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476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476A
KR20220019476A KR1020200099935A KR20200099935A KR20220019476A KR 20220019476 A KR20220019476 A KR 20220019476A KR 1020200099935 A KR1020200099935 A KR 1020200099935A KR 20200099935 A KR20200099935 A KR 20200099935A KR 20220019476 A KR20220019476 A KR 20220019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ain
evaporator
conditioning case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태
박태용
오동훈
이정만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9476A/ko
Publication of KR2022001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유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서로 연통된 공조 케이스;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토출구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가 통과되는 증발기; 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 케이스에는 증발기의 하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내부와 연통된 배수관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의 내부에는 배수관 내부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배수부재가 삽입되어, 배수관을 통해 공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속 및 풍량이 감소됨에 따라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수관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를 냉방 및 난방 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에는 공기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와 공기의 가열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비되며, 도어들을 개폐를 통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 장치(1)는 공조 케이스(10), 송풍팬(31), 증발기(2), 히터코어(3), 템프도어(20) 및 다수의 모드도어(16, 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공기는 송풍팬(31)의 작동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1)에서부터 증발기(2)를 거쳐 믹싱챔버(MC)쪽으로 유동된 후 공조장치의 작동모드에 따라 차량의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공조 케이스(10)에는 증발기(2)가 배치된 부분에서 증발기(2)의 하부에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21)가 형성되어, 증발기(2)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수구(21)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공기의 유동방향에 따른 압력에 의해 증발기(2)의 하부쪽으로 모인 응축수는 배수구(21)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최근에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공기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여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증발기 흡입식 구조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즉, 송풍기의 공기 흡입 측에 증발기가 배치되어, 증발기를 거친 공기가 송풍기로 흡입된 후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증발기 흡입식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증발기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공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어, 배수구를 통해 응축수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증발기 흡입식 구조에서 증발기에 인접하여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응축수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KR 10-2016-0013456 A (2016.02.0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팬의 공기 흡입 측에 증발기가 배치되는 증발기 흡입식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증발기 하부쪽에 구성된 배수관을 통해 응축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내부를 통해 연통된 공조 케이스;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토출구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가 통과되는 증발기; 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 케이스에는 상기 증발기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의 단면적을 축소시켜 상기 배수관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배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재는 단면이 "-"자인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의 중심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재는 단면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의 중심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케이스에는 증발기의 하단부 부근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배수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홈에 배수관이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홈의 하단 중앙부에는 배수홈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배수컵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컵에 배수관이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홈 및 배수컵에는 증발기의 하단 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구획판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에서 배수부재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은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의 상단은 증발기의 하단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은 배수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 및 배수부재는 공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증발기 흡입식 구조에서 배수관을 통해 공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속 및 풍량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수관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의 하단과 공조 케이스의 배수홈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냉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를 포함한 일부분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수평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배수관 부분을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를 포함한 일부분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도 5와는 다른 형태의 배수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를 포함한 일부분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및 전체 평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배수관 부분을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크게 공조 케이스(100), 송풍팬(200), 증발기(300), 배수관(150) 및 배수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조 케이스(100)는 내부에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공기 유로인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조 케이스(100)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공기 토출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공기 유입구(110)로 유입된 공기는 공조 케이스(100)의 내부를 통과하여 공기 토출구(120)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일례로 공조 케이스(100)의 공기 유입구(110)는 외기 유입구 및 내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후방향의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외기 유입구 및 전후방향의 타측에 차량 실내의 내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내기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 및 내부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흐름을 분배할 수 있는 내외기 유입 도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외기 유입구 및 내기 유입구에는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토출구(120)는 내부 토출구 및 외부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토출구는 차량의 실내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외부 토출구는 차량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토출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배출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송풍팬(200)은 일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송풍장치이며, 송풍팬(200)은 공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유입구(110)와 공기 토출구(120) 사이에 배치되되 공기 토출구(120)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송풍팬(200)은 원심식 다익 송풍기가 될 수 있으며, 시로코 팬 등 다양한 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300)는 압축된 냉매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증발기의 외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장치이며, 공기가 증발기(3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증발기(300)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300)는 공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 유입구(110)와 송풍팬(200)의 사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300)는 튜브 및 핀들 사이의 공기 통로가 공기 유입구(1110)에서 송풍팬(200)쪽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대략 나란하도록 공조 케이스(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증발기(300)가 공조 케이스(100)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송풍팬(200)이 작동되면 공조 케이스(100)의 공기 유입구(110)를 통해 공기가 공조 케이스(100)의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300)를 거치며 냉각된 후 송풍팬(200)을 통과하여 공기 토출구(1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공조 케이스(100)에는 증발기(300)의 하단부 부근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배수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홈(130)은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홈(130)은 증발기(300)의 하단부와 이격되어 하단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증발기(300)의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아래쪽으로 흘러내려 증발기(300)의 하단에서 깔때기 형태의 안쪽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배수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홈(130)의 하단 중앙부에는 배수홈(130)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배수컵(140)이 형성되며, 배수컵(140)의 하단에는 배수관(150)이 형성되어 배수관(150)이 배수컵(14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응축수가 배수홈(130)을 따라 유동되어 배수컵(140)에 모인 후 배수관(150)을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수관(150)의 내부에는 배수부재(500)가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배수부재(500)는 단면이 "-"자인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배수부재(500)가 배수관(150)의 중심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부재(500)는 배수관(150)의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맞춤 결합될 수도 있으며, 배수부재(500) 및 배수관(150)이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배수관(150)의 단면적이 배수부재(500)에 의해 축소됨에 따라, 송풍팬(200)에서 증발기(300) 측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증발기 흡입식 구조에서 배수관(150)을 통해 공조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속 및 풍량이 감소되어,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수관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를 포함한 일부분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홈(130) 및 배수컵(140)에는 증발기(300)의 하단 밑으로 통과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획판(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구획판(40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수직으로 구획판(400)이 배치되어, 증발기(300)의 하단 아래쪽의 배수홈(130) 및 배수컵(140) 내부를 통해 공기가 통과되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여기에서 배수부재(500)는 구획판(400)에서 연장 형성된 형태로 배수부재(500)와 구획판(40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획판(400)은 상단이 증발기(300)의 하단에 접촉 배치되어 공기가 구획판과 증발기의 사이로 통과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구획판(400) 및 배수부재(500)는 공조 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공기가 실질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나는 증발기(300)의 안쪽인 튜브 및 핀들로 구성된 코어부가 아닌 증발기(300)의 바깥쪽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증발기의 하단과 공조 케이스의 배수홈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냉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도 5와는 다른 형태의 배수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재(500)는 단면이 "+"자인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배수부재(500)가 배수관(150)의 중심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배수부재(500)에 배수관(150)의 내측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관(150)의 상단부쪽 일부에만 배수부재(500)가 삽입된 형태로 배치되어, 배수관(150)에 배수부재(500)를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공조 케이스
110 : 공기 유입구 120 : 공기 토출구
130 : 배수홈 140 : 배수컵
150 : 배수관
200 : 송풍팬
300 : 증발기
400 : 구획판
500 : 배수부재

Claims (10)

  1.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내부를 통해 연통된 공조 케이스;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토출구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와 송풍팬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가 통과되는 증발기;
    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 케이스에는 상기 증발기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의 단면적을 축소시켜 상기 배수관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배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는 단면이 "-"자인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의 중심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는 단면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의 중심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케이스에는 증발기의 하단부 부근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배수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홈에 배수관이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의 하단 중앙부에는 배수홈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배수컵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컵에 배수관이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 및 배수컵에는 증발기의 하단 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구획판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에서 배수부재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상단은 증발기의 하단에 접촉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배수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 및 배수부재는 공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00099935A 2020-08-10 2020-08-10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019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35A KR20220019476A (ko) 2020-08-10 2020-08-10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35A KR20220019476A (ko) 2020-08-10 2020-08-10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476A true KR20220019476A (ko) 2022-02-17

Family

ID=8049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935A KR20220019476A (ko) 2020-08-10 2020-08-10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94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456A (ko) 2014-07-25 2016-02-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456A (ko) 2014-07-25 2016-02-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2233B2 (en) Blower for air conditioner of automotive vehicles
US10386079B2 (en) Air conditioner
US10731875B2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123504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8095972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20090001193U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20019476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08382343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20140072515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1802516A (zh) 冷凝水管理
KR100707468B1 (ko) 코너형 공기조화기
KR20060117832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KR20140085899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08332463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252204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8386905B (zh) 空调
KR100382522B1 (ko) 공기조화기의 컨버터블형 실내기
KR100362468B1 (ko)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2481303B1 (ko)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0624737B1 (ko) 공기조화기
CN216522004U (zh) 空调室内机
CN210486023U (zh) 空调机组
KR100917579B1 (ko) 공조장치의 배수구조
KR20020017471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10044110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