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295B1 -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295B1
KR100846295B1 KR1020070043479A KR20070043479A KR100846295B1 KR 100846295 B1 KR100846295 B1 KR 100846295B1 KR 1020070043479 A KR1020070043479 A KR 1020070043479A KR 20070043479 A KR20070043479 A KR 20070043479A KR 100846295 B1 KR100846295 B1 KR 100846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keycode
signal
headse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겸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4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은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키코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a); 상기 키코드 제어 신호가 판독 가능한 키코드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상기 키코드 제어 신호가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신호일 경우, 과거의 동작 기록을 조회하는 단계(c); 과거의 동작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d)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블루투스 프로파일과는 무관하게 키 입력에 상응하는 동작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블루투스 헤드셋의 상태에 관계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통화 동작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 장치{Contro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In using Headset}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접속을 시도할 경우의 연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불루투스 헤드셋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접속을 시도할 경우의 연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저장부에서 기록하는 과거의 동작 기록 정보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 절차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셋을 이용 시 헤드셋으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통신 및 컴퓨터 산업은 저비용, 저전력의 무선 장치 또는 무선 링크 등을 개발하여 장치들 간의 연결케이블을 없이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고 있다.
   이에 관한, 다양한 연구 개발 결과 에릭슨(Ericsson)사에서 근거리 전용 통신 프로토콜로서 전문적인 코드인 '블루투스'를 정의하였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는 무선 데이터 전송 기술의 세계적인 표준으로서 PAN(Personal Area Network)과 집, 사무실 및 회의실 등 반경 10m 이내의 환경에서 각종 통신기기 간의 무선 연결을 통한 데이터, 음성 및 영상의 송수신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최근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이동단말기와 컴퓨터, 가전제품 등을 상호 무선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기기 간을 연결하는 복잡한 전선 없이도 양방향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표준으로 블루투스(Bluetooth)가 채택되고 이를 구현한 모듈이 칩(chip)형태로 보급되면서, 컴퓨터나 가전 제품뿐만 아니라 IMT-2000으로 대표되는 3세대 디지털 이동 통신의 중요한 한 구성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있어서 종래의 적외선 표준(IrDA)을 대체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특히, 블루투스 모듈의 부품 수도 줄어들어 주요 칩 제조회사에서는 블루투스의 RF(Radio Frequency)부와 베이스밴드(baseband)부를 각각 하나의 칩으로 묶어서 투칩(two-chip)형태로 하거나 RF부, 베이스밴드부 및 호스트와의 연결을 관장하 는 제어부까지도 하나의 칩으로 묶은 단일 칩 구조를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페이스되어 데이터, 음성 및 MP3와 같은 오디오 데이터을 주고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헤드셋 내장형으로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한 무선 헤드셋은 종래의 유선 헤드셋을 대체하고 있으며, 유선과 달리 사용자의 행동 반경에 큰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으로 인해 그 사용이 더욱 범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종래의 블루트스 헤드셋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악 파일을 청취하거나 음악의 재생 및 중지 등을 제어하는 헤드셋으로서의 기능과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통신 통해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핸즈프리 장치로서 동작한다.
   종래의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는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중 어떠한 장치에서 접속을 시도하는가에 따라 다른 프로파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로 접속을 시도할 경우, 헤드셋 프로파일에 의해 양 장치의 통신이 이루어지며,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접속을 시도할 경우 핸즈프리 프로파일에 의해 양 장치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헤드셋 프로파일과 핸즈프리 프로파일에서의 키 값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바, 헤드셋 장치에서 동일한 버튼이 프로파일이 다를 경우 다른 키 값을 출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에 대해 응답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사용자는 현재 블루투스 헤드셋이 핸즈프리 프로파일로 동작하는지 또는 헤 드셋 프로파일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며, 이와 무관하게 통화키를 눌러 통화를 요청하거나 기타의 제어 명령을 내린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현재 헤드셋의 프로파일과는 관계 없이 통화 버튼을 눌러 통화를 요청하나, 특정 프로파일 모드에서는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가 헤드셋 프로파일에서 통화키가 입력될 경우 통화 동작을 올바르게 수행하나 핸즈프리 프로파일에서는 통화 버튼이 헤드셋에서 눌리더라도 통화 동작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블루투스 프로파일과는 무관하게 키 입력에 상응하는 동작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헤드셋의 상태에 관계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통화 동작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의 버튼 입력에 따른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도출할 수 있을 것 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키코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a); 상기 키코드 제어 신호가 판독 가능한 키코드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상기 키코드 제어 신호가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신호일 경우, 과거의 동작 기록을 조회하는 단계(c); 과거의 동작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블루투스 장치는 헤드셋 장치이며, 상기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은 통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단계(c)는 상기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 신호를 송신한 장치와 동일한 BD 주소 정보를 가진 장치의 동작 기록을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c)는 상기 동일한 BD 주소 정보를 가진 장치 기록 중 헤드셋 프로파일에 의한 통신 동작 또는 통화 동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d)는 상기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 정보 및 상기 과거의 동작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조합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 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키코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판별하는 신호 판별부; 상기 키코드 제어 신호가 판독 가능한 신호일 경우, 상기 키코드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 동작 정보를 기록하는 동작 기록부; 상기 키코드 제어 신호가 판독 불가능한 신호일 경우, 상기 동작 기록부에 기록된 과거 동작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 기록 조회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와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의 동작을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접속을 시도할 경우의 연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은 주변의 통신 가능한 장치를 검색한다(S100).
   검색 결과 블루투스 헤드셋이 발견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연결 설정을 요청한다(S102).
   연결이 수립되면, 블루투스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프로파일 설정 절차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SPP(serial Port Profile), OPP(Object Push Profile)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설정 절차에서 헤드셋 프로파일(HSP: HeadSet Profile) 또는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HandsFree Profile) 중 하나가 설정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헤드셋으로 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헤드셋 프로파일로 설정된다(S104).
   또한, 차후에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한 통화를 위해 SCO(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링크를 수립한다(S106).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오디오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하게 된다.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헤드셋 프로파일로 동작할 경우, 사용자가 헤드셋에서 통화 버튼을 입력할 경우 AT+CKPD 제어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108).
   AT+CKPD 제어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 신호를 통화 신호로 인식하며,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블루투스 헤드셋에 전송한다(S110).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AT+CKPD 신호를 통화에 대한 키코드 신호로 인식하기 때문에, 헤드셋 프로파일로 동작할 경우 통화 버튼의 사용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2는 불루투스 헤드셋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접속을 시도할 경우의 연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헤드셋의 블루투스 모듈은 주변의 통신 가능한 장치를 검색한다(S200).
   검색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견되면, 블루투스 헤드셋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 설정을 요청한다(S202).
   연결이 수립되면, 블루투스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프로파일 설정 절차가 수행된다(S204). 전술한 바와 같이, SPP(serial Port Profile), OPP(Object Push Profile)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핸즈프리 프로파일로 설정된다.
   또한, 음성 통화를 위한 SCO(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링크를 수립한다(S206).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오디오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하게 된다.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즈프리 프로파일로 동작할 경우, 사용자가 헤드셋에서 통화 버튼을 입력하면 AT+BVRA=1 신호가 출력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다(S208).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헤드셋 프로파일의 제어 신호에 맞추어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바, AT+BVRA=1 신호를 통화 신호로 인식하지 않는 바, 이동통신 단말기는 AT+BVRA=1 신호에 대해 응답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통화 버튼을 눌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상응하는 동작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 다른 버튼들을 눌러 통화를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에는 사용자 가 볼륨 업 또는 볼륨 다운 버튼을 눌러, 스피커 볼륨 조절에 상응하는 AT+VGS 신호 및 마이크 볼륨 조절에 상응하는 AT+VGM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S210, S212).
   이와 같이, 핸즈프리 프로파일에서의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신호를 처리할 수 없었으며, 핸즈프리 프로파일에서는 헤드셋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적절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즈프리 프로파일에서 동작할 경우, 헤드셋 이용중 적절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제어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에 펌웨어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칩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모듈은 신호 판별부(300), 동작 제어부(302), 기록 저장부(304) 및 기록 조회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판별부(300)는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신호일 경우, 동작 제어부(302)는 해당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 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특정 음악 파일의 재생 요청 신호일 경우, 동작 제어부(302)는 해당 음악 파일을 재생하며, 재생되는 음악 파일의 오디오 신호는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헤드셋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신호가 아닐 경우, 신호 판별부(300)는 기록 조회부(306)를 호출한다.
   동작 제어부(302)에 의해 특정 동작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동작은 기록 저장부(304)에 의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저장부(304)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메모리에 실행된 동작 정보를 기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저장부에서 기록하는 과거의 동작 기록 정보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과거 동작 기록 정보는 시간 필드(400), BD 주소 필드(402), 프로파일 필드(404) 및 동작 정보 필드(406)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필드(400)에는 동작이 수행된 시간 정보가 기록된다.
   BD 주소 필드(402)에는 해당 동작과 연관된 블루투스 장치의 BD 주소 정보가 기록된다. BD 주소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헤드셋이 블루투스 연결 설정을 할 때 교환되며, 어떠한 블루투스 장치와 통신을 하여 수행된 동작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BD 주소 정보가 기록된다.
   프로파일 필드(404)에는 어떠한 프로파일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졌는지에 대 한 정보가 기록된다. 헤드셋 프로파일일 경우, HSP로 기록될 수 있으며, 핸즈프리 프로파일의 경우, HFP로 기록될 수 있다. 프로파일 필드(404)는 필요에 따라 기록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동작 정보 필드(406)에는 구체적인 동작 정보가 기록된다. 예를 들어, 통화, 재생, 볼륨 업 등과 같은 동작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판별부(300)가 수신한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신호가 아닐 경우, 신호 판별부(300)는 기록 조회부(306)를 호출하며, 기록 조회부(306)는 이와 같이 판독 불가능한 신호가 수신된 회수를 카운팅한다.
   연속하여 미리 설정된 회수 이상 불가능한 신호가 입력될 경우, 기록 조회부(306)는 기록 저장부(304)에 저장된 과거 동작 기록을 조회한다.
   기록 조회부(306)는 현재 판독 불가능한 신호를 전송한 블루투스 장치와 동일한 BD 주소를 가진 장치가 과거에 통화 동작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동일한 BD 주소를 가진 장치가 통화 동작을 수행한 기록이 존재할 경우, 기록 조회부는 판독 불가능한 신호가 통화 요청 신호라고 판단하며, 동작 제어부(302)에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며, 동작 제어부(302)에 의해 통화 동작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핸즈프리 프로파일에 의해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지더라도 과거 기록 조회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진 이력이 있을 경우 부적절한 제어신호가 전송되더라도 통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블루투스 헤드셋의 블루투스 모듈이 주변의 통신 가능한 장치를 검색하는 절차가 수행된다(S500).
   검색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견되면, 블루투스 헤드셋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 설정을 요청한다(S502).
   연결이 수립되면, 블루투스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프로파일 설정 절차가 수행된다(S504). 이때 다양한 프로파일이 설정되며, 블루투스 헤드셋이 먼저 연결 설정을 요청한 것이므로, 핸즈프리 프로파일(HandsFree Profile:HFP)이 설정된다.
   또한, 음성 통화를 위한 SCO(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링크를 수립한다(S506).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즈프리 프로파일로 동작하므로, 사용자가 헤드셋에서 통화 버튼을 입력하면 AT+BVRA=1 신호가 출력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다(S508).
   전술한 바와 같이, AT+BVRA=1 신호는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판독 불가능한 제어 신호이다. 따라서, 이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반응하지 않는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록 조회부를 호출하며, 판독 불가능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회수를 카운팅한다.
   통화 버튼 클릭으로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통화 버튼 또는 다른 버튼을 클릭하여 통화를 하려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용자가 헤드셋을 통해 다시 한번 통화 버튼을 클릭할 경우, 같은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며(S510), 기록 조회부는 통화 버튼 또는 다른 버튼 클릭에 의해 판독 불가능한 제거 신호가 수신되는 회수를 카운팅한다.
   예를 들어, 카운팅 임계 회수가 2회일 경우(S512), 이동통신 단말기는 과거의 동작 기록 정보를 조회하여 헤드셋 프로파일로 연결한 사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4).
   이 동작을 위한 의사 코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If(Keycode== NOT_SUPPORTED)
   {
    Count_not_supported++;
   /*이전에 헤드셋으로 연결한 적이 있다면 통화키 처리한다*/
   if(support_hs_funciton==true && count_not_supported>2)
    process_key_code(REDIAL)’
   }
   과거에 헤드셋 프로파일로 연결한 사례가 있으며, 헤드셋 장치로부터 다시 판독 불가능한 제어 신호가 수신될 경우(S516),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를 통화 버튼으로 처리하여 통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518).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헤드셋 프로파일의 제어 신호에 맞추어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바, AT+BVRA 신호를 통화 신호로 인식하지 않는 바, 이동통 신 단말기는 AT+BVRA 신호에 대해 응답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통화 버튼을 눌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상응하는 동작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 다른 버튼들을 눌러 통화를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에는 사용자가 볼륨 업 또는 볼륨 다운 버튼을 눌러, 볼륨 업에 상응하는 AT+VGS 신호 및 볼륨 다운에 상응하는 AT+VGM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S210, S212).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블루투스 프로파일과는 무관하게 키 입력에 상응하는 동작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헤드셋의 상태에 관계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통화 동작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키코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a);
       상기 키코드 제어 신호가 판독 가능한 키코드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상기 키코드 제어 신호가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신호일 경우, 과거의 동작 기록을 조회하는 단계(c);
       과거의 동작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는 헤드셋 장치이며, 상기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은 통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 신호를 송신한 장치와 동일한 BD 주소 정보를 가진 장치의 동작 기록을 조회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동일한 BD 주소 정보를 가진 장치 기록 중 헤드셋 프로파일에 의한 통신 동작 또는 통화 동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 정보 및 상기 과거의 동작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조합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7.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키코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판별하는 신호 판별부;
       상기 키코드 제어 신호가 판독 가능한 신호일 경우, 상기 키코드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 동작 정보를 기록하는 동작 기록부;
       상기 키코드 제어 신호가 판독 불가능한 신호일 경우, 상기 동작 기록부에 기록된 과거 동작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 기록 조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는 헤드셋 장치이며, 상기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은 통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기록 조회부는 상기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 신호를 송신한 장치와 동일한 BD 주소 정보를 가진 장치의 동작 기록을 조회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기록 조회부는 상기 동일한 BD 주소 정보를 가진 장치 기록 중 헤드셋 프로파일에 의한 통신 동작 또는 통화 동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기록 조회부는 상기 판독 불가능한 키코드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 정보 및 상기 과거의 동작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43479A 2007-05-04 2007-05-04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장치 KR100846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479A KR100846295B1 (ko) 2007-05-04 2007-05-04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479A KR100846295B1 (ko) 2007-05-04 2007-05-04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295B1 true KR100846295B1 (ko) 2008-07-14

Family

ID=3982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479A KR100846295B1 (ko) 2007-05-04 2007-05-04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2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883A (ko) * 2002-06-15 200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정보 기기 및 그 방법
KR20060107007A (ko) * 2005-04-06 2006-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검색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883A (ko) * 2002-06-15 200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정보 기기 및 그 방법
KR20060107007A (ko) * 2005-04-06 2006-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검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2659B2 (en) Duplex audio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US8265293B2 (en) Audio signal output method and apparatu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enabled headset
CN109151789B (zh) 翻译方法、装置、系统以及蓝牙耳机
US20050181826A1 (en) Handheld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in music-playing operation
CN113411793A (zh) 一种蓝牙通信的方法及终端
US20090318081A1 (en) Bluetooth control for voip telephony using headset profile
CN104301399A (zh) 一种语音远程控制音箱的系统及方法
CN102484779A (zh) 经由网络在设备之间共享功能的方法和装置
CN105472778A (zh) 建立无线连接的方法及装置
CN111199743B (zh) 音频编码格式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5101131A (zh) 来电接听方法及装置
US776498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moving noise in transmitting signal and method thereof
KR101034554B1 (ko) 휴대단말의 통화품질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30068821A (ko) 휴대 전화기,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N104796875A (zh) 通话方式选择方法及装置
US20060044120A1 (en) Car audio system and method combining with MP3 player
CN106604204B (zh) 一种远程蓝牙控制终端应用的方法及系统
CN105307226A (zh) 信号源的选择方法、装置及系统
KR20020044892A (ko) 블루투스/코드분할다중접속 이중모드 이동단말기에서의자동 모드전환 방법
KR100846295B1 (ko) 헤드셋 장치 이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처리 방법 및장치
CN109298846B (zh) 音频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247404A1 (zh) 通话控制方法、装置、通话系统、可穿戴设备及可读介质
CN105072485A (zh) 时延控制方法及装置
KR101076500B1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KR100429605B1 (ko)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통신단말기에서 무선 헤드셋의볼륨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