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061A -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061A
KR20030097061A KR1020020034214A KR20020034214A KR20030097061A KR 20030097061 A KR20030097061 A KR 20030097061A KR 1020020034214 A KR1020020034214 A KR 1020020034214A KR 20020034214 A KR20020034214 A KR 20020034214A KR 20030097061 A KR20030097061 A KR 2003009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chassis
storage container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3998B1 (ko
Inventor
이상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998B1/ko
Priority to TW092104278A priority patent/TWI323361B/zh
Priority to US10/379,013 priority patent/US6930734B2/en
Priority to CNB031086810A priority patent/CN100383619C/zh
Priority to JP2003134118A priority patent/JP4383771B2/ja
Publication of KR2003009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061A/ko
Priority to US11/151,973 priority patent/US7301590B2/en
Priority to US11/933,120 priority patent/US2008004916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Abstract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수납용기에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강도 보강 클립을 결합하고, 스테인레스 스틸 보다 비중이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된 경량 샤시를 수납용기에 체결하여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이 강도 보강 클립에서 흡수될 수 있도록 하여 경량 샤시의 변형 파손을 방지한다. 이로써 액정표시모듈의 전체적인 중량은 크게 감소시킴은 물론 중량이 감소함으로써 발생되는 강도 저하 문제까지도 함께 극복하여 저중량 액정표시장치를 가능케 하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장치를 이루는 구성 부품의 무게를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수반하는 강도 저하를 극복하여 고강도 및 저 중량을 구현한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Liquid Crystal, LC)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대표적인 표시장치이다.
이때, 액정표시장치는 단지 수 ㎛의 두께를 갖는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에 의하여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액정표시장치는 동일한 스크린 사이즈를 갖는 CRT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Cathode Ray Tube type display device)에 비하여 무게 및 부피가 매우 작은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장점을 갖는 종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 수납용기(container) 및 샤시로 구성된다.
액정표시패널은 2장의 투명한 글래스 사이에서 액정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광을 정보가 포함된 광으로 변경시키기에 적합한 구성을 갖는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액정표시패널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광을 공급하여 액정표시패널로부터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납용기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패널을 수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샤시는 수납용기에 수납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패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및 외부 충격에 대하여 깨지기 쉬운 액정표시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겸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품질은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두께, 디스플레이 휘도 및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중량에 의하여 결정된다.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사용 목적이 이동이 편리한 휴대용일 경우, 중량 및 두께 등이 액정표시장치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종래에는 액정표시장치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액정표시패널에 사용되는 글래스를 저밀도 글래스로 사용하거나, 시트리스 백라이트 어셈블리(sheetless back light assembly)를 사용하거나, 도광판(Light Guide panel, LGP)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등 부품의 기능을 통합, 부품수의 축소, 부품의 두께 축소 및 부품의 재질을 저 중량 재질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중량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샤시의 경우, 샤시의 고유한 기능 때문에 중량을 감소시키기 현재 기술로는 더 이상의 중량 감소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는 샤시가 외부로부터 액정표시장치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 또는 액정표시패널 등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샤시의 중량 감소를 위하여 샤시의 두께를 지나치게 얇게 하거나, 샤시의 재질을 저 비중 금속으로 변경할 경우,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중량은 크게 감소되는 반면, 액정표시장치의 내충격성이 크게 저하되어 미약한 충격에도 액정표시패널, 램프 등 깨지기 쉬운 주요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샤시의 중량을 크게 감소시키면서 요구되는 내충격성은 유지되도록 한 액정표시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샤시의 중량은 크게 감소되도록 함은 물론 샤시의 중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내충격성은 감소되지 않도록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강도 보강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강도 보강 클립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강도 보강 클립과 수납용기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제 2 보강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2 보강 몸체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여 제 2 보강 몸체부의 제 2 결합돌기가 수납용기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바닥면 및 바닥면의 에지를 따라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연장되며, 외측면에 적어도 1 개의 제 1 홈 및 후크 돌기가 형성된 측벽을 갖는 수납용기, 수납용기에 수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공급된 광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액정표시패널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갖는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띠 형상으로 수납용기의 측벽의 상면, 외측면, 바닥면을 연속적으로 감싸 고정되며, 제 1 홈에 삽입되는 버어링(burring)이 형성된 강도 보강 클립 및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를 고정시키며, 수납용기의 후크 돌기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 및 버어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샤시 결합공이 형성된 샤시를 포함하는액정표시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바닥면 및 바닥면의 에지를 따라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연장되며 외측면에 적어도 1 개의 홀 및 걸림돌기가 형성된 측벽을 갖는 수납용기, 수납용기에 수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공급된 광을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광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띠 형상으로 수납용기의 측벽의 상면, 외측면, 바닥면을 연속적으로 감싸 고정되며, 홀에 삽입되는 버어링(burring)이 형성된 강도 보강 클립 및 액정표시패널의 에지를 눌러 고정시키며 수납용기의 걸림돌기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 및 버어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샤시 체결공이 형성된 샤시 및 체결 나사에 의하여 샤시 체결공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된 샤시 대신 스테인레스 스틸보다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된 샤시를 사용하여 액정표시모듈 또는 액정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킴은 물론 강도 보강 클립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된 샤시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액정표시모듈(800)은 수납용기(100),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액정표시패널어셈블리(300), 강도 보강 클립(400) 및 경량 샤시(500)로 구성된다.
수납용기(100)는 다시 바닥면(110), 복수개의 측벽(120)으로 구성된다.
바닥면(110)은 일실시예로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바닥면(110)은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측벽(120)은 바닥면(110)의 4 개의 에지로부터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 된다.
이하, 4 개의 측벽(120)을 제 1 측벽(122), 제 2 측벽(124), 제 3 측벽(126), 제 4 측벽(128)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일실시예로 측벽(120)에는 후술될 경량 샤시(500)와 결합하기 위한 걸림돌기(122)가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측벽(120)중 상호 마주보는 제 2 측벽(124) 및 제 4 측벽(128)에는 적어도 1 개의 제 1 홈(123)이 형성된다.
이외에도 제 2 측벽(124) 및 제 4 측벽(128)에는 제 1 홈(123) 이외에 선택적으로 샤시 결합홈(12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샤시 결합홈(125)은 수납용기(100)와 상세하게 후술될 경량 샤시(500)가 상호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된 수납용기(100)의 수납공간에 수납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다시 반사판(210), 램프 어셈블리(220), 도광판(230) 및 광학 시트류(240)를 포함한다.
반사판(210)은 수납용기(100)의 수납공간 중 바닥면(110)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 반사판(210)은 높은 광반사율을 갖도록 제작된다.
램프 어셈블리(220)는 램프(222) 및 램프 리플렉터(224)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램프(222)는 일실시예로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이다. 이하,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에 도면부호 222를 부여하기로 한다.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222)는 수명이 길고, 광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열 발생이 적으며, 백색광이 발생되며, 매우 작은 직경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램프 리플렉터(224)는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222)에서 방사상으로 발생한 광을 일방향으로 반사시켜 출사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이용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램프 리플렉터(224)는 도광판(230)에 결합된다.
도광판(230)은 반사판(210)의 상면에 설치된다. 도광판(230)은 바람직하게 쐐기 타입 플레이트 또는 평행 평판형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도광판(230)은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222)에서 발생한 선광원 형태의 광학 분포를 갖는 광을 면광원 형태의 광학 분포를 갖도록 변경 및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학 시트류(240)는 도광판(230)과 상세하게 후술될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광학 시트류(240)는 도광판(230)에서 출사된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광학 시트류(240)는 일실시예로 1 매의 확산 시트(242) 및 2 매의 프리즘 시트(244)로 구성된다. 확산 시트(242) 및 프리즘 시트(244)에는 후술될 강도 보강 클립(400)에 그립되기에 적합하도록 일부가 돌출된 광학 시트류 결합돌기(246)가 형성된다.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00)는 다시 액정표시패널(330),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340) 및 인쇄회로기판(350)으로 구성된다.
액정표시패널(330)은 다시 TFT 기판(310), 액정 및 컬러필터기판(320)으로 구성된다. 이 액정표시패널(330)은 액정을 국부적으로 정밀하게 제어한다. 또한, 액정표시패널(330)은 액정의 광투과도를 조절 및 광투과도가 조절된 광을 필터링 하여 원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인쇄회로기판(350)은 액정표시패널(330)에 인가될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부호 355는 인쇄회로기판(350)을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부이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340)는 인쇄회로기판(350)에서 발생한 구동 신호를 지정된 타이밍에 맞추어 액정표시패널(330)로 중계한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340)는 연성 재질에 형성되며, 인쇄회로기판(350)이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의 후면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하여, 액정표시모듈(800)의 전체적인 평면적이 크게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경량 샤시(500)는 수납용기(100)에 수납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00)가 수납용기(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에 의하여 깨지기 쉬운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00) 또는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222)등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경량 샤시(500)는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00)의 에지를 가압하는 제 1 면(510) 및 제 1 면(510)으로부터 연장되어 수납용기(100)에 결합되는 제 2 면(520)으로 구성된다.
제 2 면(520)에는 수납용기(100)의 제 1 홈(123)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 샤시 결합공(530)이 형성되고, 수납용기(100)의 걸림 후크(122)에 대응하는 곳에는 걸림 후크(122)와 결합되는 후크(525)가 형성된다.
경량 샤시(500)는 스테인레스 스틸에 비하여 비중이 매우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경량 샤시(500)는 중량이 매우 가벼운 대신 강도가 취약한 단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강도가 취약한 경량 샤시(500)를 사용할 경우 외부에서 가해진 미약한 충격은 그대로 수납용기(100),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00) 또는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222)등에 그대로 전달되어 이들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납용기(100) 및 경량 샤시(500)의 사이에 강도 보강 클립(400)이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강도 보강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강도 보강 클립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강도 보강 클립(400)은 일실시예로 띠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를 수납용기(100)의 측면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3 번 절곡한 형상을 갖는다.
이때, 강도 보강 클립(400)은 경량 샤시(500)에 비하여 강도가 높은,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강도 보강 클립(400)의 중량이 최소화되도록 강도 보강 클립(400)은 최소한의 크기로 제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강도 보강 클립(400)은 앞서 설명한 수납용기(100)의 제 2 측벽(124) 또는 제 4 측벽(128)의 외측면, 수납용기(100)의 제 2 측벽(124)의 상면(124a) 또는 제 4 측벽(128)의 상면(128a) 및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00)의 외측면에 꼭맞게 끼워지도록 절곡된다.
이때, 강도 보강 클립(400)중 수납용기(100)의 제 2 측벽(124) 또는 제 4 측벽(128)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 1 홈(123)에 끼워지도록 버어링(burring)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강도 보강 클립과 수납용기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강도 보강 클립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강도 보강 클립(400)은 제 1 보강 몸체부(410), 제 2 보강 몸체부(420) 및 제 3 보강 몸체부(430)로 구성된다.
제 1 보강 몸체부(410)는 수납용기(100)의 제 2 측벽(124) 또는 제 4 측벽(128)의 외측면과 마주보며, 버어링(412)을 갖는다.
이때, 버어링(412)은 앞서 설명한 수납용기(100)의 제 2 측벽(124) 또는 제 4 측벽(128)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 1 홈(123)에 삽입되기에 충분한 직경을 갖는다. 또한, 버어링(412)은 제 1 보강 몸체부(410)로부터 제 1 홈(12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버어링(412)은 외부에서 가해진 강한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제 1 보강 몸체부(41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버어링(412)의 내측에는 나사와 체결 가능하도록 암나사부(412a)가 형성된다.
버어링(412)이 형성된 제 1 보강 몸체부(410)에는 제 2 보강 몸체부(420) 및 제 3 보강 몸체부(430)가 연결된다. 제 2 보강 몸체부(420) 및 제 3 보강 몸체부(430)는 제 1 보강 몸체부(410)가 수납용기(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보강 몸체부(420)는 제 1 보강 몸체부(410)로부터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된다. 제 2 보강 몸체부(420)에는 제 1 결합공(425)이 형성된다.
제 1 결합공(425)은 제 2 보강 몸체부(420)가 바닥면(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에는 제 1 결합공(425)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결합돌기(112)가 형성된다.
제 1 결합공(425)은 제 1 결합돌기(112)에 보다 쉽게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 크로스 되는 십자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제 2 보강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2 보강 몸체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제 2 보강 몸체부(420)의 일부는 부분 절개되어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을 향하도록 절곡된다. 이하, 제 2 보강 몸체부(420) 중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을 향하여 절개 후 절곡된 부분을 제 2 결합돌기라 정의하기로 하며, 도면부호 427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여 제 2 보강 몸체부의 제 2 결합돌기가 수납용기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에는 제 2 결합돌기(427)를 수납하기 위해 제 2 결합홈(128b)이 형성된다.
수납용기(100)의 제 2 결합홈(128b)에 제 2 보강 몸체부(420)의 제 2 결합돌기(128b)가 삽입됨으로써 제 2 보강 몸체부(420)는 수납용기(1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2 보강 몸체부(420)에는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00)의 구성요소인 인쇄회로기판(350)이 접지된다.
이는 인쇄회로기판(350)과 제 2 보강 몸체부(420)가 연결될 경우, 인쇄회로기판(350)은 경량 샤시(500) 및 상세하게 후술될 케이스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제 2 보강 몸체부(420)와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300)가 접지될 경우,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쉽게 제전할 수 있는 장점도 함께 갖는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 2 보강 몸체부(420)로부터는 그라운드부(429)가 연장 형성된다.
그라운드부(429)는 제 2 보강 몸체부(420)로부터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350)과 접지된다. 그라운드부(429)에는 인쇄회로기판(350)과 효율적으로 접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 2 결합공(429a)이 더 형성된다. 도전성 나사(356)는 그라운드부(429)의 제 2 결합공(429a)과 인쇄회로기판(3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와 다르게 그라운드부(429)에는 반원형 홈을 형성하여 도전성 나사(356)을 매개로 인쇄회로기판(350)과 그라운드부(429)가 상호 체결되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 도전성 나사(356)를 매개로 그라운드부(429)와 인쇄회로기판(350)이 상호 체결될 경우,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350 또는 도전성 나사(356)의 머리가 돌출 되어 액정표시모듈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중 도면부호 119로 도시된 부분은 그라운드부(429) 및 인쇄회로기판(350)을 체결하는 도전성 나사(356)가 바닥면(110)으로부터 돌출 되지 않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도전성 나사 수납홈이다.
이와 같은 그라운드부(429)는 종래 인쇄회로기판(350)을 접지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던 접지 클립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 3 보강 몸체부(430)는 제 1 보강 몸체부(410)로부터 앞서 설명한 수납용기(100)의 제 2 측벽(124)의 상면(124a) 및 제 4 측벽(128)까지 연장된다.
이때, 제 3 보강 몸체부(430)의 단부는 수납용기(100)의 제 2 측벽(124)의 상면(124a) 및 제 4 측벽(128)의 상면(128a)에 접촉되는 것도 좋지만, 제 3 보강 몸체부(430)가 수납용기(100)의 제 2 측벽(124)의 상면(124a) 및 제 4 측벽(128)의 상면(128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부의 일부를 절곡하는 것 또한바람직하다.
이하, 제 3 보강 몸체부(430)의 단부 중 절곡된 부분을 특별히 이탈 방지편이라 칭하기로 하며, 도면부호 435를 부여하기로 한다. 이탈 방지편(435)에 대응하는 수납용기(100)의 제 2 측벽(124)의 상면(124a) 및 제 4 측벽(128)의 상면(128a)에는 이탈 방지편(435)이 끼워져 수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3 결합홈(128b)이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950)는 케이스(900), 액정표시모듈(800) 및 보강 브래킷(92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900)는 다시 리어 케이스(910) 및 프론트 케이스(920)로 구성된다.
리어 케이스(910)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한 액정표시모듈(80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리어 케이스(910)는 리어 케이스 바닥면(915) 및 리어 케이스 바닥면(915)의 에지로부터 연장된 리어 케이스 측벽(917)으로 구성된다.
리어 케이스 측벽(917)중 앞서 상세하게 설명한 강도 보강 클립(400)의 버어링(412)이 형성된 곳에는 리어 케이스 결합공(919)이 형성된다. 이 리어 케이스(910)는 바람직하게 마그네슘 합금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프론트 케이스(920)는 리어 케이스(910)와 결합되며, 액정표시모듈(800)의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발생한 영상은 가리지 않고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프레임 형상을 갖는다.
한편, 보강 브래킷(920)은 리어 케이스(910)의 리어 케이스 측벽(917)과 액정표시모듈(800)의 경량 샤시(500)의 사이에 개재된다.
보강 브래킷(920)은 외부에서 액정표시모듈(8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로 보강 브래킷(920)은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보강 브래킷(920)에는 강도 보강 클립(400)의 버어링(412)에 대응하는 부분에 브래킷 결합공(925)이 형성된다.
리어 케이스(910), 보강 브래킷(920) 및 액정표시모듈(800)은 체결 나사(927)에 의하여 체결된다.
체결 나사(927)는 리어 케이스(910)의 리어 케이스 측벽(917)에 형성된 리어 케이스 결합공(919), 보강 브래킷(920)의 브래킷 결합공(925) 및 액정표시모듈(800)의 경량 샤시(500)의 샤시 결합공(530)을 통하여 강도 보강 클립(400)에 형성된 버어링(412)에 결합된다.
이로써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은 일차적으로 리어 케이스(910) 및 보강 브래킷(920)이 흡수하고 나머지 충격은 강도 보강 클립(400)이 흡수한다.
이때, 강도 보강 클립(400)이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을 흡수함으로 인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경량 샤시(500)의 변형 또한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액정표시장치(950)를 보다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샤시를 경량으로 제작하여 액정표시모듈 또는 액정표시장치의 중량 및 부피를 크게 감소시킴은 물론 샤시를 경량으로 제작함에 따라 약해진 강도를 액정표시장치용 클립으로 보강하여 내충격성 또한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바닥면 및 바닥면의 에지를 따라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연장되며, 외측면에 적어도 1 개의 제 1 홈이 형성된 측벽을 갖는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에 수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공급된 광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갖는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상기 수납용기 중 상기 제 1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홈에 삽입되는 버어링(burring)을 갖는 강도 보강 클립;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를 고정시키며, 상기 버어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샤시 결합공이 형성된 샤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 클립은 상기 수납용기의 상기 외측면과 마주보며 상기 버어링이 형성된 제 1 보강 몸체부;
    상기 제 1 보강 몸체부로부터 상기 바닥면의 외측에 결합하기 위하여 연장된 제 2 보강 몸체부; 및
    상기 제 1 보강 몸체부로부터 상기 측벽의 상면에 결합하기 위하여 연장된 제 3 보강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바닥면에는 제 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강 몸체부에는 상기 제 1 결합돌기와 결합하기 위한 제 1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바닥면에는 제 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강 몸체부에는 상기 제 2 홈에 삽입되도록 일부가 절개된 상태에서 절곡된 제 2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강 몸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지부와 접촉되도록 연장되며 제 1 결합공이 형성된 그라운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부와 상기 접지부는 나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중 상기 그라운드부와 대응하는 곳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나사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되지 않도록 오목한 수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램프, 상기 램프에서 발생한 광의 광학 분포를 향상시키기 위한 광학 시트류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보강 몸체부에는 상기 광학 시트류와 결합되어 상기 광학 시트류를 고정하기 위한 광학 시트류 고정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면에는 제 3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보강 몸체부에는 상기 제 3 홈에 결합되도록 일부가 절곡된 이탈 방지편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제 1 강도를 갖는 제 1 메탈 플레이트이고, 상기 강도 보강 클립은 상기 제 1 강도보다 높은 제 2 강도를 갖는 제 2 메탈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탈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제 2 메탈 플레이트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측면 중 상기 제 1 홈과 인접한 곳에는 제 4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4 홈과 대응하는 샤시에는 제 2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4 홈 및 제 2 결합공은 체결 나사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2. 바닥면 및 바닥면의 에지를 따라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연장되며 외측면에적어도 1 개의 홀 및 걸림돌기가 형성된 측벽을 갖는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에 수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공급된 광을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광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띠 형상으로 상기 수납용기의 상기 측벽의 상면, 상기 외측면, 상기 바닥면을 연속적으로 감싸 고정되며, 상기 홀에 삽입되는 버어링(burring)이 형성된 강도 보강 클립;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에지를 눌러 고정시키며 상기 수납용기의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 및 상기 버어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샤시 체결공이 형성된 샤시; 및
    체결 나사에 의하여 상기 샤시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버어링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샤시의 사이에는 상기 샤시 체결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브래킷 체결공이 형성된 보강 브래킷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20034214A 2002-06-19 2002-06-19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863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214A KR100863998B1 (ko) 2002-06-19 2002-06-19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TW092104278A TWI323361B (en) 2002-06-19 2003-02-27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379,013 US6930734B2 (en) 2002-06-19 2003-03-04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B031086810A CN100383619C (zh) 2002-06-19 2003-04-03 液晶显示模块及带有该模块的液晶显示装置
JP2003134118A JP4383771B2 (ja) 2002-06-19 2003-05-13 液晶表示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
US11/151,973 US7301590B2 (en) 2002-06-19 2005-06-14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933,120 US20080049163A1 (en) 2002-06-19 2007-10-31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214A KR100863998B1 (ko) 2002-06-19 2002-06-19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061A true KR20030097061A (ko) 2003-12-31
KR100863998B1 KR100863998B1 (ko) 2008-10-16

Family

ID=2972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214A KR100863998B1 (ko) 2002-06-19 2002-06-19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930734B2 (ko)
JP (1) JP4383771B2 (ko)
KR (1) KR100863998B1 (ko)
CN (1) CN100383619C (ko)
TW (1) TWI323361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958B1 (ko) * 2006-06-27 2007-12-0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유닛, 도광판 및 정보 기기
US7570314B2 (en) 2004-10-12 2009-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bottom chassis having coupling areas and support areas
KR100927977B1 (ko) * 2007-04-11 2009-11-24 베이징 보에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백라이트 프레임
KR101007048B1 (ko) * 2008-10-22 2011-01-12 한솔테크닉스(주) 양면 라이팅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101285538B1 (ko) * 2006-11-30 2013-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290044B1 (ko) * 2006-08-24 2013-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319590B1 (ko) * 2007-02-15 2013-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
KR20150077105A (ko) * 2013-12-27 2015-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003B1 (ko) * 1998-11-11 2005-11-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휴대용컴퓨터와그평판표시장치의결합방법
TWM242728U (en) * 2003-02-27 2004-09-0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module
JP4461869B2 (ja) 2004-03-25 2010-05-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369189B2 (en) * 2004-04-15 2008-05-06 Arima Display Corporation Fram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protrudent elements and blocking elements being engaged with mounting openings and indentations
AU2004318831B2 (en) * 2004-04-20 2008-09-2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JP4779314B2 (ja) * 2004-06-24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088717B1 (ko) 2004-09-10 2011-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CN1313871C (zh) * 2004-11-09 2007-05-0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组
US20060138296A1 (en) * 2004-12-23 2006-06-29 Deluga Ronald E Display hold-down systems and methods
TWM270372U (en) * 2004-12-28 2005-07-11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100598121B1 (ko) * 2005-03-08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CN100359384C (zh) * 2005-09-02 2008-01-0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及其组装结构
WO2007034786A1 (ja) * 2005-09-22 2007-03-29 Taisei Plas Co., Ltd. 液晶表示装置用光学シートの保持具およびシャーシ
KR100727122B1 (ko) * 2005-11-02 2007-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Pcb 고정 구조
CN100414373C (zh) * 2005-11-04 2008-08-27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
KR100722098B1 (ko) * 2005-11-23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US20070120878A1 (en) * 2005-11-29 2007-05-31 Chih-Chun Hsiao Flat panel monitor including a frame having a protrusion
KR101232043B1 (ko) * 2006-02-21 2013-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7232802A (ja) * 2006-02-27 2007-09-13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KR100714018B1 (ko) * 2006-02-28 2007-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TW200743418A (en) * 2006-05-12 2007-11-16 Wintek Corp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containing same
EP1893012B1 (en) * 2006-07-24 2009-04-2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Fastening element
KR100769425B1 (ko) * 2006-09-21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729084B1 (ko) * 2006-09-21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TWM313819U (en) * 2006-10-27 2007-06-11 Heng-Lan Tsau Integrated structure of a touch panel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KR101361295B1 (ko) * 2007-06-04 2014-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35769B1 (ko) * 2007-06-04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12587B1 (ko) * 2007-06-0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35741B1 (ko) * 2007-06-04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362219B (en) * 2007-11-14 2012-04-11 Au Optronics Corp Frame with a mounting ear, display device using the fr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414961B1 (ko) * 2007-12-03 2014-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363216B (en) * 2008-05-29 2012-05-0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frame set thereof
US9055142B2 (en) 2008-12-15 2015-06-09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ssembly of a portable apparatus
US8284558B2 (en) * 2008-12-15 2012-10-0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ssembly of a portable apparatus
TWI393953B (zh) * 2009-09-18 2013-04-21 Coretronic Corp 液晶顯示器
WO2011105293A1 (ja) * 2010-02-26 2011-09-01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WO2012030563A1 (en) * 2010-08-31 2012-03-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8632363B2 (en) 2010-08-31 2014-01-21 Apple Inc. Heat sealed connector assembly
TWI431366B (zh) * 2011-07-08 2014-03-21 Au Optronics Corp 顯示模組及其製造方法
US9063362B2 (en) * 2011-09-01 2015-06-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1288600B1 (ko) * 2011-09-15 2013-07-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TW201315227A (zh) * 2011-09-21 2013-04-01 Wistron Corp 組裝結構及其相關顯示裝置
CN103358271B (zh) * 2012-03-29 2015-08-26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模块的组装工具
KR20140026893A (ko) * 2012-08-23 2014-03-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506225B (zh) * 2012-10-05 2015-11-01 Au Optronics Corp 背板與應用此背板之平面顯示裝置
WO2015047245A1 (en) 2013-09-25 2015-04-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king bar for a computer
TWI509329B (zh) * 2013-11-08 2015-11-21 Radiant Opto Electronics Corp 背光模組
KR20150114113A (ko) 2014-03-31 2015-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50116986A (ko) 2014-04-08 2015-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퀀텀 도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73682A (ko) * 2014-12-17 2016-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5517307A (zh) * 2015-12-25 2016-04-20 重庆德科电子仪表有限公司 一种液晶裸屏的安装结构
CN210378258U (zh) * 2019-11-25 2020-04-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框架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2135A (en) * 1957-01-24 1959-06-23 Sylvania Electric Prod Small enclosed electrical device
JPS58209777A (ja) * 1982-05-31 1983-12-06 日本精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H681648A5 (ko) * 1990-06-25 1993-04-30 Ver Drahtwerke Ag
US5504605A (en) * 1993-06-02 1996-04-02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having cut-away portions of the back frame for weight reduction and heat dissipation
US5751556A (en) * 1996-03-29 1998-05-1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warpage of an assembly substrate
KR100258839B1 (ko) * 1998-01-24 2000-06-15 윤종용 엘씨디모듈
KR100296154B1 (ko) * 1999-01-13 2001-07-12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모듈용 마운팅브라켓
US6330148B1 (en) * 1999-01-13 2001-12-11 Lg. Philips Lcd Co., Ltd. Flat panel display module for computer
KR100294688B1 (ko) * 1999-04-19 2001-07-12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TW554214B (en) * 1999-06-30 2003-09-21 Toshiba Corp Flat display device having backlight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case
JP4330764B2 (ja) * 2000-06-09 2009-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365494B1 (ko) * 2000-07-20 2002-12-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3822037B2 (ja) * 2000-08-04 2006-09-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0392851B1 (ko) * 2000-12-30 2003-07-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0314B2 (en) 2004-10-12 2009-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bottom chassis having coupling areas and support areas
KR100782958B1 (ko) * 2006-06-27 2007-12-0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유닛, 도광판 및 정보 기기
KR101290044B1 (ko) * 2006-08-24 2013-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285538B1 (ko) * 2006-11-30 2013-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319590B1 (ko) * 2007-02-15 2013-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
KR100927977B1 (ko) * 2007-04-11 2009-11-24 베이징 보에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백라이트 프레임
KR101007048B1 (ko) * 2008-10-22 2011-01-12 한솔테크닉스(주) 양면 라이팅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20150077105A (ko) * 2013-12-27 2015-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49163A1 (en) 2008-02-28
US6930734B2 (en) 2005-08-16
CN1467543A (zh) 2004-01-14
TW200400379A (en) 2004-01-01
TWI323361B (en) 2010-04-11
US20050231659A1 (en) 2005-10-20
US7301590B2 (en) 2007-11-27
KR100863998B1 (ko) 2008-10-16
US20030234894A1 (en) 2003-12-25
JP4383771B2 (ja) 2009-12-16
CN100383619C (zh) 2008-04-23
JP2004021257A (ja) 200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998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18908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823301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03661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EP2487515A2 (en) Backlight assembly
KR20090060748A (ko) 표시 장치, 상부 수납 용기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2007002327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7001382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159996B2 (en) Backlight system with exchangeable light sourc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19980083546A (ko)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구조
US2006000213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0570081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장치
KR100644853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402161Y1 (ko) 보강판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모듈
KR10097580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96507B1 (ko) 표시모듈 고정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0008757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4641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7005198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KR20060081102A (ko) 표시 장치
KR20070063679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0930492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유닛
KR101256667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50097791A (ko) 표시장치
KR20090003962A (ko) 수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