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543A -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543A
KR20010037543A KR1019990045118A KR19990045118A KR20010037543A KR 20010037543 A KR20010037543 A KR 20010037543A KR 1019990045118 A KR1019990045118 A KR 1019990045118A KR 19990045118 A KR19990045118 A KR 19990045118A KR 20010037543 A KR20010037543 A KR 20010037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drain
refrigerator
door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8348B1 (ko
Inventor
김석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4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348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가 개방될 때 외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를 구비하는 드레인파이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파이프(20)는, 제상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22)와, 상기 집수부를 통하여 하강하는 제상수를 배출하는 배수부, 그리고 도어를 열 때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흡입부(30)를 포함한다. 공기흡입부(30)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통기공(34)과, 상기 통기공이 성형된 중심부분에 직립성형된 중심축(36)을 구비하는 드레인캡(32)과;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어 도어의 개페에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통기공을 개폐하는 플로트(40)를 포함한다. 따라서 플로트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중심축을 드레인캡(32)에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플로트의 중량을 최저로 하여, 도어의 개폐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게 되어, 도어를 부드럽게 개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Structure of drain pipe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의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때 더욱 부드럽게 열림과 동시에 공기의 유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드레인파이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기초하면서 일반적인 드레인파이프(1)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냉장실이 상부에, 그리고 냉동실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1)는, 증발기(5)가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챔버에서 제상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냉장고의 기계실로 배출시키기 위한 파이프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은 냉장고의 기계실을 의미한다. 드레인파이프(1)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배수부(4)는 상기 냉장고의 기계실(10)로 안내되어 있다. 상기 배수부(4)는, 제상수를 안내하여 기계실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의 증발접시(도시 생략)로 안내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드레인파이프(1)의 상부는 열교환챔버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집수부(2)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수부(2)는 증발기(5)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으로, 제상과정에서 증발기에서 발생한 제상수를 모아서, 드레인파이프(1)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2)를 통하여 모여진 제상수는 드레인파이프(1)를 통하여 하부로 안내되어 상기 배수부(4)를 통하여 배수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수부(4)의 하단부는 소정의 캡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고온상태의 외기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막혀 있다. 그리고 제상수가 상기 배수부(4)로 떨어지면, 제상수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캡은 열리게 되어, 제상수가 기계실의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냉장고에서 도어를 열면, 외기가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외기는 냉장고의 도어를 닫고 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저온상태로 되기 때문에, 도어를 닫고 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냉장고의 내부는 대기압보다 저압상태로 된다. 이렇게 저압상태로 되면, 냉장고의 도어를 여는 동작이 힘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여는 순간에는, 냉장고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있으며, 냉장고의 도어가 보다 쉽게 개방될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1)의 하단부에는 도어를 여는 순간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흡입부(6)가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도 1의 A부분의 정면도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흡입부(6)는, 연결파이프(7)를 통하여 드레인파이프(1)에 연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상기 공기흡입부(6)의 하단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공기흡입부(6)는, 불필요한 고온상태의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소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도어가 열리는 순간 개방되어 일시적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흡입부(6)의 하단부에는 드레인캡(6a)이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캡(6a)는, 도 4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통기공(6b)이 방사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캡(6a)의 중심부분의 결합공(6c)에는 플로트(8)의 중심축(8a)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8)는, 하면의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중심축(8a)과, 상기 중심축(8a)의 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부(8b)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플로트(8)는, 드레인캡(6a)의 결합공(6c)에 삽입된 중심축(8)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일정구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상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플로트(8)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플로트(8)의 플랜지부(8b)는 드레인캡(6a)의 통기공(6b)을 막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일상적인 상태에서는, 흡기부(6)를 통하여 고온상태의 외기가 드레인파이프(1)를 통하여 냉장고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장고의 도어가 열리게 되면, 냉장고 내부에는 상대적으로 저압상태이기 때문에, 외기가 유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플로트(8)는 냉장고 도어를 여는 순간이 팽창하는 내부체적에 의하여 들리게 된다. 상기 플로트(8)가 순간적으로 들리게 되면, 그 플랜지부(8b)가 막고 있는 통기공(6b)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면서, 외기가 냉장고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 내부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에 의하여 대기압상태로 기압이 상승하게 되어, 도어가 원활하게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드레인파이프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먼저 드레인캡(6a)를 개폐하는 플로트(8)의 구조를 살펴보면, 중심축(8a) 및 플랜지부(8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8a)은, 플로트(8)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중량을 차지하는 구성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중심축(8a)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플로트(8)는 상대적으로 중량이 무겁게 되어, 도어를 여는 순간의 적은 기압차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지적된다. 이러한 단점은, 실질적으로 도어를 여는 순간에, 보다 많은 힘이 가해져야 한다는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드레인파이프(1)의 구조를 살펴보면, 집수부(2)에서 드레인파이프의 중심을 연결하는 부분이 많은 굴곡을 가지고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그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대하여 일정한 유로저항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흡기부(6)와 드레인파이프(1)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7)에 의하여 연결되는바, 실제로 상기 연결파이프(7)도 그 단면적이 적기 때문에, 외기가 유입될 때 유로저항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플로트의 하중이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공기유입시의 저항, 그리고 드레인파이프의 전체적인 구조 및 연결구조의 유로단면적의 변화 및 굴곡에 의한 유로저항 등이 문제시 되어, 실제로 도어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를 열 때, 원활하게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도어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외기의 유입시 상부로 이동하는 플로트의 하중을 최소화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와 관련된 외기의 유입과정에서, 공기의 유동소음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드레인파이프의 굴곡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연결부분의 유로 단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시키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드레인파이프 부분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B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드레인캡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집수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흡기부분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C부분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드레인파이프 22 ..... 집수부
24 ..... 연결파이프 30 ..... 공기흡입부
32 .....드레인캡 34 ..... 통기공
36 ..... 중심축 40 ..... 플로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파이프는, 제상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를 통하여 하강하는 제상수를 배출하는 배수부, 그리고 도어를 열 때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이 성형된 중심부분에 직립성형된 중심축을 구비하는 드레인캡과;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어 도어의 개페에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통기공을 개폐하는 플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드레인캡에 중심축을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플로트에 중심축이 성형되던 종래의 것에 비하여 플로트의 중량을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플로트는 도어를 여는 순간의 작은 압력(또는 체적)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에 의하여, 도어를 보다 부드럽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집수부(22)를 상단부에 가지는 드레인파이프(20)는, 상기 집수부(22)와 드레인파이프(20)의 연결부분을 가능하면 일직선상으로 설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드레인파이프(20)의 중간부분과 상기 집수부(22)가 있는 상단부를 일직선상으로 배열하는 것에 의하여, 그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을 최소화하여, 공기의 유동소음을 방지하고자 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파이프(20)와 공기흡입부(30)를 연결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바, 상기 공기흡입부(30)와 드레인파이프(20)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24)를 충분한 유로 단면적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히 상기 연결파이프(24)에서 드레인파이프(20)와 연결되는 넥부분의 단면적을 확대하는 것에 의하여, 단면적이 협소한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상기 공기흡입부(3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드레인캡(32)과의 관련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드레인캡(32)은, 방사상으로 성형된 통기공(34)과, 상기 통기공이 성형된 부분의 중심에서 상부로 직립 성형된 중심축(36)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플로트(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중심축(36)이, 드레인캡(32)에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플로트(40)에 중심축(36)의 구성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플로트(40)는, 중심축의 구성을 생략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중량이 줄어들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캡(32)의 중심축(3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플로트(40)가 조립된다. 상기 플로트(40)는, 상기 중심축(36)에 일정한 유격을 가지고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40)의 외주면은, 상기 중심축(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기공(34)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냉장고의 도어가 열리게 되면, 냉장고 내부에는 상대적인 저압상태에서 체적이 일시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공기흡입부(30)를 통하여 외기가 냉장고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냉장고의 외기가 유입되는 순간 본 발명에 의한 플로트(40)는, 상기 중심축(36)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플로트(40)가, 드레인캡(32)에 일체화된 중심축(36)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드레인캡(32)의 통기공(34)과 플로트(40)가 이격된다. 따라서 기계실과 연통하고 있는 외기가, 상기 통기공(34)을 통하여 냉장고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드레인파이프(20)을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면, 냉장고의 내부의 기압이 상승하게 되면서, 도어를 보다 부드럽게 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플로트(40)는, 종래와는 달리 중심축(36)을 구비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심축을 구비하고 있던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중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어를 여는 순간에 상기 드레인파이프(20)에 걸리는 작은 압력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플로트(40)는, 냉장고 도어를 여는 동작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게 때문에, 쉽게 상승하게 되어 도어를 여는 동작을 가장 부드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드레인파이프(20)의 일단에 설치되는 공기유입부(30)에 있어서, 드레인캡(32)에 중심축을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플로트(40)를 보다 가볍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플로트(40)를 보다 가볍게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도어를 여는 동작에 의하여 가장 민감하게 플로트(40)가 반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파이프(20)의 상단부의 집수부(22)와 드레인파이프의 상부의 연결부분을 가능하면 직선형상으로 성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직선형상의 구조를 취하는 것에 의하여, 그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하여 유동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레인캡(32)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흡입부(30)와 상기 드레인파이프(20)의 연결부분의 구조에 있어서, 드레인파이프(20)와 연결되는 넥부분의 단면적을 특히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엄격하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플로트(40)를 최저의 하중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냉장고의 도어를 여는 경우, 압력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를 열 때, 본 발명에 의한 플로트는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쉽게 통기공을 열게 되어, 도어의 개폐를 가장 부드럽게 하여, 냉장고 사용상의 편리함이 증대되는 잇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드레인파이프의 상하부분의 연결구조를 가능하면 직선화하도록 설계하고 있고, 드레인캡(32)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흡입부와의 연결부분도 공기의 유동단면적을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유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어를 여는 과정에서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도어를 닫은 후, 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하강하여 압력이 떨어져서 외기가 유입되는 과정에 있어서도, 공기의 유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제상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를 통하여 하강하는 제상수를 배출하는 배수부, 그리고 도어를 열 때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이 성형된 중심부분에 직립성형된 중심축을 구비하는 드레인캡과;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어 도어의 개페에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통기공을 개폐하는 플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와 드레인파이프의 중간부분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파이프의 중간 일측에서 연통하는 공기흡입부의 연결부분 단면적이 확대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파이프 구조.
KR1019990045118A 1999-10-18 1999-10-18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 KR100578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118A KR100578348B1 (ko) 1999-10-18 1999-10-18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118A KR100578348B1 (ko) 1999-10-18 1999-10-18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543A true KR20010037543A (ko) 2001-05-15
KR100578348B1 KR100578348B1 (ko) 2006-05-11

Family

ID=1961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118A KR100578348B1 (ko) 1999-10-18 1999-10-18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468B1 (ko) * 2000-03-23 2002-11-23 만도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20220139068A (ko) * 2021-04-07 2022-10-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결빙 방지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셔터형 냉동실 배수구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636A (ko) 2018-12-18 2020-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레인 호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468B1 (ko) * 2000-03-23 2002-11-23 만도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20220139068A (ko) * 2021-04-07 2022-10-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결빙 방지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셔터형 냉동실 배수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8348B1 (ko)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7934A1 (en) Refrigerator
CN106491063B (zh) 用于洗碗机的风机组件和具有其的洗碗机
US7392663B2 (en)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of vehicles
KR100389382B1 (ko) 냉장고
US20100269531A1 (en) Cooling device
KR20040086890A (ko) 냉장고
CN107631536B (zh) 一种排水组件
CN110857521B (zh) 用于干衣机的底座组件、冷凝干燥系统和干衣机
KR100578348B1 (ko)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
KR100698237B1 (ko) 냉장고의 드레인수 배출장치
KR20040046945A (ko)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US5337580A (en) Room air conditioner
KR20070028884A (ko) 일체형 에어컨
CN211953368U (zh) 立式冷藏柜
CN209042850U (zh) 风冷冰箱
CN218495553U (zh) 冰箱
CN208443027U (zh) 空调器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219244008U (zh) 制冷器具
KR100343739B1 (ko)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
KR200297297Y1 (ko) 냉장고용 제상수 배수구 개폐수단
KR100360855B1 (ko) 냉장고의 배수 시스템
CN217131506U (zh) 一种工商业用大冷量空调的快速排水装置
JP2002267321A (ja) ダンパー開閉装置およびダンパー開閉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200158093Y1 (ko)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US20220397332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