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305A -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305A
KR20030073305A KR1020020012795A KR20020012795A KR20030073305A KR 20030073305 A KR20030073305 A KR 20030073305A KR 1020020012795 A KR1020020012795 A KR 1020020012795A KR 20020012795 A KR20020012795 A KR 20020012795A KR 20030073305 A KR20030073305 A KR 20030073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character
selection means
input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명철
Original Assignee
천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명철 filed Critical 천명철
Priority to KR102002001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3305A/ko
Publication of KR2003007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3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는, 자음을 오행 체계에 의해 각각 상, 하, 좌, 우 및 가운데에 대응하여, 상기 대응하는 자음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선택하기 위한 자음 선택 수단; 상기 오행 체계에 의해 설정된 자음을 된소리 또는 겹소리 모드의 체계로 전환시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확장 선택 수단; 상기 자음 선택 수단과 별도로 구성하여 하나 이상의 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모음 선택 수단; 상기 자음 선택 수단 또는 모음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선택값에 대응되는 자음 또는 모음을 합성하여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된 신호로써 소정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각 자음 선택 수단, 확장 선택 수단 및 모음 선택 수단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행글 체계에 의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문자 입력이 용이하며, 자음 입력 체계에 구강 구조와 유사한 방향성을 부여하여 문자의 기억과 입력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
본 발명은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기본 자음의 배열을 구강 구조와 유사한 방향을 가지는 형태로 상, 하, 좌, 우 및 가운데에 배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 보조 장치(PDA; Personal Data Adapter), 개인 통신 시스템(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개인 전화기(Cellular phone) 등과 같은 무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단말기에는 전화를 걸기 위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문자의 입력에 필요한 문자 입력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로는 영문 알파벳, 한글 및 숫자 등이 할당된 복수의 키로 이루어진 키 패널을 사용하여 원하는 문자에 할당된 키를 누름으로서 입력하는 키 패널 방식, 스크린 상에서 펜으로 문자를 쓰면 문자 입력 장치가 탑재된 장비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문자를 인식하는 펜 입력 방식, 스크린 상에 제공되는 키 패널 내의 키를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 방식 등이 있다.
상기 문자 입력 장치 중 터치 스크린 방식 및 펜 입력 방식은, 키 패널 방식에 비해 문자 입력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서 소형화 기기에 적합하고, 인터넷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 보다 큰 표시 화면을 확보하는 데 적합하지만, 키 패널 방식에 비해 제조 비용이 비싸고, 펜이나 손가락 등 입력 수단이 스크린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고가의 스크린이 손상될 위험이 크며, 소프트웨어적인 입력 처리로 인해서 입력 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다.
한편, 키 패널 방식의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이나 키 패널 방식에 비해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기계적으로 이루어져 고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의 키 패널 방식을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의 상단 소정 부분에 스크린(11)이 구비되고, 하단 넓은 부분에 문자 입력을 위한 키 패드(12)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키 패널 방식의 입력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다수의 키들로 이루어져 있어 키 패널이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 소형화 기기에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각 키패드에 대응하는 문자값을 외우기가 어려울 뿐만아니라, 키패드를 암기하고 있다고 할 지라도 불규칙적인 키값의 배열로 인해 문자 입력이 난해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기본 자음의 배열을 구강 구조와 유사한 방향을 가지는 형태로 상, 하, 좌, 우 및 가운데에 배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며, 방향키를 가지는 문자 입력 수단에 상기 오행글 입력 체계를 적용시켜 문자 입력을 구현시키는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체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는,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자음을 오행 체계에 의해 각각 상, 하, 좌, 우 및 가운데에 대응하여, 상기 대응하는 자음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선택하기 위한 자음 선택 수단; 상기 오행 체계에 의해 설정된 자음을 된소리 또는 겹소리 모드의 체계로 전환시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확장 선택 수단; 상기 자음 선택 수단과 별도로 구성하여 하나 이상의 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모음 선택 수단; 상기 자음 선택 수단 또는 모음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선택값에 대응되는 자음 또는 모음을 합성하여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된 신호로써 소정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각 자음 선택 수단, 확장 선택 수단 및 모음 선택 수단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선택 수단은 상기 자음 선택 수단과 별도로 구비되어 확장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확장 선택 수단은 상기 자음 선택 수단의 좌상, 좌하, 우상 및 우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음 선택 수단은 천지인 체계에 대응하는 천, 지 및 인의 모음 기본 구성 문자로 구분하여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음 선택 수단은 무선 단말기의 버튼 형태를 가진 키패드에 상기 오행글 입력체계를 상, 하, 좌, 우 및 가운데의 위치를 상기 키패드의 각 버튼에 대응시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려고 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의 정면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10)의 입력장치로 스틱형 자음 입력 장치(20) 및 모음 입력 장치(30)를 구비함으로써 일반적인 표시 창보다 넓은 표시장치(11)를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음 입력 장치(20)는 작은 스틱형의 방향키(21)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방향키(21)를 상, 하, 좌 및 우로 움직이거나 중앙상태에서 누름으로써 오행글 입력 체계(이하,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함)에 의한 자음을 입력시킬 수 있다.
또한, 모음 입력 장치(30)는 별도로 구비하며, 천지인 모음 입력 체계에 의한 천(31), 지(32), 인(33) 입력 버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음 입력 체계는 천지인 입력 체계가 아닌 다른 입력 체계를 본 발명에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자명한 것이다.
상기 자음 입력 장치(20) 및 모음 입력 장치(30)의 위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상기 도 2와 다른 위치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자음 입력 장치(20)를 단말기의 키패드 부분 좌측에 위치시키며, 모음 입력 장치(30)를 우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기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문자 입력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는, 자음 선택 수단(20), 모음 선택 수단(30), 감지수단(40), 제어수단(50), 표시수단(60) 및 저장수단(70)으로 구성된다.
자음 선택 수단(20)은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방향성을 가지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 하, 좌 및 우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각 방향에 위치한 접합부와 접합이 가능한 방향키(21)를 구비한다. 즉, 상기 방향키(21)를 상, 하, 좌 및 우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방향키(21)와 각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단 접합부(22), 하단 접합부(24), 좌측 접합부(25) 및 우측 접합부(23)들과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방향키(21)를 상기 각 방향별 접합부(22 내지 25)에 접촉시킴으로써, 각 접합부와 연결된 라인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가 감지수단(40)에 전달되며, 상기 전달된 신호는 제어수단(50)으로 전송되어 상기 각 접합부에 대응되는 오행글 체계에 대응되는 고유한 문자값으로 표시수단(60)에 의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저장수단(70)에는 감지 수단(40)으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신호의 각 조합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오행글 문자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음 선택 수단(20)으로 입력 가능한 자음을 확장시키기 위해 확장 선택 수단(34)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확장 선택 수단(34)에 의한 모드 변경에 의해 기본 자음이 덧자음, 겹자음 및 덧겹자음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오행글 체계에 의한 기본 자음 체계 및 확장 자음 체계는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추가적으로, 오행글 체계에 의한 자음 입력시 가운데 선택은 상기 방향키(21)를 누름으로써 신호값을 전달하는 방법(미도시)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오행글 체계에 의한 자음 입력은 종래의 12버튼 체계를 가지고 있는 문자 입력판에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가운데 입력 신호는 숫자키 '5'에 대응시키며, 상, 하, 좌 및 우 방향의 입력 신호는 각가 '2', '8', '4' 및 '6'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모음 선택 수단(30)은 천지인 입력체계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형태의 입력체계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즉, 천(31), 지(32), 인(33) 입력 키를 구비하여, 모음을 입력시킴으로써, 입력된 상기 모음 신호가 감지수단(40)을 통해, 제어수단(50)으로 전달되며, 표시수단(60)에 의해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자음 입력 장치를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8방향으로 확장하여 적용함으로써, 확장 선택 수단(34)을 별도로 구비하 지 않고도 모든 자음 체계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 하, 좌 및 우 방향의 자음 입력값은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현하며, 좌상 접합부(29), 좌하 접합부(28), 우상접합부(26) 및 우하 접합부(27)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추가된 접합부에 방향키(21)가 접촉할 때, 기 할당된 문자 확장 신호가 감지 수단(40)을 통해 제어수단(50)으로 전송된다. 상기 문자 확장 신호에 할당되는 문자 값은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각 부분의 동작은 상기 도 3에서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체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람의 구강구조에 대응되는 값을 상, 하, 좌, 우 및 가운데 값에 대응시킴으로써 문자 배열의 기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판(80)의 상단에는 'ㄴ', 하단에는 'ㅇ', 좌측에는 'ㅅ', 우측에는 'ㄱ' 및 가운데에는 'ㅁ'을 대응시킬 수 있다. 상기 5가지의 자음을 기본으로 하여 덧자음(81a, 82a), 겹자음(83a) 및 덧겹자음(84a)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다.
상기 자음의 확장은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확장 선택 수단(34)에 의해서 구현하거나, 상기 도 4에서 상술한 8방향 입력체계에 의한 자음 선택 수단(20)에 의해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확장 수단에 의한 확장에 의해 상, 하, 좌, 우 및 가운데 입력 신호값은 각각 81b, 82b, 83b 및 84b의 문자판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자판의 배열은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구현에 따라 배열의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음 입력 체계에 구강 구조와 유사한 방향성을 부여한 오행글 체계에 의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문자의 기억과 입력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이스틱과 같은 방향성을 가지는 입력 수단에 상기 방향성을 부여한 오행글 체계의 문자코드를 적용시킴으로써, 간단한 키조작으로 다양한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자음을 오행 체계에 의해 각각 상, 하, 좌, 우 및 가운데에 대응하여, 상기 대응하는 자음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선택하기 위한 자음 선택 수단;
    상기 오행 체계에 의해 설정된 자음을 된소리 또는 겹소리 모드의 체계로 전환시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확장 선택 수단;
    상기 자음 선택 수단과 별도로 구성하여 하나 이상의 모음을 선택하기 위한 모음 선택 수단;
    상기 자음 선택 수단 또는 모음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선택값에 대응되는 자음 또는 모음을 합성하여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된 신호로써 소정의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각 자음 선택 수단, 확장 선택 수단 및 모음 선택 수단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행글 입력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선택 수단은,
    상기 자음 선택 수단과 별도로 구비되어 확장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행글 입력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선택 수단은,
    상기 자음 선택 수단의 좌상, 좌하, 우상 및 우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행글 입력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선택 수단은,
    천지인 체계에 대응하는 천, 지 및 인의 모음 기본 구성 문자로 구분하여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행글 입력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선택 수단은,
    무선 단말기의 버튼 형태를 가진 키패드에 상기 오행글 입력체계를 상, 하, 좌, 우 및 가운데의 위치를 상기 키패드의 각 버튼에 대응시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행글 입력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KR1020020012795A 2002-03-09 2002-03-09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KR20030073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795A KR20030073305A (ko) 2002-03-09 2002-03-09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795A KR20030073305A (ko) 2002-03-09 2002-03-09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305A true KR20030073305A (ko) 2003-09-19

Family

ID=3222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795A KR20030073305A (ko) 2002-03-09 2002-03-09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33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9798A (ko) *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리모컨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9798A (ko) *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리모컨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9701B2 (en) Device interface
JPWO2003107632A1 (ja) 電子機器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20030073305A (ko) 오행글 입력 체계에 의한 문자 입력 장치
KR20000051881A (ko) 전화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70698B1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10107066A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KR19990007518A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KR100378986B1 (ko) 전화기의 키패드와 문자입력방법
KR100829782B1 (ko)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JP2000305704A (ja) データ入力装置
KR100451191B1 (ko) 휴대단말기용 키 패드의 한글 문자 배열 구조
KR100391577B1 (ko) 방위형 문자 입력 장치
KR1004113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KR100306486B1 (ko) 문자입력이용이한이동전화기의제어방법
KR100606758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409278B1 (ko) 문자 입력 방법
AU2012200999B2 (en) Improved device interface
KR200369339Y1 (ko)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KR2005001504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KR100844934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648348B1 (ko) 전자기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40044238A (ko) 다중문자 입력방법
KR2006004421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