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272Y1 -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272Y1
KR200307272Y1 KR20-2002-0038652U KR20020038652U KR200307272Y1 KR 200307272 Y1 KR200307272 Y1 KR 200307272Y1 KR 20020038652 U KR20020038652 U KR 20020038652U KR 200307272 Y1 KR200307272 Y1 KR 200307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scattering prevention
present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 흠 한
Original Assignee
정 흠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흠 한 filed Critical 정 흠 한
Priority to KR20-2002-0038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2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받침판과 연결 설치되고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바닥판이 경사진 집수부가 형성된 비산방지구가 설치된 이중 드레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비산방지구가 설치된 공기조화기는 응축수의 비산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수명이 오래가고, 수리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 및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AN APPARATUS FOR PREVENTING FLY AWAY OF AN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고 원할하게 배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송풍기, 열교환기(냉,온수코일), 필터, 에어믹싱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조의 공기조화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외부공기와 실내공기는 에어믹싱박스(2)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공기와 내부공기는 에어필터(3)를 통과하면서 불순물이 제거되고 열교환기(4)를 거쳐 적정온도의 공기로 되어 송풍팬(6)에 의해 강제 송풍되어서 덕트(도시안됨) 등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에서 열원의 교차가 발생하면서 그로 인하여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 바, 생성된 응축수가 드레인 판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송풍기의 동작에 의한 강제 송풍에 의하여 비산되어 장치의 내부 전반에 걸쳐 비산됨에 따라 노후화를 촉진시켜서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특히 구동모터에는 전기적으로 누전 또는 방전 등을 발생시키는 등 전기 안전상의 커다란 결함이 있었다.
또한, 송풍팬(6)의 회전날개에 의하여 강제로 송풍되어 열교환기의 외측 주변으로 과도하게 비산되는 응축수는 장치의 외부에 유출되어 낙하되므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저장된 응축수는 원할하게 배출되지 못함으로서 응축수가 열교환기에 맺히는 수막현상이 발생하고, 결국에는 열교환기의 효율을 저하시켰으며 응축수가 코일을 막게 되어 공기 흐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결국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효율을 저하시켰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수분(물,응축수)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응축수를 빠르고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기울기가 형성된 구조의 비산방지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원활하고 완전하게 배출시킴으로서 열교환기 및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산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래의 드레인판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속하게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비산방지구를 보여주는 A-A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비산방지구가 구비되는 열교환기의 분해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비산방지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급수관
14 : 배수관 16 : 방열핀
18 : 헤더 20,21 : 바닥판
22 : 고정판 24 : 고정공
26 : 전면판 28 : 중간부분판
30,31 : 측면판 32 : 배출관
34 : 배수공 36 : 받침판
38 : 집수부
100 : 열교환기 200 : 비산방지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받침판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바닥판이 경사진 집수부가 형성된 비산방지구가 설치된 이중 드레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닥판의 경사 기울기는 5° - 4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비산방지구를 보여주는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비산방지구가 구비되는 열교환기의 분해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비산방지구가 열교환기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10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모아서 집수하게 되는 집수부(38)가 형성된 비산방지구(200)와, 상기 비산방지구(20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열교환기(100)에서 발생된 수분을 안내하는 받침판(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판(36)은 전부가 상방향으로 일부 절곡되어 역니은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상기 받침판(36)과 비산방지구(200)구의 이중 드레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비산방지구(20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응축수를 모을 수 있도록 집수부(38)가 형성되도록 바닥판(20,2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0,21)의 전면에는 전면판(26)이 세로방향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20,21)의 중간부분에는 중간부분판(28)이 세로방향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판(26)과 중간부분판(28) 각각의 측면에는 측면판(30,31)이 세로방향으로 각각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집수부(38)는 열교환기(100)에서 발생한 수분(물,응축수)이 모이고 배수되도록 사각형,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26)의 상부에는 우측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고정판(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22)에는 다수의 고정공(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22)에는 전술된 받침판(26)이 겹쳐지도록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22)과 받침판(26)은 미도시된 고정수단(볼트,너트,피스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받침판(36)에 의해 안내되는 수분(물,응축수)이 잘 흐르도록 하부에 고정판(22)이 위치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고정판(22)을 경사지도록 절곡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바닥판(20,21)의 양측부에는 집수부(38)에 모여진 수분(물, 응축수)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배수공(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20,21)은 집수부(38)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기울기(B)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정의 기울기(B)는 공기조화기 및 열교환기의 크기 및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5°- 45° 범위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고, 일측방향만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7°가 가장 좋다.
한편, 상기 바닥판(20,21)의 하부에는 바닥판에 형성된 배수공(34)과 통하도록 배출관(32)이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비산방지구(200)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열교환기(100)의 사이에 비산방지구(200)가 설치되는 분해사시도 및 비산방지구(200)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고안의 비산방지구(200)는 열교환기(100)의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받침판(36)이 비산방지구(200)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비산방지구(200)는 열교환기(100)의 하단부분에도 설치 가능하다. 상기 열교환기(100)의 하단에 설치된 비산방지구(200)는 상기 중간부분에 설치된 비산방지구(200)와 배관으로 연결하여 응축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비산방지구(200)에 의하여 기존의 드레인판을 설치하지 않게 되어 구조적으로 설치와 수리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유(U) 트렙도 공조기기 내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서 공조기의 효율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100)는 다수의 프레임(10)에 배관(도면부호도시안함)이 설치되고, 상기 배관에는 다수의 핀(도면부호도시안함)이 설치되며 일측부에는 헤더(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헤더(18)에는 각각의 급수관(12)과 배수관(14)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열교환기(100)에는 열교환시 발생하는 응축수가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응축수를 받을 수 있도록 받침판(36)과 비산방지구(200)를 설치한다.
상기 받침판(36)과 비산방지구(200)의 집수부(38)에 고여진 응축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따라서 이동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비산방지구(200)를 이용하게 되면, 집수부(38)에 고여진 수분(물,응축수)이 경사를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흐르면서 배출관(32)을 통해서 완전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비산방지구(200)의 구조에 의하여 열교환기(100)에서 발생한 수분(물,응축수)이 송풍팬에 의해 강제로 송풍된다 하더라도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비산방지구(200)만을 별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수리비가 요구되지 않으며, 공기조화기 및 열교환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비산방지구가 설치된 공기조화기는 응축수에 의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응축수가 비산되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수명이 오래가고, 수리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효과적이고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 및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드레인판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게 됨으로서 설치가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공기조화기의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받침판과 연결 설치되고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바닥판이 경사진 집수부가 형성된 비산방지구가 설치된 이중 드레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경사 기울기는 5° - 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
KR20-2002-0038652U 2002-12-27 2002-12-27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 KR200307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652U KR200307272Y1 (ko) 2002-12-27 2002-12-27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652U KR200307272Y1 (ko) 2002-12-27 2002-12-27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272Y1 true KR200307272Y1 (ko) 2003-03-15

Family

ID=4933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652U KR200307272Y1 (ko) 2002-12-27 2002-12-27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2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39166A (ja) 空気調和機
KR20080000025U (ko) 냉풍기
KR200307272Y1 (ko)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
JPH11173591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1987788B1 (ko) 제습 장치
JPH1068534A (ja) 空気調和機
KR200312184Y1 (ko) 팬코일 유닛
CN206879319U (zh) 空调及其驱动模块散热器
KR100234971B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 및 지지장치
KR100362468B1 (ko)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200187470Y1 (ko) 패키지에어컨의공기청정기설치구조
KR20030037023A (ko) 토출그릴의 이슬형성 방지구조
JPH11173593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N214371213U (zh) 一种立式风冷冷柜挡风罩
JP371761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0411478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146103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증발기
KR100352433B1 (ko)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9980056360A (ko) 분리형 에어컨 실외기의 커버구조
KR100239464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KR200151369Y1 (ko)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
KR200146159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배수장치
KR100791463B1 (ko) 공조기기
KR200184238Y1 (ko)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20010064499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