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5883A -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정보 기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정보 기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5883A
KR20030095883A KR1020020033495A KR20020033495A KR20030095883A KR 20030095883 A KR20030095883 A KR 20030095883A KR 1020020033495 A KR1020020033495 A KR 1020020033495A KR 20020033495 A KR20020033495 A KR 20020033495A KR 20030095883 A KR20030095883 A KR 20030095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external device
code
portable information
inform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8051B1 (ko
Inventor
임성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3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051B1/ko
Priority to US10/404,332 priority patent/US7155544B2/en
Priority to DE10317333A priority patent/DE10317333B4/de
Priority to GB0311230A priority patent/GB2391654B/en
Priority to JP2003139418A priority patent/JP2004021983A/ja
Priority to CNB031385044A priority patent/CN1264328C/zh
Publication of KR2003009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051B1/ko
Priority to JP2006183768A priority patent/JP2006318497A/ja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정보 기기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 휴대용 정보 기기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부터 키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데이터를 휴대용 정보기기에 입력가능한 키코드값으로 변환하는 키코드 변환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휴대용 정보 기기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익숙한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므로 데이터 입력속도가 빠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정보 기기 및 그 방법{Portable digital apparatus capable of processing input data from external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 기기의 입력데이터 처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키데이터를 입력하여 처리할 수 있는 휴대용 정보 기기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핸드폰, PDA, 전자수첩 및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정보 기기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특히, PDA기는 개인정보관리 및 통신기능을 갖춘 휴대하기 쉬운 소형 개인용 단말기로써, 휴대폰기능과 전자우편 및 주식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정보화 사회의 필수품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PDA는 작은 크기(예를 들면, 3인치 x 5인치)의 터치스크린패널에 별도의 소프트 키보드 프로그램을 띄워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키를 입력하였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된 키보드 화면이 작고, 입력속도가 느리므로 사용자는 매우 답답함을 느꼈고, 오입력의 가능성 또한 높았다.
또한, 소프트 키보드의 영역만큼 실행중인 타 프로그램의 영역을 가리게 되므로 가려진 컨텐츠 내용을 참조하는데 불편했다. 뿐만 아니라, 입력과정에서 항상 소프트 키보드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비디오 메모리 및 CPU 리소스를 소모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착탈식 키보드장치를 연결하여 키를 입력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착탈식 키보드 제품 대부분은 시리얼 방식으로써, 기본적으로 PnP(Plug and Play)가 지원되지 않아 PDA가 키보드를 인식하기 위해 재부팅과정이 필요하였고, 키보드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매우 번거로웠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을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기기 구입비용을 없애고, 자판 입력이 익숙하므로 사용자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정보 기기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와 외부 기기를 연결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정보 기기에 적용된 PDA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PDA가 외부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의 플로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외부기기150: USB 케이블
200: 휴대용 정보 기기202: 인터페이스부
204: 입력부206: 키코드변환부
207: 문자조합부208: 키매핑테이블
210: 제어부212: 표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기기와 연결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휴대용 정보기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와 키코드 생성체계가 다른 외부기기의 키데이터들을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키코드값들에 매핑하도록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키매핑 테이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기기와 휴대용 정보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기기에 대응되는 키매핑 테이블이 있는지 확인하는 키코드 식별부;및 상기 키매핑 테이블에 의거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키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키코드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키코드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키매핑테이블은 외부기기의 제품 유형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상기 키매핑테이블은 상기 외부기기의 제작회사 또는 상기 외부기기에 사용되는 칩종류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다.
상기 키코드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코드값은 문자입력코드 또는 기능코드중어느 하나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코드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코드값이 문자입력코드인 경우, 상기 휴대용 정보 기기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문자키를 입력한다.
상기 키코드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코드값이 기능코드인 경우, 상기 휴대용 정보 기기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기능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코드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코드값이 문자입력코드중 한글코드인 경우, 상기 키코드 변환부는 상기 키매핑 테이블을 통해 출력된 키코드값을 초성, 중성, 종성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서로 조합하는 문자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외부기기는 휴대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기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휴대용 정보기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정보기기와 키코드 생성체계가 다른 외부기기의 키데이터들을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키코드값들에 매핑하도록 키매핑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외부기기와 휴대용 정보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기기에 대응되는 키매핑 테이블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및 상기 키매핑 테이블에 의거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키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키코드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데이터 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키코드값으로 변환된 코드값은 문자입력코드또는 기능코드중 어느 하나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와 외부 기기를 연결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정보 기기(200)는 USB 케이블(150)을 통해 외부 기기(100)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기기(100)는 휴대폰이 적용될 수 있고, 휴대용 정보 기기(200)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적용될 수 있다.
외부기기(100)가 휴대용 정보기기(200)와 USB 케이블(150)로 연결되면 USB의 초기화과정(Enumeration)을 거쳐 외부기기로부터 디스크립터 정보를 읽어와서 기기제조회사 및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USB 케이블(150)은 외부기기(100)에 접속되어 외부기기(100)로부터 출력되는 키데이터를 접속된 휴대용 정보기기(200)에 전달한다. USB 케이블(150)의 커넥터는 각각 휴대용 정보 기기(200)와 외부 기기(100)에 적합한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기기(100)가 휴대폰인 경우, USB용 데이터 전송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정보 기기에 적용된 PDA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DA(200)는 인터페이스부(202), 입력부(204), 키코드변환부(206), 문자조합부(207), 키매핑테이블(208),제어부(210) 및 표시부(212)를 갖는다.
입력부(204)는 키패널(KeyPanel) 또는 터치패널 등으로 다수의 숫자키 및 예를 들면 방향키, 확인키 등을 포함하는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문자데이터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와 기능키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표시부(212)는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된 문자데이터를 표시하고, 메뉴바를 이동 및 선택하는 것을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202)는 USB 인터페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USB인터페이스는 PnP(Plug and Play)를 지원하므로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휴대폰이 연결되어 있을때, PDA(200)를 재부팅할 필요가 없다.
인터페이스부(202)는 USB케이블(150)을 통해 접속된 휴대폰으로부터 키데이터를 입력하여 버퍼(도시생략)에 저장한다.
키매핑 테이블(208)은 PDA(200)와 키코드 생성체계가 다른 키데이터들을 PDA의 해당 키코드값들에 매핑하여 키코드 생성체계별로 저장하고 있다.
즉, 키매핑테이블(208)은 휴대폰에 내장된 무선 칩 종류(예를 들면, CDMA 방식, GSM방식) 또는 휴대폰의 제작회사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다.
키매핑 테이블(208)은 필요에 따라 매핑테이블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플래쉬롬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은 키매핑 테이블(208)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디바이스의 키데이터 매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문자키/기능키 입력된 키데이터 변환된 키데이터
0xFF00 0xAAF0
0xFF01 0xAAF1
0xFFB0 0xAAE0
0xFFB1 0xAAE1
A 0xFFE0 0x00A0
B 0xFFE1 0x00A1
0 0x0000 0x00C0
1 0x0001 0x00C1
0xAA01 0xFF01
0xAA02 0xFF02
0xAA03 0xFF03
0xAA04 0xFF04
제어부(210)는 입력부(202)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PDA(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키코드 식별부(205)는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휴대폰과 PDA(200)이 연결되면, 외부기기에 대응되는 키매핑 테이블이 있는지 확인한다.
키코드 변환부(206)는 휴대폰으로부터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데이터에 대응되는 키코드값을 상기 키매핑 테이블에 의거하여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키코드 변환부(206)는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휴대폰으로부터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데이터의 생성체계를 식별하여, 입력된 키데이터의 생성체계에 대응되는 키매핑 테이블이 있는지 확인한다. 입력된 키데이터의 생성체계에 대응되는 키매핑 테이블이 있는 경우, 키매핑테이블에 의거하여 입력된 키데이터를 PDA의 키코드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키코드 변환부(206)는 입력된 키데이터를 키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문자코드가 문자입력코드인지 메뉴바 이동/선택코드인지를 인식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문자입력코드인 경우, 입력된 키데이터의 값이 한글코드인지 영문코드인지 확인한다. 만약, 입력된 키데이터가 한글코드이면, 문자 조합부(207)는 키매핑 테이블(208)을 통해 출력된 키코드값을 초성, 중성, 종성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서로 조합한다.
다음은 키코드 변환부(206)가 행하는 코드변환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휴대폰의 키패드에서 "ㄱ", "ㅏ", "A"가 눌러지면, 휴대폰에서 "ㄱ", "ㅏ", "A"에 해당하는 키코드가 발생한다.
여기서, 발생된 키코드는 휴대폰에 내장된 칩종류 또는 휴대폰의 제조회사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ㄱ:0xFF00, ㅏ:0xFFB0, A:0x00E0
발생한 키데이터가 USB 케이블을 통하여 휴대용 정보기기(PDA)로 입력된다.
USB 초기화 단계(Enumeration)에서 인식된 정보기기에 맞는 키매핑 테이블을 검색하여 입력된 키데이터에 대응되는 PDA 인식 가능한 키데이터로 변환한다.
만약, 키데이터가 한글인 경우에 문자조합모듈에서 완성된 한글로 조합한다.
예를 들면, "0xAAF0" + "0xAAE0" → "가"
그리고, 문자코드를 제어부(210)에서 입력받아서 표시부(212)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가""A"문자를 출력한다.
도 3은 도 2의 PDA가 외부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의 플로우도이다.
USB의 초기화과정을 거치면서 외부기기의 종류를 인식한다(단계 S302).
인식된 외부기기에 해당하는 키코드값들이 키매핑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가 확인한다(단계 S304).
그리고, 인터페이스부의 버퍼를 읽는다(단계 S306).
키매핑테이블에서 입력된 키코드값을 검색하여 출력한다(단계 S308).
검색된 코드값을 검사하여 문자코드인지 메뉴 이동/선택코드인지 확인한다(단계 S310).
검색된 코드값이 문자코드일 경우, 코드값을 검사하여, 한글인지 영문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312).
한글인 경우에 문자로 조합하여 완성한다(단계 S314)
키코드값을 제어부에 출력한다(단계 S316)
그러나, 검색된 코드값이 메뉴 이동/선택코드일 경우, 해당 제어를 위한 좌표를 인식한다(단계 S316). 메뉴바 이동 및 선택을 위한 좌표값을 제어부에 출력한다(단계 S318).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정보 기기 및 그 처리방법에 의하면, 외부기기로부터 키데이터를 입력받을수 있고, 입력받은 키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일반 문자 입력작업뿐 아니라 기능키 입력을 통한 메뉴바 이동 및 원하는 메뉴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익숙한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므로 데이터 입력속도가 빠르고 문자 오입력 가능성이 낮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PDA에서 소프트 키보드 프로그램을 띄워서 사용하는 경우에 소모되는 비디오 메모리 및 CPU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외부기기와 연결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휴대용 정보기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와 키코드 생성체계가 다른 외부기기의 키데이터들을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키코드값들에 매핑하도록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키매핑 테이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기기와 휴대용 정보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기기에 대응되는 키매핑 테이블이 있는지 확인하는 키코드 식별부;및
    상기 키매핑 테이블에 의거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키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키코드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키코드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매핑테이블은 외부기기의 제품 유형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매핑테이블은 상기 외부기기의 제작회사 또는 상기 외부기기에 사용되는 칩종류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키코드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코드값은 문자입력코드 또는 기능코드중 어느 하나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키코드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코드값이 문자입력코드인 경우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문자키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키코드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코드값이 기능코드인 경우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기능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코드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코드값이 문자입력코드중 한글코드인 경우, 상기 키코드 변환부는 상기 키매핑 테이블을 통해 출력된 키코드값을 초성, 중성, 종성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서로 조합하는 문자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10. 외부기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휴대용 정보기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정보기기와 키코드 생성체계가 다른 외부기기의 키데이터들을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키코드값들에 매핑하도록 키매핑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외부기기와 휴대용 정보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외부기기에 대응되는 키매핑테이블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키매핑 테이블에 의거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키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키코드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데이터 처리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키코드값으로 변환된 코드값은 문자입력코드 또는 기능코드중 어느 하나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입력데이터 처리방법.
KR10-2002-0033495A 2002-06-15 2002-06-15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정보 기기 및 그 방법 KR100498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495A KR100498051B1 (ko) 2002-06-15 2002-06-15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정보 기기 및 그 방법
US10/404,332 US7155544B2 (en) 2002-06-15 2003-04-02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input data from external device and method thereof
DE10317333A DE10317333B4 (de) 2002-06-15 2003-04-15 Tragbare Informationsvorrichtung die Eingabedaten von einer externen Vorrichtung verarbeiten kann und zugehöriges Verfahren
GB0311230A GB2391654B (en) 2002-06-15 2003-05-15 Portable information device
JP2003139418A JP2004021983A (ja) 2002-06-15 2003-05-16 外部機器から入力されたデータの処理が可能な携帯用情報機器及びその方法
CNB031385044A CN1264328C (zh) 2002-06-15 2003-05-30 可处理外部装置的输入数据的便携式信息装置及其方法
JP2006183768A JP2006318497A (ja) 2002-06-15 2006-07-03 外部機器から入力されたデータの処理が可能な携帯用情報機器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495A KR100498051B1 (ko) 2002-06-15 2002-06-15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정보 기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883A true KR20030095883A (ko) 2003-12-24
KR100498051B1 KR100498051B1 (ko) 2005-07-01

Family

ID=1972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495A KR100498051B1 (ko) 2002-06-15 2002-06-15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정보 기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55544B2 (ko)
JP (2) JP2004021983A (ko)
KR (1) KR100498051B1 (ko)
CN (1) CN1264328C (ko)
DE (1) DE10317333B4 (ko)
GB (1) GB239165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295B1 (ko) * 2007-05-04 2008-07-1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1396B2 (en) * 2002-12-20 2011-10-18 Firefly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dial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4336727A (ja) * 2003-04-17 2004-11-25 Sharp Corp ワイヤレス制御システム、制御機器、被制御機器、機器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TWI305889B (en) * 2004-06-08 2009-02-01 Qisda Corp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user-defined keys
KR100541956B1 (ko) * 2004-06-22 2006-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입력신호를 변환하는 dvd 재생장치 및 그 방법
EP1854220A4 (en) * 2005-01-13 2012-08-08 Alan L Pocrass CELL PHONE WITH FLASH MEMORY AND CONNECTORS MALE AND FEMALE INCORPORATED
WO2008098209A2 (en) * 2007-02-09 2008-08-14 Mobile Complete, Inc. Virtual device interactive recording
KR20080095720A (ko) * 2007-04-24 2008-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코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US8090885B2 (en) * 2008-01-14 2012-01-0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ally configuring computer devices wherein customization parameters of the computer devices are adjusted based on detected removable key-pad input devices
US8320461B2 (en) * 2008-02-20 2012-11-27 Gil Hoon Chang Remote resource access interface apparatus
CN101685425A (zh) * 2008-09-28 2010-03-31 联想(北京)有限公司 移动存储设备及实现移动存储设备加密的方法
US20110260977A1 (en) * 2010-04-23 2011-10-27 Psion Teklogix Inc. Keyboard and computing device for providing a software input panel
US8843358B2 (en) * 2011-02-03 2014-09-23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displayed image information of a mobile media device on a large display and control of the mobile media device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1802Y2 (ko) 1987-10-07 1991-07-05
US5450078A (en) * 1992-10-08 1995-09-12 Intellitools, Inc. Membrane computer keyboard and method
US5387042A (en) 1993-06-04 1995-02-07 Brown; Carl W. Multilingual keyboard system
US5576981A (en) * 1993-11-17 1996-11-19 Intermec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interchangeable keypad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H0816293A (ja) 1994-06-27 1996-01-19 Toshiba Mach Co Ltd キーボード接続装置
US5625673A (en) * 1994-09-22 1997-04-29 Lucent Technologies Inc. Modular communication apparatus
US5623261A (en) * 1995-04-17 1997-04-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lating keyed input within a data processing system
KR100258687B1 (ko) * 1997-12-31 2000-06-15 강병호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갖춘 이동단말기
US6671745B1 (en) 1998-03-23 2003-12-30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and structures in a resource limited operating system
JP2000049957A (ja) * 1998-07-27 2000-02-18 Akira Kobayashi Dtmf信号でのコンピューター入力方式及び装置とコンピューター利用のスケジュール管理方式
CA2244431C (en) * 1998-07-30 2002-02-19 Ibm Canada Limited-Ibm Canada Limitee Touchscreen keyboard support for multi-byte character languages
US6429793B1 (en) * 1998-12-03 2002-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bstraction of input mapping for keyboards
EP1077415A1 (en) 1999-08-19 2001-02-21 Humetrix,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accessing user data records
KR20010107055A (ko) * 2000-05-24 2001-12-07 백경일 휴대하기 쉬운 컴퓨터와 pda 단말기 및 휴대폰용표준자판키보드
KR100353878B1 (ko) * 2000-08-08 2002-09-27 규 호 이 확장형 키패드 제어기및 그 제어방법
KR100368107B1 (ko) * 2000-10-10 2003-01-24 김미래 휴대용 키보드 장치
JP2002157066A (ja) 2000-11-22 2002-05-31 Nec Corp 情報端末システム
KR20020071133A (ko) * 2001-03-05 2002-09-12 권철신 유에스비 포트를 통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인터페이스디바이스 변환장치
US7075520B2 (en) * 2001-12-12 2006-07-11 Zi Technology Corporation Ltd Key press disambiguation using a keypad of multidirectional keys
US6867965B2 (en) * 2002-06-10 2005-03-15 Soon Huat Khoo Compound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dual portion keyboard coupled over a wireless link
US6970109B2 (en) * 2002-07-19 2005-11-29 Clancy Systems International, Inc. Keyboard modification system
CN1192300C (zh) 2002-11-20 2005-03-09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通用串行总线接口的键盘控制电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295B1 (ko) * 2007-05-04 2008-07-1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17333B4 (de) 2006-12-14
CN1264328C (zh) 2006-07-12
CN1469621A (zh) 2004-01-21
GB2391654B (en) 2004-08-11
DE10317333A1 (de) 2004-01-15
JP2004021983A (ja) 2004-01-22
GB2391654A (en) 2004-02-11
US7155544B2 (en) 2006-12-26
GB0311230D0 (en) 2003-06-18
KR100498051B1 (ko) 2005-07-01
US20030236088A1 (en) 2003-12-25
JP2006318497A (ja)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0087B2 (en) Universal keyboard
JP2006318497A (ja) 外部機器から入力されたデータの処理が可能な携帯用情報機器及びその方法
US85084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20040080487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keyboard for thumb typing
KR20020090001A (ko) 착탈가능한 키보드 장치 및 그 키보드 장치가 장착되는개인 휴대 정보기기
KR20100057880A (ko) 데이터 입력 장치
KR20010017203A (ko) 휴대폰의 동작인식장치 및 방법
KR100414143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US20040179041A1 (en) Method for defining functions of keys of a keypad of an electronic device
CN101566906A (zh) 与外部显示装置连结的电子装置
CN101770330A (zh) 手持式电子装置及其运作方法
KR100386944B1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KR20120064739A (ko) 지능형 휴대형 키보드 입력 장치
KR100700803B1 (ko)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503056B1 (ko)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패드 모듈
KR20030030563A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KR102404408B1 (ko) Nfc 신호를 인식하는 입력장치를 이용한 키 설정방법
JP2003141091A (ja) 演算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03092A (ko) 새로운 확장형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310399Y1 (ko) 컴퓨터용 키보드를 이용한 휴대기기 키입력 변환기
KR2005002256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WO20040303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small computing/communications devices
KR20040066666A (ko) 외부기기와 결합 가능한 pda장치
KR20020035401A (ko) 마우스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20030073305A (ko)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