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169Y1 -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 - Google Patents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169Y1
KR200307169Y1 KR20-2002-0036432U KR20020036432U KR200307169Y1 KR 200307169 Y1 KR200307169 Y1 KR 200307169Y1 KR 20020036432 U KR20020036432 U KR 20020036432U KR 200307169 Y1 KR200307169 Y1 KR 200307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pile
present
tree
slo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각
김규형
Original Assignee
김명각
김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각, 김규형 filed Critical 김명각
Priority to KR20-2002-0036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1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에 관한 것으로, 산을 관통하는 도로의 주변이나 산을 깎아서 만든 택지 주변에 형성된 경사지가 우풍(雨風)에 의해 유실 및 붕괴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목이 경사지에 잘 자라도록 하여 더욱 경사지를 견고히 유지시켜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특징과 함께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인 전분으로 만들어지고 중앙에 수목이 관통하여 자랄 수 있는 구멍(12)들이 형성되며 귀퉁이에는 파일(20)이 박힐 수 있는 구멍(14)들이 형성된 판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를 경사지에 고정시키기 위한 파일(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Fence for slant ground}
본 고안은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에 관한 것으로, 산을 관통하는 도로의 주변이나 산을 깎아서 만든 택지 주변에 형성된 경사지가 우풍(雨風)에 의해 유실 및 붕괴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목이 경사지에 잘 자라도록하여 더욱 경사지를 견고히 유지시켜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특징과 함께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산을 관통하는 도로나 산을 깎아서 만든 택지 또는 고지대와 접한 장소 등에는 경사지(傾斜地)가 형성되는데, 암석이 다량 견고히 분포되어 있거나 암석으로만 이루어진 경사면이 아니면 비바람에 의해 흙과 작은 돌들이 유실 및 붕괴가 되고이 현상이 지속되면 대규모의 붕괴가 초래되어서 가옥과 도로가 파괴 내지는 매몰되고 따라서 인명을 앗아가는 대형사고가 발생되는 예를 자주 접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지의 표면에 그물을 치거나 비닐을 덮는다거나 또는 경사지 표면에 아예 콘크리팅을 하거나 또는 경사지를 다단식 축대로 형성시키는 등의 수단을 강구하고 있는데, 경사면에 콘크리팅을 하는 것은 경사면의 붕괴를 양호히 막아주기는 하지만 공법이 까다로우며 특수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야 하고 장비 또한 특수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제약과 경제적인 문제가 수반되고 수목이 전혀 자랄 수 없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가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그리고 비닐을 덮거나 그물을 치는 수단은 전근대적이고 합리적이지 못하며 효과 또한 저조하고 특히 미관상 좋지 못하여 역시 권장할 수단이 되지 못하며, 경사지를 다단식 축대식으로 형성하는 것 또한 많은 인력과 장비, 시간,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어 역시 크게 바람직하다 할 수는 없을 것이고 빗물이 경사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는 없어 위험하다.
한편, 하나 하나 벌집 형태로 만들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을 경사지에 박고 흙을 채운 다음, 수목을 심어서 경사지의 토양을 견고하게 하는 수단이 강구된 바 있으나 이 역시 구조물의 구멍이 너무 커서 비바람이 불면 빗물이 경사지로 신속하게 침투가 되어 흙과 작은 돌들이 유실되고 동시에 수목들도 뿌리가 뽑힌 채 유실이 되어 결국 붕괴가 되는 현상을 막기에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이어서 긴 시간이 경과하면 부식되어 흙으로 변화되는 전분으로 만들고 제작과 취급, 설치 및 제거 등이 용이하고 수목의 생장을 안전하게 함과 아울러 이와 함께 경사지의 붕괴를 훌륭하게 막을 수 있는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인 전분으로 만들어지고 중앙에 수목이 관통하여 자랄 수 있는 구멍(12)들이 형성되며 귀퉁이에는 파일(20)이 박힐 수 있는 구멍(14)들이 형성된 판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를 경사지에 고정시키기 위한 파일(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2: 구멍
14: 구멍 20: 파일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긴 시간이 경과하면 부식되어서 흙으로 되는 전분을 사용하여 몸체(10) 또는 파일(20)을 만든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파일(20)은 나무 파일이나 플라스틱 파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가격이 비싸고 토양에 좋은 작용을 하지 못하는 금속 파일은 크게 바람직하지 못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반드시 전분으로 만드는 것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만들어도 무방할 것이고 사출방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특히 몸체를 전분으로 만드는 이유는, 경사지에 본 고안의 몸체가 견고히 고정되고 몸체의 구멍(12)을 통해 도2와 같이 수목이 자라나게 되면 경사지는 수목의 뿌리와 본 고안의 부식에 의한 지면과의 고착현상에 의하여 견고해지게 되며 그 이후 본 고안이 경사지에 더 이상 힘을 지탱하고 있지 않더라도 경사지는 견고하게 변화될 것이 당연한 이치이므로 본 고안의 몸체를 전분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몸체(10)를 경사지로 이동시킨 후 변(邊)끼리 접촉되도록 배열을 함과 동시에 파일(20)을 구멍(14)마다 박아서 경사면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동시에 구멍(12)을 통해 작은 수목을 심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방치하더라도 자연현상에 의해 수목이나 풀들이 구멍(12)을 통해 자라서 나오기 때문에 결국 구멍(12)은 수목이나 풀로 메워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요령으로 연결판들을 차례로 덮고 파일을 박으면 경사지 표면의 배치된 몸체들은 전부 일체가 되는 결과를 낳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경사지 표면에 고정시키면 비가 심하게 내려도 빗물은 경사지의 지표 이하로 신속히 침투하지 못하고 본 고안의 표면을 타고 아래로 신속히 추락하게 되며, 특히 수목이 자란 상태에서는 더욱 양호한 작용을 할 것이며 바람이 세차게 불어도 본 고안은 견고히 경사지에 고정되어 있어서 경사지의 붕괴 및 유실을 탁월하게 막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파일만 제거를 하면 언제든지 경사지로부터 간단히 제거가 가능하고 이는 다른 경사지로 이송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몸체는 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이 바람직한 형태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각형 등으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자체적으로 경사지의 유실이나 붕괴를 예방할 수 있지만 전분을 사용하여 수목이나 풀이 충분히 자란 상태가 되면 자연적으로 부식이 되어서 흙이 되고 그 상태에서는 경사지가 견고한 상태가 되어 비바람에 의해 경사지가 유실되거나 붕괴되는 위험을 미래지향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와 함께 환경친화적인 특징을 갖춘 장점이 있으며, 미관상으로도 양호하여 미적인 환경을 창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중앙에 수목이 관통하여 자랄 수 있는 구멍(12)들이 형성되며 귀퉁이에는 파일(20)이 박힐 수 있는 구멍(14)들이 형성된 판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를 경사지에 고정시키기 위한 파일(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0)는, 전분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
  3. 제1항에 있어서, 파일(20)은, 목재 파일 또는 플라스틱 파일 또는 전분 파일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
KR20-2002-0036432U 2002-12-05 2002-12-05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 KR200307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432U KR200307169Y1 (ko) 2002-12-05 2002-12-05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432U KR200307169Y1 (ko) 2002-12-05 2002-12-05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169Y1 true KR200307169Y1 (ko) 2003-03-15

Family

ID=4940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432U KR200307169Y1 (ko) 2002-12-05 2002-12-05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1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575B1 (ko) 2007-06-28 2008-02-04 주식회사 풍록원 매트고정판
KR100844869B1 (ko) 2007-03-19 2008-07-09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비탈면의 수목식재구조
KR101058751B1 (ko) 2011-03-16 2011-08-24 하용수 친환경 앵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869B1 (ko) 2007-03-19 2008-07-09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비탈면의 수목식재구조
KR100800575B1 (ko) 2007-06-28 2008-02-04 주식회사 풍록원 매트고정판
KR101058751B1 (ko) 2011-03-16 2011-08-24 하용수 친환경 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625B2 (en) Retaining wall support posts
JPH06197634A (ja) モジュール式造園施設及び構造物
KR200307169Y1 (ko) 경사지(傾斜地)의 흙 유실(붕괴) 방지물
KR20090069865A (ko) 받침대를 사용한 친환경 경사면 구축방법
KR100506980B1 (ko) 식생호안블럭
JP3201899U (ja) 木製防護体
KR101720146B1 (ko)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1224535B1 (ko) 사면안정보호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생 조성 구조물
CN210827307U (zh) 一种园林设计生态护坡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200361076Y1 (ko) 축대용 조립식 식생블럭
JP2004270280A (ja) 擁壁ブロック
US20240032487A1 (en) Stake stabilization member and erosion control system using same
JP3427204B2 (ja) 土砂受け枠
CN214993792U (zh) 一种崩岗防护网用稳固桩
JP2967061B2 (ja) 蛇 籠
KR100929366B1 (ko) 목재생태블록 및 목재생태블록을 이용한 법면공사 시공방법
JP2005120706A (ja) 排水路付き丸太法枠工法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100402203B1 (ko) 옹벽블록
JP2005133359A (ja) 丸太法枠工法
JP3477069B2 (ja) 土木構築物の構築方法
KR200419606Y1 (ko)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JP6391060B1 (ja) 畦畔法面草刈り用足場ユニット
AU751023B2 (en) Retaining wall support po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