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666A - 외부기기와 결합 가능한 pda장치 - Google Patents

외부기기와 결합 가능한 pda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666A
KR20040066666A KR1020030003795A KR20030003795A KR20040066666A KR 20040066666 A KR20040066666 A KR 20040066666A KR 1020030003795 A KR1020030003795 A KR 1020030003795A KR 20030003795 A KR20030003795 A KR 20030003795A KR 20040066666 A KR20040066666 A KR 20040066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isplay
data
unit
p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6666A/ko
Publication of KR2004006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6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외부 키입력장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및 외부 입력장치와 같은 주변기기와 연결 가능한 PDA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PDA장치는 표시대상 데이터를 표시하며, 스크린을 터치하여 데이터를 입력 가능한 표시부와, 외부 키입력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외부 키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인터페이스부와, 표시부를 통해 표시중인 데이터를 접속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부와, 외부 입력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외부 입력장치와의 상호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제3인터페이스부 및 제1 내지 제3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키입력장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및 외부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PDA장치를 다양한 주변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PDA장치를 더울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기기와 결합 가능한 PDA장치{PDA capable of combinatio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입력장치 및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등과 같은 외부기기와 연결 가능한 PDA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셀룰러폰, PDA, 전자수첩 및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특히, PDA장치는 개인정보관리 및 통신기능을 갖춘 휴대하기 쉬운 소형 개인용 단말기로써, 휴대폰기능과 전자우편 및 주식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정보화 사회의 필수품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PDA는 일정관리, 주소록, 메모장 등과 같은 이동정보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팩스, PC 통신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PDA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 PDA장치는 메인보드가 장착된 본체부(10),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 실행 모습을 표시하는 화면표시장치(20) 및 다수의 기능키가 마련된 키입력부(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화면표시장치(20)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도록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 TSP)을 적용하여 PDA장치에 구비된 전용펜으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종래의 PDA장치의 경우 화면표시장치(20)가 본체부(10)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화면표시장치(20)에 표시되는 정보를 개인이 아닌 다수의 인원에게 보여주기에는 화면표시장치(20)의 크기의 제한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한편, 터치스크린패널의 소정 영역에 소프트 키보드 프로그램을 띄워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데이터나 명령어를 입력하는 경우, 소프트 키보드의 영역만큼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표시영역을 가리게 되어 가려진 컨텐츠 내용을 참조하는데 불편하였다. 더욱이 화면표시장치(20)에 디스플레이 된 키보드 화면이 작아 오입력의 가능성이 높으며, 터치스크린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PDA장치의 전용펜과 같은 키 입력수단은 많은 양의 데이터나 명령어를 입력하는 경우 적합하지 않다. 즉, 문서작성과 같은 많은 분량의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는 자체의 입력수단만으로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표시장치 및 외부 키입력장치와 같은 주변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기기의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PDA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PDA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DA장치에 대한 블록도,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PDA장치와 외부기기와의 결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PDA장치 110 : 입력부
120 : 표시부 130 : 메모리부
140 :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 150 : 외부입력 인터페이스부
160 : 키입력 인터페이스부 170 : 제어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DA장치는 표시대상 데이터를 표시하며, 스크린을 터치하여 데이터를 입력 가능한 표시부와, 외부 키입력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외부 키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중인 상기 데이터를 접속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부와, 외부 입력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외부 입력장치와의 상호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제3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키입력장치,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 키입력장치, 상기 외부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 입력장치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대상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 및/또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대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 및/또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DA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DA장치(100)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부(130),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40), 외부입력 인터페이스부(150), 키입력 인터페이스부(160) 및 제어부(170)를 구비한다.
입력부(110)에는 PDA장치(100)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전원버튼, 방향키버튼 및 빠른 실행 버튼 등 다수의 기능키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부(110)는 PDA장치(100)에 자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의미한다.
표시부(120)는 후술할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표시대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표시부(120)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가 적용된다. 또한, 표시부(120)는 표시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화면 및데이터화면을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PDA장치(100) 전용펜으로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이 적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하여 데이터 또는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PDA장치(100)의 기능을 구현하는 필요한 제어부(170)의 동작 프로그램 및 각종 참조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7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데이터를 접속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제공한다. 도 3a에서와 같이, PDA장치(100)의 일측에 마련된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VGA 케이블(300)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00)와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300)로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 LCD 및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가 적용될 수 있다. VGA 케이블(200)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300) 바로 표시 가능한 수직/수평동기신호 및 RGB 색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있음은 물론이다.
외부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도 3b에서와 같이, 외부 입력장치(400)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외부 입력장치(400)와 제어부(170)간의 상호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외부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표준 RS232C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및 플래시 메모리, 바코드 스캐너, 고속랜카드 등을 장착 가능한 컴팩트 플래시(Compact Fresh :CF) 타입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입력인터페이스부(150)는 도 3b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뿐만 아니라 컴퓨터, 바코드 스캐너 등과 연결 가능하다.
키입력 인터페이스부(160)는 도 3c와 같이, 외부 키입력장치(500)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외부 키입력장치(500)를 통해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전송받아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도 3c는 케이블(600)을 통해 외부 키보드와 연결된 PDA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키입력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키보드뿐만 아니라 게임을 위한 조이스틱이나 조이패드 등과 같은 데이터 키입력장치와 연결 가능함을 물론이다.
전술한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40), 외부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및 키입력 인터페이스부(160)는 각각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00), 외부 입력장치 및 외부 키입력장치와 유선 통신은 물론 무선 통신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70)는 PDA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PDA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40), 외부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및 키입력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접속되면, 접속된 외부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키입력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외부 키입력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데이터 입력모드를 외부 데이터 입력모드로 전환시키고, 외부 키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키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접속되면, 표시대상 데이터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표시부(120) 및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00)에 모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접속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70)는 표시대상 데이터를 표시부(120) 및/또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공한 선택메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 선택신호에 따라 표시대상 데이터를 표시부(120) 및/또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외부 키입력장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200) 및 외부 입력장치와 같은 주변기기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PDA장치(100)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DA장치에 의하면, 키보드와 같은 외부 키입력장치, 텔레비전 및 빔 프로젝터와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및 메모리카드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외부 입력장치 등과 같은 주변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PDA장치를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표시대상 데이터를 표시하며, 스크린을 터치하여 데이터를 입력 가능한 표시부;
    외부 키입력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외부 키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인터페이스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중인 상기 데이터를 접속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부;
    외부 입력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외부 입력장치와의 상호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제3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키입력장치,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 키입력장치,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 입력장치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대상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 및/또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대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 및/또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장치.
KR1020030003795A 2003-01-20 2003-01-20 외부기기와 결합 가능한 pda장치 KR20040066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795A KR20040066666A (ko) 2003-01-20 2003-01-20 외부기기와 결합 가능한 pda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795A KR20040066666A (ko) 2003-01-20 2003-01-20 외부기기와 결합 가능한 pda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666A true KR20040066666A (ko) 2004-07-27

Family

ID=3735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795A KR20040066666A (ko) 2003-01-20 2003-01-20 외부기기와 결합 가능한 pda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66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4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WO2021143805A1 (zh) 一种微件处理方法以及相关装置
KR100593982B1 (ko) 가상 그래피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기록매체
KR100713115B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크린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EP0651544A2 (en) Personal communicator having a touch sensitive contol panel
WO2010008078A1 (ja) 情報端末
US20060022953A1 (en) Left-hand originated user interface control for a device
JP2006318497A (ja) 外部機器から入力されたデータの処理が可能な携帯用情報機器及びその方法
KR20130083195A (ko) 터치를 이용한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5698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모드 변경 장치 및 방법
JP5228651B2 (ja) 携帯端末
JP2015038649A (ja) 電子機器、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
CN101770330A (zh) 手持式电子装置及其运作方法
WO2009098349A1 (en) Cursor creation for touch screen
CN115237274A (zh) 信息处理装置以及控制方法
KR20040066666A (ko) 외부기기와 결합 가능한 pda장치
KR20140055327A (ko) 터치 방식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모니터와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JPH0744306A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
KR1006902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20050087597A (ko) 입력 인터페이스 모드에 따라 전자 터치 인터페이스들을화면과 별도의 영역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JP2001265463A (ja) 情報機器
KR20030093879A (ko)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정보 기기 및그 제어방법
KR20100123061A (ko) 듀얼 모니터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듀얼 모니터 시스템
KR100228806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JP6214618B2 (ja) 情報処理装置、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