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793Y1 -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793Y1
KR200304793Y1 KR20-2002-0033349U KR20020033349U KR200304793Y1 KR 200304793 Y1 KR200304793 Y1 KR 200304793Y1 KR 20020033349 U KR20020033349 U KR 20020033349U KR 200304793 Y1 KR200304793 Y1 KR 200304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tand
umbrella
support
coupl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수
Original Assignee
윤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수 filed Critical 윤진수
Priority to KR20-2002-0033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7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7/00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우산대(20)가 상,하부 우산대(20B,20A)로 분할되고, 이러한 상,하부 우산대(20B,20A)가 링크부재(50,6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재(50,60)의 회전을 괘해정부(80)에서 제어하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우산대(20)가 상부 우산대(20B)와 하부 우산대(20A)로 분할되고 한 쌍의 링크부재(50,6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괘해정부(8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됨으로, 우산대(20)의 중심이 이동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괘해정부(80)를 구성하는 이탈용 버튼(84)의 조작만으로 우산대(20)의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고, 괘해정부(80)의 걸림구(82)가 삽입되는 멈춤공(56)을 다수개 형성할 경우에는 우산대(20)의 중심 이동거리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며, 상기 링크부재(50,60)를 구동부재(95)로 제어할 경우에는 상,하부 우산대(20B,20A)의 중심이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pole center movement apparatus of an umbrella}
본 고안은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산대를 상,하부 우산대로 분할한 후 그 사이에 링크부재를 설치하고, 이 링크부재의 회동을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하부 우산대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도록 각각의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는 우산대의 중심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산천의 중심에 우산살을 지지하기 위한 우산대가 설치된다. 따라서, 우산대는 항상 우산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산대가 우산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우산의 일부분에 의해서만 비를 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우산대가 사용자의 오른쪽 어깨측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의 왼쪽 어깨가 비에 젖게 되고, 우산대를 가슴앞으로 위치시키게 되면 사용자의 등쪽이 비에 젖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1-12789호에 기재된 '우산대 중심이동형 절첩우산'에 의해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우산대 중심이동장치는 우산대(1)를 분리하고 그 사이에 연결부재(2)의 양단을 축설한 후 볼스톱퍼(3)를 이용하여 연결부재(2)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조의 우산대 중심이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를 평행하도록 회동시켜 그 상태를 볼스톱퍼(3)로 고정하였고, 따라서 우산대(1)의 중심이 이동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우산대 중심이동장치는 중심이동 정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중심이 이동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볼스톱퍼(3)로만 구성됨으로서 약한 외력에도 중심이 이동된 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상기 볼스톱퍼(3)는 강철볼을 지지하는 스프링의 탄성이 약한 외력에도강철볼이 이동되도록 약하게 구성되었기 때문에 비바람에 의해 우산대(1)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볼스톱퍼(3)가 연결부재(2)의 회동상태를 해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우산대 중심이동장치는 우산대(1)의 중간부를 분리하여 단순히 연결부재(2)를 힌지 결합한 구성을 갖음으로써 우산대(1)의 중심이 이동될 수는 있었으나, 이동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고, 중심이 서로 어긋나는 정도를 다양하게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우산대 중심이동장치는 우산대를 중심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두손으로 상,하부 우산대(1)를 취부한 후 그 중심을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우산대의 중심이 이동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우산대 중심의 이동거리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버튼의 조작만으로 우산대의 중심이 이동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중심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a,4b는 도 2에 도시된 우산대의 형상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5a,5b는 도 2에 도시된 멈춤공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6a,6b,6c는 도 2에 도시된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6a는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6b는 우산대의 중심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6c는 우산대의 중심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의한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12 : 작동부재
20 : 우산대 20A,20B : 하부 우산대, 상부 우산대
30 : 하부 지지부재 31,33 : 제 1,2지지단
31A,33A : 힌지공 36 : 관통공
40 : 상부 지지부재 41,43 : 제 3,4지지단
41A,43A : 힌지공 50 : 제 1링크부재
52 : 경사면 54 : 곡면
55 : 멈춤홈 56A,56B,66A,66B : 걸림턱
60 : 제 2링크부재 70 : 탄성부재
80 : 괘해정부 82 : 걸림구
84 : 이탈용 버튼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우산에 있어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우산대가 상,하부 우산대로 분할되고, 이러한 상,하부 우산대가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을 괘해정부에서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이 설정된 각도에서 정지되도록 걸림턱이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링크부재를 하나로 구성할 수 있고, 지지부재가 우산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부재를 구동모터로 강제 회전시켜 우산대의 중심을 가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우산대의 중심 이동장치는 분리된 상,하부 우산대를 링크부재가 연결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을 괘해정부가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중심이 이동되기 전 또는 이동된 후의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링크부재에 다수개의 멈춤홈이 형성됨으로써 상,하부 우산대의 중심은 다양한 거리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탈용 버튼의 조작만으로 초기상태의 우산대의 중심이 이동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의한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는 우산대(20)가 하부 우산대(20A)와 상부 우산대(20B)로 분리되고, 상기 하부 우산대(20A) 및 상부 우산대(20B)의 각 단부에는 한 쌍의 힌지공(31,33)이 형성된 하부 지지부재(30) 및 한 쌍의 힌지공(41,43)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재(40)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하부 지지부재(30) 및 상부지지부재(40)는 한 쌍의 제 1,2링크부재(50,6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우산대(20A) 및 손잡이(1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링크부재(5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괘해정부(80)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우산대(20)는 하부 우산대(20A)와 상부 우산대(20B)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우산대(20A)의 길이가 상부 우산대(20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은 속이 빈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우산대(20)가 보다 강한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 우산대(20A)의 하단부는 끼움공이 형성된 손잡이(10)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우산대(20B)의 걸림부재에는 다수개의 우산살이 설치되며 그 외경에는 상기 우산살을 접고 펼치도록 보조 우산살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1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상기 하부 우산대(20A)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는 길이가 서로 다른 제 1,2지지단(31,33)이 형성되는 요오크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 1,2지지단(31,33)에는 힌지공(31A,33A)이 각각 형성된다. 즉, 제 1지지단(31)은 짧게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제 1지지단(31)을 관통하여 힌지공(31A)이 형성되고, 길게 형성된 제 2지지단(33)에는 다른 힌지공(33A)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지지단(33)의 끝단은 단이지게 형성되고, 이러한 단턱부에 힌지공(33A)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 1지지단(31)에 형성되는 힌지공(31A)은제 1지지단(31)과 제 2지지단(33)의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6)은 상기 제 1지지단(31)과 제 2지지단(33)의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힌지공(31A)과 교차되도록 하부 지지부재(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지지부재(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걸림부재가 상기 상부 우산대(20B)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지지부재(30)와 상부 지지부재(4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각 상,하부 우산대(20B,20A)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지지부재(40)에는 제 3,4지지단(41,43)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 3지지단(41)은 제 4지지단(43)보다 길게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이 단턱부에 힌지공(41A)이 형성되고, 상기 제 4지지단(43)은 제 3지지단(41)보다 짧게 형성되며, 이러한 제 4지지단(43)과 제 3지지단(41)의 하부를 관통하여 힌지공(43A)이 형성된다.
상기 제 1,2링크부재(50,60)는 각각의 양단이 상기 제 1,3지지단(31,41) 및 제 2,4지지단(33,43)의 각 힌지공(31A,41A,33A,43A)에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그 단면형상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반구형상을 갖는다. 즉, 제 1,2링크부재(50,60)가 겹쳐지면 장방형의 우산대(20)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제 1,2링크부재(50,6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은 평면이고, 외측며은 곡면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제 1,2링크부재(50,60)의 각 끝단부 외측곡면에는 걸림턱(56A,56B,66A,66B)이 단이지게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걸림턱(56A,56B,66A,66B)의 높이는 제 1,2,3,4지지단(31,33,41,43)의 끝단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2링크부재(50,60)가 겹쳐졌을 때 하나의 장방형 우산대 형상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이때, 걸림턱(56A,56B,66A,66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턱(56A,56B,66A,66B)의 경사는 각 힌지공(31A,33A,41A,43A)이 형성된 면에서 제 1,2링크부재(50,60)의 외측면 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걸림턱(56A,56B,66A,66B)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지 않고 그 중간이 일측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꺽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걸림턱(56A,56B,66A,66B)의 경사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링크부재(50,60)가 설정된 각도에서 각 제 1,2,3,4지지단(31,33,41,43)의 일측에 간섭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각 걸림턱(56A,56B,66A,66B)의 경사는 상기 제 1,2링크부재(50,60)의 회전정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게 되는데, 만약 걸림턱(56A,56B,66A,66B)이 일직선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제 1,2링크부재(50,60)는 직각이 될 때까지 회전될 수 있을 것이고, 경사가 예각을 이루게 되면 제 1,2링크부재(50,60)는 대략 45°이하에서 회전이 멈추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2링크부재(50,60)의 각 끝단 일측은 도 2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52)과 곡면(54)이 연이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52)과 곡면(54)은 상기 괘해정부(80)의 걸림구(82)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단(31)의 힌지공(31A)에 힌지핀으로 결합되는 제 1링크부재(50)의 경사면(52)과 곡면(54)에는 다수개의 멈춤홈(55)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멈춤홈(55)의 제 1실시예는 제 1멈춤홈(55A)과 제 2멈춤홈(55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멈춤홈(55A)과 제 2멈춤홈(55B)은 서로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여 형성된다. 예를들면, 제 1멈춤홈(55A)는 경사면(52)에 형성되고 제 2멈춤홈(55B)는 곡면(54)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제 1멈춤홈(55A)은 제 1,2링크부재(50,60)가 겹쳐졌을 때 상기 괘해정부(80)의 걸림구(82)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고, 제 2멈춤홈(55B)은 제 1,2링크부재(50,60)가 펼쳐져 우산대(20)의 중심이 이동되었을 때 상기 걸림구(82)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 1,2멈춤홈(55A,55B)이 경사면(52)과 곡면(54)에 형성됨으로 상기 괘해정부(80)의 걸림구(82)가 원활하게 미끄러져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멈춤홈(55)의 다른 실시예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멈춤홈(55A,55B) 사이에 보조 멈춤홈(55C)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보조 멈춤홈(55C)은 상기 제 1링크부재(50)의 회전각도를 보다 세분화하여 정지시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홈(55)을 다수개의 톱니(55D)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조 멈춤홈(55C)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상기 괘해정부(80)의 걸림구(82)가 상기 각 톱니(55D)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 멈춤홈(55C)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 1,2링크부재(50,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3,4지지단(31,33,41,43)에 힌지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 1링크부재(50)의 일단이 상기 멈춤공(55)이 상기 관통공(36)을 향하도록 제 1지지단(31)과 제 2지지단(33)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공(31A)을 관통하는 힌지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3지지단(41)의 힌지공(41A)에 힌지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링크부재(5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턱(56B)은 상기 제 3지지단(41)의 단턱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되어 힌지핀으로 결합되고,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56A)은 상기 제 1지지단(3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힌지핀에 의해 결합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 3지지단(41)에 형성된 힌지공(41A) 가장자리와 제 1링크부재(50)의 타단에 형성되는 힌지공 주변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1링크부재(50)의 회전시 상기 걸림턱(56B)이 제 3지지단(41)의 일측에 간섭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링크부재(60)의 양단도 상기 제 1링크부재(50)와 같이 상기 제 2지지단(33) 및 제 4지지단(43)의 각 힌지공(33A,43A)에 힌지핀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2링크부재(50,60)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괘해정부(8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드 형상의 걸림구(82)와, 상기 걸림구(82)를 길이 방향으로 진퇴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83)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3 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괘해정부(80)의 걸림구(82)는 그 하단부에 탄성부재(70)가 지지되기 위한 지지환턱이 형성되고, 걸림구(82)에도 그 일부분만 상기 멈춤홈(55)에 삽입되기 위한 지지환턱이 형성된 구조를 갖으며, 중간부에는 상기 하부 우산대(20A)를 관통하는 이탈용 버튼(84)이 설치된다.
즉, 상기 걸림구(82)는 일단이 상기 관통공(36)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10) 내부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재(83)는 상기 손잡이(10)의 내부와 걸림구(82)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82)의 일단이 상기 멈춤공(55)에 삽입되도록 탄성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70)와, 상기 하부 우산대(20A)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구(82)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82)의 일단이 멈춤공(55)에서 이탈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이탈용 버튼(8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괘해정부(80)는 상기 걸림구(82)가 하부 우산대(20A)의 내측 상부를 향하도록 삽입하고, 하단부는 손잡이(10)의 내부에서 설치되는 탄성부재(70)의 탄성을 받도록 탄성부재(70)가 먼저 삽입된 손잡이(10)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우산대(20A)는 손잡이(10)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괘해정부(80)는 탄성부재(70)의 탄성에 의해 항상 상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이탈용 버튼(84)은 상기 하부 우산대(20A)에 형성되는 장공을 통하여 괘해정부(80)에 결합됨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거나,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무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링크부재(50,60)가 겹쳐져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되면, 그 외경은 상,하부 우산대(20B,20A)의 외경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12)가 상,하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우산이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 1,2링크부재(50,60)의 겹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은, 상기 괘해정부(80)가 탄성부재(70)의 탄성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어 걸림구(82)가 경사면(52)에 형성된 제 1멈춤홈(55A)에 삽입되어 제 1링크부재(50)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산대(20)의 중심, 즉 하부 우산대(20A)와 상부 우산대(20B)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도록 하여 우산대(20)의 중심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이탈용 버튼(84)을 손잡이(10)를 잡은 손가락으로 취부하여 하부로 당긴다.
상기 이탈용 버튼(84)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이탈용 버튼(84)과 결합된 괘해정부(80)는 탄성부재(70)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손잡이(10)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걸림구(82)는 제 1멈춤홈(55A)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상단부(82)가 제 1멈춤홈(55A)로부터 이탈되면, 제 1,2링크부재(50,60)는 상부 우산대(20B)와 우산살 등의 자중에 의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상부 우산대(20B)는 상기 하부 우산대(20A)와 평행상태를 유지하여 그 중심이 하부 우산대(20B)의 중심과 어긋나도록 일측으로 이동된다.
이는 상기 제 1,2링크부재(50,60)가 각각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여 상기 하부 지지부재(30)와 상부 지지부재(40)에 각각 힌지핀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괘해정부(80)의 걸림구(82)가 제 1멈춤홈(55A)에서 이탈되면서 제 1링크부재(50)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후에, 상기 괘해정부(80)는 탄성부재(70)의 탄성에 의해 다시 상부로 이동하여 그 걸림구(82)가 경사면(52) 및 곡면(54)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제 1,2링크부재(50,60)가 회전하여 상부 우산대(20B)가 하부 우산대(20A)와 어긋나게 되는 상태가 지속되면 상기 괘해정부(80)의 걸림구(82)가 제 2멈춤홈(55B)에 삽입되어 제 1링크부재(5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즉, 상기 제 1멈춤홈(55A)으로부터 이탈된 걸림구(82)는 탄성부재(7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 1링크부재(50)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안 상기 경사면(52)은 물론 경사면(52)과 연이어 형성된 곡면(54)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어 걸림구(82)가 제 2멈춤홈(55B)에 위치하게 될 때 탄성부재(70)의 탄성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제 2멈춤홈(55B)에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2링크부재(50,60)의 회전은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되고, 상부 우산대(20B)는 하부 우산대(20A)과 어긋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괘해정부(80)의 잠금상태를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각걸림턱(56A,56B,66A,66B)은 제 1,2,3,4지지단(31,33,41,43)의 일측에 각각 간섭된다.
즉,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걸림턱(56A,56B,66A,66B)이 제 1,2,3,4지지단(31,33,41,43)의 일측에 지지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부 우산대(20A)와 상부 우산대(20B)는 각각의 중심이 이동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 우산대(20A,20B)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이를 다시 원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두 손이 필요하게 된다. 즉, 한 손으로 손잡이(10)를 취부하고 다른 손으로는 상부 우산대(20B)를 취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이탈용 버튼(84)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괘해정부(80)의 걸림구(82)가 제 2멈춤홈(55B)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상기 상부 우산대(20B)를 하부 우산대(20A)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2링크부재(50,60)가 겹쳐지도록 하면서 하방으로 이동시켰던 상기 이탈용 버튼(84)을 놓는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상부 우산대(20B)와 하부 우산대(20A)가 겹쳐지게 되면 상기 제 1멈춤홈(55A)은 상기 걸림구(82)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괘해정부(80)는 탄성부재(70)의 탄성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구(82)가 제 1멈춤홈(55A)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괘해정부(80)의 걸림구(82)가 상기 제 1멈춤홈(55A)에 삽입되면 상기 제 1링크부재(50)의 회전은 정지됨은 물론, 그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제 1,2링크부재(50,60)의 겹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하부 우산대(20B,20A)가 겹쳐져 각각의 중심이 일치하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12)는 상,하부 우산대(20B,20A)에 안내되어 상,하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 2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상기 괘해정부(80)의 작동부재(83)가 온/오프 스위치(SW1)와 솔레노이드(S)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다.
즉, 상기 제 2실시예에 의한 작동부재(83)는 상기 하부 지지부재(3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손잡이(10)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SW1)에 의해 상기 걸림구(82)를 진퇴시키는 솔레노이드(S)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10)의 내부에 건전지를 설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S)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83)가 솔레노이드(S)로 구성되면, 상기 온/오프 스위치(SW1)의 조작만으로 상기 제 1링크부재(5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우산대(20)의 중심이 이동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우산대의 중심 이동장치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 3실시예는 상기 상,하부 지지부재(40,30)가 상,하부 우산대(20B,20A)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실시예에 의한 중심 이동장치는 하부 우산대(20A)와하부 지지부재(3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부 우산대(20B)와 상부 지지부재(4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중심 이동장치의 작용은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4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실시예에 의한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는 제 3실시예에서 설명된 제 1링크부재(50) 및 제 2링크부재(60)가 하나의 링크부재 즉, 제 3링크부재(50A)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3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두개로 구성되어 있던 링크부재가 하나로 구성되어 하부 우산대(20A)와 상부 우산대(20B)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링크부재가 하나로 구성됨으로 중심 이동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 5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에 의한 중심 이동장치는 제 1링크부재(50)의 곡면(54)에 기어이(58)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재(30)의 내부에 상기 기어이(58)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95) 및 구동기어(96), 작동 스위치(SW2)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제 1링크부재(5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90)는 상기 하부 지지부재(3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재(95), 상기 구동부재(95)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이(58)와 맞물리는 구동기어(96), 상기 구동부재(95)가 정,역회전 하도록 상기 손잡이(10)에 내장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작동 스위치(SW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 스위치(SW2)를 이동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재(9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기어이(5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 1링크부재(50)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하부 우산대(20B,20A)의 중심이 이동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구동부재(95)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작동 스위치(SW2)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기어(96)는 상기 기어이(5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링크부재(5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하부 우산대(20B,20B)는 최초 상태로 겹쳐지게 되어 이동되었던 중심이 일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링크부재(50)의 회전이 구동부재(95)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구동부재(95)는 통상적인 스텝모터, 전자 클러치를 구비한 모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동기어(96)가 회전된 상태를 고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하부 우산대(20A)와 하부 지지부재(30)에 괘해정부(8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기어이(58)를 휠기어로 구성하고 구동기어(96)를 워엄기어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5실시예에서는 링크부재가 제 1,2링크부재(50,60)으로 구성된 것이나, 하나의 링크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는 우산대가 상부 우산대와 하부 우산대로 분할되고 복수 또는 하나의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괘해정부와 걸림턱 등에 의해 회전이 제어됨으로, 우산대의 중심이 이동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용 버튼의 조작만으로 우산대의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고, 괘해정부의 걸림구가 삽입되는 멈춤공을 다수개 형성할 경우에는 우산대의 중심 이동거리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고, 링크부재를 구동부재로 정,역회전시키게 되면 우산대의 중심이동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4)

  1. 우산에 있어서,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손잡이(10)와 결합되는 하부 우산대(20A)와, 우산살을 접힘/펼침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12)가 결합되는 상부 우산대(20B)로 분할되는 우산대(20);
    길이가 서로 다른 제 1,2지지단(31,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2지지단(31,33)에는 힌지공(31A,33A)이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관통공(3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하부 우산대(20A)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재(30);
    길이가 서로 다른 제 3,4지지단(41,4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3,4지지단(41,43)에는 힌지공(41A,43A)이 각각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상부 우산대(20B)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40);
    일단부에 경사면(52)과 곡면(54)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52)과 곡면(54)에는 다수개의 멈춤홈(55)이 각각 형성되며, 양단이 힌지핀에 의해 상기 제 1,3지지단(31,41)의 각 힌지공(31A,41A)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링크부재(50);
    양단이 힌지핀에 의해 상기 제 1링크부재(50)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 2,4지지단(33,43)의 각 힌지공(33A,43A)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2링크부재(60); 및
    상기 하부 우산대(20A)의 내부에 설치되는 걸림구(82), 상기 걸림구(82)의 일단이 관통공(36)을 통하여 상기 멈춤홈(55)에 삽입/이탈되도록 상기 걸림구(8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83)로 이루어진 괘해정부(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링크부재(50,6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 1,2링크부재(50,60)의 회전이 설정된 각도에서 상기 제 1,2,3,4지지단(31,33,41,43)에 간섭되어 정지되도록 걸림턱(56A,56B,66A,66B)이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링크부재(50,60)의 서로 겹쳐진 단면 형상은 상기 상,하부 우산대(20A,20B)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홈(55)은 상기 제 1링크부재(50)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1멈충홈(55A)과, 상기 제 1링크부재(50)가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제 2멈춤홈(5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멈춤홈(55A)과 제 2멈춤홈(55B) 사이에는 상기 제 1링크부재(50)의 중심 이동정도를 세분화하여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조 멈춤홈(55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홈(55)은 다수개의 톱니(55D)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82)는 일단이 상기 관통공(36)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10) 내부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재(83)는 상기 손잡이(10)의 내부와 걸림구(82)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82)의 일단이 상기 멈춤공(55)에 삽입되도록 탄성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70)와, 상기 하부 우산대(20A)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구(82)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82)의 일단이 멈춤공(55)에서 이탈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이탈용 버튼(8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7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70)는 탄성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83)는 상기 하부 지지부재(3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손잡이(10)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SW1)에 의해 상기 걸림구(82)를진퇴시키는 솔레노이드(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재(30)는 하부 우산대(20A)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재(40)는 상부 우산대(20B)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12. 우산에 있어서,
    중공형으로 형성된 하부가 손잡이(10)와 결합되고, 상부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제 5지지단(35)이 힌지공(35A)을 구비하여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관통공(2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우산대(20A);
    외경에 우산살을 접힘/펼침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12)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제 6지지단(45)이 힌지공(45A)을 구비하여 각각 형성되는 상부 우산대(20B);
    일단부에 경사면(52)과 곡면(54)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52)과 곡면(54)에는 제 1,2멈춤홈(55A,55B)이 각각 형성되며, 양단이 힌지핀에 의해 상기 제 5,6지지단(35,45)의 각 힌지공(35A,45A)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3링크부재(50A);
    상기 관통공(36)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10) 내부에 설치되는 걸림구(82)와, 상기 손잡이(10)의 내부와 걸림구(82)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어상기 걸림구(82)를 전진시켜 상기 제 1,2멈춤홈(55A,55B)에 선택적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탄성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70), 상기 하부 우산대(20A)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구(82)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82)를 후진시키기 위한 이탈용 버튼(84)으로 이루어진 작동부재(83)로 구성되는 괘해정부(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13. 우산에 있어서,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손잡이(10)와 결합되는 하부 우산대(20A)와, 우산살을 접힘/펼침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12)가 결합되는 상부 우산대(20B)로 분할되는 우산대(20);
    길이가 서로 다른 제 1,2지지단(31,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2지지단(31,33)에는 힌지공(31A,33A)이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관통공(3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하부 우산대(20A)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재(30);
    길이가 서로 다른 제 3,4지지단(41,4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3,4지지단(41,43)에는 힌지공(41A,43A)이 각각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상부 우산대(20B)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40);
    일단부에 형성되는 곡면(54)에 기어이(58)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이(58)가 하부 지지부재(30)를 향하도록 양단이 제 1,3지지단(31,41)의 각 힌지공(31A,41A)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링크부재(50);
    양단이 힌지핀에 의해 상기 제 1링크부재(50)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 2,4지지단(33,43)의 각 힌지공(33A,43A)에 양단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2링크부재(60); 및
    상기 하부 지지부재(3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재(95), 상기 구동부재(95)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이(58)와 맞물리는 구동기어(96), 상기 구동부재(95)가 정,역회전 하도록 상기 손잡이(10)에 내장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작동 스위치(SW2)로 이루어진 구동부(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이(58)는 휠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기어(96)는 워엄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KR20-2002-0033349U 2002-11-07 2002-11-07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KR200304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349U KR200304793Y1 (ko) 2002-11-07 2002-11-07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349U KR200304793Y1 (ko) 2002-11-07 2002-11-07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951A Division KR100402717B1 (en) 2002-11-07 2002-11-07 Shifting device of shaft center of umbrell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793Y1 true KR200304793Y1 (ko) 2003-02-19

Family

ID=4933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349U KR200304793Y1 (ko) 2002-11-07 2002-11-07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7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5718A (en) Folding assembly for a trolley
CN2927863Y (zh) 儿童高脚椅的角度调整装置
US20180192752A1 (en) Automatic reverse multi-folding umbrella
JP2002147069A (ja) スライドドアのインナハンドル組立体
CN108826000A (zh) 用于辅助智能手机获取更大拍摄可视角度的拍摄器
KR20150016497A (ko) 건설기계용 출입문 반 자동식 개폐장치
KR101245881B1 (ko) 가방 우산
US20030051747A1 (en) Automatic bending-angle changing structure for umbrella
JP5564103B2 (ja) 畳んで引き込み可能な翼を持った玩具
KR200304793Y1 (ko)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
TWI500402B (zh) 電動升降控制傘具結構
CN211995813U (zh) 婴儿车架折叠结构
CN107654824B (zh) 一种自拍辅助设备的伸展与收缩的方法
JP2007181657A (ja) 逆閉じ用傘
WO2020051869A1 (zh) 自动折叠拐杖凳
KR100411926B1 (ko) 무경첩 착탈식 양방향 개폐도어
KR200340397Y1 (ko) 지압구가 구비된 우산손잡이
CN218588399U (zh) 一种伞用中棒转向器
CN214904400U (zh) 一种转向装置及电动行李箱
JP3056047U (ja) 鞄の伸縮把手のロック装置
CN202436305U (zh) 一种遮阳伞的开合机构
JP3076104U (ja) キックボードのハンドル折り畳み装置
KR20100010615U (ko) 절첩식 천막
KR101077742B1 (ko) 자동우산
KR100460789B1 (ko)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