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675A -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675A
KR20040003675A KR1020020038432A KR20020038432A KR20040003675A KR 20040003675 A KR20040003675 A KR 20040003675A KR 1020020038432 A KR1020020038432 A KR 1020020038432A KR 20020038432 A KR20020038432 A KR 20020038432A KR 20040003675 A KR20040003675 A KR 20040003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heat exchanger
air
condensed water
drain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3675A/ko
Publication of KR20040003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67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기(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보다 확실하게 배출하기 위해 드레인팬(50)과 가이드팬(60)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팬(60)은 열교환기(40)의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는 가이드경사면(62)을 구비하여 열교환기(40)에서 비산되어 낙하되는 응축수를 상기 드레인팬(50)으로 안내한다. 상기 드레인팬(50)에는 응축수수집부(51)가 구비되는데, 상기 응축수수집부(51)에는 배출안내면(52)이 드레인홀(57)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50)에는 응축수수집부(51)에서 응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넘침방지벽(55)과 차단벽(6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벽(63)은 상기 가이드팬(6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40)의 하부에 대응되는 드레인팬(50)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드레인팬(50)에 형성된 배출안내면(52)의 경사에 의해 드레인홀(57)로 응축수가 보다 원활하게 안내되고, 여러가지 원인으로 공기의 유속이 빨라져 발생할 수 있는 비산되는 응축수를 가이드팬(60)이 상기 드레인팬(50)으로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Saturation water drain structure of ducted type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서 드레인팬의 구조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의 캐비넷(3)에는 일측에 공기귀환구(5)가 형성되고, 반대쪽에 공기공급구(7)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귀환구(5)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을 순환하고 돌아오는 공기가 캐비넷(3)의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이고, 상기 공기공급구(7)는 캐비넷(3)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캐비넷(3)을 빠져나가는 부분이다. 상기 공기귀환구(5)와 공기공급구(7)에는 각각 덕트(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된다.
상기 캐비넷(3)의 내부에는 열교환기(9)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9)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상기 공기귀환구(5)를 통해 캐비넷(3)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부분이다. 냉방운전인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기(9)를 통과한 공기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9)는 상기 캐비넷(3)의 내부에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9)의 하단은 드레인팬(10) 상에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팬(10)은 상기 열교환기(9)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모아 캐비넷(3)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드레인팬(10)은 응축수를 모으는 일종의 그릇으로 응축수가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그 가장자리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10)은 그 내부가 상기 열교환기(9)를 기준으로 양측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단차지게 형성되는 양단은 각각 하단수평면(11)과 상단수평면(13)이고, 상기 하단수평면(11)과 상단수평면(13)의 사이에는 경사면(1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2)에는 상기 열교환기(9)의 하단이 안착된다. 상기 하단수평면(11)에 해당되는 부분에 상기 열교환기(9)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모여진다. 그리고, 상기 하단수평면(11)의 일측에는 드레인홀(15)이 형성되어 모여진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드레인홀(15)에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호스(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된다.
상기 캐비넷(3)의 공기귀환구(5) 내측에는 에어필터(16)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필터(16)는 상기 공기귀환구(5)를 통해 들어온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것이다. 상기 에어필터(16)는 상기 공기귀환구(5) 전체와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기공급구(7)와 대응되는 캐비넷(3)의 내부에는 팬유니트(17)가 설치된다. 상기 팬유니트(17)는 상기 공기귀환구(7)를 통해 캐비넷(3)의 내부로 공기를흡입하고, 상기 열교환기(9)를 통과시켜 공기공급구(7)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상기 팬유니트(17)의 구동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별도의 덕트를 통해 흡입되고, 상기 공기귀환구(5)를 통해 캐비넷(3)으로 흡입된다. 상기 캐비넷(3)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필터(16)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상기 열교환기(9)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다.
예를 들어 냉방운전인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기(9)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한다. 상기 응축수는 상기 하단수평면(11)으로 전달되고, 상기 하단수평면(11)에서 드레인홀(15)을 통해 호스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9)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유니트(17)에 흡입되고, 팬유니트(17)에서 나온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구(7)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과 연통된 별도의 덕트로 공급된다. 상기 덕트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전달된 공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 내를 순환하고 다시 상기 공기귀환구(5)와 연통된 덕트를 통해 공기조화기(1)로 귀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공기조화기(1)를 오랜 동안 사용하면, 상기 에어필터(16)가 이물질에 의해 점점 막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에 의해 상기 에어필터(16)가 막히게 되면, 에어필터(16) 내의 유로단면적이 좁아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팬유니트(17)는 일정한 용량으로 공기를 흡입하므로 상기 팬유티트(17)와 열교환기(9) 사이에 음압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필터(1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매우 빨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에어필터(1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고 팬유니트(17)와 열교환기(9) 사이에 음압이 형성되면 상기 드레인팬(10)의 하단수평면(11)에 모여 있던 응축수가 상기 상단수평면(13) 측으로 넘치고, 심한 경우 상기 열교환기(9)를 통과하여 나온 공기와 함께 상기 팬유니트(17)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9)는 냉방운전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여서 공기중에서 응축된 수분이 열교환기(9)의 방열핀에 얼어붙게 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9)에 착상이 일어나면 상기 열교환기(9)의 유로단면적이 또한 좁아지게 되고 에어필터(16)에서와 같은 이유로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면서 열교환기(9)의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비산되어 상기 팬유니트(17)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팬유니트(17)로 응축수가 전달되면 응축수에 의해 상기 팬유니트(17)가 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상기 팬유니트(17) 측으로 비산된 응축수중 일부는 캐비넷(3)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홀(15)과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서는 상기 드레인팬(10)에 모여진 응축수가 배출되는데, 상기 호스에 상기 팬유니트(17)에 의해 형성되는 음압이 걸리게 되면 상기 호스에 있던 응축수가 역류되어 상기 드레인팬(10)으로 전달되어 드레인팬(10)에서 응축수가 넘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보다 확실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축수를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 내부에 형성되는 음압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응축수 배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응축수 배수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레인팬의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레인팬과 배수호스에 구비된 트랩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공기조화기31: 캐비넷
33: 공기귀환구35: 공기공급구
40: 열교환기50: 드레인팬
52: 배출안내면53: 상단수평면
54: 측벽55: 넘침방지벽
57: 드레인홀58: 배수호스
59: 트랩60: 가이드팬
62: 가이드경사면63: 차단벽
70: 에어필터80: 팬유니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상에 설치된 열교환기에서 공기와의 열교환중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수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홀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안내면에 의해 응축수수집부가 형성되는 드레인팬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경사면이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게 상기 드레인팬상에 설치되는 가이드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팬에서 상기 응축수수집부는 상기 열교환기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팬의 반대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팬의 하부에는 상기 응축수집부에서 연장되는 상단수평면이 더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의 응축수수집부와 상단수평면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차단벽이 더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수집부에서 상단수평면으로 응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차단벽은 상기 가이드팬과 드레인팬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수집부의 일측 배출안내면의 상단에는 배출안내면의 경사보다 더 큰 경사를 가지는 넘침방지벽이 더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홀에 연결되는 배수호스에는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음압과 열교환기 및 에어필터의 막힘에 의한 공기유속변동에 따른 응축수의 비산과 누수 등이 방지되어 응축수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응축수 배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응축수 배수구조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레인팬의 구성이 개략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응축수 배수구조가 구비된 공기조화기(30)의 외관을 캐비넷(31)이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31)은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캐비넷(31)의 일측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귀환된 공기가 캐비넷(3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귀환구(3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캐비넷(31)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전달되게 하는 공기공급구(35)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귀환구(33)와 공기공급구(35)에는 각각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과의 연통을 위한 덕트가 연결된다.
상기 캐비넷(31)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귀환구(33)와 공기공급구(35)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에 열교환기(4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40)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40)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상기 공기귀환구(33)를 통해 캐비넷(31)의 내부로 들어온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30)가 냉방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 열교환기(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팬(50)이 상기 열교환기(4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50)은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수집부(51)를 구비한다. 상기 응축수수집부(51)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배출안내면(52)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안내면(52)은 아래에서 설명될 드레인홀(57)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안내면(52)은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일측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응축수수집부(51)는 상기 열교환기(40)로 공기가 유입되는 측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열교환기(40)를 기준으로 상기 응축수수집부(51)의 반대쪽에는 상단수평면(53)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5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측벽(54)이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응축수수집부(51)의 일측 배출안내면(52) 상단에는넘침방지벽(55)이 형성된다. 상기 넘침방지벽(55)은 상기 배출안내면(52)보다 더 큰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안내면(52)의 상단보다 높은 높이까지 응축수가 전달되더라도 넘침방지벽(55)의 경사에 의해 드레인팬(50)에서 응축수가 넘치지 않게 된다.
상기 응축수수집부(51)의 최하부에는 드레인홀(57)이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홀은 응축수수집부(51)에 모여진 응축수를 드레인팬(50)의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드레인홀(57)에는 배수호스(58)가 연결된다. 상기 배수호스(58)는 상기 드레인홀(57)를 통해 전달된 응축수를 캐비넷(31)의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호스(58)에는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팬(5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트랩(59)이 구비된다. 상기 트랩(59)은 본 실시예에서 'P'자형의 것이 사용되었으나, 'U'자형 등 다양한 형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드레인팬(50)의 상단수평면(53)과 응축수수집부(51)의 사이에는 가이드팬(6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팬(60)은 상기 열교환기(40)의 하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팬(60)은 상기 열교환기(40)에서 비산되어 낙하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수집부(51)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경사면(62)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경사면(62)은 상기 열교환기(40)의 전방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다시 말해 상기 열교환기(40)의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경사면(62)의 하단에는 차단벽(63)이 구비된다. 상기 차단벽(63)은 상기 상단수평면(53)과 배출안내면(52)의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수집부(51)에서 응축수가 상기 상단수평면(53) 쪽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벽(63)의 하단은 상기 드레인팬(50)에 고정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상기 공기귀환구(33)에는 에어필터(7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필터(70)는 상기 공기귀환구(33)를 통해 캐비넷(3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필터(70)는 상기 공기귀환구(33)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캐비넷(31)의 내부에는 팬유니트(80)가 설치된다. 상기 팬유니트(80)는 상기 캐비넷(31)의 내외부로 공기의 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출구측이 상기 공기공급구(35)와 연통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조화기(30)가 구동되면 실외기에 구비되는 압축기가 동작되면서 열교환사이클이 구동되고, 상기 팬유니트(80)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팬유니트(80)의 구동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상기 공기귀환구(33)로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공기귀환구(33)를 통해 캐비넷(31)의 내부로 들어온 공기는 에어필터(7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필터(7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다.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열교환한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30)가 냉방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때, 공기가 열교환하여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가 함유하고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열교환기(40)의 방열핀 표면에 맺혀진다.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상기 팬유니트(80)에 의해 공기공급부(35)를 통해 덕트를 지나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40)에 형성된 응축수는 상기 열교환기(40)를 따라 흘러 상기 드레인팬(50)에 낙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안내면(52)에 떨어진 응축수는 배출안내면(52)의 경사를 따라 안내되어 응축수수집부(51)에 모이고, 상기 드레인홀(57)을 향해 유동된다. 특히 상기 배출안내면(52)의 경사는 응축수수집부(51)에서 응축수가 드레인홀(57)로 보다 잘 전달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면 상기 열교환기(40)에 맺힌 응축수가 공기 유동방향으로 비산될 수 있다. 즉, 상기 열교환기(40)의 전방을 향해 응축수가 비산되어 낙하된다. 이와 같이 비산되어 낙하되는 응축수는 상기 가이드팬(60)의 가이드경사면(62)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경사면(62)의 경사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배출안내면(52)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수집부(51)로 전달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홀(52)과 연통된 배수호스(58)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배수호스(58)에는 트랩(59)이 형성되어 있어 배수호스(58)에서 상기 드레인홀(52)측으로 응축수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넷(31)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응축수수집부(51)와 배수호스(58)사이의 응축수 흐름에 영향이 미치지 않게 되고, 캐비넷(31) 내부에 발생되는 음압에 의한 응축수넘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구조에서는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응축수수집부로 배출안내면의 경사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안내되고 응축수수집부와 주변 사이에 배출안내면보다 큰 경사를 가지는 넘침방지벽과 차단벽 등이 구비되어 응축수 넘침이 방지된다.
그리고, 열교환기의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가이드팬이 설치되어 열교환기에서 비산되는 응축수를 드레인팬의 응축수수집부로 안내하므로 응축수가 팬유니트로 전달되어 모터가 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호스에 트랩이 구비되어 배수호스에서 드레인팬으로 응축수가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였으므로, 드레인팬의 응축수수집부에서 응축수가 역류되어 넘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상에 설치된 열교환기에서 공기와의 열교환중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수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홀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안내면에 의해 응축수수집부가 형성되는 드레인팬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경사면이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게 상기 드레인팬상에 설치되는 가이드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에서 상기 응축수수집부는 상기 열교환기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팬의 반대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팬의 하부에는 상기 응축수집부에서 연장되는 상단수평면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의 응축수수집부와 상단수평면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차단벽이 더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수집부에서 상단수평면으로 응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가이드팬과 드레인팬을 연결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수집부의 일측 배출안내면의 상단에는 배출안내면의 경사보다 더 큰 경사를 가지는 넘침방지벽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홀에 연결되는 배수호스에는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KR1020020038432A 2002-07-03 2002-07-03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KR20040003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432A KR20040003675A (ko) 2002-07-03 2002-07-03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432A KR20040003675A (ko) 2002-07-03 2002-07-03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675A true KR20040003675A (ko) 2004-01-13

Family

ID=3731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432A KR20040003675A (ko) 2002-07-03 2002-07-03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367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63B1 (ko) * 2006-12-29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기기
KR100857600B1 (ko) * 2007-04-02 2008-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1371889B1 (ko) * 2007-12-26 2014-03-07 (주)귀뚜라미 에어컨의 응축수 누수 방지 장치
CN104296360A (zh) * 2014-10-16 2015-01-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除湿机接水盘的水路结构及除湿机
WO2016058346A1 (zh) * 2014-10-16 2016-04-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除湿机接水盘的水路结构及除湿机
CN107091523A (zh) * 2017-06-12 2017-08-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凝水收集装置、换热组件和空调器
CN117948667A (zh) * 2024-03-27 2024-04-30 深圳市卓航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可调气体交换保温层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63B1 (ko) * 2006-12-29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기기
KR100857600B1 (ko) * 2007-04-02 2008-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1371889B1 (ko) * 2007-12-26 2014-03-07 (주)귀뚜라미 에어컨의 응축수 누수 방지 장치
CN104296360A (zh) * 2014-10-16 2015-01-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除湿机接水盘的水路结构及除湿机
WO2016058346A1 (zh) * 2014-10-16 2016-04-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除湿机接水盘的水路结构及除湿机
CN107091523A (zh) * 2017-06-12 2017-08-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凝水收集装置、换热组件和空调器
CN107091523B (zh) * 2017-06-12 2023-06-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凝水收集装置、换热组件和空调器
CN117948667A (zh) * 2024-03-27 2024-04-30 深圳市卓航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可调气体交换保温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416B1 (ko) 공기조화기의 상단 응축수 처리장치
BR112020003882B1 (pt) Arranjo de coleta de água
US6901766B1 (en) Coil drain pan apparatus
EP1813877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90078477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KR20040003675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KR100642365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360254B1 (ko) 천정형 에어컨 실내기의 드레인구조
CN212962165U (zh) 接水盘组件、风管机及空调器
JP3223089B2 (ja) 空気調和機
KR101371889B1 (ko) 에어컨의 응축수 누수 방지 장치
CN100359257C (zh) 管道型空调凝结水排水结构
KR100256415B1 (ko) 공기조화기의 상단 응축수 처리장치
KR20020044797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받이
KR20040017687A (ko) 공기조화기용 물받이구조
CN217844119U (zh) 一种室外机及空调器
KR100409015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KR100362468B1 (ko)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0239464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JP2019124422A (ja) 天井埋込み型空気調和機
CN220083310U (zh) 用于整体式空调器的底盘组件和整体式空调器
KR20040020748A (ko) 공기조화기용 물받이구조
CN221483837U (zh) 一种空调箱的排水结构
KR100234971B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 및 지지장치
KR200300434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