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687B1 -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갖춘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갖춘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687B1
KR100258687B1 KR1019970082577A KR19970082577A KR100258687B1 KR 100258687 B1 KR100258687 B1 KR 100258687B1 KR 1019970082577 A KR1019970082577 A KR 1019970082577A KR 19970082577 A KR19970082577 A KR 19970082577A KR 100258687 B1 KR100258687 B1 KR 100258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mobile terminal
detection signal
accessory device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266A (ko
Inventor
손용태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8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687B1/ko
Publication of KR1999006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결합되는 부속장치에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이동단말기에 등록 저장함으로써 부여된 고유코드를 통해 결합된 부속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된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리셋회로부와, 상기 리셋회로부로부터 검지신호가 인가되면 레지스터 입력단에 결합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로 셋팅되어 있는 코드데이터를 로딩하여 소정의 클럭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코드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 다수의 부속장치에 부여된 고유코드가 등록저장되는 코드저장부와, 상기 부속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코드데이터를 8비트 코드데이터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회로부, 상기 검출신호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레벨의 인에이블신호를 근거로 상기 부속장치의 결합유무를 판정하게 되며, 상기 인터페이스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8비트 코드데이터와 상기 코드저장부에 기등록된 데이터를 비교 판정하여 결합된 부속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Description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기에 결합되는 부속장치에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이동단말기에 등록 저장함으로써 부여된 고유코드를 통해 결합되는 부속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된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이동단말기가 개발되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기는 그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가적인 부속장치를 추가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이 부가되어 사용되는 부속장치는 고속충전기, 핸즈프리 등이 있다.
한편, 상기한 부속장치는 이동단말기에 구비된 연결단자(4단자)에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며, 이 연결단자(4단자)를 통해 인식데이터 및 제어신호 등을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단말기는 결합된 부속장치가 어떤 종류인지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전적으로 부속장치에 의존하여 부속장치가 갖는 전반의 제어동작에 따라 각종 인식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에 결합되는 부속장치의 종류수 만큼 감지신호선을 할당하여야 함으로써, 감지신호선의 개수가 많아짐은 물론 각종 데이터 신호가 송수신되는 커넥터의 단자수가 증가하여 이동단말기를 소형화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부속장치에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이동단말기에 등록 저장함으로써 결합되는 부속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된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구성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Ⅰ :부속장치, Ⅱ :이동단말기,
1 : 리셋회로부, 2 : 검출신호발생부,
3 : 코드설정부, 4 : 인터페이스회로부,
5 : 코드저장부, 6 : 클럭발생부,
7 : 마이크로프로세서, 8 : 커넥터(connector),
R11∼R24, R41∼R43 : 저항,
C11 : 콘덴서, IV11∼IV14 : 인버터,
AND11 : 앤드게이트, FF11 : D플립플롭,
BP11 : 3상태 버퍼, SR11,SR41 : 시프트레지스터,
DSW1∼DSW8 : 딥스위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는 동작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리셋회로부와 이 검지신호를 인가 받아 소정의 검출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검출신호발생부를 구비한 부속장치가 커넥터로 결합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부속장치에 약정된 고유코드가 시프트레지스터의 레지스터 인식단에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로 셋팅되어 결합된 코드설정부와, 상기 부속장치의 코드설정부에 셋팅된 고유코드를 1비트 씩 인가 받아 8비트 코드가 되면 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회로부, 약정된 고유코드를 등록저장하는 코드저장부, 및 상기 검출신호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레벨의 인에이블신호를 근거로 상기 부속장치의 결합유무를 판정하게 되며, 상기 인터페이스회로부로부터 출력된 8비트 코드를 인가 받아 상기 코드저장부에 등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인가된 8비트 코드와 비교 판정함으로써 결합된 부속장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속장치에 소정의 코드를 부여하고 이동단말기에 이를 등록 저장함으로써 이동단말기에 부속장치가 결합되게 되면 부여된 코드를 검색하여 결합된 부속장치가 어떤 종류인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부호 Ⅰ은 부속장치이고, Ⅱ는 이 부속장치(Ⅰ)가 결합되는 이동단말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다.
우선, 부속장치(Ⅰ)측에서, 참조번호 1은 부속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전압(Vcc)을 근거로 상기 이동단말기(Ⅱ)에 부속장치(Ⅰ)가 결합되었음을 알리는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리셋회로부이고, 2는 상기 리셋회로부(1)로부터 인가되는 검지신호를 근거로 소정레벨의 인에이블신호를 이후에 설명할 마이크로프로세서(7)로 출력하는 검출신호발생부, 3은 상기 리셋회로부(1)로부터 검지신호가 인가 됨과 더불어 이동단말기(Ⅱ)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예컨대, 1 MHz 클럭신호가 클럭(CLK)입력단으로 인가되게 되면, 이를 근거로 레지스터 입력단에 셋팅되어 있는 약정된 고유코드를 로딩(lodeing)하여, 예컨대, 1 MHz 클럭신호에 동기시켜 1비트(BIT) 씩 출력하는 코드설정부이다.
한편, 이동단말기(Ⅱ)측에서, 참조번호 4는 부속장치(Ⅰ)와 이동단말기(Ⅱ)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부이고, 5는 다수의 부속장치에 부여되는 약정된 고유코드를 등록 저장하는 코드저장부, 6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예컨대, 1 MHz의 클럭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클럭발생부, 7은 장치전반을 제어하며, 상기 부속장치(Ⅰ)로부터 인가되는 8비트 코드데이터와 상기 코드저장부(5)에 기등록된 코드데이터를 비교 판정하여 결합된 부속장치(Ⅰ)가 어떤 종류인지 판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8은 부속장치(Ⅰ)와 이동단말기(Ⅱ)를 결합시켜 주는 커넥터(Connector)이다.
또한, 도2는 상기한 도1의 요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도2에서, 상기 부속장치(Ⅰ)의 리셋회로부(1)는 전원전압(Vcc)이 제1 및 제2 인버터(IV11,IV12)를 통해 앤드게이트(AND1)의 한 입력단에 결합됨과 더불어 시간지연부(1a)와 제3 인버터(IV13)를 통해 상기 앤드게이트(AND1)의 다른 입력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시간지연부(1a)는 상기 전원전압(Vcc)과 제3 인버터(IV13) 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R11,R12)과, 이 저항(R11,R12)의 접속점과 접지사이에 설치된 충방전용 콘덴서(C1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검출신호발생부(2)는 리셋회로부(1)의 앤드게이트(AND11)의 출력단과 인버터(IV14)를 통해 D플립플롭(FF11)의 클럭입력단에 연결되고, 전원전압(Vcc)이 풀업(pull-up) 저항(R13)을 통해 D플립플롭(FF11)의
Figure 1019970082577_B1_M0001
단과 D단 및
Figure 1019970082577_B1_M0002
단에 결합되며, D플립플롭(FF11)의 출력단(Q)이 3상태 버퍼(BP11)의 인에이블(Enable) 제어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3상태 버퍼(BP11)의 입력단은 접지와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이동단말기(Ⅱ)와 결합되는 커넥터(8a)와 연결되며, 이 연결된 접점노드에 전원전압(Vcc)이 풀업(pull-up) 저항(R14)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코드설정부(3)는 리셋회로부(1)의 앤드게이트(AND11) 출력단과 시프트레지스터(SR11)의
Figure 1019970082577_B1_M0003
단이 연결되고, 이 시프트레지스터(SR11)의 클럭입력단은 기준펄스가 인가되는 커넥터(8b)와 결합되며, 이 결합된 접점노드에 전원전압(Vcc)이 풀업(pull-up)저항(R15)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시프트레지스터(SR11)의 레지스터 입력단(D0 ∼ D7)에 직렬로 딥스위치(Dip Switch) DSW1 ∼ DSW8가 결합되고, 이 결합된 접점노드에 전원전압(Vcc)이 저항 R17 ∼ R24를 통해 연결되며, 시프트레지스터(SR11)의 코드출력단(OUT)은 상기 이동단말기(Ⅱ)와 결합되는 커넥터(8c)와 연합됨과 더불어, 이 연결된 접점노드에 전원전압(Vcc)이 풀업(pull-up)저항(R16)을 통해 결합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Ⅱ) 측의 인터페이스회로부(4)는 상기 검출신호발생부(2)의 출력단과 결합되는 커넥터(8a)와 이후에 설명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7)의 검출신호 입력(IN)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이 결합된 접점노드에 전원전압(Vcc)이 풀업(pull-up)저항(R41)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7)의 클럭출력단이 상기 코드설정부(2)의 클럭입력단과 결합되는 커넥터(8b)와 연결되며, 이 연결된 접점노드에 전원전압(Vcc)이 풀업(pull-up)저항(R42)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이 접점노드에 상기 시프트레지스터(SR41)의 클럭입력단이 결합되고, 상기 코드설정부(3)의 코드출력(OUT)단이 결합되는 커넥터(8c)와 시프트레지스터(SR41)의 코드입력(OUT)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이 연결된 접점노드에 전원전압(Vcc)이 풀업(pull-up)저항(R43)을 통해 결합되며, 시프트레지스터(SR41)의 레지스터 출력단(D0 ∼ D7)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7)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부속장치(Ⅰ)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리셋회로부(1)는 전원전압(Vcc) 하이레벨 신호(도3에 도시된 A)가 인가되게 되면, 제1 인버터(IV11)와 제2 인버터(IV12)를 통해 앤드게이트(AND11)의 입력단으로 하이레벨 신호를 인가하게 되며, 상기 시간지연부(1a)는 제1 저항(R11)과 제2 저항(R12) 사이에 접지와 병렬로 결합된 콘덴서(C11)를 통해 입력되는 하이레벨 신호(도3에 도시된 A)를 비선형 곡선으로(도3에 도시된 B) 증가시키게 되고, 이 비선형 곡선으로(도3에 도시된 B) 증가되는 신호를 제3 인버터(IV13)를 통해 앤드게이트(AND11)의 다른 입력단으로 인가하게 된다.
한편, 이 비선형 곡선(도3에 도시된 B)은 특정 상승지점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로우레벨 신호로 제3 인버터(IV13)를 통해 반전되어 하이레벨 신호로 상기 앤드게이트(AND11)의 다른 입력단으로 인가되나, 특정 상승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제3 인버터(IV13)를 통해 반전되어 로우레벨 신호로, 앤드게이트(AND11)의 제2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앤드게이트(AND11)는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곱하여 하이레벨 신호(도3에 도시된 C)를 출력하게 된다.
이후, 상기 검출신호발생부(12)는 상기 리셋회로부(11)로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 신호(도3에 도시된 C)가 인버터(IV14)를 통해 로우레벨 신호(도3에 도시된 D)로 D플립플롭(FF11)의 클럭입력단으로 인가되게 되며, 이 로우레벨 신호(도3에 도시된 D)의 상승 에지(Edge)때, D플립플롭(FF11)의 출력단(Q)은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어, 상기 D플립플롭(FF11)의 출력단(Q)으로 출력된 하이레벨 신호는 3상태 버퍼(BP11)의 제어단으로 인가되게 되며, 3상태 버퍼(BP11)는 인가된 하이레벨 신호를 근거로 인에이블(Enable) 상태로 전환하여 입력단의 접지전위인 로우레벨 신호(도3에 도시된 E )를 출력단으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코드설정부(3)는 상기 리셋회로부(1)로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 신호(도3에 도시된 C)가 시프트레지스터(SR11)의
Figure 1019970082577_B1_M0003
단으로 인가되게 되면, 이를 근거로 레지스터 입력단의 딥스위치(DSW11 ∼ DSW18)에 셋팅된 스위치의 온/오프 (On/Off) 상태(예컨대 On 이면 '1' 으로 Off 이면 '0')를 로딩(loading)하게 되며, 시프트레지스터(SR11)의 클럭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예컨대, 1 MHz의 기준클럭신호(도3에 도시된 F)에 상기 로딩(loading)된 레지스터의 8비트 코드데이터를 1비트씩 동기시켜 출력(Out)단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어, 이동단말기(Ⅱ)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인터페이스회로부(4)는 상기 부속장치(Ⅰ)의 검출(Detect)신호발생부(2)로부터 소정레벨의 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7)의 검출신호 입력(IN)단으로 인가하게 되며, 상기 클럭발생부(6)로부터 출력되는 예컨대, 1 MHz의 기준펄스를 마이크로프로세서(7)를 통해 출력함과 더불어 시프트레지스터(SR41)의 클럭입력단에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프트레지스터(SR41)는 코드입력(IN)단으로 인가되는 예컨대, 1 MHz의 기준펄스에 동기되어 1비트(bit) 씩 인가되는 코드데이터를 8비트(bit) 코드데이터로 시프트레지스터(SR41)의 출력단(D7 ∼ D0)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7)는 상기 검출신호송출부(2)를 통해 검출(Detect) 신호가 인가되게 되면, 이를 근거로 클럭발생부(6)를 구동제어하게 되며, 이 클럭발생부(6)로부터 생성되는 예컨대, 1 MHz의 클럭신호를 출력단(OUT)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7)는 상기 인터페이스회로부(4)의 시프트레지스터(SR41)로부터 출력되는 8비트 코드신호가 인가되게 되면, 이 8비트 코드신호를 코드저장부(6)에 기등록저장된 부속장치(Ⅰ)에 부여된 8비트(bit) 코드 데이터를 독출하여 비교 판정하게 됨으로써 이동단말기(Ⅱ)에 결합된 부속장치(Ⅰ)를 자동으로 판정하게 된다.
즉, 상기한 1실시예에 의하면, 이동단말기에 부속장치가 결합되게 되면 부속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검출신호 근거로 기준펄스를 발생하여 출력하게 되고, 부속장치는 셋팅된 코드데이터를 이 기준펄스에 동기시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는 기준펄스에 동기되어 출력되는 코드데이터를 기등록된 코드데이터와 비교 판정하여 이동단말기에 결합된 부속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단말기에 부속장치가 결합되어 부속장치에 부여된 소정 코드데이터가 출력되면 이동단말기는 등록저장된 부속장치의 코드데이터를 비교 판정하여 결합된 부속장치가 어떤 종류인지 자동으로 인식함으로써 데이터신호 및 제어신호 등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리셋회로부와,
    상기 리셋회로부로부터 검지신호가 인가되면 레지스터 입력단에 결합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로 셋팅되어 있는 코드데이터를 로딩하여 소정의 클럭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코드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
  2. 리셋회로부와 검출신호발생부 및 코드설정부로 구성된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가 커넥터를 통해 결합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다수의 부속장치에 부여된 고유코드가 등록저장되는 코드저장부와,
    상기 부속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코드데이터를 8비트 코드데이터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회로부,
    상기 검출신호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레벨의 인에이블신호를 근거로 상기 부속장치의 결합유무를 판정하게 되며, 상기 인터페이스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8비트 코드데이터와 상기 코드저장부에 기등록된 데이터를 비교 판정하여 결합된 부속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019970082577A 1997-12-31 1997-12-31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갖춘 이동단말기 KR100258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577A KR100258687B1 (ko) 1997-12-31 1997-12-31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갖춘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577A KR100258687B1 (ko) 1997-12-31 1997-12-31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갖춘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266A KR19990062266A (ko) 1999-07-26
KR100258687B1 true KR100258687B1 (ko) 2000-06-15

Family

ID=1953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577A KR100258687B1 (ko) 1997-12-31 1997-12-31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갖춘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051B1 (ko) * 2002-06-15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정보 기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266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167A (ko) 테스트 모드 진입을 위한 복수의 클럭킹을 가진 반도체 메모리
EP0409241A1 (en) IC card with additional terminal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C card
KR970024134A (ko) 두 차동 클록신호에 의해서 구동된 전압 발생 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voltage generation circuit drove by two different clock signals)
KR940027318A (ko) 단열의 동적 예비충전 부스터 회로
KR19990057715A (ko) 반도체장치의 모드 레지스터 셋 회로 및 동작 모드설정방법
KR920005173A (ko) 칩 동작상에 자동 테스트 모드의 이탈을 가진 반도체 메모리
KR880002082A (ko) 전용 집적 회로
KR100258687B1 (ko) 고유코드가 내장되는 부속장치와 그 부속장치 자동 인식기능을갖춘 이동단말기
GB2294103A (en) Electronic delay detonator
KR890006026A (ko) 자동차전화장치
KR100393472B1 (ko) 스캔테스트용자동리세트바이패스제어
CN100568775C (zh) 光通信用接收电路以及电子设备
JP2006135888A (ja)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EP1429442B1 (en) Circuit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power off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JP2001245476A (ja) 電源装置
KR100287770B1 (ko) 전원 온/오프신호 발생장치
US20230350837A1 (en) Serial peripheral interface compatibility extension switching method and embedded system using the same
US5408139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circuit for generating power-on reset signal
US6147675A (en) Input device for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to a computer game port
EP0570145A1 (en) A control circuit
KR100385119B1 (ko) 무선 원격 제어 수신기를 가지는 키 보드 및 원격 제어를 위한 키 기능을 재설정하는 방법
KR940012883A (ko) 무선전화기의 전원공급회로 및 비밀번호 송수신 방법
KR100207328B1 (ko) 원격조정기 및 원격조정기의 옵션체킹방법
US4916332A (en) Timing and supply bias circuit using one capacitor
KR920004389B1 (ko) 퍼스널컴퓨터의 조정, 재선택 인터페이스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