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119Y1 -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119Y1
KR200303119Y1 KR20-2002-0032889U KR20020032889U KR200303119Y1 KR 200303119 Y1 KR200303119 Y1 KR 200303119Y1 KR 20020032889 U KR20020032889 U KR 20020032889U KR 200303119 Y1 KR200303119 Y1 KR 200303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edding
rollers
drive
pair
recycled aggreg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재숙
Original Assignee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2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콘크리트나 벽돌, 블록 등과 같은 건축폐기물을 빠른 시간내에 입도조건에 적합한 양질의 재생골재가 제조되어질 수 있도록 한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공급 컨베이어(30)를 통해 투입되는 재생골재로 제조되기 위한 원료인 건설폐기물을 모래입경의 입자로 분쇄하여 배출 컨베이어(4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1) 상에 제 1 구동모터(11)를 회전 구동력으로 하고 V-벨트(12)와 풀리(13)간의 결합과 이와 연동하는 제 1 원동기어(14)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원동기어(14)와 치합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제 1 구동기어(15)와, 상기 각 제 1 구동기어(15)와 축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되게 위치되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1차로 파쇄하는 한 쌍의 제 1 파쇄롤러(16)와, 상기 제 1 파쇄롤러(16) 중 어느 한 롤러의 회전축심상에 설치되어 제 1 파쇄롤러(16)에서 파쇄되는 골재원료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축심이 조절할 수 있도록 축심이동이 자유로운 제 1 간격조절수단(17)을 갖는 제 1 파쇄부(10)와;
그 지지 프레임(1) 상에 제 2 구동모터(21)를 회전 구동력으로 하고 V-벨트(22)와 풀리(23)간의 결합과 이와 연동하는 제 2 원동기어(24)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원동기어(24)와 치합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제 2 구동기어(25)와, 상기 각 제 2 구동기어(25)와 축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되게 위치되어 1차 파쇄된 재생골재원료를 2차 파쇄하여 배출 컨베이어(40)로 보내도록 한 쌍의 제 2 파쇄롤러(26)와, 상기 제 2 파쇄롤러(26) 중 어느 한 롤러의 회전축심상에 설치되어 제 2 파쇄롤러(26)에서 파쇄되는 골재원료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축심이 조절할 수 있도록 축심이동이 자유로운 제 2 간격조절수단(27)을 갖는 제 2 파쇄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Stone crushing apparatus for reclamed sands manufacturing system}
본 고안은 건축폐기물을 분쇄하여 재생골재(모래)를 생산하기 위한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콘크리트나 벽돌, 블록 등과 같은 건축폐기물을 빠른 시간내에 입도조건에 적합한 양질의 재생골재가 제조되어질 수 있도록 한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나 토목공사에는 철근콘트리트구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시멘트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는 잔골재(모래)가 필수적이다.
국내 건설산업은 7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도시구조의 개편, 주거환경의 개선을 위한 재개발, 재건축사업의 활성화 등으로 인하여 건설 및 토목산업의 필수적인 요소인 천연골재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천연골재는 공급에 비해 수요가 턱없이 모자랄 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연간 여의도 면적의 103배에 달하는 산림과 하천 등 자연환경의 파괴를 초래하고 있어 자연자원의 고갈로 인한 대체자원 및 국가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요구되었다.
일반적으로 건축 폐기물을 재생골재(모래)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콘크리트 덩어리를 40 ~ 50mm 크기로 파쇄하여 철근과 폐목 등 이물질을 분리하고 다시 골재로 사용될 수 있는 입자로 잘게 분쇄하여 선별과 세척공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재생골재가 완성된다.
그러나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파쇄장치는 종전에 탄광이나 석회석과 같은 강도가 약한 물질들을 파쇄하기 위해 만들어진 한 쌍의 짧은 롤러를 통하여 1차 파쇄기능만을 수행하므로 파쇄된 입자가 커 폐콘크리를 파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한쌍의 파쇄롤러에 상호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된 파쇄날이 콘크리트 덩어리를 깨트려 파쇄하므로 골재(모래)로서 사용하기에 적합지 못한 입자로 분쇄됨으로써 2차 분쇄과정의 별도장치가 필요한 것으로 기계설치가 복잡하고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폐콘크리트 덩어리와 같은 재생골재를 상호 맞물려 회전하는 원통형의 파쇄롤러로 1차 파쇄하고, 파쇄된 입자를 다시 원통형의 파쇄롤러로 2차 파쇄하여 재생골재로 적합한 입도를 얻기 위한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에 폭이 좁은 다수개의 편 롤러를 끼워 길쭉한 원통형태의 파쇄롤러를 형성함으로써 파쇄롤러의 손상에 따른 수리가 간편하고 수리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재생골재 제조용 패쇄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측면 구성도.
도 2 는 도 1 에서 각 파쇄롤러의 결합관계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파쇄롤러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인 작동도.
도 4 는 파쇄롤러와 간격조절수단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5 는 파쇄롤러의 일부 절개 단면도.
도 6 은 파쇄롤러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 은 파쇄롤러의 조립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프레임,10, 20: 제 1, 2 파쇄부,
11, 21: 제 1, 2 구동모터12, 22: V벨트,
13, 23: 풀리,14, 24: 제 1, 2 원동기어,
15, 25: 제 1, 2 구동기어,16, 26: 제 1, 2 파쇄롤러,
17, 27: 제 1, 2 간격조절수단,
16-1, 16-2: 샤프트,16-2, 26-2: 보스,
16-3, 26-3: 편 롤러,16-4, 26-4: 고정 플레이트,
17-1, 27-1: 가이드레일,17-2, 27-2: 브래킷,
17-3, 27-3: 축 지지편,17-4, 27-4: 탄성스프링,
17-5, 27-5: 텐션조절스크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급 컨베이어를 통해 투입되는 재생골재로 제조되기 위한 원료인 건설폐기물을 모래입경의 입자로 분쇄하여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 상에 제 1 구동모터를 회전 구동력으로 하고 V-벨트와 풀리 간의 결합과 이와 연동하는 제 1 원동기어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원동기어와 치합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각 제 1 구동기어와 축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되게 위치되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1차로 파쇄하는 한 쌍의 제 1 파쇄롤러와, 상기 제 1 파쇄롤러 중 어느 한 롤러의 회전축심상에 설치되어 제 1 파쇄롤러에서 파쇄되는 골재원료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축심이 조절할 수 있도록 축심이동이 자유로운 제 1 간격조절수단을 갖는 제 1 파쇄부와;
그 지지 프레임 상에 제 2 구동모터를 회전 구동력으로 하고 V-벨트와 풀리 간의 결합과 이와 연동하는 제 2 원동기어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원동기어와 치합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제 2 구동기어와, 상기 각 제 2 구동기어와 축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되게 위치되어 1차 파쇄된 재생골재원료를 2차 파쇄하여 배출 컨베이어로 보내도록 한 쌍의 제 2 파쇄롤러와, 상기 제 2 파쇄롤러 중 어느 한 롤러의 회전축심상에 설치되어 제 2 파쇄롤러에서 파쇄되는 골재원료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축심이 조절할 수 있도록 축심이동이 자유로운 제 2 간격조절수단(27)을 갖는 제 2 파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에서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재생골재 제조용 패쇄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측면 구성도이고, 도 2 는 도 1 에서 각 파쇄롤러의 결합관계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파쇄롤러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인 작동도이고, 도 4 는 파쇄롤러와 간격조절수단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5 는 파쇄롤러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6 은 파쇄롤러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7 은 파쇄롤러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공급 컨베이어(30)를 통해 투입되는 재생골재로 제조되기 위한 원료인 건설폐기물을 모래입경의 입자로 분쇄하여 배출 컨베이어(4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1) 상에 제 1 구동모터(11)를 회전 구동력으로 하고 V-벨트(12)와 풀리(13)간의 결합과 이와 연동하는 제 1 원동기어(14)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원동기어(14)와 치합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제 1 구동기어(15)와, 상기 각 제 1 구동기어(15)와 축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되게 위치되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1차로 파쇄하는 한 쌍의 제 1 파쇄롤러(16)와, 상기 제 1 파쇄롤러(16) 중 어느 한 롤러의 회전축심상에 설치되어 제 1 파쇄롤러(16)에서 파쇄되는 골재원료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축심이 조절할 수 있도록 축심이동이 자유로운 제 1 간격조절수단(17)을 갖는 제 1 파쇄부(10)와,
그 지지 프레임(1) 상에 제 2 구동모터(21)를 회전 구동력으로 하고 V-벨트(22)와 풀리(23)간의 결합과 이와 연동하는 제 2 원동기어(24)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원동기어(24)와 치합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제 2 구동기어(25)와, 상기 각 제 2 구동기어(25)와 축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되게 위치되어 1차 파쇄된 재생골재원료를 2차 파쇄하여 배출 컨베이어(40)로 보내도록 한 쌍의 제 2 파쇄롤러(26)와, 상기 제 2 파쇄롤러(26) 중 어느 한 롤러의 회전축심상에 설치되어 제 2 파쇄롤러(26)에서 파쇄되는 골재원료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축심이 조절할 수 있도록 축심이동이 자유로운 제 2 간격조절수단(27)을 갖는 제 2 파쇄부(20)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서 지지 프레임(1)은 구체적으로 H 빔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1)의 상 하 양측에 회전구동을 위한 제 1 및 제 2 구동모터(11)(21)를 설치하고, 그 구동력을 전달하는 V벨트(12)(22)와 풀리(13)(23)가 서로 연결 결합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풀리(13)(23)의 동심축에는 제 1, 2 원동기어(14)(24)가 풀리와 연동되도록 축결합된다.
상기 제 1, 2 원동기어(14)(24)와 치합함과 동시에 서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 치합되는 제 1, 2 구동기어(15)(25)는 앞서 기술된 V벨트(12)(22), 풀리(13)(23), 원동기어(14)(24)의 구동력전달체계에 의해 구동모터(11)(21)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구동기어(15)(25)의 동심축에 축결합되고 서로간에 거의 근접상태로 된 원형의 제 1, 2 파쇄롤러(16)(26)는 이와 연동하여 공급 컨베이어(30)로부터 공급되는 재생골재의 원료인 건축폐기물을 수차례에 걸쳐 파쇄하여 기준치의 입도로 된 재생골재를 스크린공정을 위해 배출 컨베이어(40)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2 파쇄롤러(16)(26)는 길쭉한 샤프트(16-1)(26-1)에 직경이 큰 보스(16-2)(26-2)가 끼워져 키이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보스의 외부에 폭이 좁은 다수개의 편 롤러(16-3)(26-3)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의 양측에 고정 플레이트(16-4)(26-4)가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데, 상기에서 다수개의 편 롤러(16-3)(26-3)와 양측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16-4)(26-4)를 수개의 체결볼트(16-5)(26-5)에 의해 고정 체결되며, 고정 플레이트(16-4)(26-4)와 보스(16-2)(26-2)의 측면에 별도의 체결볼트(16-6)(26-6)를 결합하여 상호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파쇄롤러(16)(26)는 폭이 좁은 다수개의 편 롤러(16-3)(26-3)가 나란히 축결합되어 이루어짐으로써 파손시 손상된 해당 편 롤러만을 교체, 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간격조절수단(17)(27)은 프레임(1)상에 고정 설치되고, 양 내측부에 수평방향의 가이드레일(17-1)(27-1)이 형성된 브래킷(17-2)(27-2)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제 1 및 제 2 파쇄롤러(16)(26)의 축심을 지지하는 축 지지편(17-3)(27-3)과, 상기 축 지지편의 일측에 탄설되는 탄성 스프링(17-4)(27-4)과, 그 탄성 스프링의 끝단과 밀착되도록 브래킷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스크류(17-5)(27-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데, 이 구성의 장점은 일측 파쇄롤러(16)(26)의 축심을 허용범위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건축폐기물에 혼재된 철근 등의 금속류를 상기 파쇄롤러 사이로 통과될 때 무리하게 파쇄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킴으로써 롤러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인 폐콘크리트 덩어리와 같은 재생골재의 원료를 서로 접하는 원형의 파쇄롤러로 1 ~ 2차로 파쇄하여 빠른시간내에 골재(모래)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입도로 분쇄해 양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하게 됨으로써 천연골재를 대체함에 따른 환경파괴 및 오염을 최소화하고, 건축골재의 구입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기대되고, 또한 본 고안의 파쇄롤러는 일체가 아니라 다수의 편 롤러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므로 파손시 해당 편 롤러만을 교체 수리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수리비용이 저렴한 효과도 아울러 볼 수 있다.

Claims (3)

  1. 공급 컨베이어(30)를 통해 투입되는 재생골재로 제조되기 위한 원료인 건설폐기물을 모래입경의 입자로 분쇄하여 배출 컨베이어(4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1) 상에 제 1 구동모터(11)를 회전 구동력으로 하고 V-벨트(12)와 풀리(13)간의 결합과 이와 연동하는 제 1 원동기어(14)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원동기어(14)와 치합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제 1 구동기어(15)와, 상기 각 제 1 구동기어(15)와 축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되게 위치되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1차로 파쇄하는 한 쌍의 제 1 파쇄롤러(16)와, 상기 제 1 파쇄롤러(16) 중 어느 한 롤러의 회전축심상에 설치되어 제 1 파쇄롤러(16)에서 파쇄되는 골재원료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축심이 조절할 수 있도록 축심이동이 자유로운 제 1 간격조절수단(17)을 갖는 제 1 파쇄부(10)와;
    그 지지 프레임(1) 상에 제 2 구동모터(21)를 회전 구동력으로 하고 V-벨트(22)와 풀리(23)간의 결합과 이와 연동하는 제 2 원동기어(24)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원동기어(24)와 치합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제 2 구동기어(25)와, 상기 각 제 2 구동기어(25)와 축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되게 위치되어 1차 파쇄된 재생골재원료를 2차 파쇄하여 배출 컨베이어(40)로 보내도록 한 쌍의 제 2 파쇄롤러(26)와, 상기 제 2 파쇄롤러(26) 중 어느 한 롤러의 회전축심상에 설치되어 제 2 파쇄롤러(26)에서 파쇄되는 골재원료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축심이 조절할 수 있도록 축심이동이 자유로운 제 2 간격조절수단(27)을 갖는 제 2 파쇄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파쇄롤러(16)(26)는 길쭉한 샤프트(16-1)(26-1)에 직경이 큰 보스(16-2)(26-2)가 끼워져 키이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보스의 외부에 폭이 좁은 다수개의 편 롤러(16-3)(26-3)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의 양측에 고정 플레이트(16-4)(26-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간격조절수단(17)(27)은 프레임(1)상에 고정 설치되고, 양 내측부에 수평방향의 가이드레일(17-1)(27-1)이 형성된 브래킷(17-2)(27-2)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제 1 및 제 2 파쇄롤러(16)(26)의 축심을 지지하는 축 지지편(17-3)(27-3)과, 상기 축 지지편의 일측에 탄설되는 탄성 스프링(17-4)(27-4)과, 그 탄성 스프링의 끝단과 밀착되도록 브래킷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스크류(17-5)(27-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KR20-2002-0032889U 2002-11-04 2002-11-04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KR200303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889U KR200303119Y1 (ko) 2002-11-04 2002-11-04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889U KR200303119Y1 (ko) 2002-11-04 2002-11-04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758A Division KR20040039627A (ko) 2002-11-04 2002-11-04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119Y1 true KR200303119Y1 (ko) 2003-02-07

Family

ID=4940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889U KR200303119Y1 (ko) 2002-11-04 2002-11-04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119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117B1 (ko) 2008-04-07 2010-01-11 이상청 다단 파쇄 가능한 골재 파쇄기
KR100971720B1 (ko) 2008-10-06 2010-07-21 (주)대동하이텍 고추 분쇄기의 분쇄롤러 위치 조절 장치
KR101555203B1 (ko) * 2014-08-14 2015-10-05 주식회사 씨앤텍 패각 분쇄 장치
KR101910043B1 (ko) 2018-05-18 2018-10-19 김기택 레미콘 제조방법
KR101910039B1 (ko) * 2018-04-05 2018-10-19 김기택 골재 성형이 가능한 배처 플랜트
CN110052305A (zh) * 2019-05-21 2019-07-26 江门市携成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破碎及易于下料的破碎机
CN113680528A (zh) * 2021-08-26 2021-11-23 徐州大通市政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路用建筑垃圾分类筛选装置
CN115945252A (zh) * 2022-12-21 2023-04-11 鄂尔多斯市东辰煤炭有限责任公司 开采型煤矿筛选机器及其筛选方法
CN116274281A (zh) * 2023-04-04 2023-06-23 扬州扬工机械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混杂料再生利用设备
CN116512480A (zh) * 2023-05-16 2023-08-01 连云港科航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钢物料回收用的多级破碎机构
CN117358378A (zh) * 2023-11-03 2024-01-09 易县大昌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多级砂石破碎机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117B1 (ko) 2008-04-07 2010-01-11 이상청 다단 파쇄 가능한 골재 파쇄기
KR100971720B1 (ko) 2008-10-06 2010-07-21 (주)대동하이텍 고추 분쇄기의 분쇄롤러 위치 조절 장치
KR101555203B1 (ko) * 2014-08-14 2015-10-05 주식회사 씨앤텍 패각 분쇄 장치
KR101910039B1 (ko) * 2018-04-05 2018-10-19 김기택 골재 성형이 가능한 배처 플랜트
KR101910043B1 (ko) 2018-05-18 2018-10-19 김기택 레미콘 제조방법
CN110052305B (zh) * 2019-05-21 2023-12-19 广东携成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高效破碎及易于下料的破碎机
CN110052305A (zh) * 2019-05-21 2019-07-26 江门市携成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破碎及易于下料的破碎机
CN113680528A (zh) * 2021-08-26 2021-11-23 徐州大通市政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路用建筑垃圾分类筛选装置
CN115945252A (zh) * 2022-12-21 2023-04-11 鄂尔多斯市东辰煤炭有限责任公司 开采型煤矿筛选机器及其筛选方法
CN116274281A (zh) * 2023-04-04 2023-06-23 扬州扬工机械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混杂料再生利用设备
CN116274281B (zh) * 2023-04-04 2023-11-17 扬州扬工机械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混杂料再生利用设备
CN116512480A (zh) * 2023-05-16 2023-08-01 连云港科航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钢物料回收用的多级破碎机构
CN117358378A (zh) * 2023-11-03 2024-01-09 易县大昌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多级砂石破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3119Y1 (ko)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KR20040039627A (ko)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CN103586106B (zh) 自带分料装置的高效筛分式大型双齿辊破碎机
CN210647712U (zh) 一种改进结构的自动化粉碎机
CN107971105A (zh) 一种用于建筑废料回收的环保型处理装置
CN112246398A (zh) 一种用于废弃混凝土粉碎筛选的装置
KR101034664B1 (ko) 건설폐기물용 다단 파쇄기 및 이를 이용한 건설 및 생활폐기물의 중간처리 과정 중에서 발생되는 순환골재 생산시설
KR101955505B1 (ko) 모래 제조 겸용 골재 파쇄기
KR100863332B1 (ko) 재생 골재용 회전 연마기
CN212092483U (zh) 一种固体废弃物综合再利用的原料破碎机
CN219441835U (zh) 一种混凝土废料处理设备
KR101452580B1 (ko) 요철이 구비된 롤 크라샤
KR101566895B1 (ko) 유격조절장치가 구비된 롤 크러셔
CN216856885U (zh) 一种建筑施工用建筑垃圾回收装置
KR100502561B1 (ko) 건설폐기물중 폐 아스콘 재생활용을 위한 전용 파쇄기 및 파쇄 방법
CN211838279U (zh) 一种节能型水泥库出料管道破碎机
KR20050001546A (ko) 파쇄 제조장치
CN213611844U (zh) 一种建筑垃圾回收利用装置
JP2004344776A (ja) ロールクラッシャーの補助破砕装置
CN112295704A (zh) 一种混凝土再生利用粉碎装置
KR100931389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CN203540617U (zh) 块煤破碎机
CN216573273U (zh) 一种水泥生产加工用的高效粉末研磨装置
CN220969399U (zh) 一种灰石矿纤用超细粉碎装置
EP3725411B1 (en) An apparatus for removing adhered substance from particulate material or for crush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131

Effective date: 200509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019

Effective date: 200606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