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468B1 -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468B1
KR100362468B1 KR1020000014814A KR20000014814A KR100362468B1 KR 100362468 B1 KR100362468 B1 KR 100362468B1 KR 1020000014814 A KR1020000014814 A KR 1020000014814A KR 20000014814 A KR20000014814 A KR 20000014814A KR 100362468 B1 KR100362468 B1 KR 100362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ndensate
blower
discharge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0159A (ko
Inventor
조재헌
김재훈
Original Assignee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468B1/ko
Publication of KR2001009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냉방용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블로어로서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도록 하고 상기 토출구와 블로어 사이에 증발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는 케이스에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이 배출수단에는 통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도록 하고, 상기 응축수는 토출구로 침입되지 않도록 한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증발기 케이스(1)내에 증발기(2)를 설치하고 이의 일측에는 블로어(4) 및 블로어모터(3)를 구비하며 상기 증발기(2)의 타측에는 흡입부(5)를 구비하여 상기 증발기와 블로어에 의하여 열교환된 냉기를 토출구(6)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증발기 케이스(1)의 일측 하방에 드레인포트(7)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포트(7)의 하방에 응축수 배출구(8)를 설치하고 이 응축수 배출구(8)의 중앙부에는 통공(11)을 형성한 고정편(10)으로 고정설치되는 통기구(9)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통기구(9)의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확개되는 확개부(12)를 형성하거나, 상기 통기구(9)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져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경사부(13)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포트(7)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2)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응축수 배출구(8)로 안내되어 수집되도록 하는 가이드(14)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CONDENSING WATER DISCHARGE APPARATUS OF HEAT EXCHANG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냉방용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블로어로서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도록 하고 상기 토출구와 블로어 사이에 증발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는 케이스에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이 배출수단에는 통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도록 하고, 상기 응축수는 토출구로 침입되지 않도록 한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냉방을 위한 열교환기는 도 1에서와 같이 증발기 케이스(1)내에 증발기(2)를 설치하고 이의 일측에는 블로어(4) 및 블로어모터(3)를 구비하며 상기 증발기(2)의 타측에는 흡입부(5)를 구비하여 상기 증발기와 블로어에 의하여 열교환된 냉기를 토출구(6)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상기 증발기(2)가 열교환을 하면서 다량의 응축수가 발생시키게 되며 이 응축수가 상기 블로어모터(3)에 의하여 구동되는 블로어(4)의 풍량에 따라 상기 토출구(6)로 유입되고 이 토출구(6)로 유입된 응축수가 실내로 침투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상기 응축수가 비산되면서 토출구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해야만 했고 이를 위하여 상기 증발기(2)의 일측 하방에 드레인포트(7)를 구비하고 이의 하부에 응축수 배출구(801)를 설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상기 드레인포트(7)에 모여진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구(801)를 통하여 배출될 때 이 응축수 배출구(801)의 외부인 대기로부터의역류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응축수가 상기 증발기 케이스(1)내로 역류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상기 역류현상에 의하여 상기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상기 응축수가 토출구(6)쪽으로 비산되어 실내로 상기 응축수가 비산되면서 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냉방용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블로어로서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도록 하고 상기 토출구와 블로어 사이에 증발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는 케이스에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이 배출수단에는 통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도록 하고, 상기 응축수는 토출구로 침입되지 않도록 한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구조를 나타내는 개요도
도 2는 종래의 응축수 배출부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응축수 배출부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통기구 형상을 나타내는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통기구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응축수 배출 가이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증발기 케이스 2 : 증발기
3 : 블로어모터 4 : 블로어
5 : 흡입부 6 : 토출구
7 : 드레인포트 8 : 응축수 배출구
9 : 통기구 10 : 고정편
11 : 통공 12 : 확개부
13 : 경사부 14 : 가이드
증발기 케이스(1)내에 증발기(2)를 설치하고 이의 일측에는 블로어(4) 및 블로어모터(3)를 구비하며 상기 증발기(2)의 타측에는 흡입부(5)를 구비하여 상기 증발기와 블로어에 의하여 열교환된 냉기를 토출구(6)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증발기 케이스(1)의 일측 하방에 드레인포트(7)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포트(7)의 하방에 응축수 배출구(8)를 설치하고 이 응축수 배출구(8)의 중앙부에는 통공(11)을 형성한 고정편(10)으로 고정설치되는 통기구(9)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 상기 통기구(9)의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확개되는 확개부(12)를 형성하거나, 상기 통기구(9)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져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경사부(13)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포트(7)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2)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응축수 배출구(8)로 안내되어 수집되도록 하는 가이드(14)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증발기 케이스(1)내에 설치된 증발기(2)를 가동시키게 되면, 이 증발기(2)가 증발작용을 하게 되고, 이 증발작용에 따라 생성된 냉기가 일측에 설치된 블로어모터(3)와 블로어(4)의 구동으로 열교환된 냉기를 토출구(6)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하므로써 냉방작용을 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증발기 케이스(1)내에 설치된 증발기(2)의 증발작용에 따라 응축수가 발생되면, 이 응축수를 상기 증발기 케이스(1)의 일측 하방에 설치한 드레인포트(7)로 수집하고 이 수집된 응축수를 상기 드레인포트(7)의 하방에 설치된 응축수 배출구(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구(8)를 통하여 배출함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구(8)의 중앙부에 통공(11)을 형성한 고정편(10)으로 고정설치되는 통기구(9)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통기구(9)를 통하여 상기 응축수 배출구(8)의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들어가게 되고 상기 통기구(9)의 외주부분에 형성한 고정편(10)의 통공(11)을 통하여 상기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구(8)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므로 상기 외기의 역류작용이 일어나더라도 상기 응축수는 외기의 영향을 받지않고 원활하게 배출된다.
또, 상기 통기구(9)의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확개되는 확개부(12)를 형성하거나, 상기 통기구(9)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져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경사부(13)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통기구(9)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상기 응축수 배출구(8)의 중앙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응축수가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드레인포트(7)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2)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응축수 배출구(8)로 안내되어 수집되도록 하는 가이드(14)를 설치하여 상기 응축수가 블로어의 작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2)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원활하게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작용을 하면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응축수가 비산되면서 토출구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응축수에 의한 열교환기의 열교환 저해요인이 제거되고 열교환기의 열손실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응축수 배출구로 역류하면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이 공기의 유입경로를 별도로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응축수의 배출경로에 저항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상기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이 도모된다.
또, 상기 가이드를 증발기 케이스내에 설치하므로써 상기 응축수가 상기 증발기케이스내에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열교환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4)

  1. 증발기 케이스(1)내에 증발기(2)를 설치하고 이의 일측에는 블로어(4) 및 블로어모터(3)를 구비하며 상기 증발기(2)의 타측에는 흡입부(5)를 구비하여 상기 증발기와 블로어에 의하여 열교환된 냉기를 토출구(6)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증발기 케이스(1)의 일측 하방에 드레인포트(7)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포트(7)의 하방에 응축수 배출구(8)를 설치하고 이 응축수 배출구(8)의 중앙부에는 통공(11)을 형성한 고정편(10)으로 고정설치되는 통기구(9)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9)의 하단부에는 외향으로 확개되는 확개부(12)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9)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져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경사부(13)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포트(7)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2)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응축수 배출구(8)로 안내되어 수집되도록 하는 가이드(14)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20000014814A 2000-03-23 2000-03-23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036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814A KR100362468B1 (ko) 2000-03-23 2000-03-23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814A KR100362468B1 (ko) 2000-03-23 2000-03-23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159A KR20010090159A (ko) 2001-10-18
KR100362468B1 true KR100362468B1 (ko) 2002-11-23

Family

ID=1965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814A KR100362468B1 (ko) 2000-03-23 2000-03-23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512B1 (ko) * 2007-08-31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497378B1 (ko) * 2021-04-07 2023-02-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결빙 방지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셔터형 냉동실 배수구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4418U (ko) * 1981-05-19 1982-11-22
JPH02114820U (ko) * 1989-02-22 1990-09-13
JPH036227A (ja) * 1989-05-31 1991-01-11 Nitto Denko Corp 含フッ素ポリアミド酸系樹脂及び含フッ素ポリイミド
KR20010037543A (ko) * 1999-10-18 2001-05-15 구자홍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4418U (ko) * 1981-05-19 1982-11-22
JPH02114820U (ko) * 1989-02-22 1990-09-13
JPH036227A (ja) * 1989-05-31 1991-01-11 Nitto Denko Corp 含フッ素ポリアミド酸系樹脂及び含フッ素ポリイミド
KR20010037543A (ko) * 1999-10-18 2001-05-15 구자홍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159A (ko) 200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19596A (ja) 熱交換器、室内機、および室外機
US6343480B1 (en) Condensate drain arrangement for an air conditioner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362468B1 (ko)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JPH074736A (ja) 室内空調機
KR101521514B1 (ko) 차량 공조장치용 공조케이스
KR20070028884A (ko) 일체형 에어컨
KR20040003675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CN106482236A (zh) 一种外置风机的电梯空调及其使用方法
CN106087365A (zh) 热泵干衣机或热泵洗干一体机
KR100423968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184238Y1 (ko)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2481303B1 (ko)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CN218864270U (zh) 一种制冷式吸油烟机
CN214536938U (zh) 冷凝器组件及冰箱
CN213019977U (zh) 空调器
KR100239464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KR2022001947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379131Y1 (ko) 에어콘 실외기 배기 가이드
KR100243083B1 (ko) 일체형에어컨
KR200146159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배수장치
KR0179265B1 (ko) 패키지형 에어컨
KR200241486Y1 (ko) 일체형 에어컨의 응축공기 순환구조
KR200307272Y1 (ko) 공기조화기의 비산방지구
KR20060013962A (ko) 주방용 에어컨의 케이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