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591Y1 - 경보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 - Google Patents

경보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591Y1
KR200303591Y1 KR20-2002-0031824U KR20020031824U KR200303591Y1 KR 200303591 Y1 KR200303591 Y1 KR 200303591Y1 KR 20020031824 U KR20020031824 U KR 20020031824U KR 200303591 Y1 KR200303591 Y1 KR 200303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mobile phone
user
microprocesso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이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훈 filed Critical 이병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manual activation of emergency-service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시 경보음(사이렌)을 발생시키고, 비상 라이트를 발광시키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바로 스피커로 송출토록 한 경보 기능을 가진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은, 현장의 비상시 경보음 발생을 요구하기 위한 경보음 발생 버튼과, 상기 경보음 발생 버튼이 눌러지면 경보음 발생 제어신호와 비상 라이트 발광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카운팅된 심장박동 수를 표시토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경보음 발생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사이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경보음과 사용자 음성을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비상 라이트 발광 제어신호에 따라 비상 라이트를 점멸시키는 비상 라이트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경보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에 따르면, 위급 상황시 경보음 발생 버튼만을 누름으로써, 자동으로 경보음(사이렌)이 발생하게 되어 위급 상황에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위급 상황을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비상 라이트를 통해 시각적으로 위급 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보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MOBILE PHONE CAPABLE OF ALARMING}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시 경보음(사이렌)을 발생시키고, 비상 라이트를 발광시키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스피커로 송출되도록 한 경보 기능을 가진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 또는 방범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방범 시스템은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고, 또한 설치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한편, 사람이 위급한 경우가 발생하였을 때 이 위급한 상황을 병원이나 경찰서에 알려 해소하고자 한다면 전화를 통해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일일이 설명하여야 하므로 신속한 대처가 어렵게 된다. 또한, 긴급 상황 시 사용자가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이 불가능한 지역에 갇히게 되는 경우에는 무선 전화를 이용하여 이러한 긴급 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아울러 위급한 상황에 처하였을 때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고자 한다면 목소리 또는 주위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경보음을 발생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목소리 또는 경보음을 통해 도움을 요청할 수 없고, 조용히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장치도 필요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위급 상황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는 데 따르는 불편함 및 경제적인 부담을 제거하고, 현재 보편화된 휴대폰을 이용하여 비상 상황시 위급함을 신속하게 주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비상시 경보음(사이렌)을 발생시키고, 비상 라이트를 발광시키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바로 스피커로 송출토록 한 경보 기능을 가진 휴대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긴급 상황 시 사용자의 심장 박동 수를 휴대폰을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사망 여부 또는 건강 상태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긴급 상황시 중앙 관제 센터로 긴급하게 구조 신호를 보낼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경보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보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하여 중앙 관제 센터에 경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경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휴대폰은, 현장의 비상시 경보음 발생을 요구하기 위한 경보음 발생 버튼과; 상기 경보음 발생 버튼이 눌러지면 경보음 발생 제어신호와 비상 라이트 발광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카운팅된 심장박동 수를 표시토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경보음 발생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사이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경보음과 사용자 음성을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측면에 따른 휴대폰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비상 라이트 발광 제어신호에 따라 비상 라이트를 점멸시키는 비상 라이트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측면에 따른 휴대폰은, 사용자의 음성 및 심장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 받은 음성 및 심장 소리를 분리하여 음성은 음성 처리부에 전달하고, 심장 소리는 청진부로 전달하는 오디오 분리부와; 상기 오디오 분리부에서 전송되는 심장 소리를 카운팅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청진부와; 사용자의 음성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한 후 스피커로 전달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심장박동 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측면에 따른 휴대폰에서, 사용자가 경보 발생 버튼을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경보 신호 발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경보 신호 발생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경보 신호 발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중앙 관제 센터에 경보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에 장착된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경보음 등은 발생시키지 않고 조용하게 경보 신호를 중앙 관제 센터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경보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경보음 발생 버튼(1)은 위급 상황시 경보의 발생을 위한 신호를 사용자가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경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의 측면에 비상시 조작이 가능한 경보음 발생 버튼(1)을 구비한다. 여기서 경보음 발생 버튼(1)을 측면에 장착한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선택적으로 휴대폰의 전면 또는 후면에도 장착 가능하다.
스피커(4), 디스플레이부(9) 및 안테나(12)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경보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부(9), 메모리(10), 송수신부(11) 및 안테나(12)는 일반적인 휴대폰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휴대폰에 아래와 같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도2에서 참조 부호 1은 현장의 비상시 경보음 발생을 요구하기 위한 경보음 발생 버튼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2는 상기 경보음 발생 버튼(1)이 눌러지면 경보음 발생 제어 신호와 비상 라이트 발광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카운팅된 심장 박동 수를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3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 출력되는 경보음 발생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음(사이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4는 상기 발생된 경보음과 사용자 음성을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 부호 5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 출력되는 비상 라이트 발광 제어 신호에 따라 비상 라이트의 동작을 개시하는 비상 라이트를 나타낸다. 비상 라이트부는 비상 라이트를 점멸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긴급 상황을 주위에 알린다. 참조 부호 6은 사용자의 음성 및 심장 소리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위한 마이크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7은 상기 마이크(6)에서 입력 받은 사용자의 음성 및 심장 소리를 분리하여 음성은 상기 스피커(4)에 전달하고, 심장 소리는 후술되는 청진부(8)로 전달하는 오디오 분리부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분리부(7)가 입력되는 오디어 데이터를 사용자의 음성 및 심장 소리로 분류하기 위해서, 현재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사용자의 음성인지 또는 심장 소리인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위하여 별도의 스위치(Switch)를 둘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분리부(7)가 심장 소리에 관한 일정한 오디오 패턴 데이터에 기초한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방법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정보가 심장 소리인지 사용자의 음성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참조 부호 8은 상기 오디오 분리부(7)에서 전송되는 심장 소리를 카운팅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전달하는 청진부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9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 출력되는 심장 박동 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경보 기능을 가진 핸드폰의 동작을 첨부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상적인 휴대폰의 기능인 음성 송수신 기능, 데이터 송수신 기능, 메시지 도착 알림 기능 등은 본 고안과 무관하므로, 그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는 긴급 상황시 경보음 발생 버튼(1)을 누른다. 경보음 발생 버튼(1)이 눌러지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이를 인지하고, 경보음 발생을 위한 경보음 발생 제어 신호와 비상 라이트 발광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경보음 발생부(3)는 상기 경보음 발생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음(사이렌)을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되는 경보음(사이렌)은 스피커(4)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어, 사용자의 위급함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게 된다.
아울러 비상 라이트부(5)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 출력되는 비상 라이트 발광을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내부의 비상 라이트를 소정 주기로 점멸시켜 외부에 비상 상황을 알리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소정 주기는 구조 신호인 "SOS"의 모오스(Morse) 부호를 표시하기 위한 점멸 주기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비상 상황시나 별도의 음성 장치로 본 고안의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 마이크(6)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오디오 분리부(7)에서 분리된 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전달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전달된 음성 신호를 음성 처리부(13)에 전달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13)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처리한 후 상기 스피커(4)로 전달해주어, 사용자의 음성이 바로 스피커(4)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음성은 비상시 외부의 도움을 얻기 위한 음성일 수도 있으며, 유흥이나 장난을 위해서 사용되는 음성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폰이 아닌 독립체로 구성한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은 청진기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마이크(6)를 심장 근처에 대면, 마이크(6)를 통해 심장 소리가 입력되고, 오디오 분리부(7)에서 이를 분리하여 청진부(8)로 전달한다. 상기 청진부(8)는 전달되는 심장 소리를 카운팅, 즉 심장 박동수를 카운팅하여 그 결과치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전달해준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전달되는 심장 박동수를 일정 주기로 카운팅하여 심장 박동수를 결정하고, 그 결정한 심장 박동수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9)에 표시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9)는 전달되는 데이터(심장 박동 수)를 휴대폰의 액정 화면에 표시해 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신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하여 중앙 관제 센터에 경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경보 발생 버튼(1)을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경보 신호 발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경보 신호 발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 신호 발생부(도시되지 않음)는 소정의 중앙 관제 센터(33)에 경보 신호를 송신한다. 소정의 중앙 관제 센터(33)는 미리 정해진 경찰서, 119 구조대, 이동 통신 서비스 회사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중앙 관제 센터(33)에서는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구조대 등을 상기 사용자에게 보낼 수 있다.
상기 중앙 관제 센터(33)의 연락처 정보는 메모리(10)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경보 발생 버튼(1)을 누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메모리(10)를 참조하여 중앙 관제 센터(33)로 일정한 신호를 송수신부(11)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상기 연락처 정보는 통상의 전화 번호일 수도 있고, 또는 미리 정해진 특별한 연락 코드일 수 있다. 또한 경보 신호를 중앙 관제 센터(33)에 송신할 때 사용되는 통신망(31)은 통상의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지만, 비상시를 대비하여 통상의 이동 통신에는 사용되지 않는 비상 상황 전용 통신망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서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 수 정보를 중앙 관제 센터(33)에 송신하여, 중앙 관제 센터(33)에서 사용자의 심장 박동 수 정보를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은 소정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경보음 또는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지 않도록 스피커의 기능을 정지(OFF)할 수 있다. 이는 어떤 경우에 이러한 경보음 또는 음성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비상 상황을 중앙 관제 센터(33)에 알려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경보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에 따르면, 위급 상황시 경보음 발생 버튼만을 누름으로써, 자동으로 경보음(사이렌)이 발생하게 되어 위급 상황에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위급 상황을 용이하게 알릴 수있다.
또한, 비상 라이트를 통해 시각적으로 위급 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이크를 이용하여 노래를 부르거나 구조 요청을 할 수도 있으며, 특히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의 체크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경보 발생 요구를 입력 받는 수단으로 경보 발생 버튼을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경보 발생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수단 등 여러 가지 수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경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휴대폰에 있어서,
    비상시 사용자로부터 경보 발생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경보 발생 요구에 응답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 및
    상기 경보음을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
    를 포함하는 경보 기능 제공 휴대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비상 라이트의 동작을 개시하는 비상 라이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경보 기능 제공 휴대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심장 소리를 입력 받기 위한 마이크;
    상기 마이크가 입력 받은 심장 소리의 박동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청진부;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심장 소리의 박동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경보 기능 제공 휴대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고, 상기 스피커는 사용자의 음성을외부로 송출하며,
    상기 경보 기능 제공 휴대폰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한 후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음성 처리부; 및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 및 상기 사용자의 심장 소리를 분리하여 상기 음성은 상기 음성 처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심장 소리는 상기청진부로 전달하는 오디오 분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경보 기능 제공 휴대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소정의 중앙 관제 센터에 경보 신호를 송신하는 경보 신호 발생부
    를 더 포함하는 경보 기능 제공 휴대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스피커 기능 정지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경보 기능 제공 휴대폰.
  7. 경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휴대폰에 있어서,
    비상시 사용자로부터 경보 발생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경보 발생 요구에 응답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소정의 중앙 관제 센터에 경보 신호를 송신하는 경보 신호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경보 기능 제공 휴대폰.
  8. 휴대폰에 있어서,
    사용자의 심장 소리를 입력 받기 위한 마이크;
    상기 마이크가 입력 받은 심장 소리의 박동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청진부;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심장 소리의 박동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휴대폰.
KR20-2002-0031824U 2001-11-07 2002-10-25 경보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 KR20030359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69133 2001-11-07
KR1020010069133 2001-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591Y1 true KR200303591Y1 (ko) 2003-02-11

Family

ID=1971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824U KR200303591Y1 (ko) 2001-11-07 2002-10-25 경보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03591Y1 (ko)
WO (1) WO2003041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00310U1 (de) 2005-01-10 2006-02-16 King, Rudolf C., Dr.jur. Portables Warngerät für Personen mit automatischer Angabe und Speicherung des letzten bekannten Aufenthaltsortes und sofortiger Überprüfung durch eine Kommunikations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340A (ko) * 1994-06-09 1996-01-26 김광호 음성다중신호 자동판별회로
KR200191013Y1 (ko) * 2000-01-08 2000-08-16 이광욱 경보음을 발생하는 호신용 휴대폰
KR100459989B1 (ko) * 2000-04-03 2004-12-03 박원희 체성분분석, ecg 및 맥박감지기능을 갖춘 전화기
KR20010097151A (ko) * 2000-04-20 2001-11-08 이광호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11730A (ko) * 2000-08-04 2002-02-09 윤종익 생체 정보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KR100374979B1 (ko) * 2001-02-28 2003-03-06 천영선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1290A1 (en) 200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21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etermining location
JP5385902B2 (ja) 緊急事態通報方法、および緊急事態通報装置
EP2472907B1 (en) A listening system comprising an alerting device and a listening device
JP3124757U (ja) 倒れ非常通報装置
JPH06502270A (ja) 患者監視のための非可聴警報と生命維持装置
JP2006268192A (ja) 要援護者の一斉安否確認システム
US8583167B2 (en) Mobile telephone sudden impact warning and reporting feature
KR20080109371A (ko) 응급 구조구난 시스템
US8682284B2 (en) Localized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US912517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center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method and program for relaying wireless communication
CN110070697A (zh) 一种跌倒监测装置及其方法
US9275537B2 (en) Inter-communication system and notification method for inter-communication system
KR200303591Y1 (ko) 경보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전화
US20030034894A1 (en)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KR20090008532A (ko) 환자 감시관리 무선 호출시스템
JPH11261712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3210037U (ja) 改良型多機能自動呼出警報裝置
JP2002009683A (ja) 無線移動端末の緊急連絡方法
KR101643308B1 (ko) 휴대용 디바이스를 통한 위험정보 알림 시스템
JP3039198U (ja) 離間型同期警告装置
JPH0360540A (ja) 構内呼出し情報伝送装置
JP2003067874A (ja) 双方向通信装置
JP3829196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00063756A (ko) 홈 매니저를 이용한 비상 호출 시스템
JPH08237159A (ja) 携帯型無線双方向呼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