온재가 매입된 몸체가 있고, 상기 몸체의 앞가슴에는 지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상부에는 안면개구부가 형성된 침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부 양측면과 하단부에 각각 좌. 우 대칭되는 팔소매부와 다리부가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팔소매부와 다리부의 말단은 봉재성형된 조임끈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는 본 고안의 침낭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침낭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상기 도 2a 내지 2b에서 알 수 있듯이, 앞가슴부에 지퍼부(20)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0)가 있고, 몸체(10) 상부에는 안면개구부(30)가 구비되어 있으며, 몸체(10) 양측면과 하단부에는 각각 좌. 우 대칭되는 팔소매부(40)와 다리부(50)가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다리부(40)와 팔소매부(50)의 말단에는 봉재성형된 조임끈(6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몸체(10)는 닭털이나 인조섬유, 솜 등과 천연보온재나 인조보온재가 매입되어 있어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소정의 방한효과를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앞가슴부에는 사용자가 침낭에 출입할 수 있도록 지퍼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의 전체적인 크기는 보통 성인의 상체와 유사한 크기를 갖도록 되어 있으나, 그 크기는 사용자의 몸집이나 키에 맞춰 임의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몸체(10) 앞가슴부에 형성된 지퍼부(20)를 상측으로 이동시 닫히는 상부지퍼(20a)와 하측으로 이동시 닫히는 하부지퍼(20b)로 구성된 이중지퍼를 사용하게 되면 좀 더 좋은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는 취침 중에 소변과 급한 용무로 인하여 지퍼를 개방시 상부지퍼(20a)는 앞가슴부 끝가지 올려 닫은 상태에서 하부지퍼(20b)만 최대한 조금만 개방시켜 용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몸체(10) 상부에는 안면개구부(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면개구부(30)는 사용자가 침낭 속에서 취침을 할 때 머리 전체부위를 감싸주면서 얼굴 안면부만 노출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몸체(10)의 상부 양측단과 하단부에는 각각 좌.우가 대칭되는 팔소매부(40)와 다리부(50)가 몸체와 일체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팔소매부(40)와 다리부(50)는 사용자의 팔과 다리가 각각 삽입되는 곳이다.
상기 팔소매부(40)와 다리부(50)의 말단부는 외부와 개방된 형태를 갖되, 말단부를 따라 봉재성형된 조임끈(60)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손과 발을 사용시에는 팔소매부(40)와 다리부(50)의 조임끈을 풀어 말단부를 개방시킨 다음 손이나 발을 밖으로 꺼내어 사용하고, 취침시에는 다시 손과 발을 침낭 내부로 집어넣은 후 조임끈(60)을 잡아당기고 노리쇠(60a)로 고정시켜 말단부를폐쇄시키게 된다.
이러한 팔소매부(40)와 다리부(50)는 사용자가 취침 중에 급한 용무나 전화를 받아야하는 경우와 같이 부득이하게 손과 다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행동을 최대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손과 발을 사용시 침낭의 개방된 부분을 최소화하여 침낭 안의 온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침낭은 사용자에 따라 팔소매부(40)를 뒤집어서 몸체(10) 내부로 집어넣어 일반 자루형 침낭의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침낭에 발보호개 장착된 것을 보여준 단면도 이다.
도 3을 통하여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침낭의 각각 좌.우 다리부(50) 말단에 한 쌍의 벨크로테잎(80)에 의하여 결합. 분리되는 발보호개(70)를 장착하면 좀 더 효과적이다.
상기 발보호개(70)는 다리부(50)와 벨크로테잎(80)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침낭과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상기 발보호개(70)는 침낭과 동일한 방한효과를 갖도록 되어 있어 보행시 다리부(5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발을 추위로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침낭은 팔소매부와 다리부를 몸체와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취침 중에 급한 용무나 전화를 받아야하는 경우와 같이 부득이하게 손과 다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행동을 최대한 용이하게 움직일 수있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손과 발을 사용시 침낭의 개방된 부분을 최소화하여 침낭 안의 보온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한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3)

  1. 방한효과를 갖는 몸체(10)가 있고, 상기 몸체(10) 앞가슴부에는 지퍼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 상부에는 안면개구부(30)가 형성된 침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상부 양측면과 하단부에 각각 좌. 우 대칭되는 팔소매부(40)와 다리부(50)가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팔소매부(40)와 다리부(50)의 말단은 봉재성형된 조임끈(60)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10) 앞가슴부에 형성된 지퍼부(20)가 상측으로 이동시 닫히는 상부지퍼(20a)와 하측으로 이동시 닫히는 하부지퍼(20b)로 구성된 이중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 좌. 우 다리부(50) 말단에 벨크로테잎(80)에 의하여 결합분리되는 발보호개(7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KR20-2002-0035007U 2002-11-22 2002-11-22 침낭 KR200308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007U KR200308942Y1 (ko) 2002-11-22 2002-11-22 침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007U KR200308942Y1 (ko) 2002-11-22 2002-11-22 침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942Y1 true KR200308942Y1 (ko) 2003-03-31

Family

ID=4933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007U KR200308942Y1 (ko) 2002-11-22 2002-11-22 침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9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1082A (en) Thermally insulated garment with displaceable feet-enclosing sections
US2469556A (en) Children&#39;s sleeping garment
US4811429A (en) Unitary sleepwear
KR200308942Y1 (ko) 침낭
JP3110944U (ja) 縫いぐるみ風寝袋
CN210446469U (zh) 一种组合被子
JPS6138576Y2 (ko)
JP6542564B2 (ja) 寝袋
CN214595323U (zh) 一种防潮人形睡袋
KR200280318Y1 (ko) 바지형침낭
KR200421500Y1 (ko) 에어 매트리스용 커버
KR920005248Y1 (ko) 방한의복 겸용 침낭
CN215271852U (zh) 睡袋
JP2003116694A (ja) 多目的膝掛け
JPS6034212Y2 (ja) 肩や腕を保温する寝具
KR200383580Y1 (ko) 이불 기능 잠옷
JPH0649264Y2 (ja) 寝 袋
KR200366120Y1 (ko) 방충용 모자
JPS593328Y2 (ja) 電気足温器
KR20180002816U (ko) 목에 착용하는 토시
KR200207765Y1 (ko) 기능성 방한용 마스크
JPH0531992Y2 (ko)
JP3038768U (ja) 掛け布団カバー
KR870004083Y1 (ko) 침낭형 의복
KR850003128Y1 (ko) 방석 겸용 외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