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389B1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389B1
KR100931389B1 KR20090057946A KR20090057946A KR100931389B1 KR 100931389 B1 KR100931389 B1 KR 100931389B1 KR 20090057946 A KR20090057946 A KR 20090057946A KR 20090057946 A KR20090057946 A KR 20090057946A KR 100931389 B1 KR100931389 B1 KR 100931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primary
circulating
grinding
crus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5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양
오남승
박찬희
Original Assignee
(주)동양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환경 filed Critical (주)동양환경
Priority to KR20090057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6Mills provided with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을 이용하지 않는 건식으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와 순환모래를 생산하며, 다단계의 분쇄를 통해 원하는 입도의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와 순환모래를 생산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는, 1차 고정부(110), 상기 1차 고정부 상에 1차 구동수단(130)을 통해 편심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1차 가동부(120)로 이루어져, 1차 순환골재(A1)를 분쇄하여 2차 순환골재(A2)를 생산하는 1차 분쇄부(100)와; 2차 고정부(210), 상기 2차 고정부 상에 2차 구동수단(230)을 통해 편심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2차 가동부(220)로 이루어져, 상기 2차 순환골재를 2차 분쇄하여 3차 순환골재(A3)를 생산하는 2차 분쇄부(200)와; 그리고, 고정베드(320), 상기 고정베드 상에 일정 간극을 두고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분쇄롤러(330)로 이루어져, 상기 3차 순환골재를 3차 분쇄하여 순환모래(S)를 생산하는 3차 분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90057946
순환골재, 모래, 분쇄, 분쇄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RECYCLED AGGREGATE FOR DRIED CONCRET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CYCLED SAND USING CONSTRUCTING WASTE}
본 발명은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이용하지 않는 건식으로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를 생산하며, 순환골재 내지 건설폐기물을 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다단계의 분쇄를 통해 원하는 입도의 순환모래를 생산할 수 있고, 부하를 줄이면서 편심 운동에 의해 순환골재를 분쇄 및 이송하여 장비의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분쇄 속도를 단축할 수 있고, 분쇄와 동시에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건설폐기물은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 폐토사, 혼합폐기물로 구성되어 있고, 가연성 폐기물은 소각처리하며 폐콘크리트와 폐아스팔트 등은 파쇄기 등의 처리공정을 거쳐 처리하게 된다.
1차로 죠크러셔에 의해 50-150mm로 파쇄하고, 2차로 죠크러셔나 콘크러셔 등을 이용하여 40mm이하로 파쇄한다. 파쇄된 순환골재는 자력선별기에 의해 철금속을 제거하고, 트롬멜이나 진동스크린을 이용하여 순환골재의 입경별로 분류하게 되며, 풍력선별기를 통해 비닐, 플라스틱, 목재 등과 같은 이물질을 분리하게 됨으로써 최종적인 순환골재로 생산되어 진다.
그러나, 순환골재는 콘크리트 성분인 몰탈에 의해 입형이 나쁘게 되고 흡수율이 높아지며 마모감량이 증가되어 품질이 저하되었다.
특히, 5mm 이상의 순환골재는 표면에 모르타르 성분이 다량 부착되어 있으므로 흡수율이 높고 비중이 낮으며 이물질 함유량이 높아 1종 순환골재로 생산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축 및 토목 현장에서 모래의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중에 예컨대 5mm 이하의 순환모래를 생산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 순환모래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습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습식의 경우 플랜트가 복잡하고 수질을 오염시키며 고단가의 플랜트 설비에 비해 모래 판매금은 적어 경제성이 맞지 않고 또한 습식으로 생산하다 보니 수처리에 대한 2차적 환경적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생산시에도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규모의 장비를 이용하며 물을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와 순환모래를 생산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는, 편심 회전을 통해 1차 순환골재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박리함과 아울러 작은 입도로 분쇄하여 2차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1차 분쇄부와; 상기 1차 분쇄부를 통해 분쇄된 2차 순환골재를 2차 분쇄하여 더 작은 입도의 3차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2차 분쇄부와; 그리고, 상기 2차 분쇄부를 통해 분쇄된 3차 순환골재를 3차 분쇄하여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또는 순환모래를 생산하는 3차 분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순환골재를 3차에 걸쳐 단계적으로 분쇄하여 한 번의 공정을 통해 원하는 입도의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와 순환모래를 생산할 때보다 부하가 적으 므로 적은 동력으로 순환모래를 생산할 수 있으며, 물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으로만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와 순환모래를 생산하여 좁은 부지에서도 충분한 양의 순환모래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비용 대비 고소득을 창출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분쇄를 통해 실질적인 분쇄 이전에 순환골재 표면에서 이물질을 박리하여 2차 분쇄부와 3차 분쇄부에서는 실질적으로 분쇄가 필요한 순수한 순환골재를 분쇄하고, 또한, 분쇄와 동시에 이물질을 배출하여 구동수단의 부하를 대폭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다.
1차 분쇄부와 2차 분쇄부의 가동부가 편심 운동에 의해 순환골재를 분쇄하면서 이송하여 분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다르게 말하면 단위 시간당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와 순환모래의 생산량을 증가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는, 1차 순환골재(A1)를 공급받아 마찰력에 의해 상기 1차 순환골재(A1) 표면에 있는 몰타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 분쇄부(100), 1차 분쇄부(10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2차 순환골재(A2) 표면에 있는 몰타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2차 순환골재(A2)를 작은 입도로 분쇄하는 2차 분쇄부(200)와; 2차 분쇄부(200)에 의해 생산된 3차 순환골재(A3)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3차 순환골재(A3)를 작은 입도로 분쇄하여 순환모래((S)를 제조하는 3차 분쇄부(300)로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순환모래(S)를 생산하 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1차 분쇄부(100)는 고정부(110)와 가동부(120) 및 구동수단(130)으로 구성된다.
고정부(110)와 가동부(120)는 각각 판상으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된다. 고정부(110)와 가동부(120)의 간격은 간격유지부재를 통해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동부(120)의 가동을 안내하면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121)가 채용된다.
가이드롤러(121)는 예컨대 가동부(120)의 저부에 1차 순환골재의 분쇄를 간섭하지 않도록 다수개가 고정부(110)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가동부(120)의 가동시 고정부(110)의 상면을 따라 구르면서 가동부(120)의 가동을 안내하고 고정부(110)와 가동부(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고정부(110)와 가동부(120)는 고정력과 자중, 동적하중 등에 의해 1차 순환골재(A1)를 분쇄하는 것이므로 중량을 무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중량이 무거운 소재를 이용하거나 웨이트를 부착함으로써 중량을 맞출 수 있다.
고정부(110)의 상면에는 1차 순환골재(A1)가 분쇄되는 분쇄베드(111)가 형성된다. 분쇄베드(111)의 일측 단부(1차 순환골재(A1)가 투입되는 투입구측)에는 1차 순환골재(A1)의 투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경사형 투입안내부(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가동부(120)의 저면에는 분쇄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분쇄베드(111)와 상기 분쇄패드는 각각 하이망간 등의 특수강일 수 있고, 체 결구에 의해 교체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도 3에서처럼, 가동부(120)의 가동시 가동부(120)가 좌우로 비틀리지 않도록 정렬롤러(112)가 설치된다.
정렬롤러(112)는 가동(12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 등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가동부(120)가 좌우로 비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가이드롤러(121)를 한 쌍을 셋트로 설치하되, 정렬롤러(112)를 사이에 두고 설치하여 정렬롤러(112)가 한 쌍의 가이드롤러(121) 사이를 따라 구르면서 가동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121)와 정렬롤러(112)는 위치가 서로 뒤바뀔 수도 있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정렬롤러(112)는 정렬수단의 일 예인 것이며, 상기 정렬수단의 다른 예로서, 정렬돌기와 정렬홈도 가능하다. 상기 정렬돌기와 정렬홈은 후술하는 2차 분쇄부(200)의 정렬돌기(213)와 정렬홈(222)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양측이 고정구(141)를 통해 고정프레임(140)에 고정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구(141)는 고정부(11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동수단(130)은 구동모터(131), 구동모터(131)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축 형태의 편심축(132), 편심축(132)과 가동부(120)를 연결하는 가동축(133)으로 구성된다.
가동부(120)는 구동수단(130)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며, 따라서, 편심축(132) 에 의해 가동부(120)의 단부(1차 순환골재(A1)가 투입되는 투입구측)가 상승하면서 원을 그리고 하강하면서 제자리로 복귀하여 투입구측에서 1차 순환골재(A1)가 투입되도록 공간을 확보한 후 투입된 1차 순환골재(A1)를 분쇄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1차 분쇄부(100)는 1차 순환골재(A1)를 분쇄하여 입도를 작게 하기 보다는 1차 순환골재(A1)의 표면에 있는 몰탈 등의 이물질을 벗겨내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즉, 2차 분쇄부(200)에 의한 분쇄를 위한 전처리 장치라 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2차 분쇄부(200)는 고정부(210)와 가동부(220) 및 구동수단(230)으로 구성된다.
고정부(210)와 가동부(220)는 각각 판상으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된다.
고정부(210)와 가동부(220)는 고정력과 자중, 동적하중 등에 의해 2차 순환골재(A2)를 분쇄하는 것이므로 중량을 무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중량이 무거운 소재를 이용하거나 웨이트를 부착함으로써 중량을 맞출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2차 분쇄부(200)도 1차 분쇄부(100)의 가이드롤러(121)가 적용될 수 있다.
고정부(210)의 상면과 가동부(220)의 저면에는 각각 2차 순환골재(A2)와 마찰되는 분쇄베드(미도시)와 분쇄패드(미도시)가 조립될 수 있다.
2차 분쇄부(200)는 2차 순환골재(A2)를 실질적으로 분쇄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1차 분쇄부(100)에서 고정부(110)와 가동부(120)는 각각 대향면이 평평한 면이지만, 2차 분쇄부(200)의 고정부(210)와 가동부(220)의 대향면에는 각각 요철형 분쇄면(211,221)이 형성되어 분쇄효율을 높인다.
요철형 분쇄면(211,221)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분쇄의 효율을 위한 모든 행태가 가능하다.
요철형 분쇄면(211,221) 사이의 간극은 투입구에서 배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됨으로써 2차 순환골재(A2)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2차 분쇄부(200)는 분쇄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쇄 과정에서 발생된 몰탈 등의 이물질을 분쇄공간에서 제거하는 다수의 배출공(212)이 구비된다. 배출공(212)은 고정부(210)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고정부(210)와 가동부(220) 사이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고정부(210)의 저부로 배출하는 것이며,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아래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태이다.
2차 분쇄부(200)도 1차 분쇄부(100)와 마찬가지로 가동부(220)의 가동시 가동부(220)가 좌우로 비틀리지 않도록 구성되며, 도 6에서처럼, 예를 들어, 고정부(210)와 가동부(220)의 대향되는 곳에 서로 끼워지는 다수(도면에서는 3개를 예로 도시됨)의 정렬돌기(213)와 정렬홈(222)이 형성된다. 물론, 정렬돌기(213)와 정렬홈(222)은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고정부(210)는 양측이 고정구(141)를 통해 고정프레임(140)에 고정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구(141)는 고정부(11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에서와 같이, 구동수단(230)은 구동모터(231), 구동모터(231)에 의해 회 전하는 크랭크축 형태의 편심축(232), 편심축(232)과 가동부(220)를 연결하는 가동축(233)으로 구성된다.
2차 분쇄부(200)의 구동수단(230)은 구동방식이 1차 분쇄부(100)의 구동수단(130)과 동일하므로 구동방식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3차 분쇄부(300)는 분쇄조(310), 분쇄조(310) 내부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고정베드(320), 고정베드(320) 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도면에는 6개를 예로 들어 도시함)의 분쇄롤러(330) 및 분쇄롤러(330)의 구동수단(340)(도 11에 도시됨)으로 구성된다.
분쇄조(310)는 일측에 호퍼(311)가 구비된 박스형이며, 바닥부는 고정베드(320)로 구성되고 호퍼(311)의 타측에는 순환모래((S)의 배출구가 형성된다.
고정베드(320)는 분쇄롤러(330)와의 사이에 투입되는 3차 순환골재(A3)를 분쇄할 수 있도록 분쇄조(310)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분쇄롤러(330)가 각각 수용되는 곡선형의 롤러 수용부(321)가 구비된다. 다수의 롤러 수용부(321)는 고정베드(320)에 각각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3차 분쇄부(300)는 분쇄시 3차 순환골재(A3)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분쇄공간에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공(322)이 구비된다. 배출공(322)은 순수하게 분쇄대상인 3차 순환골재(A3)만을 분쇄하기 위하여 이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에 부하의 감소로 인하여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고정베드(320)는 호퍼(311)에서 투입되는 3차 순환골재(A3)를 분쇄롤러(330)로 유도할 수 있도록 호퍼(311)와 대응되는 부분에 예를 들어 경사형 도입부(323)가 구비된다.
다수의 분쇄롤러(330)는 각각 롤러 수용부(321) 상에 일정 간극(3차 순환골재(A3)가 통과하는 공간)을 두고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3차 순환골재(A3)를 분쇄한다.
분쇄롤러(330)에 의해 분쇄된 순환모래(S)를 배출구로 이송하여야 하며, 별도의 구성을 마련하지 않고 제자리 회전하는 분쇄롤러(330)를 이용하여 순환모래(S)를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예컨대, 분쇄롤러(330)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이송돌부(331)가 돌출 형성된다.
이송돌부(331)는 분쇄롤러(330)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다수개가 분쇄롤러(3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3차 순환골재(A3)는 고강도 자연석이 포함될 수 있으며, 분쇄롤러(330)와 고정베드(320)가 고정 상태이면 분쇄롤러(330)와 고정베드(320) 사이의 간극보다 큰 입도의 고강도 자연석이 투입되면 분쇄롤러(330)와 고정베드(320)의 파손이 유발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쇄롤러(330)가 탄력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분쇄롤러(330)의 축(332)(또는 축에 결합되는 베어링)의 양단부는 분쇄조(3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축(332)은 탄성부재 예컨대 압축스프링(333)을 통해 아래측으로 탄력 지지된다. 따라서, 압축스프링(333)의 탄성력에 의해 분쇄롤러(330)가 고정베드(320)측으로 지지되어 3차 순환골재(A3)를 분쇄하며, 이때, 고정베드(320)와 분쇄롤러(330) 사이의 간극보다 큰 입도의 3차 순환골재(A3)가 유입되면 압축스프링(333)이 탄성 변형되어 분쇄롤러(330)가 상승하면서 3차 순환골재(A3)를 분쇄한다.
분쇄롤러(330)는 3차 순환골재(A3)와의 마찰이 크기 때문에 하이망간 등의 특수강을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마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모로 인하여 3차 순환골재(A3)의 분쇄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분쇄롤러(330)는 분쇄조(310)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나아가서는 분쇄롤러(330)의 모든 부분이 균일하게 마모되지 않고 국부적인 마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때는 마모된 부분만 교체할 수 있도록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분쇄롤러(330)는 다수의 롤러편(330-1,330-2,330-3)(도면에서는 3개를 예로 들어 도시함)이 체결구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다수의 롤러편(330-1,330-2,330-3)은 마주하는 면이 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된다.
도 11에서와 같이, 분쇄롤러(330)의 구동수단(340)은, 구동모터(341)로 구성된다.
구동모터(341)의 동력은 분쇄롤러(330)의 축(332)에 직결로 연결되어 전달될 수도 있고, 벨트 등을 매개로 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다수의 분쇄롤러(330)는 하나의 구동모터와 연결될 수도 있고 분쇄롤러(330)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동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구동모터(341)를 복열 체인(342)에 의해 분쇄롤러(330)와 연 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를 이용한 건식 순환모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공급컨베이어(1)를 통해 공급되는 1차 순환골재(A1)는 1차 분쇄부(100) - 2차 분쇄부(200) - 3차 분쇄부(300)를 통해 순환모래(S)로 생산되어 이송컨베이어(2)를 통해 이송되며, 각각의 분쇄부의 구체적인 분쇄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1차 분쇄.
예를 들어 1차 순환골재(A1)는 25mm미만으로 파분쇄되고 이물질(가연성 쓰레기, 철괴류 등)이 선별된 상태이다.
공급컨베이어(1)에서 낙하하는 1차 순환골재(A1)는 1차 분쇄부(100)의 고정부(110)와 가동부(120) 사이의 간극으로 낙하하며, 가동부(120)는 구동수단(130)을 의 편심 운동에 의해 1차 순환골재(A1)를 비비면서 배출구측으로 밀어내는 운동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동부(120)는 가동축(133)을 따라 투입구측이 도 2 기준 상승하면서 우측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1차 순환골재(A1)가 투입되는 여유공간이 확보되므로 1차 순환골재(A1)의 투입시 정체가 없고, 1차 순환골재(A1)는 경사형 투입안내부(111a)의 경사를 타고 고정부(110)와 가동부(120) 사이로 진입된다.
또한, 가동부(120)는 고정부(110)의 분쇄베드(111)를 따라 구르는 가이드롤 러(121)의 안내를 받아 부드럽게 동작하고 아울러 정렬롤러(121)에 의해 좌우로 비틀림없이 동작할 수 있다.
계속해서, 가동부(120)는 하강하면서 좌측(배출구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부(110)와의 사이에 투입된 1차 순환골재(A1)를 분쇄한다.
즉, 1차 순환골재(A1)가 고정부(110)와 가동부(120) 사이에 비벼지기 때문에 1차 순환골재(A1) 표면에 있는 몰탈, 시멘트 페이스트 등의 이물질이 벗겨지고, 아울러 1차 순환골재(A1)의 각진 부분이 제거됨과 아울러 작은 입도로 분쇄된다.
1차 분쇄는 1차 순환골재(A1)의 분쇄와 이물질 제거 및 분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2. 2차 분쇄.
2차 분쇄부(200)의 가동부(220)는 1차 분쇄부(100)의 가동부(120)와 동일한 편심 운동을 하며, 1차 분쇄부(100)에 의해 1차 분쇄된 2차 순환골재(A2)를 분쇄한다.
2차 분쇄는 요철형 분쇄면(211,221)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요철형 분쇄면(211,221)은 2차 순환골재(A2)와 슬립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분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2차 분쇄 과정 중에 2차 순환골재(A2)에서 제거된 이물질은 배출공(212)을 통해 배출되며, 따라서, 고정부(210)와 가동부(220)의 사이에는 분쇄 대상인 2차 순환골재(A2)만 존재하므로 부하가 줄어들어 효율적인 분쇄가 이루 어진다.
2차 분쇄부(200)는 요철형 분쇄면(211,221) 사이의 간극이 좁아지기 때문에 배출구로 갈수록 2차 순환골재(A2)의 입도를 작게 분쇄할 수 있다.
3. 3차 분쇄.
2차 분쇄부(200)를 통해 2차 분쇄된 3차 순환골재(A3)는 호퍼(311)를 통해 분쇄조(310) 내부에 유입되고 도입부(323)의 안내를 받아 고정베드(320)와 분쇄롤러(330)의 사이에 투입된다.
분쇄롤러(330)는 제자리 회전(도 8 기준 시계 방향)하면서 3차 순환골재(A3)를 분쇄하며, 이와 같은 3차 분쇄 과정 중에 3차 순환골재(A3)에서 제거된 이물질은 배출공(322)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고정베드(320)와 분쇄롤러(330)의 사이에는 분쇄 대상인 3차 순환골재(A3)만 존재하므로 부하가 줄어들어 효율적인 분쇄가 이루어진다.
이러는 과정에서 분쇄롤러(330)는 3차 순환골재(A3)의 입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3차 순환골재(A3)를 분쇄하기 때문에 3차 순환골재(A3)의 입도가 크거나 강도가 강하여도 분쇄롤러(330)와 고정베드(320)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다.
지금까지는 순환골재로부터 순환모래(S)를 생산하는 것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마쇄부(100,200,300)의 구성요소들의 간극 조절을 통해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에 적용된 1차 분쇄부의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에 적용된 2차 분쇄부의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에 적용된 3차 분쇄부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에 적용된 3차 분쇄부의 분쇄롤러의 설치 상태 측면도.
도 10은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에 적용된 3차 분쇄부의 분쇄롤러의 구성도.
도 11은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에 적용된 3차 분쇄부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200,300 : 분쇄부, 110,210 : 고정부
111 : 분쇄베드, 112 : 정렬롤러
120,220 : 가동부, 121 : 가이드롤러
130,230,340 : 구동수단, 131,231,341 : 구동모터
132, 232 : 편심축, 133,233 : 가동축
211,221 : 요철형 분쇄면, 212,322 : 배출공
310 : 분쇄조, 320 : 고정베드
330 : 분쇄롤러, 333 : 압축스프링

Claims (11)

1차 고정부(110), 상기 1차 고정부 상에 1차 구동수단(130)을 통해 편심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1차 가동부(120)로 이루어져, 상기 1차 고정부와 1차 가동부의 사이에 투입되는 1차 순환골재(A1)를 분쇄하여 2차 순환골재(A2)를 생산하는 1차 분쇄부(100)와;
2차 고정부(210), 상기 2차 고정부 상에 2차 구동수단(230)을 통해 편심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2차 가동부(220)로 이루어져, 상기 1차 분쇄부를 통해 분쇄되어 상기 2차 고정부와 2차 가동부의 사이를 통해 투입되는 2차 순환골재를 2차 분쇄하여 상기 2차 순환골재보다 작은 입도의 3차 순환골재(A3)를 생산하는 2차 분쇄부(200)와; 그리고,
고정베드(320), 상기 고정베드 상에 일정 간극을 두고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분쇄롤러(330)로 이루어져, 상기 2차 분쇄부를 통해 분쇄되어 상기 고정베드와 분쇄롤러의 사이를 통해 투입되는 3차 순환골재를 3차 분쇄하여 상기 3차 순환골재보다 작은 입도의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또는 순환모래(S)를 생산하는 3차 분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구동수단과 2차 구동수단은, 각각 구동모터(131,231), 상기 구동모터를 통해 편심 회전하는 편심축(132,232), 상기 편심축 과 상기 1차 또는 2차 가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1차 또는 2차 가동부의 편심 운동을 유도하는 가동축(133,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차 분쇄부의 1차 가동부 및 2차 분쇄부의 2차 가동부의 저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1차 가동부와 2차 가동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간격을 유지하는 가이드롤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차 가동부와 2차 가동부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정렬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1차 분쇄부의 1차 고정부 또는 상기 2차 분쇄부의 2차 고정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1차 분쇄부의 1차 고정부와 1차 가동부 또는 2차 분쇄부의 2차 고정부와 2차 가동부에 각각 대향되게 형성되어 끼워지는 정렬돌기와 정렬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차 분쇄부의 2차 고정부와 2차 가동부의 대향면에는 요철형 분쇄면(211,221)이 형성되어 상기 요철형 분쇄면에 의해 2차 분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3차 분쇄부의 분쇄롤러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이송돌부(331)가 구비되어 3차 순환골재(A3)의 분쇄와 이송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러는 분쇄조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베드측으로 탄력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러는 다수의 롤러편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2차 분쇄부의 2차 고정부와 상기 3차 분쇄부의 고정베드에 형성되며 이물질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공(212,322)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KR20090057946A 2009-06-26 2009-06-26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KR100931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57946A KR100931389B1 (ko) 2009-06-26 2009-06-26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57946A KR100931389B1 (ko) 2009-06-26 2009-06-26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389B1 true KR100931389B1 (ko) 2009-12-11

Family

ID=4168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57946A KR100931389B1 (ko) 2009-06-26 2009-06-26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4281A (zh) * 2023-04-04 2023-06-23 扬州扬工机械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混杂料再生利用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250B1 (ko) 2005-08-16 2006-03-10 주식회사 오성개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기
KR100674009B1 (ko) 2006-10-17 2007-01-24 두제산업개발(주)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44309B1 (ko) 2007-01-29 2008-07-07 삼흥산업개발 (주) 폐 콘크리트 골재의 마쇄장치
KR100889809B1 (ko) 2008-06-09 2009-03-20 주식회사 신텍 건식 공정으로 도로공사용 또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250B1 (ko) 2005-08-16 2006-03-10 주식회사 오성개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기
KR100674009B1 (ko) 2006-10-17 2007-01-24 두제산업개발(주)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44309B1 (ko) 2007-01-29 2008-07-07 삼흥산업개발 (주) 폐 콘크리트 골재의 마쇄장치
KR100889809B1 (ko) 2008-06-09 2009-03-20 주식회사 신텍 건식 공정으로 도로공사용 또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4281A (zh) * 2023-04-04 2023-06-23 扬州扬工机械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混杂料再生利用设备
CN116274281B (zh) * 2023-04-04 2023-11-17 扬州扬工机械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混杂料再生利用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568B1 (ko) 롤밀과 해머밀을 2단으로 배치한 파쇄기
KR101768061B1 (ko) 골재파쇄장치
KR20090016079A (ko) 재생골재의 제조장치
JP2002512115A (ja) 鉱物及び非鉱物物質を微粉砕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196593B1 (ko)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시스템
JP2011020039A (ja) 廃コンクリート破砕装置
KR100909860B1 (ko) 롤크러셔
CN114082762B (zh) 一种用于建筑工程废料再利用的建筑废料处理装置
KR100863332B1 (ko) 재생 골재용 회전 연마기
KR101194661B1 (ko) 골재 마쇄장치
KR100931389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제조 장치
KR100879158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다중 분쇄롤러와 요철형 라이너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KR101101878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겸 마쇄장치
KR100529587B1 (ko) 골재 재생을 위한 건설폐기물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90944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용 체인 해머 크러셔
KR20040039627A (ko) 재생골재 제조용 파쇄장치
CN102294285A (zh) 刮板装置
KR100897708B1 (ko) 회전 분쇄기
KR100570901B1 (ko)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KR100934427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마쇄기
KR101952509B1 (ko) 유기성 폐기물 분쇄장치
CN214681959U (zh) 一种建筑废料碾碎回收装置
CN203303994U (zh) 一种带物料传送装置的多辊破碎机
CN211537878U (zh) 建筑垃圾粉碎机
KR102196591B1 (ko)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마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