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487Y1 -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487Y1
KR200304487Y1 KR20-2002-0034153U KR20020034153U KR200304487Y1 KR 200304487 Y1 KR200304487 Y1 KR 200304487Y1 KR 20020034153 U KR20020034153 U KR 20020034153U KR 200304487 Y1 KR200304487 Y1 KR 200304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lip
weights
jig
cl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김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민 filed Critical 김경민
Priority to KR20-2002-0034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4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4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2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Abstract

본 고안은 각각 제조된 클립과 웨이트를 자동으로 공급 및 결합시켜 밸런스 웨이트를 제조함으로서 밸런스 웨이트의 생산을 수작업 없이 자동화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납이 아닌 금속의 중량체를 사용하여 밸런스 웨이트를 구성함으로서 클립과 웨이트의 결합시 웨이트의 변형과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각 공정별 작업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지그가 구비된 상태로 45도씩 각회전하는 회전판과, 호퍼에 담긴 무수히 많은 웨이트를 진동으로 정렬하면서 연속 공급하는 웨이트공급부와, 상기 웨이트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웨이트를 하나씩 상기 회전판의 지그에 안착시키는 웨이트이송부와, 호퍼에 담긴 무수히 많은 클립을 진동으로 정렬하면서 연속 공급하는 클립공급부와, 상기 클립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클립을 상기 지그에 안착된 웨이트에 결합시키면서 지그에 안착시키는 클립이송부와, 상기 지그에서 클립의 홀이 삽입된 웨이트의 돌기를 펀칭하여 밸런스웨이트를 완성하는 프레스부와, 상기 프레스부에서 완성된 밸런스웨이트를 장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로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를 구성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A production device for balance weight of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휠에 타이어를 결합하여 휠 밸런스를 조절할 때 휠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휠에 타이어를 끼우고 타이어가 끼워진 상태의 휠이 일정한 원심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휠의 원심력이 약하게 작용되는 부분에 끼워서 원주면 전체가 균일한 원심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스를 맞추는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휠(wheel)은 자체의 중량이 가벼워야하고, 타이어와 함께 차량의 전체 무게를 지지하면서 노면의 충격과 측력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지녀야하며,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제동력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대기중으로 방출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휠과 타이어를 조립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적정한 공기압을 유지함과 동시에 휠의 회전시에 타이어가 좌·우로 진동하는 동적 불평형과 휠의 어느 일부분의 무게가 다른 부분에 비해 무거운 상태인 정적 불평형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적 불균형이 있을 경우에는 휠이 상하로 크게 진동함으로서 충격이 스티어링 휠까지 전달되어 조향 안정성을 저하시킨다.
즉, 자동차의 휠은 중량이 불균형한 부분이 있으면 회전에 따른 원심력의 차이 때문에 진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소음, 타이어의 편마모 및 핸들의 떨림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므로 휠의 밸런스 정확성은 안전운전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자동차 휠의 언밸런스를 수정하려면 타이어를 끼운 상태에서 휠 둘레의 임의의 개소(중량 불균형을 일으키는 부위의 반대편)에 적당한 무게의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를 설치하여 반대방향의 원심력을 발생시킴으로서 휠이 균형을 이루게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의 전형적인 구성은 휠에 끼워지는 클립에 중량체가 주물 작업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는 중량체가 주물 작업에 의해 성형되면서 클립이 결합되므로 주물작업의 특성상 중량체를 이루는 재질의 주조성이 높은 납이 주로 이용되고, 이로 인하여 납으로 된 중량체의 강도가 약하여 밸런스 웨이트를 휠에 장착하는 경우 해머의 타격으로 인하여 밸런스 웨이트의 중량체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과 함께 주물작업으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으로 인해 제품의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중량체의 재질인 납 성분으로 인해 자연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한 예로 밸런스 웨이트의 클립과 중량체를 별도로 분리 제작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분리형 밸런스 웨이트 구조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클립과 웨이트를 분리하여 각각 생산한 후 결합하는 구조 역시 각각 생산된 클립과 웨이트를 수작업으로 결합시킨 후, 햄머작업이나 프레스 작업으로 클립과 웨이트를 고정 결합시키는 것이므로 주물로 웨이트를 성형하는 작업에 비교하여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휠에 타이어를 끼운 상태에서 휠 밸런스를 조절할 때 사용하는 밸런스 웨이트를 각각 제조된 클립과 웨이트를 자동으로 공급 및 결합시켜 구성함으로서 밸런스 웨이트의 생산을 수작업 없이 자동화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납이 아닌 금속의 중량체를 사용하여 밸런스 웨이트를 구성함으로서 클립과 웨이트의 결합시 웨이트의 변형과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공정별 작업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지그가 구비된 상태로 45도씩 각회전하는 회전판과, 호퍼에 담긴 무수히 많은 웨이트를 진동으로 정렬하면서 연속 공급하는 웨이트공급부와, 상기 웨이트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웨이트를 하나씩 상기 회전판의 지그에 안착시키는 웨이트이송부와, 호퍼에 담긴 무수히 많은 클립을 진동으로 정렬하면서 연속 공급하는 클립공급부와, 상기 클립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클립을 상기 지그에 안착된 웨이트에 결합시키면서 지그에 안착시키는 클립이송부와, 상기 지그에서 클립의 홀이 삽입된 웨이트의 돌기를 펀칭하여 밸런스웨이트를 완성하는 프레스부와, 상기 프레스부에서 완성된 밸런스웨이트를 장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로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를 구성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벨트이송레일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도 3의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웨이트이송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이송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프레스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배출부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지그와 감지부를 보인 사시도
도 10a는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밸런스웨이트의 일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b는 본 고안 도 10a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11a는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밸런스웨이트의 다른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b는 본 고안 도 11a의 결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테이블 2 : 회전판
3 : 지주 4, 5 : 센서
6, 6' : 클립 8, 8' : 웨이트
10 : 웨이트공급부 12, 31 : 진동호퍼
14 : 벨트이송레일 15, 52 : 모터
20 : 웨이트이송부 21, 41, 61 : 고정브라켓
22, 42, 62 : 수평실린더 23, 43, 63 : 이송브라켓
24, 44, 64 : 수직실린더 25, 65 : 실린더
30 : 클립공급부 33 : 진동이송레일
40 : 클립이송부 45 : 집게송곳
50 : 프레스부 54 : 펀치
60 : 배출부 70 : 지그
71, 72 : 고정스토퍼 73, 74 : 조절스토퍼
75, 76 : 볼트 141 : 벨트
142, 143, 144 : 풀리 151 : 축
211, 411, 611 : 가이드바아 241, 441, 641 : 피스톤
251, 651 : 고정핑거 252, 652 : 유동핑거
253 : 힌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테이블(1)의 중앙 상부에서 통상의 모터와 감속기에 의해 45도 간격으로 각회전하는 회전판(2)과, 상기 회전판(2)의 원주면에 접하도록 회전판(2)의 윗면에 45도 간격으로 구비되어 클립(6)(6')과 웨이트(8)(8')를 공급받아 45도씩 이송시키는 지그(70)와, 상기 테이블(1)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호퍼(11)를 통해 진동호퍼(12)에 웨이트(8)(8')를 공급하고, 공급된 웨이트(8)(8')를 진동하는 진동호퍼(12)의 나선레일(13)과 나선레일(13)에 연속되는 벨트이송레일(14)을 통해 공급하는 웨이트공급부(10)와, 상기 웨이트공급부(10)의 벨트이송레일(14)을 통해 공급된 웨이트(8)(8')를 수평실린더(22)와 수직실린더(24)에 의해 위치가 제어되고, 실린더(25)에 의해 동작하는 유동핑거(252)와 고정핑거(251)로 웨이트(8)(8')를 상기 지그(70)로 이송시키는 웨이트이송부(20)와, 상기 웨이트공급부(10)와 90도 간격을 이루도록 테이블(1)의 일측에 진동호퍼(31)를 구비하고, 그 진동호퍼(31)에 공급된 클립(6)(6')을 진동하는 진동호퍼(31)의 나선레일(32)과 진동이송레일(33)을 통해 클립(6)(6')을 정렬·이송시키는 클립공급부(30)와, 상기 클립공급부(30)의 진동이송레일(33)을 통해 공급된 클립(6)(6')을 수평실린더(42)와 수직실린더(44)에 의해 위치가 제어되고, 이송브라켓(43)의 일측에 구비된 집게송곳(45)으로 클립(6)(6')을 상기 웨이트(8)(8')가 공급되어 있는 지그(70)로 이송시키는 클립이송부(40)와, 상기 클립이송부(40)의 집게송곳(45)에 의해 지그(70)에서서로 결합된 웨이트(8)(8')와 클립(6)(6')을 슬라이더(53) 하단의 펀치(54)로 고정하는 프레스부(50)와, 상기 프레스부(50)에서 클립(6)(6')과 웨이트(8)(8')를 고정하여 완성된 밸런스웨이트가 지그(70)에 안착된 상태로 공급되면 수평실린더(62)와 수직실린더(64)에 의해 위치가 제어되고, 실린더(65)에 의해 동작하는 유동핑거(652)와 고정핑거(651)로 밸런스웨이트를 집어 장치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60)로 밸런스웨이트 제조장치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지그(70)는 클립(6)(6')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한쌍의 고정스토퍼(71)(72)와, 다양한 중량의 웨이트(8)(8') 크기에 맞추어 볼트(75)(76)를 풀고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스토퍼(73)(74)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60)와 웨이트이송부(20) 사이, 웨이트이송부(20)와 클립이송부(40) 사이 및 클립이송부(40)와 프레스부(50) 사이의 테이블(1) 윗면에는 센서(4)(5)가 설치된 지주(3)를 구비하여 지그(70) 내에 클립(6)(6')과 웨이트(8)(8')가 공급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웨이트공급부(10)의 진동호퍼(12)와 클립공급부(30)의 진동호퍼(31)에 웨이트(8)(8')와 클립(6)(6')을 각각 공급해 놓은 상태에서 제조장치를 가동시키면 진동호퍼(12)(31)들이 진동하면서 웨이트(8)(8')와 클립(6)(6')을 공급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테이블(1) 위의 회전판(45)은 45도씩 각회전을 시작한다.
이때 각회전하는 회전판(2)에 의해 배출부(60)쪽에서 웨이트이송부(20)쪽으로 이동하는 지그(70)가 비어있는 상태인지를 센서(4)(5)가 감지하고, 지그(70)가 비어있으면 웨이트공급부(10)에서 웨이트이송부(20)로 공급된 웨이트(8)(8')를 지그(70)로 이송시킨다.
즉, 웨이트공급부(10)의 고정호퍼(11)를 통해 진동호퍼(12)에 공급된 무수히 많은 웨이트(8)(8')는 진동호퍼(12)의 진동에 의해 나선레일(13)을 따라 정렬되면서 이송되고, 이송되어 진동호퍼(12)를 빠져나오는 웨이트(8)(8')는 나선레일(13)에 연결설치된 벨트이송레일(14)에서 벨트(141)에 의해 웨이트이송부(20)로 하나씩 공급된다.
이때, 진동호퍼(12)에서 벨트이송레일(14)의 벨트(141)로 이송된 웨이트(8)(8')는 모터(15)의 축(151)에 설치된 풀리(142)와 벨트이송레일(14)의 양단에 구비된 풀리(143)(144)를 연결하여 설치한 벨트(141)에 의해 웨이트이송부(20)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벨트(141)에 의해 웨이트이송부(20)로 하나의 웨이트(8)(8')가 공급되면 수직실린더(24)가 동작하여 피스톤(241)에 설치된 고정핑거(251)와 유동핑거(252)를 하강시키고, 이어서 실린더(25)가 동작하여 힌지(253)를 중심으로 유동핑거(252)를 회동시키므로 웨이트(8)(8')가 고정핑거(251)와 유동핑거(252) 사이에 물리게 된다.
상기 물려진 웨이트(8)(8')는 수직실린더(24)가 피스톤(241)을 상승시키고 수평실린더(22)가 동작하여 고정브라켓(21)에 삽입된 가이드바아(211)의 안내로 이송브라켓(23)을 전진시키면 회전판(2)의 지그(70) 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수직실린더(24)가 피스톤(241)을 전진시키고, 실린더(25)가 유동핑거(252)를 동작시켜 웨이트(8)(8')를 내려놓는 동작에 의해 웨이트(8)(8')는 지그(70)의 조절스토퍼(73)(74) 사이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스토퍼(73)(74)는 볼트(75)(76)를 풀고 좌우로 회전시키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중량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웨이트(8)(8')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나의 지그(70)에 하나의 웨이트(8)(8')가 공급된 상태에서 회전판(2)이 45도 회전하면 새로운 지그(70)가 웨이트이송부(20) 앞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또 하나의 웨이트(8)(8')를 공급하는 동작을 과 동시에 이미 웨이트(8)(8')가 공급된 지그(70)는 웨이트이송부(20)와 클립이송부(40) 사이의 센서(4)(5)에 의해 웨이트(8)(8')의 공급여부를 체크받게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새로운 지그(70)에 새로운 웨이트(8)(8')사 공급되고, 웨이트(8)(8')의 정상적인 공급여부를 센싱하는 동작은 회전판(2)이 45도씩 회전될 때마다 이루어지고 웨이트(8)(8')의 공급이 확인된 지그(70)가 클립이송부(40)의 앞으로 이동되면 클립이송부(40)는 클립공급부(30)에서 공급된 하나의 클립(6)(6')을 지그(70)로 이송시킨다.
즉, 무수히 많은 클립(6)(6')이 공급된 진동호퍼(31)와 그 진동호퍼(31)의 나선레일(32)에 연결설치된 진동이송레일(33)이 함께 진동됨에 따라 니선레일(320과 진동이송레일(33)을 따라 클립(6)(6')이 정렬되면서 클립이송부(40)로 하나씩 공급되면 클립이송부(40)의 수직실린더(44)가 피스톤(441)을 하강시켜이송브라켓(43)의 일측에 구비된 집게송곳(45)을 클립(6)(6')의 홀(7)(7')에 끼워 넣는다.
이어서 수직실린더(44)가 피스톤(441)을 당겨서 클립(6)(6')이 고정된 집게송곳(45)을 올리고, 수평실린더(42)가 동작하여 고정브라켓(41)에 삽입된 가이드바아(411)의 안내로 이송브라켓(43)을 전진시키면, 집게송곳(45)이 회전판(2)의 지그(70) 위에 위치하게 되며, 계속해서 수직실린더(24)가 피스톤(241)을 전진시키면 집게송곳(45)이 지그(70)에 공급되어져 있던 웨이트(8)(8')의 돌기(9)(9')에 접촉되면서 클립(6)(6')을 내려놓게 되므로 클립(6)(6')이 지그(70)의 고정스토퍼(71)(72) 사이에 안착됨과 동시에 클립(6)(6')의 홀(7)(7')에 웨이트(8)(8') 돌기(9)(9')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클립(6)(6')의 공급이 완료되면 회전판(2)은 다시 45도 회전하여 웨이트(8)(8')와 클립(6)(6')의 결합을 센서(4)(5)로 센싱받게 되고, 클립(6)(6')과 웨이트(8)(8')의 결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회전판(2)은 또다시 45도 회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웨이트(8)(8')와 클립(6)(6')의 결합을 센싱하는 동안에 선행된 웨이트(8)(8') 공급, 센싱, 클립(6)(6') 공급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웨이트(8)(8')의 돌기(9)(9')와 클립(6)(6')의 홀(7)(7')이 지그(70) 내에서 정상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여 프레스부(50)로 이동되면 모터(52)에 의해 기대(51) 정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53)가 하강하여 슬라이더(53) 하단의 펀치(54)로 돌기(9)(9')를 클립(6)(6') 위에 압착시키면클립(6)(6')과 웨이트(8)(8')의 고정 작업이 완료되어 밸런스웨이트가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프레스부(50)에서의 펀칭작업이 완료되는 동안에 선행된 웨이트(8)(8')의 공급, 센싱, 클립(6)(6')의 공급, 센싱 등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 후, 회전판(2)은 다시 45도 회전하고 상기의 모든 선행된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고 다시 회전판(2)이 45도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판(2)의 각회전과 각 공정의 작업이 진행되어 클립(6)(6')과 웨이트(8)(8')를 펀칭하여 고정한 밸런스웨이트가 지그(70)에 삽입된 상태로 배출부(60)의 앞까지 이동하면 수직실린더(64)가 동작하여 피스톤(641)에 설치된 고정핑거(651)와 유동핑거(652)를 하강시키고, 이어서 실린더(65)가 유동핑거(652)를 동작시키면 밸런스웨이트가 고정핑거(651)와 유동핑거(652) 사이에 물리게 된다.
상기 물려진 밸런스웨이트는 수직실린더(64)가 피스톤(641)을 상승시키고 수평실린더(62)가 동작하여 고정브라켓(61)에 삽입된 가이드바아(611)의 안내로 이송브라켓(63)을 후진시키면 밸런스웨이트를 지그(70)에서 벗어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피스톤(641)에 구비된 실린더(65)로 유동핑거(652)를 벌려주면 밸런스웨이트는 고정핑거(651)와 유동핑거(652) 사이에서 낙하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휠에 타이어를 끼운 상태에서 휠 밸런스를 조절할 때 사용하는 밸런스 웨이트를 각각 제조된 클립과 웨이트를 자동으로공급 및 결합시켜 구성함으로서 밸런스 웨이트의 생산을 수작업 없이 자동화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납이 아닌 금속의 중량체를 사용하여 밸런스 웨이트를 구성함으로서 클립과 웨이트의 결합시 웨이트의 변형과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공정에 따른 작업이 진행된 후에는 센싱을 하여 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검출함으로서 불량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테이블(1)의 중앙 상부에서 통상의 모터와 감속기에 의해 45도 간격으로 각회전하는 회전판(2)과,
    상기 회전판(2)의 원주면에 접하도록 회전판(2)의 윗면에 45도 간격으로 구비되어 클립(6)(6')과 웨이트(8)(8')를 공급받아 45도씩 이송시키는 지그(70)와,
    상기 테이블(1)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호퍼(11)를 통해 진동호퍼(12)에 웨이트(8)(8')를 공급하고, 공급된 웨이트(8)(8')를 진동하는 진동호퍼(12)의 나선레일(13)과 나선레일(13)에 연속되는 벨트이송레일(14)을 통해 공급하는 웨이트공급부(10)와,
    상기 웨이트공급부(10)의 벨트이송레일(14)을 통해 공급된 웨이트(8)(8')를 수평실린더(22)와 수직실린더(24)에 의해 위치가 제어되고, 실린더(25)에 의해 동작하는 유동핑거(252)와 고정핑거(251)로 웨이트(8)(8')를 상기 지그(70)로 이송시키는 웨이트이송부(20)와,
    상기 웨이트공급부(10)와 90도 간격을 이루도록 테이블(1)의 일측에 진동호퍼(31)를 구비하고, 그 진동호퍼(31)에 공급된 클립(6)(6')을 진동하는 진동호퍼(31)의 나선레일(32)과 진동이송레일(33)을 통해 클립(6)(6')을 정렬·이송시키는 클립공급부(30)와,
    상기 클립공급부(30)의 진동이송레일(33)을 통해 공급된 클립(6)(6')을 수평실린더(42)와 수직실린더(44)에 의해 위치가 제어되고, 이송브라켓(43)의 일측에구비된 집게송곳(45)으로 클립(6)(6')을 상기 웨이트(8)(8')가 공급되어 있는 지그(70)로 이송시키는 클립이송부(40)와,
    상기 클립이송부(40)의 집게송곳(45)에 의해 지그(70)에서 서로 결합된 웨이트(8)(8')와 클립(6)(6')을 슬라이더(53) 하단의 펀치(54)로 고정하는 프레스부(50)와,
    상기 프레스부(50)에서 클립(6)(6')과 웨이트(8)(8')를 고정하여 완성된 밸런스웨이트가 지그(70)에 안착된 상태로 공급되면 수평실린더(62)와 수직실린더(64)에 의해 위치가 제어되고, 실린더(65)에 의해 동작하는 유동핑거(652)와 고정핑거(651)로 밸런스웨이트를 집어 장치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지그(70)는 클립(6)(6')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한쌍의 고정스토퍼(71)(72)와, 다양한 중량의 웨이트(8)(8') 크기에 맞추어 볼트(75)(76)를 풀고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스토퍼(73)(7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60)와 웨이트이송부(20) 사이, 웨이트이송부(20)와 클립이송부(40) 사이 및 클립이송부(40)와 프레스부(50) 사이의 테이블(1) 윗면에는 센서(4)(5)가 설치된 지주(3)를 구비하여 지그(70) 내에 클립(6)(6')과 웨이트(8)(8')가 공급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KR20-2002-0034153U 2002-11-15 2002-11-15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KR200304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153U KR200304487Y1 (ko) 2002-11-15 2002-11-15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153U KR200304487Y1 (ko) 2002-11-15 2002-11-15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487Y1 true KR200304487Y1 (ko) 2003-02-15

Family

ID=4940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153U KR200304487Y1 (ko) 2002-11-15 2002-11-15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48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807B1 (ko) 2013-08-07 2014-05-07 양진복 자동차용 클립 어셈블리 조립 장치
KR101817731B1 (ko) 2017-05-02 2018-01-11 제이엔티코리아 (주) 클립 및 볼 압착기 및 이를 이용한 선바이저 와이어 어셈블리의 제작 방법
CN108421957A (zh) * 2018-04-18 2018-08-21 安徽永杰铜业有限公司 一种铜加工水平连铸自动加料装置
CN110142474A (zh) * 2019-06-13 2019-08-20 广州电装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蒸发器杯盖加工装置
KR20220084481A (ko) * 2020-12-14 2022-06-21 (주)화인정밀 리드스크류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드스크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807B1 (ko) 2013-08-07 2014-05-07 양진복 자동차용 클립 어셈블리 조립 장치
KR101817731B1 (ko) 2017-05-02 2018-01-11 제이엔티코리아 (주) 클립 및 볼 압착기 및 이를 이용한 선바이저 와이어 어셈블리의 제작 방법
CN108421957A (zh) * 2018-04-18 2018-08-21 安徽永杰铜业有限公司 一种铜加工水平连铸自动加料装置
CN110142474A (zh) * 2019-06-13 2019-08-20 广州电装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蒸发器杯盖加工装置
CN110142474B (zh) * 2019-06-13 2024-02-02 广州电装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蒸发器杯盖加工装置
KR20220084481A (ko) * 2020-12-14 2022-06-21 (주)화인정밀 리드스크류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드스크류
KR102438306B1 (ko) * 2020-12-14 2022-08-31 (주)화인정밀 리드스크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7049B1 (en) Post cure inflator and vulcanized tire cooling method
JPS6397512A (ja) ロ−ラコンベヤ
KR20000069959A (ko) 타이어의 균일성 테스트 시스템
KR20160039086A (ko) 부품 공급장치
KR200304487Y1 (ko) 자동차용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CN106216998B (zh) 一种全自动钢珠组装机
CN1017608B (zh) 输送装配零件的方法和设备
US20190359017A1 (en) Tire holding device, tire test system provided with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ire holding device
CN108817760A (zh) 一种加工汽车门板的卡扣安装装置
CN110329748B (zh) 一种振动上料机
CN210258988U (zh) 一种振动平台及具有该振动平台的理料输送装置
JPS6151407A (ja) コンベア装置
KR101715172B1 (ko) 휠 연마용 브러쉬 조절장치
JPH08324763A (ja) 整列給材設備の整列コンベア装置
CN210235412U (zh) 一种理料输送装置
WO2023272828A1 (zh) 一种螺栓自动上料装置及其定位方法
CN203854252U (zh) 一种带吸风量调节装置的自动压痕机
JP3617919B2 (ja) プレス材搬送装置
JP5136217B2 (ja) ビード部材の供給装置
JP2020026349A (ja) 供給装置
JP2001009928A (ja) 大型車両用タイヤのベルト貼付装置
JPH0713828U (ja) 部品整送装置
CN114050695B (zh) 阻尼弹簧盖板组装机及其组装方法
CN216806902U (zh) 一种新型轻皮带机
KR20180033935A (ko) 자동차용 부품 생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