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318Y1 - 바지형침낭 - Google Patents

바지형침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318Y1
KR200280318Y1 KR2020020008446U KR20020008446U KR200280318Y1 KR 200280318 Y1 KR200280318 Y1 KR 200280318Y1 KR 2020020008446 U KR2020020008446 U KR 2020020008446U KR 20020008446 U KR20020008446 U KR 20020008446U KR 200280318 Y1 KR200280318 Y1 KR 200280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ing bag
bag
pants
sleeping
z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식
Original Assignee
최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식 filed Critical 최문식
Priority to KR2020020008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3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3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A47G9/086Sleeping bags for outdoor sleeping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지형침낭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으로 자루형 침낭은 잠버릇이 심한 사람에게는 다리등이 불편해 숙면을 취할수 없었으며, 특히 수면중 긴급 용무등이 있을 경우에는 부득이 침낭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거동에 불편을 느끼는데, 일반 의복형침낭은 팔다리부가 장착되어, 자루형에 비해 부피도 크며,보온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본 고안은 침낭외피(100)와 침낭내피(200)로 분리형으로 구비되어,세탁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수면습관에 맞춰 자루형침낭 또는 바지형침낭으로 자유롭게 개조시켜 이용할수 있도록해 선택의 폭을 넓히며, 수면중 긴급 용무등이 있을 경우에는 부득이 침낭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고서도 바지형침낭속에 몸이 들어간상태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하고자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바지형침낭{sleeping bag in the shape of trousers}
본 고안은 바지형침낭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침낭의 형태인 자루형 침낭은 앞가슴부에 형성된 지퍼와 안면개구부가 형성된 자루형으로 일단 앞가슴부에 형성된 지퍼를 열고 침낭속으로 들어간후 내부에서 지퍼를 올려 잠자리에 드는데, 잠버릇이 심한 사람에게는 다리가 불편해 숙면을 취할수 없었으며,특히 수면중 긴급 용무등이 있을 경우에는 부득이 침낭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거동에 불편함을 느낀다.
이를 위하여, 1987년 실용신안등록제 0004083호 침낭형의복의 경우에는 '눈구멍,입구멍 및 입구멍주연의 입싸개와 하연에 목싸개부를 가진 머리싸개와 사지의 손소매부,발소매부및 이에 대응한 수갑, 발싸개를 구비하여 다시 중앙에 종방향개폐부및 엉덩이 주연의 뒷개폐부를 형성시킨 방한몸체부를 일체로 조립구성시켜서,야영용침낭을 대신하면서 간단한 방한의복의 기능을 가지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기능을 가진 야영용 의복'이 있었는바, 위와같은 침낭형의복은 취침중에 행동이 자유로운 것이나, 머리싸개를 제외하고는 2겹이상의 직조사이에 닭털등을 매설시킨 일종의 방한피복의 구조와 동일한 구성으로, 팔과 다리부등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어 일반 자루형침낭에 비하여 휴대부피가 크며,자루형처럼 체온이 자루내에서 유지되는 것에 비하여, 팔과 다리부로 분산되기 때문에 체감되는 보온력은 자루형에 비해 덜한 편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바지형침낭에서는 닭털이나 오리털과 같은 천연보온재 또는 인조보온재를 매설한 침낭외피(100)와 침낭내피(200) 분리형으로 구비해, 사용자의 수면습관에 맞춰 자루형침낭 또는 바지형침낭으로 자유롭게 개조시켜 이용할수 있도록해 선택의 폭을 넓히며, 수면중 긴급 용무등이 있을 경우에는 부득이 침낭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고서도 바지형침낭속에 몸이 들어간상태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하고자 한것이다.
또한, 침낭다리부가 지퍼에 의해 자루형으로 봉합되므로써 체온이 침낭자루내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기존의 자루형침낭과 같이 우수한 보온력을 갖추도록 하며, 침낭 부피 역시 의복형침낭에 비해 부피를 덜 차지해 휴대물품을 간소화 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침낭바지부로 분리된 침낭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낭내피만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낭외피이면부와 침낭외피속바닥부로 전개된 참고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일체형으로 결합된 침낭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타구니보온대의 참고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침낭외피
100a:침낭외피이면부 100b:침낭외피속바닥부
1:투명차양(visor) 1a:매직테이프
2:앞가슴지퍼 3:침낭바지부
4:침낭두부 5;5a:바지바깥지퍼
6:바지속지퍼 7;7a:조임끈
8;8a:조임쇠 9;9a:아이래트(eyelet)
10:어깨조임주름부 11;11a:앞가슴묶음끈
12;12a;12b:두부묶음끈 13:13a:어깨조임주름부속단
14:어깨조임끈 15:15a:앞가슴내피묶음끈
16:절개부 17:안면개구부
18:안면개구테카라부 19;19a:19b:두부내피묶음끈
20:사타구니보온대
200:침낭내피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침낭바지부로 분리된 침낭의 사시도로서,안면개구부(17)가 형성되며, 보온재가 매설되며, 앞가슴지퍼(2)가 형성된 침낭외피 (100)속에 침낭내피(200)가 결합되는 침낭에 있어서, 상기 침낭외피(100) 상단 침낭두부(4)에 위치한 안면개구부(17)상에 연질비닐재 반원형 투명차양(1)을 매직테이프(1a)로 좌우단과 후단 3점 점착하고, 어깨부위에 어깨조임주름부(10)를 앞가슴지퍼(2) 양측단에 형성하며,하단 몸체 이하의 낭심부위에서 양측 발목부위에 이르는 침낭바지부(3)의 안측중심단에는 바지속지퍼(6)를, 안측 양단에는 바지바깥지퍼 (5;5a)를 형성하며, 발바닥부에는 아이래트(9;9a:eyelet)를 형성하고 있다.
도 2는 침낭내피만의 사시도로서, 일실시 도시된 침낭내피(200)는 외관이 침낭외피(100)와 동일하나, 안면개구부(17)의 외연에 안면개구테카라부(18)를 웃세워 형성한 좌우측과 상단에 두부내피묶음끈(19;19a;19b)을 봉재하며, 앞가슴부에 형성한 절개부(16)의 좌우 3곳에 앞가슴내피묶음끈(15;15a)을 하단 몸체 이하의 낭심부위에서 양측발목부위에 이르는 안측단에는 마름모꼴의 사타구니보온대(20)를 덧붙여 형성하되, 발바닥부에는 조임끈(7;7a)을 봉재형성한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낭외피(100)의 침낭외피이면부(100a)와 침낭외피속바닥부(100b)로 전개된 참고평면도로서,상기 침낭외피이면부(100a)의 앞가슴지퍼(2) 양단 3곳에 앞가슴묶음끈(11;11a)이 봉재되며,어깨조임주름부(10)의 안단에 어깨조임주름부속단(13)을 봉재한후 어깨조임끈(14)을 매설하고, 안면개구부 (17)의 양측과 상단에는 두부묶음끈(12;12a;12b)을 침낭외피속바닥부(100b)의 어깨조임주름부(10)에 해당되는 침낭외피속바닥에는 상기 어깨조임주름부속단(13)이 연속되게 봉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지형침낭의 침낭외피(100)와 침낭내피(200)의 결합은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은 침낭내피(200)를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은 침낭외피(100)내에 결속하는데, 먼저 침낭외피(100)의 앞가슴지퍼(2)를 열고 침낭내피 (200)의 양쪽 바지부 발바닥부에 봉재형성된 조임끈(7;7a)를 침낭외피(100)의 발바닥부에 형성된 아이래트(9;9a)를 관통하여 인출시켜 침낭내피(200)의 발바닥부가 침낭외피(100)의 발바닥부에 밀착되도록 잡아당긴후 조임쇠(8;8a)로 위치 고정시킨후, 침낭내피(200)의 절개부 양외측단에 형성된 앞가슴내피묶음끈(15)과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은 침낭외피(100)의 앞가슴지퍼(2) 안쪽 양측에 형성된 앞가슴묶음끈 (11)을 상호 결속하며, 침낭외피(100)와 침낭내피(200)의 각 안면개구부(17)에 형성된 두부묶음끈(12;12a;12b)과 안면개구테카라부(18)외연부에 형성된 두부내피묶음끈(19)을 결속함으로서, 침낭내피(200)의 안면개구부(17)외연이 침낭외피(100)의 안면개구부(17)와 잘 밀착됨과 동시에 침낭외피(100)와 침낭내피(200)를 결속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침낭내피(200)의 양쪽 바지부의 각 발바닥부에 봉재형성된 조임끈 (7;7a)은 침낭을 보관할때, 두루말이식으로 말아 상호 결속하는 끈으로도 사용한다.
이와 같이 결속된 본 고안에 따른 바지형침낭의 사용자는 침낭외피(100)의 앞가슴지퍼(2)를 열고 침낭내피(200)의 절개부(16)를 통하여 몸을 넣어,침낭내피 (200)의 양쪽 바지부에 이르기까지 발을 집어 넣어 수면을 취하게 된다.
그리고, 침낭외피(100)의 어깨조임주름부(10)는 어깨주위의 침낭외피(100)안쪽 어깨조임주름부속단(13) 봉재부내에 매설된 어깨조임끈(14)으로 적절히 졸라매, 조임쇠(8;8a)로 고정해 안면개구부(17)를 통해 침낭내피(200)로 유입되는 한기를 차단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만일, 사용자가 수면습관이 좋지 않을때는 양발이 자유롭게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이, 침낭외피(100)에 형성된 바지바깥지퍼(5)만을 열어,침낭바지부(3)가 각각 자유스럽게 활동되도록 한체 수면을 취하면 양발을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으며, 수면습관이 좋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침낭외피(200)의 바지바깥지퍼(5)만을 올린체, 양다리 안쪽 발목에서 발목에 이르는 부위에 형성된 지퍼인 바지속지퍼(6)를 내려 전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종래 자루형침낭과 같이 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사타구니보온대의 참고 평면도인 도5는 마름모꼴의 별도 보온천인 사타구니보온대(20)를 덧붙여 신체조건에 따라 다리길이가 다른 사용자들, 특히 바지형침낭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사타구니부위의 보온력에 치중을 더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바지형침낭은 닭털이나 오리털과 같은 천연보온재 또는 인조보온재를 매설한 침낭외피(100)와 침낭내피(200) 분리형으로 구비해, 침낭외피(100)의 원단은 방수및 방풍및 내구성이 좋은 원단을 사용하되, 땀흡수력이나, 보온력이 좋은 인조모직류를 침낭내피(200)로 사용해 착용감을 배가할 수 있게 하며, 앞가슴묶음끈(15;15a;15b), 조임끈(7;7a), 두부내피묶음끈(19;19a;19b) 등으로 침낭외피(100)나 침낭내피(200)를 분리시켜 세탁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한 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수면습관에 맞춰 종래와 같이, 바지바깥지퍼(5;5a)를 잠궈 자루형침낭으로도 간단히 변형시킬수 있으며, 사용중 바지바깥지퍼(5;5a)를 개방하면 다시 바지형침낭으로 자유롭게 변형 사용할수 있어,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선택폭을 넓혀 유용성을 높였으며, 특히 자루형침낭 형태로 수면중에도 긴급 용무등이 있을 경우에는 부득이 침낭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고서도, 바지바깥지퍼(5;5a)만을 열어 바지형침낭속에 몸이 들어간상태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
또한, 다리부가 바지바깥지퍼(5;5a)에 의해 자루형으로 봉합되어 체온이 침낭자루내에서 유지되므로써, 기존의 자루형침낭과 같이 우수한 보온력을 갖추도록 하며, 침낭의 부피 역시 팔과 다리부가 별도로 부착된 의복형침낭에 비해 부피를 덜 차지해 휴대물품이 종래의 자루형침낭과 같이 간소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침낭외피(100)의 어깨조임주름부(10)는 어깨주위의 침낭외피(100) 안쪽에 어깨조임주름부속단(13)이 봉재된 어깨조임끈(14)으로 적절이 졸라매, 조임쇠(8;8a)로 고정해 안면개구부(17)를 통해 침낭내피(200)로 유입되는 한기를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안면개구부(17)상에 형성된 연질비닐재 반원형 투명차양(1)은 야영지에서 숙영할때 이슬이 얼굴부로 내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야를 확보할수 있도록 된것으로, 매직테이프(1a)로 좌우단과 후단 3점 점착되어 있어 사용후 두루말이식으로 말아 보관하기 쉽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안면개구부(17)가 형성되며, 보온재가 매설되며, 앞가슴지퍼(2)가 형성된 침낭외피(100)속에 침낭내피(200)가 결합되는 침낭에 있어서, 상기 침낭외피(100) 상단 침낭두부(4)에 위치한 안면개구부(17)상에 연질 비닐재 반원형 투명차양(1)을 매직테이프(1a)로 좌우단과 후단 3점 점착하고, 어깨부위에 어깨조임주름부(10)를 앞가슴지퍼(2) 양측단에 형성하며, 하단 몸체 이하의 낭심부위에서 양측발목에서 발목부위에 이르는 침낭바지부(3)의 안측중심단에는 바지속지퍼(6)를, 안측양단에는 바지바깥지퍼(5;5a)를 형성하며, 발바닥부에는 아이래트(9;9a:eyelet)를 형성하되, 침낭내피(200)는 외관이 침낭외피(100)와 동일하나, 안면개구부(17)의 외연에 안면개구테카라부(18)를 웃세워 형성한 좌우측과 상단에 두부내피묶음끈 (19;19a;19b)을 봉재하며, 앞가슴부에 형성한 절개부(16)의 좌우 3곳에 앞가슴내피묶음끈(15;15a)을 하단 몸체 이하의 양측발목에서 발목부위에 이르는 안측단과 낭심부위에는 마름모꼴의 사타구니보온대(20)를 덧붙여 형성하되, 발바닥부에는 조임끈(7;7a)를 봉재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형침낭.
  2. 제1항에 있어서, 침낭외피(100)는 침낭외피이면부(100a)의 앞가슴지퍼(2) 양단 3곳에 앞가슴묶음끈(11;11a)이 봉재되며, 어깨조임주름부(10)의 안단에 어깨조임주름부속단(13)을 봉재한후 어깨조임끈(14)을 매설하고, 안면개구부(17)의 양측과 상단에는 두부묶음끈(12;12a;12b)을 침낭외피속바닥부(100b)에는 침낭외피이면부(100a)의 어깨조임주름부(10)에 해당되는 침낭외피속바닥에는 상기 어깨조임주름부속단(13)이 연속되게 봉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형침낭.
KR2020020008446U 2002-02-07 2002-03-21 바지형침낭 KR200280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446U KR200280318Y1 (ko) 2002-02-07 2002-03-21 바지형침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72 2002-02-07
KR2020020008446U KR200280318Y1 (ko) 2002-02-07 2002-03-21 바지형침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318Y1 true KR200280318Y1 (ko) 2002-07-02

Family

ID=7308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446U KR200280318Y1 (ko) 2002-02-07 2002-03-21 바지형침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3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790B1 (ko) * 2008-04-24 2010-09-30 임찬희 개량형 다목적 침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790B1 (ko) * 2008-04-24 2010-09-30 임찬희 개량형 다목적 침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2812A (en) Layered reducing garment
US6219847B1 (en) Cocoon garment
US8870624B2 (en) Active wear apparel
US9763485B1 (en) Waterproof stadium blanket convertible to a fitted bodywrap hoodie
JPH0379443B2 (ko)
US9615610B2 (en) Outdoor convertible garment
US10149503B2 (en) All-in-one water apparel
WO2015190766A1 (ko) 배코드
US4811429A (en) Unitary sleepwear
KR200280318Y1 (ko) 바지형침낭
JP3110944U (ja) 縫いぐるみ風寝袋
JP5314382B2 (ja) 介護服
KR101790473B1 (ko) 낚시용 신체 보온커버
US20020095710A1 (en) Convertible article of clothing
CN214595323U (zh) 一种防潮人形睡袋
JPH0748647Y2 (ja) 上掛け衣
CN220192251U (zh) 一种两用滑雪服
JP3223706U (ja) きもの
JP3223705U (ja) きもの
KR101402420B1 (ko) 복부 웨어
CN214759178U (zh) 带袜子的裤子
JP3080217U (ja) 車椅子用防寒着
CN209546970U (zh) 一种具有抗菌防水性能的休闲裤
KR100701210B1 (ko)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KR200317249Y1 (ko) 바지형침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