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107Y1 - 구이용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구이용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107Y1
KR200305107Y1 KR20-2002-0034932U KR20020034932U KR200305107Y1 KR 200305107 Y1 KR200305107 Y1 KR 200305107Y1 KR 20020034932 U KR20020034932 U KR 20020034932U KR 200305107 Y1 KR200305107 Y1 KR 200305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plate
divided
meat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1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류나 생선류들의 구이를 위한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구이용 조리기구는 한쌍의 분할 구이판재와; 상기 한쌍의 분할 구이판재 접선 하부에 기름배출을 위한 배출유로와; 상기 분할 판재의 상호 대향변에 적어도 1조 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분할 구이판재가 절첩/전개 가능하게 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상기 분할 구이판재의 전개 각도 설정을 위한 각도유지조절수단을 포함하여서 간편히 보관 및 휴대하여 야외나 일반가정에서 육류나 생선류들을 간편히 조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구이용 조리기구{COOKING PLATE FOR ROAST}
본 고안은 육류나 생선류들의 구이를 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편히 휴대하여 야외나 일반가정에서 육류나 생선류 들을 간편히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용 조리기구는 크게 육류 구이를 위한 것과 생선류 구이를 위한 것으로 각기 제공되고 있는데, 특히 육류 구이는 생고기를 그대로 구이하거나 또는 고기에 양념을 가미하여 구이하는 것으로, 이러한 육류 구이는 2종의 구이용 조리기구로 조리하게 된다. 즉, 돼지고기인 삼겹살 구이시에는 육류의 특성상 많은 기름이 발생하게 되므로 기름 배출을 위한 구조를 갖춘 구이용 조리기구가 요구되고, 주로 양념을 가미한 쇠고기인 불고기 구이시에는 구이시 발생되는 국물이 담아지는 구조를 갖춘 구이용 조리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육류 구이시에는 굽게 되는 육류에 따라 서로 다른 2종의 구이용 조리기구로 구별하여 조리를 하게 되는 번거러움이 있고, 일반가정이나 야외에서 육류 구이를 하고자 할 경우, 육류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2종의 구이용 조리기구를 마련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이용 조리기구의 경우 그 전개되는 면적이 비교적 커서 휴대하거나 보관시 점유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가정에서 또는 야외로 이동시 보관 및 휴대에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가정에서 쇠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가 아닌, 생선류의 구이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구이기구와는 별개의 구이용 조리기구를 구입하여 이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육류나 생선류의 고기가 구이되는 판재를 분할하여 서로 절첩, 전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보관, 휴대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생선 구이시 분할된 판재를 절첩하여 조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육류 구이와 생선류 구이 모두를 조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할된 판재의 중앙에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을 한 곳으로 모아 받아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류로 부터 배출되는 기름의 수거를 간편하게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할된 판재에 양념된 육류 구이시 발생되는 국물을 담수할 수 있도록 하여 육류에서 우러나온 국물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육류나 생선류가 구이되는 분할 된 구이판재와; 상기 구이판재의 양측 서로 대향되는 변에 절첩/전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판재의 분할 절첩 하부에는 배출되는 기름을 받아내는 기름받이를더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판재의 각각에는 국물을 담수하는 국물받이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름받이는 분할된 구이판재의 어느 하나의 구이판재에 고정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름받이는 분할된 구이판재와 분리된 채 상기 결합부와 유동가능 하게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구이용 조리기구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구이용 조리기구의 결합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구이용 조리기구의 절첩 보관 상태 사시도,
도 4a 는 본 고안 구이용 조리기구의 제 1 구이 상태 단면도,
도 4b 는 본 고안 구이용 조리기구의 제 2 구이 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구이용 조리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 은 제 5 도의 구이 상태와 절첩 보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2 : 분할 구이판재 13 : 국물받이
14 : 암수형의 결합부 14a : 암형의 결합부재
14b : 숫형의 결합부재 16 : 기름받이
18 : 각도조절수단 18a : 결속공
18b : 고정핀 20 : 보관부
30: 스크류 40 : 링크부
41 : 걸림편 50 : 걸림돌기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구이용 조리기구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 구이용 조리기구의 결합 요부 확대 단면도 로서, 본 고안은 육류나 생선류가 구이되는 분할되는 구이판재(10)(12)와; 상기 구이판재(10)(12)의 양측 서로 대향되는 변에 절첩/전개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14)와; 상기 구이판재(10)(12)의 절첩 하부에 배출되는 기름을 받아내는 기름받이(16)로 구성된다.
상기 구이판재(10,12)는 원판형이나 사각판형등 다양한 형태의 평판체로 구성된다. 상기 구이판재(10,12)는 통상에서와 같이 구이면(10a,12a)과 구이가 완료된 육류를 올려놓는 보관면(10b,12b)을 구비된다.
이때 보관면(10b,12b)은 양념을 가미한 육류 구이시에서는 국물받이로 이용된다.
상기 결합부(14)는 여러 형태로 구성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그 하나의 예로서, 결합부(14)는 구이판재(10,12)의 서로 대향되는 변 각각에 일체로 연장 설치되는 암형의 결합부재(14a)와 숫형의 결합부재(14b), 그리고 축핀(14c)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숫형의 결합부재(14a,14b)각각이 상호 형합되어 축핀(14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구이판재(10,12)의 절첩, 전개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부재(14)는 암수형의 결합부재(14a,14b)들 중 어느 일측 즉, 축핀(14c)이 설치되지 않은 측에 축핀(14c)이 결합.이탈될 수 있는 개구부(14d)를 갖추어 구이판재(10,12)가 간단하게 끼워 맞춤으로 결합.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부(14)에는 예를 들어 육류를 생고기 그대로 구이하거나 또는 양념을 가미하여 구이하는 조리법에 따라 구이판재(10,12)의 전개 각도를 설정하는 각도조절수단(18)이 구비되는데, 이 각도조절수단(18)은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그 일예로, 암,숫형의 결합부재들(14a,14b)에 축핀(14c)을 동심으로하는 원주상에 조리법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공들(18a)과 별도의 고정핀(18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핀(18b)은 결속공들(18a)중 어느 하나 선택하여 끼워 맞춤하는 것으로, 구이판재들(10,12)의 전개 각도를 설정하게 되며, 조리기구의 보관 및 휴대시에서는 구이판재들(10,12)중 그 어느 하나의 외벽에 갖추어진 보관부(20)에 나사 결합으로 보관되게 된다.
또한 구이판재들(10,12)의 접선 하부에는 육류를 생고기 그대로 구이시 발생하는 기름을 배출하는 어느 일측으로 적당한 구배를 가지는 기름받이(16)가 구비되는데, 상기 기름받이(16)는 구이판재들(10,12)중 그 어느 하나의 저면에 일체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 구이용 조리기구의 절첩 보관 상태 사시도 로서, 본 고안 조리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 또는 휴대시 구이판재(10)(12)를 절접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생선 구이를 할 경우에도 구이판재(10)(12)의 구이면 어느 한쪽에 생선을 올려놓고, 구이면의 다른 한쪽을 절첩한 상태에서 구이판재(10)(12)를 뒤집어 가면서 생선구이를 할 수 있다.
도 4a 는 본 고안 구이용 조리기구의 제 1 구이 상태 단면도 이고, 도 4b 는 본 고안 구이용 조리기구의 제 2 구이 상태 단면도 로서, 도 4a는 생고기를 그대로 구이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구이판재(10,12)의 모서리부에 구비된 각도조절수단(18)인 암,숫형의 결합부재들(14a,14b)의 축핀(14c)을 결속공들(18a)에 결합하되, 구이판재(10)(12)의 중앙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결합하여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이 상향 경사진 구이판재(10)(12)의 구이면 및 이 하부에 구비되는 기름받이(16)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구이를 하게 된다.
도 4b는 양념을 가미하여 구이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분할 구이판재(10,12)의 모서리부에 구비된 각도조절수단(18)인 암,숫형의 결합부재들(14a,14b)의 축핀(14c)을 결속공들(18a)에 결합하되, 구이판재(10)(12)가 중앙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결합하여 구이시 발생되는 고기의 국물이 하향 경사지게 되는 보관면들(10b,12b)에 고이도록 하면서 구이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이시 구이법에 따라 구이판재(10,12)의 경사각도를 각도조절수단(18)의 결속공들(18a)을 선택하여 고정핀(18b)이 꽂아지는 것으로 유지하게 된다.
도 5 는 본 고안 구이용 조리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이고, 도 6 은 제 5 도의 구이 상태와 절첩 보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로서, 도 1에 도시한 육류나 생선류가 구이되는 분할되는 구이판재(10)(12)와; 상기 구이판재(10)(12)의 양측 서로 대향되는 변에 절첩/전개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14)와; 상기 구이판재(10)(12)의 절첩 하부에 배출되는 기름을 받아내는 기름받이(16)를 분리 구성된다.
상기 구이판재(10)(12)의 상면 양측 각각에는 육류구이시 발생되는 국물이 고이도록 하는 국물받이(13)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기름받이(16)는 중앙 상부에 구이판재(10)(12)의 결합부(14)와 별도의 스크류(30)로 고정 체결되는 상하 유동 가능한 링크부(40)가 구비되고, 이 링크부(40)의 중간부위에는 구이판재(10)(12)를 절첩시 일측면에 각각 구비된 걸림돌기(50)를 걸어 주는 걸림편(41)을 일체로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육류를 구이시 굽고자 하는 육류 즉 기름이 배출되는 육류구이시 상기 기름받이(16)의 링크부(40)에 스크류(30)로 결합된 구이판재(10)(12)를 링크부(40)를 중심으로 상향 전개한 상태에서 구이하여 이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을 절첩 하부에 구비된 기름받이(16)로 받아 가면서 구이를 하게 된다.
반면에 양념이 가미된 육류를 구이하고자 할 경우에는 링크부(40)와 구이판재(10)(12)를 체결하고 있는 스크류(30)를 풀어서 링크부(40)를 중심으로 구이판재(10)(12)를 하향 전개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풀어놓은 스크류(30)를 다시 고정하여 링크부(40)에 구이판재(10)(12)를 고정한 후 육류를 굽게 되는데, 이때 육류구이시 발생되는 국물은 하향 경사진 구이면을 따라 국물받이(13)로 고이도록 하면서 육류를 굽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이판재(10)(12)로 육류를 굽지 않고 보관, 휴대시 또는 생선류를 굽게 되는 경우, 상기 전개되어 있는 구이판재(10)(12)를 링크부(40)를 중심으로 스크류(40)를 풀어준 후 상기 구이판재(10)(12)의 양측을 절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이판재(10)(12)의 결합부(14)는 상기 링크부(4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면에 절첩되는 구이판재(10(12)의 측면에 구비된 걸림돌기(50)가 링크부(40)에 구비된 결합편(41)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되어 상기 링크부(40)의 기름받이(16)는 상기 구이판재(10)(12)의 절첩부위를 막아 주면서 절첩되게 되므로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게 된다. 생선 구이시에는 구이판재(10)(12)를 절첩하여 구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리기구의 구이판재가 분할되어 절첩되게 되므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조리기구의 보관 및 휴대가 간편 용이할 수 있고, 또한 구이 종류에 따라 육류는 물론이고 생선류도 간편히 구이할 수 있어 하나의 조리기구로 육류와 생선류들의 다양하게 구이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0)

  1. 육류와 생선류가 구이되는 분할된 구이판재와; 상기 구이판재의 서로 대향되는 변에 절첩, 전개 가능하게 한 결합부를 포함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조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재의 절첩 하부에는 발생되는 기름을 받아내는 기름받이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조리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는 상기 구이판재의 어느 일측에 일측단을 고정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조리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구이판재의 전개 각도를 설정하는 각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조리기구.
  5. 분할된 구이판재; 상기 구이판재의 상호 대향변에 적어도 1 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이판재가 절첩 전개 가능하게 한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상기 구이판재의 전개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조리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재의 절첩 하부에는 기름을 받아내는 기름받이를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조리기구.
  7. 분할된 구이판재; 상기 구이판재의 절첩 하부에는 기름을 받아내는 기름받이; 상기 분할 판재의 상호 대향 변에 적어도 1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이판재가 절첩/전개 가능하게 한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상기 구이판재의 전개 각도 설정을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조리기구.
  8. 육류나 생선류가 구이되는 분할되는 구이판재와; 상기 구이판재의 양측 서로 대향되는 변에 절첩/전개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구이판재의 절첩 하부에 배출되는 기름을 받아내는 기름받이를 분리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조리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재의 구이면 각각에는 구이시 발생되는 국물을 고이도록 하는 국물받이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조리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는 중앙에 구이판재의 결합부와 스크류로 고정 체결되는 상하 유동 가능한 링크부와; 이 링크부의 중간부위에는 구이판재 절첩시 일측면의 걸림돌기를 걸어 주는 걸림편을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조리기구.
KR20-2002-0034932U 2002-10-02 2002-11-22 구이용 조리기구 KR20030510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29522 2002-10-02
KR2020020029522 2002-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107Y1 true KR200305107Y1 (ko) 2003-02-25

Family

ID=4940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932U KR200305107Y1 (ko) 2002-10-02 2002-11-22 구이용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1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356A (ko) * 2014-11-20 2016-05-30 원영훈 절첩식 불판
KR101643391B1 (ko) * 2016-03-02 2016-07-27 양근우 적외선의 가열모듈을 갖춘 조리기구
KR200491379Y1 (ko) * 2019-10-24 2020-03-27 유영식 접이식 구이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356A (ko) * 2014-11-20 2016-05-30 원영훈 절첩식 불판
KR101625653B1 (ko) * 2014-11-20 2016-06-15 원영훈 절첩식 불판
KR101643391B1 (ko) * 2016-03-02 2016-07-27 양근우 적외선의 가열모듈을 갖춘 조리기구
KR200491379Y1 (ko) * 2019-10-24 2020-03-27 유영식 접이식 구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2974Y1 (ko) 일회용 숯불구이기
CN113520179A (zh) 易于携带及操作的便携式烤炉
US20060283334A1 (en) Multipurpose waffle iron set
KR200305107Y1 (ko) 구이용 조리기구
US6125835A (en) Camping range
KR200389623Y1 (ko)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KR200405647Y1 (ko) 고기구이판
KR200418470Y1 (ko) 야외용 바베큐 구이기
KR200166423Y1 (ko)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KR200394369Y1 (ko) 고기 구이판
KR200318952Y1 (ko) 양면 후라이팬
KR20060130992A (ko) 고기 구이판
KR200166471Y1 (ko) 휴대용 숯불, 가스 겸용오븐
KR200433005Y1 (ko) 야외용 로스터의 보조 테이블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10105598A (ko) 구이기
KR200189537Y1 (ko) 휴대용 가스버너
KR19980062204U (ko) 야외용 다목적 숯불구이기의 개량구조.
KR950007691Y1 (ko) 전골찌게 불판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264099Y1 (ko) 샌드위치용 바베큐 구이장치
KR200293004Y1 (ko) 고기 구이판
KR200339348Y1 (ko) 다목적 조리기구
KR200445549Y1 (ko) 구이판용 구이물 보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