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6870A - 일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일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6870A
KR20030096870A KR1020020033956A KR20020033956A KR20030096870A KR 20030096870 A KR20030096870 A KR 20030096870A KR 1020020033956 A KR1020020033956 A KR 1020020033956A KR 20020033956 A KR20020033956 A KR 20020033956A KR 20030096870 A KR20030096870 A KR 20030096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wall
frame
horizontal
horizontal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삼룡
한송수
이상헌
이계영
강상구
옥영무
정봉석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6870A/ko
Publication of KR2003009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87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튼 월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초)고층건물의 중간기계실과 같은 중간 복수층과 같이 여러 층에 커튼 월을 일시에 설치되어야 할 경우, 자체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튼 월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에 로울러유도로가 형성된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로울러유도로에 설치되어 로울러유도로를 따라 이동되는 수평이동장치 및 상기 수평이동장치에 연결되며, 수평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고, 커튼월이 고정되는 커튼 월 지지장치(220)를 포함하는 커튼월 이동수단(200);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일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튼 월 설치방법{curtain-wall installation apparatus possible to move horizontally and curtain-wall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튼 월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초)고층건물의 중간기계실과 같은 중간 복수층과 같이 여러 층에 커튼 월을 일시에 설치되어야 할 경우, 자체로 커튼 월의 수평이동 및 상, 하 이동이 가능하여, 커튼 월을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튼 월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튼 월 설치공법은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에서 기둥, 보 및 바닥 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의 외부 벽을 금속재, 무기질재료를 이용하여 비내력벽으로 형성시키는 공법으로서, 외부벽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기계화시공이 가능하고, 공장제작이 가능하여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사용 재료에 따라 외관이 수려하여 하다는 장점 때문에 특히 고층구조물의 외부벽 시공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초)고층구조물이 다수 설계, 시공됨에 따라 (초)고층구조물의 중간층에 기계, 설비 등만을 수용하는 층인 중간기계실층이 존재하게 되었는바, 상기 중간기계실층은 통상의 층과는 달리 그 높이(층고)가 통상의 층(기준 층)의 높이 보다 개략 2-3배정도 크게 형성되어, 커튼 월을 고정할 수 있는 바닥판이 존재하지 않음으로 인해, 외부벽을 커튼 월로서 시공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여러 층에 걸쳐 커튼 월을 지지할 수 있는 바닥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여러 층에 걸쳐 설치되어야 할 커튼 월을 일시에 설치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안전하게, 설치되어야 할 위치에 신속하게 커튼 월을 설치할 수 있어 공기를 지연시키는 방해요인을 없앨 수 있고, 되도록 숙련된 작업인원을 적게 투입하더라도 쉽게 커튼 월을 설치할 수 있도록 자동화된 커튼 월 설치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청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커튼월 설치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커튼 월을 설치하기 위한 바닥판과 같은 커튼 월 설치를 위한 지지물이 없더라도 여러 층에 설치되어야 할 커튼 월을 신속하게 일시에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소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커튼 월 시공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튼 월 설치를 최대한 기계화 및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커튼 월 시공상의 품질관리 및 공기관리에 유리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커튼 월 설치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의 구체예이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커튼 월 설치장치의 수평프레임, 지지프레임 및 커튼 월 지지장치의 구체예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커튼 월 고정장치의 구체예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커튼 월 설치장치의 설치개념도의 구체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수평프레임200:커튼 월 이동수단
300:지지프레임400:커튼월
500:구조물600:커튼월 고정장치
700:커튼 월 설치장치800:자동조작부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구조물의 바닥판과 같은 커튼 월 설치용 지지구조물이 없는 경우라도, 커튼월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을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지지수단을 구조물에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커튼 월을 설치되어야 할 위치에 기계적으로 이동시켜, 여러 층에 걸친 대형 커튼 월 유니트(UNIT)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동수단 및 고소작업에 의한 바람 등과 같은 환경 하에서도 커튼 월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안전수단을 구비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 예를 도1 내지 도4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며,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순서로 살펴본다.
<커튼 월 설치장치>
본 발명의 커튼 월 설치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 도1a 및 도1b이며, 상기 커튼 월 설치장치는 하부에 로울러유도로가 형성된 수평프레임(100); 상기 수평프레임의 로울러유도로에 설치되어 로울러 유도로를 따라 이동되는 수평이동장치(210) 및 상기 수평이동장치에 연결되며, 수평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고 커튼월이 고정되는 커튼 월 지지장치(220)를 포함하는 커튼월 이동수단(200);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수평프레임(100)은 후술되는 수평이동장치(210) 및 커튼 월 지지장치(220)로구성되는 커튼월 이동수단(200)을 지지하면서, 특히 수평이동장치의 이동로 역할을 하게되며, 그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 도2a이다. 즉 하부에 후술되는 수평이동장치가 자체에 내장된 로울러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로울러유도로(130)가 형성된 I형 강재가 도시되어 있다. 무거운 커튼 월 이동수단(200)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2개의 I형 강재가 수평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수직연결판으로 단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 도2a에는 형상 자체로서 하부에 로울러유도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I형 강재를 이용됨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평프레임(100)에는 타워 크레인 또는 구조물의 내부 양중기 등과 같은 양중장치와 체인 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부 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된 연결블록(110)이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시 어느 한쪽으로 무게가 쏠리지 않도록 밸런스웨이트(1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웨이트는 다수의 강판을 적층하여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수평프레임(100)의 하부에 형성된 로울러유도로에는 수평이동장치(210) 및 상기 커튼 월 이동장치에 연결되는 커튼 월 지지장치(220)를 포함하는 커튼월 이동수단(200)이 함께 설치된다.
상기 수평이동장치(210)는 도1b와 같이 수평프레임(100)의 하부에 형성된 로울러유도로(1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로울러(211), 후술되는 커튼 월지지장치를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후크(212) 및 상기 로울러 와 후크가 수평,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213)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동의 제한에 필요한 브레이크, 변속기 및 자동조절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수평이동장치의 이동 속도의 조절 및 본 발명의 커튼 월과 같은 이동대상을 상, 하 및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데 그 구동모터의 용량 및 구동모터의 수는 변경 가능하며, 도2a에는 수평프레임(100)을 2개를 이용한 수평이동장치의 예를 도시하였으나, 커튼 월이 크기 및 중량이 클 경우 3개 또는 1개의 수평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수평이동장치도 수평프레임의 수에 맞게 설치개수를 조정하여 설치될 수 있다.
커튼 월 지지장치(220)는 도2b와 같이 상술한 수평이동장치(210)에 커튼 월(400)을 매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커튼 월을 수평이동장치(2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연결블록이 상부면에 형성된 I형 강재와 같은 커튼월 지지부(222); 및, 상기 커튼월 지지부 하부에 형성된 커튼월 고정수단(223);을 포함한다.
커튼 월 지지장치(220)의 구체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 도2b이며, 상기 커튼 월 지지부(222)는 I형 강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커튼 월 고정수단(223)은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면에 수직 하방으로 부착되며 구멍이 다수 형성된 연결판(223a), 상기 연결판을 I형 강재의 양 단부에서 보강하는 보강판(223b) 및 I형 강재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블록(223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I형 강재는 설치시킬 커튼 월의 크기에 따라 길이 및 단면크기의 변경이 가능하며, 커튼 월을 부착시키기 위해, 연결판(223a)에 형성된 구멍에 커튼 월(400)에 미리 형성된 구멍과 일치시켜 핀, 또는 볼트와 같은 연결구를 이용하여 서로 결속시킬 수 있다. 연결판의 크기 및 형성된 구멍의 개수도 커튼 월의 크기, 재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I형 강재의 상부플랜지에는 수평이동장치(210)를 구성하는 후크와 체인 등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연결블록(223c)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수평이동장치(210)가 이동되면 수평이동장치의 후크에 연결된 커튼 월 지지장치(22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지지프레임(300)은 상기 커튼 월 이동수단(200)에 설치된 커튼 월(400)을 구조물(500)의 외벽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구조물의 바닥판과 같이 커튼 월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자체적으로 커튼 월을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로서 (초)고충구조물의 중간복수층에 내부 기둥(710)만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얼마든지 커튼 월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도2a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A 자 형상으로서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속이 빈 파이프형상의 상부프레임(311)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길이조정장치(330)가 부착된 하부프레임(312)을 포함하는 수직프레임(310); 및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보강프레임(32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300)은 도4와 같이 커튼 월(400)이 매달려 있는 수평프레임(100)을 구조물(500)의 특정 층 즉 커튼 월을 설치해야할 층의 상부층의 바닥판(520)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수직프레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단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부프레임(312)이 상부프레임(311) 내부로 삽입되면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부프레임(311)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상부프레임 보다 직경이 작은 파이프로 구성된 하부프레임(312)이 삽입될 수 있어 작업자는 도3b와 같이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길이조정장치(330)의 하나인 핸들(331)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하부프레임이 상부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 등이 내장된 자동길이조정장치(332)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하부프레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은 도2a와 같이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수직으로 용접 또는 볼트 등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부착되며, 수직프레임을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기 위해 보강프레임(320)을 수직프레임의 상부 및 중간 부분에 설치할 수 있으며, 보강프레임에는 도1b와 같이 후술되는 회전축지지블록(640)이 상부 보강프레임 중간부위에 형성되며, 커튼월 이동수단(200)에 전기 및 제어를 위한 전선(321)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빔 역할을 하는 중간빔(322)이 형성된다.
지지프레임(300)의 수직프레임에는 도2a와 같이 가이드레일(3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수직프레임에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 위에 형성된수직바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커튼 월 설치장치가 양중장치에 의하여 들어 올려져 이동 될 때 커튼 월 설치장소까지 이동하면서, 설치위치까지 커튼 월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없을 수가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레일에 유도줄을 매달아 커튼 월 설치장치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가이드레일 형태가 아니더라도 상관없다.
수평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커튼월 이동수단(200)의 커튼월 지지장치(220)에 부착된 커튼 월(400)을 양중장치로 설치되어야 할 장소로 이동시킬 때, 바람 및 양중장치의 운전미숙 등으로 인하여 커튼 월이 어느 한쪽으로 쏠려 장치 전체가 요동치거나 커튼월의 중량이 클 경우 커튼월 지지장치(220)의 파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커튼 월 설치 장치의 이동시 커튼 월이 수평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는 커튼월 고정장치(600)로서 그 구체예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커튼 월 고정장치는 고정장치1 및 2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커튼월 고정장치1은 커튼 월 고정수단인 고정장치를 커튼월 설치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커튼 월 고정장치2는 커튼 월 고정수단으로서 커튼 월 이동수단을 수평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커튼월 고정장치1은 도3a 및 도3b와 같이 커튼월 이동장치가 최초 위치하는 수평 프레임(100) 상부 면에, 수평프레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수평바(610); 상기 수평바 중간부위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회전축용 구멍이 형성된중간블록(620); 상기 수평바와 연결되는 수평플레임과 접하도록, 상기 수평바 하부면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커넥팅로드용 구멍이 형성된 커넥팅로드 지지블록(630); 및 지지프레임의 보강프레임에 형성되며, 중간블럭의 회전축용 구멍과 대향하여 구멍이 형성된 회전축 지지블록(640);을 포함하며,
상기 커튼월 고정장치2는 커튼월 이동장치 고정장치의 중간블록의 구멍을 관통하며, 한쪽 단부는 스토퍼에 의해 상기 중간블록에 부착되고, 다른 단부는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 지지블럭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설치되는 회전축(650); 상기 돌출된 회전축에 클램프(661)를 이용하여 회전축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바(660); 중간블록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축에 삽입된 회전판(670); 상기 회전판에 한쪽 단부가 각각 부착되며, 다른 각각의 단부는 양 커넥팅로드 지지블록의 구멍에 삽입되는 커넥팅로드(680);를 포함한다.
커튼월 고정장치1의 수평바(610)는 커튼월 이동수단(200)이 본 발명의 커튼월 설치장치(700)에 지상에서 최초 고정되는 위치(A)를 기준으로 수평프레임(100) 상부면에 수평프레임을 가로질러 직각으로 설치된다. 즉 도3a를 기준으로 하면 커튼월 설치장치의 중앙 왼쪽에 설치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후술되는 중간블록(620) 및 커넥팅로드지지블록(6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튼월 고정장치1의 중간블록(620)은 수평바(610)의 중앙에 수직 하방으로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하여 형성된다. 하단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650)의 한쪽 단부가 스토퍼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커튼월 고정장치1의 커넥팅로드블록(680)은 후술되는 커넥팅 로드의 단부가 삽입, 이탈 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서, 커넥팅로드의 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되며, 수평프레임 안쪽에 2개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수평프레임과 접하도록 수평프레임에 중간불록과 같이 설치되어, 커넥팅로드의 각 단부가 구멍에 삽입되면서, 수평프레임에 위치한 수평이동장치의 로울러를 감싸는 판에 형성된 삽입판(221)에 역시 삽입되어 상기 커튼 월 이동수단 전체가 수평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한다.
커튼월 고정장치1의 회전축 지지블록(640)은 후술되는 회전축(650)을 지지하는 블록으로서 회전축이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b와 같이 지지프레임의 상부 보강프레임의 개략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술한 중간블록의 구멍과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상기 커튼 월 고정장치2의 회전축(650)은 한쪽 단부는 수평바에 형성된 중간블록에 설치되어 있고, 대향되는 회전축지지블록의 구멍을 관통하여 돌출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돌출된 단부에 크램프(661)가 설치되어 도3a와 같이 수직 하방으로 수직바(660)가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바를 도3b와 같이 일정 각도(W)를 가지고 회전시키면, 회적축도 역시 회전할 수 있어 결국, 작업자가 수직바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축이 역시 회전하는 작동 메커니즘이 발현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에는 수평바에 형성된 중간블록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판(670)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즉 회전축이 작업자에 의해 수직바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역시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서 회전축에 고정된 회전판(670)이 역시 회전축이 회전하는 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에 회전판에 한쪽 단부가 상,하로 부착되어 있는 양 커넥팅 로드(680)가 일시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서 커넥팅로드가 상술한 커넥팅로드지지블록 과 커넥팅로드지지블록과 접한 수평이동장치의 삽입판(221)에 삽입, 이탈된다. 커넥팅로드가 커넥팅로드블록 및 삽입판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수직바의 위치가 도3b의 OPEN으로 표시된 위치이고, 작업자가 CLOSE의 위치로 수직바를 회전시키면 커넥팅로드가 커넥팅로드블록 및 삽입판으로부터 이탈되어 결국 수평이동장치가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자유로워져 결국 커튼월 이동장치가 자유롭게 수평프레임의 레일유도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회전판과 중간블록사이 및 커넥팅로드블록과 수직봉의 클램프 사이에 스프링(651)을 더 설치하여, 수직봉을 회전시킬 때 스프림의 탄성력 및 복원력을 이용하여 수직봉의 이동 및 이동 후 고정위치를 용이하게 설정시킬 수 있다.
<커튼 월 설치장치를 이용한 커튼 월 시공방법>
본 발명의 커튼월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구조물(500)에 커튼 월을 설치하는 방법은 커튼월 이동수단이 수평프레임에 고정된 커튼월 설치장치(200)에 지상에서 커튼 월(400)을 설치하는 단계; 커튼 월이 설치되어야 할 구조물의 특정 층에, 커튼월 설치장치에 부착된 유도줄을 이용하여 커튼월 설치장치를 양중기를 이용하여 접근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튼 월 설치장치의 한쪽 지지프레임을 상기 특정층의 상부층층에 고정시키는 단계; 커튼 월 설치장치의 수직봉을 이용하여 커튼월 이동수단이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커튼 월 이동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구조물 외벽 쪽으로 이동시킨 후, 커튼월을 분리,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도4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커튼 월(400)은 지상에서 커튼 월 설치장치(700)를 구성하는 커튼 월 지지장치에 핀 또는 볼트와 같은 연결구를 이용하여 먼저 조립한다. 상기 커튼 월 지지장치는 수평이동장치에 체인 및 후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 결국 커튼 월은 수평이동장치가 수평프레임에 고정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도1을 기준으로 하면 커튼 월 설치장치의 중앙 왼쪽에 위치하게 된다.
커튼 월을 설치한 후에, 크레인 등과 같은 양중장치의 후크 및 체인을 커튼 월 설치장치의 수평프레임의 연결블록에 연결하고, 커튼 월 설치장치를 공중으로 인양시키면 커튼 월도 함께 인양되게 된다.
이때 수평이동장치가 수평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커튼 월이 공중에 인양되더라도 이동되지 않아 안전사고 위험이 사라지게 되고, 수평프레임에는 커튼 월의 중량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의 밸런스웨이트를 설치함으로서, 무게이동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커튼 월을 인양한 상태에서 인양장치를 조작하여, 커튼 월이 설치되어야 할 장소에 접근하게 되면, 미리 그 장소에 대기한 작업자는 커튼월 설치장치(가이드레일 등)에 부착된 유도줄을 당겨 접근 된 커튼 월 설치장치의 지지프레임을 정확한 위치(커튼월이 설치되어야 하는 층의 바로 위층 또는 그 2층 정도의 상부층이 된다)에 고정되도록 한다. 지지프레임은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으로 구분되어, 하부프레임이 상부프레임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핸들 등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이 상부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면서, 지지프레임을 상기 상부층의 바닥판에 고정시킨다. 이때 커튼월 설치장치를 계속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써포트를 미리 설치하여 지지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프레임이 고정되면, 작업자는 수직봉을 CLOSE 위치에서 OPEN의 위치로 회전시켜 커튼월 설치장치의 수평프레임에 고정된 커튼월 이동수단을 수평프레임의 로울러유도로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한 다음, 상기 커튼 월 이동수단을 구조물외벽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땐 커튼 월 설치장치가 상부층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먼저 위치 조정을 한 후에, 구조물 외벽쪽으로 수평이동 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평이동의 의미를 일 방향으로 정의하여 표현하였다. 이때 수평이동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프레임의 작동, 커튼 월 이동수단의 이동, 커튼 월 이동수단의 상하이동은 작업자가 구조물내부에 있기 때문에 이를 모두 수작업으로 한다면 매우 비효율적이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커튼 월 설치장치에 별도로 상기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조작부(800)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자동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자동조작부의 구성은 구체적으로 개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자동제어구성으로 해결될 수 있다. 도1a에는 자동조작부와 커튼월 이동수단을 연결하는 전선(321)과 중간빔(322)이 도시되어 있다.
커튼 월을 정확한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자는 커튼월을 커튼 월 설치장치로부터 분리하여 상하 바닥판에 긴결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커튼 월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커튼월 이동수단을 원위치에 이동시키고, 수직봉을 이용하여 수평프레임이 고정시킨 후, 지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을 상부프레임에 삽입되도록 하고, 써포트와 분리하여 양중기에 의해 다른 커튼 월 설치를 위해 지상 등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초)고층구조물의 중간기계실과 같은 중간복수층 위치에의 커튼 월 설치작업을 대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커튼 월 설치작업자체를 본 발명의 커튼 월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진행시켜도 상관없으며, 구조물 전체 커튼월 설치의 다른 방법을 살펴보면, 일단 통상의 기준층의 층고보다 2-3배 층고를 가지되, 바닥판이 형성되지 않는 (초)고층구조물의 여러 중간복수층(중간기계실층)의 경우 통상의 커튼 월 설치방법으로는 커튼월을 외벽에 시공하기가 어려우므로 일단 상기 중간복수층 및 중간복수층 상부층(1개층 또는 2개층 위의 상부층)의 커튼월을 제외한 상, 하부 커튼월을 통상의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먼저 설치한 후, 중간복수층의 커튼 월을 설치하고, 최종적으로 중간층의 상부층의 커튼월을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현장사정에 따라, 먼저 중간복수층의 커튼 월을 설치하고, 상기 중간복수층을 기준으로 상, 하의 커튼 월을 설치해도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커튼 월 설치장치는 종래 단순히 양중장치를 이용하는 것과는 달리 자체적으로 커튼 월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자동제어될 수 있는 구성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커튼 월 설치작업이 가능하여, (초)고층구조물의 중간기계실과 같은 중간복수층과 같이 바닥판이 존재하지 않아 커튼 월 설치작업이 어려운 경우라도 커튼 월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이로서 전체적인 공사품질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2)

  1. 하부에 로울러유도로가 형성된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로울러유도로에 설치되어 로울러유도로를 따라 이동되는 수평이동장치 및 상기 수평이동장치에 연결되며, 수평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고, 커튼월이 고정되는 커튼 월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커튼월 이동수단;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수평이동장치는
    상하운동이 가능한 후크;
    수평이동이 가능한 내부 로울러; 및,
    상기 후크 및 내부 로울러용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이 이동이 가능한 커튼월 설치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커튼월 지지장치는
    수평이동장치에 연결되는 연결블록이 상부면에 형성된 I형 강재와 같은 커튼월 지지부; 및,
    상기 커튼월 지지부 하부에 형성된 커튼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월 설치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I형 강재와 같은 프레임이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형성되며, 양중장치의 후크가 설치되는 구멍이 형성된 연결블록 및 밸런스웨이트가 상부면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월 설치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전체적인 형상이 A 자 형상으로서,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속이 빈 파이프형상의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길이조정장치에 의해 삽입, 돌출되면서 길이조정이 가능한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보강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이 이동이 가능한 커튼월 설치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커튼월 이동장치가 최초 위치하는 수평 프레임 상부 면에, 수평프레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 중간부위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회전축용 구멍이 형성된 중간블록; 수평바 양 단부의 하부면에 수직 하방으로 수평프레임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하단에 커넥팅로드용 구멍이 형성된 커넥팅로드 지지블록; 및 지지프레임의 보강프레임에 형성되며, 중간플레이트의 회전축용 구멍과 대향하여 구멍이 형성된 회전축지지블록;을 포함하는 커튼월 고정장치1; 및
    상기 커튼월 고정장치1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장치를 수평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커튼월 고정장치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이 이동이 가능한 커튼월 설치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가이드레일이 더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유도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이 이동이 가능한 커튼월 설치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커튼월 고정장치2는,
    커튼월 고정장치의 중간블록의 구멍을 관통하며, 한쪽 단부는 스토퍼에 의해 상기 중간블록에 부착되고, 다른 단부는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지지블럭을 관통하여 돌출 되어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돌출된 회전축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회전축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바;
    중간블록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축에 삽입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한쪽 단부가 각각 부착되며, 다른 각각의 단부는 커넥팅로드 지지블록의 구멍에 삽입되는 커넥팅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로드가 커넥팅로드블록의 구멍 및 수평프레임에 위치한 커튼월 이동장치의 삽입판에 동시에 삽입되어 커튼월 이동장치가 수평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이 이동이 가능한 커튼월 설치장치.
  9. 제5항에서, 상기 커튼 월 이동수단의 수평이동 및 후크의 상하이동의 속도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조작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이 이동이 가능한 커튼월 설치장치.
  10. 커튼월 이동수단이 수평프레임에 고정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커튼월 설치장치에 지상에서 커튼 월을 설치하는 단계;
    커튼 월이 설치되어야 할 구조물의 특정 층에, 커튼 월 설치장치에 부착된 유도줄을 이용하여 커튼월 설치장치를 양중기를 이용하여 접근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튼 월 설치장치의 한쪽 지지프레임을 상기 특정 층의 상부층에 고정시키는 단계;
    커튼 월 설치장치의 수직봉을 이용하여 커튼월 이동수단이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커튼 월 이동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구조물 외벽 쪽으로 이동시킨 후, 커튼 월을 분리,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설치방법.
  11. (초)고층 건물과 같은 구조물의 중간기계실과 같은 중간복수층 및 상기 중간복수층의 1개층 또는 2개층 위의 상부층을 제외한 구조물의 외벽에 커튼 월을 설치하는 단계;
    커튼월 이동수단이 수평프레임에 고정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커튼월 설치장치에 커튼 월을 설치하고, 상기 상부층에 커튼 월 설치장치를 설치한후, 커튼 월을 커튼월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중간복수층의 외벽에 설치하는 단계;
    중간 복수층의 상부층에 커튼 월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설치방법.
  12. 커튼월 이동수단이 수평프레임에 고정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커튼월 설치장치에 커튼 월을 설치하고, (초)고층 건물과 같은 구조물의 중간기계실과 같은 중간복수층의 1개층 또는 2개층 위의 상부층에 커튼 월 설치장치를 설치하고, 중간복수층에 커튼월설치장치를 이용하여 커튼월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복수층의 상, 하로 구조물의 외벽에 커튼 월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설치방법.
KR1020020033956A 2002-06-18 2002-06-18 일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KR20030096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956A KR20030096870A (ko) 2002-06-18 2002-06-18 일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956A KR20030096870A (ko) 2002-06-18 2002-06-18 일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870A true KR20030096870A (ko) 2003-12-31

Family

ID=3238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956A KR20030096870A (ko) 2002-06-18 2002-06-18 일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68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871A (ko) * 2002-06-18 2003-12-31 삼성물산 주식회사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KR100488589B1 (ko) * 2002-06-18 2005-05-11 삼성물산 주식회사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설치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8958U (ko) * 1991-01-30 1992-08-26
JPH0826664A (ja) * 1994-07-14 1996-01-30 Shimizu Corp 水平搬送装置
JPH09227067A (ja) * 1996-02-28 1997-09-02 Kumagai Gumi Co Ltd 揚重装置
JPH09242336A (ja) * 1996-03-07 1997-09-16 Kajima Corp 建材取付装置
JPH10140718A (ja) * 1996-11-15 1998-05-26 Kajima Corp 外壁パネル取付工法
KR20030096871A (ko) * 2002-06-18 2003-12-31 삼성물산 주식회사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KR20030096872A (ko) * 2002-06-18 2003-12-31 삼성물산 주식회사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8958U (ko) * 1991-01-30 1992-08-26
JPH0826664A (ja) * 1994-07-14 1996-01-30 Shimizu Corp 水平搬送装置
JPH09227067A (ja) * 1996-02-28 1997-09-02 Kumagai Gumi Co Ltd 揚重装置
JPH09242336A (ja) * 1996-03-07 1997-09-16 Kajima Corp 建材取付装置
JPH10140718A (ja) * 1996-11-15 1998-05-26 Kajima Corp 外壁パネル取付工法
KR20030096871A (ko) * 2002-06-18 2003-12-31 삼성물산 주식회사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KR20030096872A (ko) * 2002-06-18 2003-12-31 삼성물산 주식회사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871A (ko) * 2002-06-18 2003-12-31 삼성물산 주식회사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KR100488589B1 (ko) * 2002-06-18 2005-05-11 삼성물산 주식회사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41618A (zh) 一种幕墙型材起吊装置
CN109335949B (zh) 秤杆式平衡臂吊具及其吊装钢梁构件的方法
CN110697590B (zh) 一种用于带电撤立电杆的导线提升装置及地电位撤立杆法
KR100488589B1 (ko)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설치방법
CA1239035A (en) Wall climbing form hoist
CN110761193A (zh) 索塔施工设备
JP2002138659A (ja) 簡易組立型のゴンドラ吊下式作業装置
KR200290596Y1 (ko)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KR20030096871A (ko)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KR20030096870A (ko) 일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커튼 월 설치방법
JPH11147690A (ja) 低空頭鉄筋建込装置
JP2002302382A (ja) 長尺物の鉛直吊り方法
CN113235460B (zh) 用于桥梁悬臂拼装的预制节段荡移法
JPH07895B2 (ja) 鉄筋篭の建込み装置
CN211113216U (zh) 索塔施工设备
CN113944151A (zh) 一种渠式切割装配式地下连续墙施工设备及施工方法
CN220364263U (zh) 一种悬挂式提升施工系统
CN219792148U (zh) 一种地下车站用预制结构全自动吊装装置
JP3920527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
CN215326379U (zh) 一种钻孔灌注桩钢筋笼吊装用钢筋笼
CN217264459U (zh) 一种滑轮组起重设备
JPH04231509A (ja) ケーブルの架設方法
JP6967383B2 (ja) 既存構造物の解体方法
JP2712121B2 (ja) 鉄筋の建込み方法及び、該建込み方法において使用される吊下げ治具及び、案内器具
JP2722264B2 (ja) 構真柱の建入方法および建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