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789B1 -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789B1
KR100460789B1 KR10-2002-0034244A KR20020034244A KR100460789B1 KR 100460789 B1 KR100460789 B1 KR 100460789B1 KR 20020034244 A KR20020034244 A KR 20020034244A KR 100460789 B1 KR100460789 B1 KR 10046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vehicle
string
support unit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763A (ko
Inventor
정유근
Original Assignee
정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1007519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113605A/ko
Application filed by 정유근 filed Critical 정유근
Publication of KR2003004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 내에서 용이하게 차량 밖의 우산을 자동으로 접어 수납하거나 펼칠 수 있는 실제 적용가능한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2) 외부에서 우산(4)을 접은 뒤 차량(2) 외부의 우산 수납실(90)에 수납하고 차량(2) 외부의 우산 수납실(90)에 수납되어 있는 우산(4)을 차량(2) 외부에서 펼치기 위한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우산(4)의 우산손잡이(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렇게 결합된 상기 우산(4)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우산(4)을 접거나 펼침에 따라 우산대(6)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7)를 우산대(6)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7)와 연결된 당김줄(8)의 일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유닛 내에 설치되는 파지유닛과; 상기 파지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파지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우산을 접으며, 상기 지지유닛 및 상기 우산을 제 1 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우산을 상기 우산 수납실(90)내로 수납하기 위한 제 1 수단과; 상기 우산 수납실(9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우산을 펼치며, 상기 지지유닛 및 상기 우산을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우산 수납실(90)로부터 직립시키기 위한 제 2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Umbrella auto-receiv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차량 운전자 혹은 다른 탑승객이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우산을 펼친 채로 차량 지붕에 부착되어 있는 우산꽂이에 우산을 꽂고 비를 맞지 않고 승차한 후 자동으로 우산을 수납함안으로 수납시키고, 하차할 때에는 차량 안에서 우산 펼침 스위치로 수납함으로부터 자동으로 우산을 펼친 후 하차하여 우산꽂이로부터 우산을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천시 우산을 든 운전자 혹은 탑승객이 차량에 탑승하거나,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혹은 탑승객이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려는 경우, 불가피하게 사람들이 비에 젖게 되고 아울러 빗물에 젖은 우산을 차량 내부에 넣어야 함은 물론 차량 내부로 빗물이 들이쳐서 차량 내부를 젖게 만들고, 탑승자의 옷과 신발을 젖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특허 제 4,543,971호, 미국특허 제 4,562,849호, 미국특허 제 5,529,368호 및 미국특허 제 6,213,137호는 몇몇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한결같이 차량에의 장착이나 적용이 곤란한 것들로 실용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가 차량 내에서 용이하게 차량 밖의 우산을 자동으로 접어 수납하거
나 펼칠 수 있는 실제 적용가능한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를 제공하여, 우천시 승하차하는 과정에서 운전자는 물론 차량 내부가 젖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운전환경을 제공하고 차량의 내부 부식을 방지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2a 내지 2d는 도 1의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에서 우산손잡이가 지지유닛 및 파지유닛에 어떻게 체결 및 결합되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에서 우산이 어떻게 수납되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1의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가 수납실에 수납된 후의 우산손잡이 부근의 모습을 보여주고, 도 4b는 도 4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도 1의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의 수납실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의 견인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7a 내지 7c는 각각 본 발명의 각 스트링들이 우산을 접거나 펼치기 위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바람직한 일예이다.
본 발명은, 차량(2) 외부에서 우산(4)을 접은 뒤 차량(2) 외부의 우산 수납실(90)에 수납하고 차량(2) 외부의 우산 수납실(90)에 수납되어 있는 우산(4)을 차량(2) 외부에서 펼치기 위한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우산(4)의 우산손잡이(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렇게 결합된 상기 우산(4)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우산(4)을 접거나 펼침에 따라 우산대(6)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7)를 우산대(6)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7)와 연결된 당김줄(8)의 일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유닛 내에 설치되는 파지유닛과; 상기 파지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파지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우산을 접으며, 상기 지지유닛 및 상기 우산을 제 1 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우산을 상기 우산 수납실(90)내로 수납하기 위한 제 1 수단과; 상기 우산 수납실(9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우산을 펼치며, 상기 지지유닛 및 상기 우산을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우산 수납실(90)로부터 직립시키기 위한 제 2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은, 외주에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내통(26)과,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체결용 볼(28)과, 상기 체결용 볼(28)을 구속하는 외통(24)과, 상기 내통(26)과 외통(24)사이에 끼워지는 외통 스프링(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작업은 사용자가 상기 외통(24)을 상기 외통 스프링(32)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내린 채로, 그 표면에 체결용 오목부(18)를 포함하는 우산손잡이 돌출부(16)를 상기 내통(26) 내로 삽입한 뒤 사용자가 상기 외통(24)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고, 그 분리작업은 상기 체결작업의 역순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산(4)이 상기 지지유닛에 결합될 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7)에 연결된 당김줄(8)의 일단부를 상기 파지유닛이 수용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에서 상기 외통(24)의 이동에 구속되어 함께 이동하는 수납부재(40)와, 상기 수납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7)에 연결된 당김줄(8)의 일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파지부(22)와, 상기 파지부(2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재(40)의 이동에 대해 스프링 반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2)을 포함하는 지지부재(50)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 1 수단은, 파지유닛의 저면으로 연결된 제 1 스트링(60)과, 지지유닛의 측면으로 연결된 제 2 스트링(62)으로 이루어지고, 파지유닛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7)와 연결된 당김줄(8)의 일단부를 수용한 후 상기 제 1 스트링(60)에 의해 상기 파지유닛을 잡아 당겨 상기 우산(4)을 접고, 상기 지지유닛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스트링(62)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을 선회시켜 상기 우산을 상기 우산 수납실(90)내로 수납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스트링(60)은 상기 파지유닛을 구성하는 지지부재(50)와 연결되어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 1 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스트링(62)은 상기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내통(26)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우산(4)이 우산 수납실(90)내로 수납된 후 상기 우산손잡이(10) 표면에 형성된 기어(15)와 맞물릴 수 있는 수납 기어부(94)와, 상기 수납기어부(94)를 잡아 당기기 위한 제 3 스트링(64)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우산(4)이 우산 수납실(90)내로 수납된 후, 상기 수납실을 폐쇄하기 위한 제 4 스트링(66)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우산(4)이 제 1 스트링(60)에 의해 완전히 접히기전에, 상기 지지유닛의 요부에 삽입되어 상기 우산(4)의 제 2 스트링(62)에 의한 선회를 막고 직립을 담보하는 부재와, 상기 우산(4)이 완전히 접힌 후 상기 부재를 상기 지지유닛의 요부로부터 제거하여 제 2 스트링(62)을 동작시키는 제 5 스트링(68)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우산대(6)에 우산손잡이 버튼(12)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우산펴짐돌기(13)를 작동시키는 레버(80)와, 상기 레버를 잡아 당기는 제 6 스트링에 의해 상기 우산(4)이 펼쳐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우산(4)은 상기 우산(4)이 접혔을 때 슬라이딩 부재(7)와 우산손잡이(10)쪽 우산펴짐돌기(13) 사이에 장착되어 우산손잡이(10)쪽 우산펴짐돌기(13)쪽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링부재(9)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우산(4)이 수납실(90)로 수납되었을 때 상기 레버(8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7)와 상기 링부재(9) 사이에 놓이는 것이 더욱 좋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단은 지지유닛의 측면으로 연결된 제 7 스트링(7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7 스트링(72)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을 선회시켜 상기 우산(4)을 상기 우산 수납실(90)로부터 직립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대(6)와, 우산을 펼치거나 접음에 따라 상기 우산대(6)를 따라 위 아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부재(7)와, 우산손잡이(10)를 포함하는 자동 우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7)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우산대를 따라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우산손잡이(10) 하단부의 개방부까지 연장되는 당김줄(8)을 포함하는 자동 우산을 제공한다. 여기서, 우산손잡이(10)는 외부의 지지유닛에 상기 우산손잡이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돌출부를 우산손잡이 하단부에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당김줄(8)을 슬라이딩 부재(18)쪽으로 당기는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당김줄(8)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더욱 좋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하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오로지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정의된다.
먼저, 도 1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1)를 차량(2)의 지붕에 설치하여 우산(4)를 자동 수납하기 위한 상태를 가상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1)는 도5a 및 5b에 보인 외장형 혹은 내장형 수납실(90)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1)는 우산(6)의 우산손잡이(10)가 삽입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 내부에 설치되어 우산(6)의 당김줄(8) 연장부인 구형결합부재(20)을 파지하여 이와 함께 이동 가능한 파지유닛과, 접힌 우산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유닛과, 우산의 접음, 수납 및 펼침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스트링으로 구성된다.
먼저, 우산(4)은 우산대(6)와 우산손잡이(10)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1)에 사용되는 우산(4)은 우산손잡이(10)의 형상이 통상의 우산과는 약간 다른데, 우산손잡이(10)의 하단부에 우산손잡이 돌출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6)에는 체결용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우산손잡이(10)에 우산대(6)가 삽입 장착되어 있는데, 이 우산대(6)를 따라 외부에 당김줄(8)이 연장 설치되어 있고, 이 당김줄(8)은 우산손잡이(10) 직상에서 우산손잡이(10) 내부로 도입되어 그 돌출부(16)의 내부를 지나서 연장하여 우산손잡이 돌출부(16)의 개방단부(open end) 밖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구형결합부재(20)에서 끝난다. 아울러, 상기 우산손잡이(6)는 통상의 우산과 마찬가지로 우산손잡이 버튼(12)도 포함하므로, 이 우산(4)은 상기 우산손잡이 버튼(12)을 눌러 펼칠 수도 있다. 상기 당김줄(8)은 우산대(6)을 따라 외부로 연장되어, 우산(4)을 펴거나 접을 때 우산대(6) 위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부재(7)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당김줄(8) 끝단의 구형결합부재(20)를 후술하는 파지유닛으로 파지한 후 끌어당기는 경우 슬라이딩 부재(7)가 우산대(6)를 타고 내려와서 우산(6)을 접을 수 있게 된다.
우산의 슬라이딩 부재(7)에는 태엽 스프링(도시생략)을 이용하여 당김줄(8)을 슬라이딩 부재(7)쪽으로 당길 수 있는 감김장치(도시생략)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감김장치는 상기 우산(4)을 사용하던 중 다른 장소에서 우산을 접게 되면, 당김줄(8)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우산손잡이(10)의 외면에 우산손잡이 오목부(14)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14) 안에 오목부 기어(15)가 형성되어서 후술하는 수납부 기어(94)와 맞물려 접힌 우산천을 감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우산손잡이 돌출부(16)는 미관상 않좋을 수 있으므로 우산손잡이 외주를 상기 돌출부를 에워싸도록 연장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연장 형성된 부분의 내경이 후술하는 외통(24)의 외경보다 크게 해서 후술하는 착탈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우산손잡이 돌출부(16)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우산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유닛은 외통(24)과, 그 내부의 내통(26)과, 내통(26)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내통(26) 혹은 외통(24)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체결용 볼(28)과, 상기 내통(26)을 감싸도록 끼워져 있는 외통 스프링(32)으로 이루어진다. 도 2a는 외통(24)이 내통(26)의 체결용 볼(28)을 구속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므로, 이 상태에서 우산손잡이 돌출부(16)를 밀어 넣어도 우산손잡이(10)가 삽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2b와 같이 사용자가 외통(24)을 외통 스프링(32)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아래로 내리는 경우 체결용 볼(28)은 외통(24)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되어 우산손잡이 돌출부(16)가 삽입되는 경우 체결용 볼(28)이 외통(24)의 반지름 바깥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 후 외통(24)에 가했던 힘을 해제하면 외통 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외통(24)이 제위치로 복귀하면서 다시금 체결용 볼(28)을 구속하게 되므로 체결용 볼(28)이 우산손잡이 돌출부(16)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용 오목부(18)에 끼워져 우산손잡이(10)가 지지유닛에 의해 구속 지지된다. 도 2d는 이러한 상태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당김줄(8)의 끝단부인 구형결합부재(20)를 파지하여 당김줄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는 파지유닛의 구성을 설명한다. 파지유닛은 전술한 지지유닛과 함께 작동하는데, 파지부(22)와, 이 파지부(22)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50)와, 이 지지부재(50)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으면서 평상시 상기 파지부(22)를 구속하고 있는 원통형 수납부재(40)와, 상기 지지부재(50)와 원통형 수납부재(40) 사이에 끼워져 있는 원통형 수납부재 스프링(42)을 포함한다. 지지유닛의 외통(24)을 사용자가 외통 스프링(32)의 힘에 반하여 아래로 내리면 외통(24)에 고정되어 있는 외통돌기(30)가 함께 아래에 내려가고「내통(26)은 외통(24)으로부터 연장되는 외통돌기(30)가 상하 왕복운동할 수 있는 길다랗게 연장된 장공을 포함하고 있다」 외통돌기(30)가 원통형 수납부재 어깨부(41)와 접촉하면서 원통형 수납부재(40)를 함께 아래로 내려가게 한다. 도 2a의 A-A'선 단면도는 상기 외통돌기(30)의 일예를 잘 보여준다. 이 때, 원통형 수납 부재(40)의 상단부는 파지부(22)의 구속을 해제하고 파지부는 도 2c에 보인 바와 같이 벌어지게 된다. 아울러, 외통(24)을 아래로 내리면 외통 스프링(32)과 내통(26) 사이에 설치되는 외통 가동부재(34)도 아래로 내려가게 되는데, 이 외통 가동부재(34)가 내통 아랫 부분에 설치된 스토퍼(38)를밀어서 스토퍼(38)가 스토퍼 스프링(36)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내통(26)의 안으로 돌출되므로, 이 스토퍼(38)가 지지부재(50)가 내통면을 따라 아래로 더 이상 내려가는 것을 막아 도 2c에 보인 바와 같은 상태를 만든다. 도 2c의 B-B'선 단면도는 외통 가동부재(34)와 스토퍼(38) 및 스토퍼 스프링(36)의 일예를 잘 보여주고 있다. 도 2c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외통(24)은 외통 스프링(32)의 힘에 반하여 아래로 내려와 있으므로 사용자가 외통(24)에 가하고 있는 힘을 해제하는 즉시 상기 외통 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외통(24)은 제위치로 복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용 볼(28)을 다시 구속할 것이고, 또한 원통형 수납부재 어깨부(41)가 상기 외통돌기(30)에 의해 구속된 원통형 수납부재(40) 역시 원통형 수납 부재 스프링(42)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아래로 내려와 있으므로 사용자가 외통(24)에 가하고 있는 힘을 해제하는 즉시 상기 원통형 수납 부재 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원통형 수납 부재(40)는 위로 복귀하여 상기 파지부(22)를 다시 구속하게 된다.
지지유닛과 파지유닛을 도 2c와 같은 상태로 만들고 우산손잡이 돌출부(16)와 구형결합부재(20)를 상기 지지유닛과 파지유닛으로 삽입시킨 후, 사용자가 외통(24)에 가하고 있는 힘을 해제하면 도 4d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우산손잡이 돌출부(16)에 형성된 체결용 오목부(18)은 체결용 볼(28)에 의해 구속 지지되고, 당김줄(8)의 끝단부인 구형결합부재(20)는 파지부(22)에 에워 싸인채로 원통형 수납부재(40)에 의해 구속된다.
다음으로, 수납 유닛과 이와 함께 작동하는 스트링들의 작동 기구와 원리를 설명한다.
도 2a 내지 2d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 및 파지유닛에 의해 결합된 우산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스트링에 의해 수납유닛 내로 수납되는데, 우선 우산(4)을 수납하기 위한 스트링은 상기 파지유닛의 지지부재(50)를 당김으로서 우산(4)의 당김줄(8)을 끌어당겨 우산(4)을 접기 위한 제 1 스트링(60)과, 상기 지지유닛의 내통(26)을 일방향으로 끌어당겨 힌지 고정부(100)를 중심으로 지지유닛을 90˚ 선회시켜 눕히기 위한 제 2 스트링(62)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제 1 스트링(60)에 의해 파지부(22)가 구형결합부재(20)와 결합된 채로 지지부재(50), 원통형 수납부재(40) 등의 파지유닛 모두가 함께 끌어당겨지게 되고, 제 1 스트링 롤러(61)를 지나 끌어당겨진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만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구형결합부재(20)와 결합된 파지 유닛이 제 1 스트링에 의해 끌어당겨질 수 있다. 도면 중의 파지유닛은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하여 다소 크게 나타냈으나, 실제 적용예에서 파지유닛의 전체 크기는 작아서(일예로 직경이 약 1㎝, 높이가 약 1.5㎝ 정도의 파지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다른 롤러에 비해 다소 큰 제 1 스트링 롤러(61)를 사용하거나 상기 파지유닛 유도를 위한 전술한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상기 파지유닛 전체를 끌어당길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지유닛이 제 1 스트링(60)에 의해 우산대(6)를 타고 슬라이딩 부재(7)가 내려오는 거리만큼 이동하면 우산(4)은 완전히 접히게 된다. 도 3은 이렇게 우산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7)의 위치를 보여준다. 아울러, 제 2 스트링(62)은 내통(26)의 측면부에 설치된 제 2 스트링 연결부(56)와 연결되어 내통(26)을 끌어당겨 접힌 우산(4)과 지지유닛 전체를 90˚ 선회시켜 눕힌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접혀져 상기 수납실(90) 내로 눕혀진 우산(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우산 천을 말아 정돈시키기 위한 제 3 스트링(64)과, 상기 수납실(90)의 덮개(92)를 폐쇄시키기 위한 제 4 스트링(66)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우산손잡이(10)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우산손잡이 오목부(14)에는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오목부 기어(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우산(4)이 눕혀지면서 상기 오목부 기어(15)는 수납실(90)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 기어(94)와 맞물리게 된다. 이 후, 상기 제 3 스트링을 끌어당기면 오목부 기어(15)는 수납부 기어(94) 위에서 회전하여 우산 천을 말아 정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지지유닛의 직립유지를 담보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 직립유지부재(67)를 지지유닛의 내통(26)의 삽입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제 5 스트링(68)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유닛은 제 2 스트링(62) 및 후술하는 제 7 스트링(72)만으로도 지지되어 직립유지가 가능하므로 상술한 직립유지부재(67) 및 이를 분리하기 위한 제 5 스트링(68)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도 1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지붕에 외장형 혹은 내장형으로 설치될 수 있는 상기 수납실(90)은, 상기 제 4 스트링(66)에 의해 덮개(92)가 폐쇄될 때 압축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쇠(96)에 우산(4)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에 반응하여 덮개(92)를 밀어 개방시키는 개방용 스프링(97)과, 상기 덮개(92)에 장착되어 자동차 시동키에 의해 잠금/해제될 수 있는 수납로크(98)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이 수납로크(98)는 상기 걸림쇠(96)의 작동에 연동되어 덮개(90)를 개폐시킨다. 따라서, 차량 외부에서도 시동키를 사용하여 직접 덮개(90)를 열고 우산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비에 젖은 채로 수납실(90)에 수납된 우산을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지수단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a 및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실(90)내에 수납되어 있는 우산(4)은 우산대(6)의 링부재(9)를 우산손잡이(10) 방향으로 이동시켜 우산(4)을 펼치기 위하여 가압레버(80)를 당겨 선회시키는 제 6 스트링(70)과, 상기 지지유닛의 내통(26)을 상기 제 2 스트링(62)이 당기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김으로서 힌지 고정부(100)를 중심으로 지지유닛 및 우산을 90˚ 선회시켜 세우기 위한 제 7 스트링(72)을 포함한다. 여기서, 링부재(9)는 도 4a에서 화살표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고 슬라이딩 부재(7)쪽으로는 이동불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U"자형 레버(80)는 그 끝단부가 레버힌지축(81)에 힌지 고정장착되어 제 6 스트링(70)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아울러 상기 레버힌지축(81)에는 판스프링 등이 설치되어 레버(80)의 선회시 레버(80)에 원위치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데, 제 6 스트링(70)의 작용에 의해 "U"자형 레버(80)가 도면상의 일점쇄선 모양쪽으로 선회하면서 링부재(9)를 가압하여 링부재(9)가 우산손잡이 버튼(12)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우산펴짐돌기(13) 위로 올라와 우산손잡이 버튼(12)을 누른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므로, 스트링(70)을 당기면 우산펼침 버튼이 눌러지고 그 즉시 우산대(6)는 도 5b에서 보인 바와 같이 길이가 길어지면서 우산의 상단부가 걸림쇠(96)에 충격을 가하여 개방용 스프링(97)에 의해 덮개(92)를 개방하고 레버(80)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지지유닛 내통(26)의 제 2 스트링 연결부(56)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 7 스트링 연결부(57)를 설치하고 제 7 스트링 롤러(73)에 의해 제 7 스트링(72)을 끌어 당겨 지지유닛 및 우산을 90˚ 선회시켜 세우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제 1 스트링 내지 제 7 스트링은 적절한 강도를 가진 끈 형상의 것이면 공지된 어떤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길이는 각기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우산을 접는데 사용되는 제 1 스트링 내지 제 5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우산접음유닛과, 우산을 펴는데 사용되는 제 6 스트링 및 제 7 스트링으로 이루어지는 우산펼침유닛이 따로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일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접음유닛의 제 1 스트링(60) 내지 제 5 스트링(68) 혹은 우산펼침유닛의 제 6 스트링(70) 및 제 7 스트링(72)을 선택적으로 끌어당기는 견인유닛(120)은,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모터축(101)과 함께 회전 구동되는 전동부재(102)와, 상기 모터(M)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전동부재(102)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달받는 릴(104)과, 상기 릴(104)을 상기 전동부재(10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이동부재 스프링(108)과, 상기 릴(104)을 상기 전동부재(102)쪽으로 가압함으로서 상기 전동부재(102)와 상기 릴(104)이 맞물려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재(114)를 포함한다. 이 가압부재(114)는 스위치 스트링(74) 및 멈춤 스트링(76)에 의해 가압이 가해지기도 하고 해제되기도 한다.
상기 견인유닛(120)의 전동부재(102)와 릴(104)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축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동부재(102)는 상기 모터(M)의 모터축(101)에 설치되며, 상기 릴(104)은 도 6에서 볼 때 고정된 축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부재번호 106은 이동부재로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부재번호 110은 고정부재로서 상기 이동축(112)을 차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114)가 선회되면서 상기 이동부재(106)를 스프링(108)을 압축시키면서 도 6에서 좌측으로 이동시켜, 전동부재(102)와 릴(104)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상기 스프링의 릴(104)에 대한 상대위치는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동부재(102)와 릴(104)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에서 전동부재는 모터와 동축상에 있고 릴은 이 축과 평행한 다른 축에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지만, 견인유닛의 모터, 릴 및 전동부재가 모두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견인유닛을 구성하여도 무관하다. 아울러, 가압부재(114)가 이동부재(106)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대신에, 릴(104)을 직접적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무관하다.
우산접음유닛의 제 1 스트링(60) 내지 제 5 스트링(68) 중 상기 릴에 감기는 스트링은 제 1 스트링(60)이다. 상기 스트링들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바람직한 일예를 도 7a 및 7b에 나타내었다. 도 7a에 보인 바와 같이 제 1 스트링(60)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먼저 제 2 스트링(62)이 화살표 "B" 방향으로 당겨져야 하나, 내통(26)에 끼워져 있는 직립유지부재(67)가 스토퍼 역할을 해서 제1 스트링(60)만 화살표 "A"방향으로 당겨지고, 제 1 스트링(60)이 일정 길이만큼 당겨져서 우산(4)이 완전히 접히는 시점에서 도 7b에서와 같이 지지부재(50)가 제 5 스트링부재(69, 69')를 위, 아래 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밀면서 진행하고, 상기 제 5 스트링부재(69, 69')와 연결된 제 5 스트링(68)이 내통으로부터 직립유지부재(67)를 분리시킨다. 그 후 제 2 스트링(62)이 화살표 "B"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제 2 스트링(62)과 연결된 롤러가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일정 길이만큼 제 2 스트링(62)이 당겨진 뒤에는 역시 제 2 스트링(62)도 더 이상 당겨지지 않고 접혀진 우산(4)이 수납실(90)로 수납된다. 도 7a 및 7b에서 각 롤러의 상대적 위치와 제 2 스트링(62) 및 제 5 스트링(68)이 움직이는 거리 등은 설계시 최적값으로 얼마든지 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견인 메카니즘도 동등한 다른 메카니즘으로 얼마든지 치환될 수 있다.
비슷하게, 우산펼침유닛에서 스트링들의 작동원리의 바람직한 일예를 보여주는 도 7c로부터, 제 7 스트링(72)이 화살표 "D" 방향으로 당겨질 때 우선적으로 제 6 스트링(70)과 연결된 롤러가 화살표 "E"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 6 스트링(70)이 당겨져 레버(80)를 선회시켜 링부재(9)가 우산펴짐돌기(13) 위로 움직이게 한다. 상기 제 6 스트링(70) 역시 일정 길이만큼만 당겨지면 더 이상 당겨지지 않고 제 7 스트링(72)이 당겨진다. 도 7c에서도 각 롤러들의 상대적 위치와 제 6 스트링이 움직이는 거리 등은 설계시 최적값으로 얼마든지 조정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6 스트링은 릴에 감겨지는 것보다는 윈도우 와이퍼링크와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계하는 이유는 우산을 접을 때는 너무 빨리 접으면 공기저항으로 우산에 무리가 따르므로 우산을 접을 때는 천천히 릴을 감으면서 접고, 우산을 펼칠 때는 별다른 공기저항이 없으므로 신속하게 캡을 열고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동시에 회전하지만 직경이 서로 다른 릴을 직렬로 배치하여 각 릴에 각기 다른 스트링들이 감기게 구성할 수도 있고, 직경이 서로 다른 2개의 릴을 설치하여 대직경 릴에는 우산접음유닛 혹은 우산펼침유닛을 감도록 하고 소직경 릴에는 스위치 스트링을 감도록 견인유닛을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견인유닛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왕복운동되는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링크에 의해서 스위치 스트링이 당겨져 소직경 릴에 감기거나 그로부터 풀리도록 하고, 이 소직경 릴과 함께 회전하지만 각속도가 큰 대직경 릴에 의해서 우산접음유닛 혹은 우산펼침유닛이 보다 신속하게 감기거나 풀릴 수 있게 된다.
물론, 우산접음유닛용 견인유닛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방식의 견인유닛을 이용하고 우산펼침유닛용 견인유닛으로는 2개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릴을 활용한 견인유닛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 반대로 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의 손잡이(10)를 지지유닛에 결합시킨다. 이 결합과정은, 우선 상기 외통(24)을 외통스프링(32)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아래쪽으로 잡아당긴 후(도 2b 참고), 우산손잡이돌출부(16)를 내통(26) 내로 밀어 넣으면 체결용 볼(28)이 외주방향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체결용 오목부(18)와 체결용 볼(28)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후 외통(24)에 대한 힘을 해제하면 외통(24)은 도시된 최초위치로 복귀하면서 체결용 볼(22)을 안쪽으로 밀어 넣어 체결용 오목부(18)과 체결용 볼(28)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키게 된다(도 2d 참고). 이에 의해 우산(4)이 지지유닛내에 확실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지지유닛의 외통(24)을 사용자가 외통 스프링(32)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아래로 잡아당기면 외통(24)에 고정되어 있는 외통돌기(30)가 함께 아래에 내려가고 외통돌기(30)가 원통형 수납부재 어깨부(41)와 접촉하면서 원통형 수납부재(40)를 함께 아래로 내려가게 하고(도 2a의 A-A'선 단면도 참고), 원통형 수납 부재(40)의 상단부는 파지부(22)의 구속을 해제하고 파지부는 벌어지게 되는데(도 2c 참고), 외통(24)을 아래로 내리면 외통 스프링(32)과 내통(26) 사이에 설치되는 외통 가동부재(34)도 아래로 내려가게 되는데, 이 외통 가동부재(34)가 내통 아랫 부분에 설치된 스토퍼(38)를 밀어서 스토퍼(38)가 스토퍼 스프링(36)의 힘에 반하여 내통(26)의 안으로 돌출되게 하는데, 이 스토퍼(38)는 지지부재(50)가 내통면을 따라 아래로 더 이상 내려가는 것을 막는다(도 2c 참고). 도 2c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외통(24)은 외통 스프링(32)의 힘에 반하여 아래로 내려와 있으므로 사용자가 외통(24)에 가하고 있는 힘을 해제하는 즉시 상기 외통 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외통(24)은 위로 복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용 볼(28)을 다시 구속할 것이고, 또한 원통형 수납부재 어깨부(41)가 상기 외통돌기(30)에 의해 구속된 원통형 수납부재(40) 역시 원통형 수납 부재 스프링(42)의 힘에 반하여 아래로 내려와 있으므로 사용자가 외통(24)에 가하고 있는 힘을 해제하는 즉시 상기 원통형 수납 부재 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원통형 수납 부재(40)는 위로 복귀하여 상기 파지부(22)를 다시 구속하게 된다. 상기 파지부(22)는 원통형 수납부재(40)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수축되어 내부에 삽입된 구형결합부재(20)를 확실하게 파지한다(도 2d 참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우산 접음 스위치(도시생략)를 눌려 우산접음유닛의 제 1 스트링(60)이 당겨지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50)에 결합된 구형결합부재(20)가 당겨지고, 계속해서 우산의 당김줄(8)이 당겨져 우산이 접히게 된다. 즉, 상기 구형결합부재(20)는 당김줄(8)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50)는 우산접음유닛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형결합부재(20)와 지지부재(50)의 파지부(22)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우산접음유닛을 당기면 동시에 당김줄(8)이 당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우산(4)을 지지유닛에 결합시킨 후, 사용자는 차량에 탑승한 채로 우산 접음 스위치(도시생략)를 누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접힘유닛용 견인유닛(120)의 스위치 스트링(74)이 당겨지는 동시에 모터(71)가 구동된다. 스위치 스트링(74)이 당겨지면 가압부재 축(115)을 중심으로 가압부재(114)가 선회되면서 릴(104)을 전동부재(102) 쪽으로 가압함으로서 전동부재(102)와 릴(104)이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릴(104)은 회전하면서 우산접음유닛을 감아들인다. 이 우산접음유닛에 연결된 제 1 스트링(60), 제 2 스트링(62), 제 3 스트링(64), 제 4 스트링(66) 및 제 5 스트링(68)이 당겨지면서 순차적으로, 제 1 스트링(41)에 의해서 우산이 접히고, 제 2 스트링(62) 및 제 5 스트링(68)에 의해서 우산이 눕혀지고, 제 3 스트링(64)에 의해서 눕혀진 우산이 회전하면서 우산천이 감기고, 제 4 스트링(66)에 의해서 수납실(90)의 덮개(92)가 폐쇄된다.
이상의 작동이 완료되면 더 이상 우산접음유닛이 릴(104)에 감기지 않도록 릴(104)과 전동부재(102)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시키기 위해서 상기 우산접음유닛의 소정 위치에 연결된 멈춤 스트링(76)이 당겨진다. 멈춤 스트링(76)은 가압부재(114)를 당겨 가압부재 축(115)을 중심으로 가압부재(114)가 선회시키도록 하여 릴(104)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상기 가압을 해제하는 즉시, 릴(104)은 이동부재 스프링(10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동부재(102)로부터 이격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우산접음유닛이 필요 이상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우산을 접어 수납하고 있다가 다시 펼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차량 내에서 공지의 우산 펼침 스위치(도시생략)를 누르면 윈도우 와이퍼 링크와 연결된 도 7c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우산펼침유닛의 제 6 스트링(70) 및 제 7 스트링(72)이 당겨진다. 제 6 스트링(70)이 당겨지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레버 힌지축(81)에 고정된 "U"자형 레버(80)가 일점 쇄선 모양과 같이 옆으로 선회하면서 링부재(9)와 접촉하여 이 링부재(9)를 우산대(6) 위에서 도면에서 볼 때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일점 쇄선 모양 참고).링 부재(9)가 이동하면서 우산펴짐돌기(13)을 가압하여 우산(4)을 펼치게 된다.
우산(4)은 상기한 바와 같이 "U"자형 레버(80)에 의해 링 부재(9)를 이동시켜 우산펴짐돌기(11c)를 가압하도록 하면, 수납실(90)내에 우산(4)이 수납되어 우산손잡이 버튼(12)이 위, 아래 어디에 오든 상관없이 확실하게 우산을 펼칠 수 있게 된다.
우산은 수납실(9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우산 길이방향으로 우산대(6)가 신장되면서 걸림쇠(96)를 충격한다. 걸림쇠(96)에 의해 수납로크(98)가 덮개(92)를 폐쇄 유지시키던 힘이 제거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용 스프링(97)의 탄성력에 의해 덮개(92)가 개방된다. 아울러, 이러한 걸림쇠 메카니즘은 2절식 우산에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통의 2단으로 접혀지지 않는 장우산의 경우에는 상기 우산펼침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수납로크(98)에 작용하는 힘이 해제되게끔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제 7 스트링(72)이 당겨지면서 지지유닛의 내통(26)을 일으켜 세우게 된다(도 3 참조). 세워진 우산은 완전히 펼쳐지게 되고, 이 때 사용자는 하차하여 우산을 지지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한다. 우산손잡이(10)와 지지유닛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과정은 결합하는 과정의 역순이므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수납실(90)에는 온풍구멍을 설치하여 젖은 우산을 향하여 온풍을 공급함으로서 우산을 건조시켜 우산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특히 수납실은 차량 출고시부터 차량에 일체로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 제작된 후 차량 소정위치에 장착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 장치는 차량의 운전석측 지붕에 설치될 수 있고, 아울러 다른 좌석측 지붕에도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우산 펼침 스위치는 운전 중에 실수로 눌려져 우산이 펼쳐지는 일이 없도록 안전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유닛(120)의 모터(M)로서는 차량에 기 장착되어 있는 와이퍼 모터 등을 활용하는 것도 좋고,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시하지 않은 우산 접음 스위치와 우산 펼침 스위치는 핸들의 좌측, 즉 계기판의 좌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차량내에서 차량 밖의 우산을 자동으로 접어 수납하거나 펼칠 수 있고, 수납함에서 우산을 자유로이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가 제공되어, 우천시 승하차하는 순간 운전자가 비를 맞아야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빗물에 젖은 우산을 차량 내부에 두어야 하기 때문에 차량 내부와 탑승자의 옷이 빗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6)

  1. 차량(2) 외부에서 우산(4)을 접은 뒤 차량(2) 외부의 우산 수납실(90)에 수납하고 차량(2) 외부의 우산 수납실(90)에 수납되어 있는 우산(4)을 차량(2) 외부에서 펼치기 위한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우산(4)의 우산손잡이(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렇게 결합된 상기 우산(4)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우산(4)을 접거나 펼침에 따라 우산대(6)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7)를 우산대(6)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7)와 연결된 당김줄(8)의 일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유닛 내에 설치되는 파지유닛과;
    상기 파지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파지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우산을 접으며, 상기 지지유닛 및 상기 우산을 제 1 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우산을 상기 우산 수납실(90)내로 수납하기 위한 제 1 수단과;
    상기 우산 수납실(9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우산을 펼치며, 상기 지지유닛 및 상기 우산을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우산 수납실(90)로부터 직립시키기 위한 제 2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외주에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내통(26)과,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체결용 볼(28)과, 상기 체결용 볼(28)을 구속하는외통(24)과, 상기 내통(26)과 외통(24)사이에 끼워지는 외통 스프링(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작업은 사용자가 상기 외통(24)을 상기 외통 스프링(32)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내린 채로, 그 표면에 체결용 오목부(18)를 포함하는 우산손잡이 돌출부(16)를 상기 내통(26) 내로 삽입한 뒤 사용자가 상기 외통(24)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고, 그 분리작업은 상기 체결작업의 역순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4)이 상기 지지유닛에 결합될 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7)에 연결된 당김줄(8)의 일단부를 상기 파지유닛이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에서 상기 외통(24)의 이동에 구속되어 함께 이동하는 수납부재(40)와, 상기 수납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7)에 연결된 당김줄(8)의 일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파지부(22)와, 상기 파지부(2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재(40)의 이동에 대해 스프링 반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2)을 포함하는 지지부재(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은, 파지유닛의 저면으로 연결된 제 1 스트링(60)과, 지지유닛의 측면으로 연결된 제 2 스트링(62)으로 이루어지고, 파지유닛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7)와 연결된 당김줄(8)의 일단부를 수용한 후 상기 제 1 스트링(60)에 의해 상기 파지유닛을 잡아 당겨 상기 우산(4)을 접고, 상기 지지유닛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스트링(62)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을 선회시켜 상기 우산을 상기 우산 수납실(90)내로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스트링(60)은 상기 파지유닛을 구성하는 지지부재(5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스트링(62)은 상기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내통(26)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우산(4)이 우산 수납실(90)내로 수납된 후 상기 우산손잡이(10) 표면에 형성된 기어(15)와 맞물릴 수 있는 수납 기어부(94)와, 상기 수납기어부(94)를 잡아 당기기 위한 제 3 스트링(64)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우산(4)이 우산 수납실(90)내로수납된 후, 상기 수납실을 폐쇄하기 위한 제 4 스트링(66)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우산(4)이 제 1 스트링(60)에 의해 완전히 접히기 전에, 지지유닛의 요부에 삽입되어 상기 우산(4)의 제 2 스트링(62)에 의한 선회를 막고 직립을 담보하는 부재와, 상기 우산(4)이 완전히 접힌 후 상기 부재를 상기 지지유닛의 요부로부터 제거하여 제 2 스트링(62)을 동작시키는 제 5 스트링(68)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우산대(6)에 우산손잡이 버튼(12)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우산펴짐돌기(13)를 작동시키는 레버(80)와, 상기 레버를 잡아 당기는 제 6 스트링에 의해 상기 우산(4)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4)은 상기 우산(4)이 접혔을 때 슬라이딩 부재(7)와 우산손잡이(10)쪽 우산펴짐돌기(13) 사이에 장착되어 우산손잡이(10)쪽 우산펴짐돌기(13)쪽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링부재(9)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우산(4)이 수납실(90)로 수납되었을 때 상기 레버(8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7)와 상기 링부재(9)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단은 지지유닛의 측면으로 연결된 제 7 스트링(7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7 스트링(72)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을 선회시켜 상기 우산(4)을 상기 우산 수납실(90)로부터 직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14. 우산대(6)와, 우산을 펼치거나 접음에 따라 상기 우산대(6)를 따라 위 아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부재(7)와, 우산손잡이(10)를 포함하는 자동 우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7)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우산대를 따라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우산손잡이(10) 하단부의 개방부까지 연장되는 당김줄(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우산손잡이(10)는 외부의 지지유닛에 상기 우산손잡이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돌출부를 우산손잡이 하단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당김줄(8)을 슬라이딩 부재(18)쪽으로 당기는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당김줄(8)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KR10-2002-0034244A 2001-11-30 2002-06-19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KR100460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191A KR20010113605A (ko) 2001-11-30 2001-11-30 자동차우산함과운전자우산
KR1020010075191 2001-11-30
KR20020028367 2002-05-22
KR1020020028367 2002-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763A KR20030044763A (ko) 2003-06-09
KR100460789B1 true KR100460789B1 (ko) 2004-12-09

Family

ID=2663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244A KR100460789B1 (ko) 2001-11-30 2002-06-19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60789B1 (ko)
AU (1) AU2002365362A1 (ko)
WO (1) WO200304573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895B1 (ko) * 2008-12-05 2010-04-06 박종현 우산보관장치가 있는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9715B2 (en) * 2003-04-16 2005-11-01 Siegel Frederic S Umbrella for departing auto passeng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0220U (ko) * 1987-04-10 1988-10-20
JPH0374743A (ja) * 1989-08-16 1991-03-29 Fujitsu Ltd 記憶装置のインタフェースチェック方式
JPH0472018U (ko) * 1990-11-06 1992-06-25
KR19990017885U (ko) * 1997-11-04 1999-06-05 정몽규 차량에 구비된 자동우산
KR20010113605A (ko) * 2001-11-30 2001-12-28 정유근 자동차우산함과운전자우산
KR200276114Y1 (ko) * 2002-01-21 2002-05-22 윤영수 차량용 우산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493B2 (ja) * 1979-10-29 1983-02-10 安二 前田 自動車用傘収納装置
JPS5790235A (en) * 1980-11-25 1982-06-04 Tomoyuki Kanemasa Umbrella holder for automobile
US4543971A (en) * 1983-06-20 1985-10-01 Vladimir Sirota Umbrella holder
JPH06135286A (ja) * 1992-10-23 1994-05-17 Toshiko Inmiya 自動車用傘収納具
DE4446158A1 (de) * 1994-12-23 1996-06-27 Fischer Artur Werke Gmbh Aufbewahrungsvorrichtung für Regenschirme zum Einbau in Kraftfahrzeugen
JP3658713B2 (ja) * 1995-08-24 2005-06-08 東洋電装株式会社 車両用傘台
US6213137B1 (en) * 2000-01-20 2001-04-10 Tzu-Nan Wang Umbrella opening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0220U (ko) * 1987-04-10 1988-10-20
JPH0374743A (ja) * 1989-08-16 1991-03-29 Fujitsu Ltd 記憶装置のインタフェースチェック方式
JPH0472018U (ko) * 1990-11-06 1992-06-25
KR19990017885U (ko) * 1997-11-04 1999-06-05 정몽규 차량에 구비된 자동우산
KR20010113605A (ko) * 2001-11-30 2001-12-28 정유근 자동차우산함과운전자우산
KR200276114Y1 (ko) * 2002-01-21 2002-05-22 윤영수 차량용 우산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895B1 (ko) * 2008-12-05 2010-04-06 박종현 우산보관장치가 있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5735A3 (en) 2003-10-30
WO2003045735A2 (en) 2003-06-05
KR20030044763A (ko) 2003-06-09
AU2002365362A8 (en) 2003-06-10
AU2002365362A1 (en) 200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11530B2 (en) Automobile body cover
US9090153B1 (en) Rain shield for vehicle passengers
US8608223B2 (en) Automobile cover removal and installation roller assembly
US8011379B2 (en) Portable and compact umbrella
JPH0411516A (ja) オープンカー
US6152502A (en) Apparatus for closing a rear compartment door of a vehicle
KR100460789B1 (ko)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JP7395735B2 (ja) 側部衝撃保護リンク機構および安全座席基部
KR20060062675A (ko) 차량 운전자용 자동우산
KR20210095542A (ko) 롤 방식으로 접혀지는 자동 우산
KR100372197B1 (ko) 차량 부설용 출몰식 우산
KR20070048363A (ko) 차량용 우산 자동수납장치
KR200276114Y1 (ko) 차량용 우산개폐장치
CN212046840U (zh) 充气式汽车遮阳装置
JP5550990B2 (ja) スロープ装置
KR101460511B1 (ko) 우산 장치
EP0596180A1 (en) Umbrella with covering entering into the container-handle
KR102621428B1 (ko) 차양막 일체형 테일게이트
CN220607595U (zh) 一种便携式自动开收伞具
JP3667467B2 (ja) 車両用巻取式荷崩れ防止装置
KR102614700B1 (ko) 케이스 수납형 자동 펼침 다단식 우산
WO2001012009A9 (en) Umbrella assembly
KR200334317Y1 (ko) 차량용 우산장치
JPH0724255Y2 (ja) 自動車用日除け装置
JP2003306044A (ja) 自動車用ボディカ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