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972A - 정보 배신 시스템 및 자동 개찰기 - Google Patents

정보 배신 시스템 및 자동 개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972A
KR20030093972A KR10-2003-0033259A KR20030033259A KR20030093972A KR 20030093972 A KR20030093972 A KR 20030093972A KR 20030033259 A KR20030033259 A KR 20030033259A KR 20030093972 A KR20030093972 A KR 20030093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livery
passage
medium
ti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케베카즈히코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97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된 승차권, 예를 들면, 정기 승차권, 차표, 프리페이드 카드의 종류에 관계 없이, 자동 개찰기의 통로를 통행한 이용자에게 정보를 배신할 수 있는 정보 배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자동 개찰기(11)는, 승차권(8) 및 회원 카드(7)의 2장의 표가 본체에 투입되면, 투입된 승차권(8)에 기억되어 있는 승차권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 개찰기(11)의 통로의 통행 가부를 판단한다. 자동 개찰기(11)는, 통로의 통행 가능이라고 판단한 경우, 정보 배신 장치(21)로 회원 카드(7)으로부터 판독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배신 요구를 출력한다. 정보 배신 장치(21)는, 배신 요구를 수신하면, 해당 배신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코드로 식별된 이용자(5)에게 배신 메일을 송신한다.

Description

정보 배신 시스템 및 자동 개찰기{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AUTOMATIC WICKET APPARATUS}
본 발명은, 회원 등록한 이용자에게 정보를 배신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 및 이 정보 배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동 개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상품, 점포, 이벤트, 지역 등에 관한 정보(이하, 배신 정보라고 한다)를 회원 등록하고 있는 이용자(이하, 등록자라고 한다)에게 배신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이 있다. 종래의 정보 배신 시스템에서는, 회원 등록시에 이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연령, 성별, 취미, 기호 등)나, 배신 정보의 배신처 등이 정보 배신 장치에 등록된다. 정보 배신 장치는, 등록자마다에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다수의 배신 정보 중에서 취미, 기호에 맞은 배신 정보를 추출하고, 여기서 추출한 배신 정보를 등록되어 있는 배신처로 배신하고 있다.
상기 배신 정보의 배신처로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의 전자 메일 어드레스(이하, 단지 메일 어드레스라고 한다)를 등록하고, 외출중의 등록자에 대해 거처에 따른 배신 정보를 배신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정보 배신 시스템에는, 역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 개찰기를 등록자의 거처의 검출에 이용한 시스템이 있다. 이 정보 배신 시스템에서는, 자동 개찰기의 통로를 통과하여 역 구내로 입장, 또는 역 구내로부터 퇴장한 이용자가 등록자라면, 입장 또는 퇴장한역 부근을 그 등록자의 현재의 거처로서 검출하고 있다.
자동 개찰기의 통로를 통과한 이용자의 특정에는, 정기 승차권이 이용되고 있다. 정기 승차권에는 이용자(해당 정기 승차권의 소유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코드가 기억되어 있다. 자동 개찰기가 본체에 투입된 정기 승차권으로부터 식별 코드를 판독한다. 등록자에게 배신 정보를 배신하는 정보 배신 장치에는, 등록자마다 정기 승차권의 식별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자동 개찰기는, 자기(自機)의 식별 코드, 정기 승차권의 식별 코드 등을 정보 배신 장치로 출력한다. 정보 배신 장치는, 자동 개찰기로부터 보내져 온 정기 승차권의 식별 코드로부터, 자동 개찰기의 통로를 통과한 이용자가 등록자인지의 여부, 또한 등록자라면 그 인물을 특정한다. 또한, 정보 배신 장치는 자동 개찰기로부터 보내져 온 자동 개찰기의 식별 코드로부터 해당 자동 개찰기가 설치되어 있는 역을 특정함으로써, 등록자의 현재의 거처를 검출한다. 정보 배신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등록자 및 등록자의 현재의 거처를 특정하면, 그 등록자의 속성 정보 및 현재의 거처에 따른 배신 정보를, 등록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의 메일 어드레스로 배신이다.
이로써, 등록자에 대해, 해당 등록자의 속성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의 거처에 따른 배신 정보를 배신할 수 있기 때문에, 등록자가 이후의 행동을 결정하는데유익한 정보의 제공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개평8-18523호에, 상술한 정보 배신 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 자동 개찰기를 적용한 정보 배신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등록자의 거처의 검출에 정기 승차권을 이용하고 있다. 자동 개찰기의 통로를 통과하여 역 구내로 입장하거나, 역 구내로부터 퇴장하는 이용자 중에는, 정기 승차권이 아니라, 차표나 프리페이드 카드 등, 다른 종류의 승차권을 사용하는 사람도 많다. 차표나 프리페이드 카드에는,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표나 프리페이드 카드로 자동 개찰기의 통로를 통과한 이용자를 특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차표나 프리페이드 카드로 자동 개찰기의 통로를 통과하는 이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정보 배신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승차권으로서 이용 가능한 프리페이드 카드로서는, 회수권 방식의 것이나, 금액 방식의 것이 실용화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개찰기 통로의 통행에 사용되는 제 1의 매체, 예를 들면 정기 승차권, 차표, 프리페이드 카드의 종류에 관계없이, 통로를 통행한 이용자에게 배신 정보를 배신할 수 있는 정보 배신 시스템 및 이 정보 배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동 개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정보 배신 시스템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배신 정보의 배신 요구를 수신한 때, 해당 배신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배신처에 상기 배신 정보를 배신하는 정보 배신 장치와,
본체에 투입된 제 1의 매체로부터 통로의 통행 가부의 판단에 이용하는 통행 정보를 판독하고, 본체에 투입된 제 2의 매체로부터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매체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매체 정보 판독 수단이 상기 제 1의 매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통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로의 통행 가부를 판단하는 통행 가부 판단 수단과,
상기 정보 배신 장치에, 상기 매체 정보 판독 수단이 상기 제 2의 매체로부터 판독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배신 요구를 출력하는 배신 요구 출력 수단을 갖는 자동 개찰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자동 개찰기의 매체 정보 판독 수단이, 장치 본체에 투입된 제 1의 매체로부터 통로의 통행 가부의 판단에 이용하는 통행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장치 본체에 투입된 제 2의 매체로부터 식별 코드를 판독한다. 예를 들면, 이 자동 개찰기가 역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 개찰기인 경우, 상기 제 1의 매체는 정기 승차권, 차표, 프리페이드 카드 등이고, 상기 통행 정보는 제 1의 매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유효 기간, 유효 구간, 발행 역, 발행 금액, 이용 가능 잔여 회수, 이용 가능 잔액 등, 역 구내로의 입장, 또는 역 구내로부터의 퇴장 가부를 판단할수 있는 승차권 정보이다. 또한, 제 2의 매체는, 회원 등록을 행한 이용자(등록자)에게 발행되는 회원 카드로서, 이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식별 코드를 기억하고 있다.
자동 개찰기의 통행 가부 판단 수단이, 제 1의 매체로부터 판독한 통행 정보에 의거하여 통로의 통행 가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승차권 정보에 의거하여, 이용자의 역 구내로의 입장, 또는 역 구내로부터의 퇴장 가부를 판단한다. 또한, 배신 요구 출력 수단이, 제 2의 매체로부터 판독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배신 정보의 배신 요구를 정보 배신 장치로 출력한다.
정보 배신 장치는, 자동 개찰기로부터 보내져 온 배신 요구를 수신하면, 해당 배신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배신처로 배신 정보를 배신한다. 정보 배신 장치에는, 식별 코드마다에 배신 정보의 배신처을 대응시킨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회원 등록을 행한 이용자에 대해, 상기 제 2의 매체를 발행함으로써, 자동 개찰기의 통로를 통행할 때에 사용하는 제 1의 매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배신 정보를 배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 개찰기 통로의 통행에 차표나 프리페이드 카드를 사용한 이용자에 대해서도, 제 2의 매체가 발행되어 있는 등록자라면 배신 정보를 배신할 수 있고,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다.
또한, 자동 개찰기의 배신 요구 출력 수단은, 통행 가부 판단 수단에서의 이용자의 통로의 통행 가부의 판단 결과가 불가라면, 정보 배신 장치로의 배신 요구의 송신을 행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역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 개찰기가 이용자에 대해 통로의 통행 불가라고 판단하는 원인의 대부분은, 이용자가 유효 구간 외의 승차권이나 유효 기간이 끝난 승차권 등, 부적절한 승차권을 투입한 것으로, 이 경우 이용자는 적정한 승차권을 입수하고, 재차 자동 개찰기에 금회에 입수한 적정한 승차권을 투입하고, 자동 개찰기의 통로를 통행한다.
또한, 적정한 승차권의 입수란, 예를 들면 승차권 판매기에서 차표를 구입하거나, 정산기에서 정산하여 정산권을 취득하는 것이다.
여기서, 자동 개찰기가 통로의 통행 불가라고 판단한 때에 정보 배신 장치로 배신 요구를 출력하는 구성이라면, 통로의 통행 불가라고 판단된 이용자에 대한 배신 요구가 단시간(수 분) 사이에 2회 출력된다. 이 때문에, 이 이용자에 대해 정보 배신 장치로부터 배신 정보가 단시간(수 분) 사이에 2회 배신되고, 이 2회의 배신에서 같은 배신 정보가 배신될 가능성이 높다. 이용자는, 수 분의 사이에 같은 배신 정보가 2회 배신되어 오면, 번거로움을 느낄 뿐이다. 또한, 정보 배신 장치의 부하를 필요없이 증대시키는 것으로도 된다.
따라서 통행 가부 판단 수단에서의 판단 결과가 이용자의 통로의 통행 불가였던 때, 배신 요구 송신 수단에 의한 정보 배신 장치로의 배신 요구의 송신을 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저하 및 정보 배신 장치의 부하를 필요없이 증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의 매체, 또는 상기 제 2의 매체의 한쪽이 투입되고 나서,소정 시간 경과하기 까지 다른쪽의 매체가 투입되지 않았던 경우에, 상기 배신 요구의 출력을 중지한다. 즉, 상기 제 1의 매체, 또는 상기 제 2의 매체의 한쪽이 투입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기 전에 다른쪽의 매체가 투입된 경우에 상기 배신 요구를 출력한다. 제 1의 매체와 제 2의 매체를 투입한 이용자가 동일 인물인 경우, 이들의 매체가 투입되는 간격이 비교적 단시간이기 때문에, 이용자가 투입한 제 1의 매체와, 제 2의 매체를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의 매체와 제 2의 매체를 투입한 이용자에 대해서만 배신 정보를 배신할 수 있다. 제 2의 매체만 투입한 이용자에게 배신 정보를 배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정보 배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정보 배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속성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회원 카드 및 차표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배신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자동 개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자동 개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자동 개찰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자동 개찰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정보 배신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정보 배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신 정보 및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배신 메일을 수신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역 2 : 정보 배신 센터
11 : 자동 개찰기 21 : 정보 배신 장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자동 개찰기 및 정보 배신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정보 배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배신 시스템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자동 개찰기가 적용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역이고, 부호 2는 정보 배신 센터이다. 역(1)에는, 자동 개찰기(11), 자동 정산기(12), 승차권 판매기(13)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동 개찰기(11), 자동 정산기(12), 승차권 판매기(13)는, 역(1)에서의 승강객을 관리하는 호스트 장치(14)에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장치(14)는, 전용선 또는 공중 회선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철도 회사의 서버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정보 배신 센터(2)에는, 정보 배신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역(1)에 설치되어 있는호스트 장치(14) 및 정보 배신 센터(2)에 설치되어 있는 정보 배신 장치(21)는, 공중 회선망(3)을 통하여 인터넷(4)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14)와 정보 배신 장치(21)는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호스트 장치(14)와 정보 배신 장치(21)와의 통신로는, 전용선이라도 좋고, 공중 회선망(3)이나 인터넷(4)을 통한 경로라도 좋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 5는 이용자이고, 부호 6은 해당 이용자(5)가 소유하는 휴대 전화기이다. 휴대 전화기(6)는 인터넷(4)에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다. 휴대 전화기(6)에는 인터넷(4)을 통하여 전자 메일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메일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다. 부호 7은 회원 카드(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의 매체)이고, 부호 8은 승차권(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의 매체)이다. 차표, 정기 승차권, 회수권 방식의 프리페이드 카드, 금액 방식의 프리페이드 카드, 나아가서는 정산기(12)에서 발권된 정산권이 승차권(8)이다.
이용자(5)는, 회원 카드(7) 및 승차권(8)을 소지하고 있다. 이용자(5)가 회원 카드(7) 및 승차권(8)을 자동 개찰기(11)에 투입하면, 자동 개찰기(11)가 그 정보을 판독한다. 자동 개찰기(11)가 여기서 판독한 정보가 정보 배신 센터(2)의 정보 배신 장치(21)로 송신되고, 정보 배신 장치(21)가 이용자(5)가 소유하는 휴대 전화기(6)로 배신 정보를 배신한다.
도 2는 정보 배신 장치(2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정보 배신 장치(21)는,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11)와, 이용자에게 배신하는 배신 정보를 기억하는 배신 정보 기억부(212), 이용자마다에 식별 코드에 대응시켜 성명,연령, 성별, 취미, 기호 등의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속성 정보 기억부(213)와, 배신 정보를 이용자에게 송신(배신)하는 송신부(214)와,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5)를 구비하고 있다.
배신 정보 기억부(212)에 기억되어 있는 배신 정보는, 기업이나 점포 등의 광고, 뉴스, 일기 예보, 교통 정보 등, 다양한 종류의 정보이다. 정보 배신 장치(21)는 인터넷(4)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배신 정보를 취득하고, 배신 정보 기억부(212)에 기억하고 있다. 속성 정보 기억부(213)에는, 이용자(5)마다에 이용자(5)를 식별하는 이용자 식별 코드와 해당 이용자(5)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다. 속성 정보는, 이용자의 성명, 연령, 성별, 직업, 배신을 희망하는 배신 정보의 종류별, 배신을 희망하지 않는 배신 정보, 열차의 시각표 배신의 필요/불필요, 열차의 지연 안내 배신의 필요/불필요, 배신 정보의 송신처(휴대 전화기(6)의 메일 어드레스), 승차시의 배신 희망의 유무, 하차시의 배신 희망의 유무, 주로 이용하는 승차 구간(경유 역을 포함한다), 자택의 전화번호, 근무처의 전화번호 등이다(도 3 참조). 속성 정보 기억부(213)에 이용자 식별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이용자가, 본 실시 형태의 정보 배신 시스템에 의한 배신 정보의 배신을 희망하는 것을 등록한 등록자이고, 해당 등록자에게는 회원 카드(7)가 발행되어 있다. 회원 카드(7)는, 이용자 식별 코드를 자기(磁氣) 데이터로 기억한 자기 카드이다(도 4(A) 참조).
정보 배신 장치(21)의 배신 정보 기억부(212)에는, 복수의 배신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배신 정보에는, 배신하여도 좋은 이용자(5)와, 배신을 금지하는이용자(5)를 구별하기 위한 배신 조건이 붙어져 있다. 이 배신 조건은, 배신 정보의 제공자인 광고주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성용의 배신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배신하는 이용자(6)를 여성으로 한정하는 배신 조건을 붙여서 남성에게 배신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령층(20대, 30대 등)이나, 배신 회수 등도 배신 조건으로서 붙일 수 있다.
도 5는 배신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배신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신 정보 기억부(212)는, 배신 조건(도 5(A) 참조)과 배신 정보(도 5(B) 참조)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다. 또한, 배신 정보에는 해당 배신 정보를 식별하는 배신 정보 번호가 주어져 있다. 도 5에 도시한 예는, 배신 정보를 배신하여도 좋은 이용자를, 여성, 연령을 20 내지 29세로 제한한 배신 조건이다. 또한, 배신 정보의 유효 기간은 2001년 9월 1일 내지 2001년 10월 31일의 기간으로 한정되어 있다. 상기 유효 기간을 지나면, 이 배신 정보가 이용자(5)에게 배신되는 일은 없다. 배신 제한 회수는 300회로서, 총계 301인 이상의 이용자(5)에게 배신되는 일은 없다. 또한, 배신 정보 번호는 K0001이다.
자동 개찰기(11)는, 이용자(5)의 역 구내로의 입장, 역 구내로부터의 퇴장을 제한하는 장치로서, 역(1)의 개찰구에 설치되어 있다. 자동 정산기(12)는 지나치게 탄 사용자(5)가 역 구내로부터 퇴장할 때에 지나치게 탄분의 운임을 정산하고, 정산권을 취득하는 장치이고, 승차권 판매기(13)는 지금부터 역 구내로 입장하는 이용자(5)가 승차 구간에 따른 차표를 구입하는 장치이다. 승차권 판매기(13)에서 발행된 차표에는, 발권역, 발권 금액, 유효 기간(보통은 발권일) 등을 나타내는 승차권 정보(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행 정보에 상당한다)가 자기 데이터로 기억되어 있다(도 4(B) 참조).
또한, 상기 차표 이외에도 정기 승차권, 회수권 방식의 프리페이드 카드나, 금액 방식의 프리페이드 카드, 나아가서는 정산기(12)에서 발권된 정산권 등이, 자동 개찰기(11)에 승차권 정보를 기억한 매체(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의 매체)로서 투입된다. 상기 복수 종류의 승차권 정보를 기억한 매체를, 이하 총칭하여 승차권(8)이라고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자동 개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동 자동 개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자동 개찰기(1)는,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1)와, 동작시에 이용하는 정보나, 동작시에 발생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112)와, 현재의 시간을 계시하는 계시부(113)와, 호스트 장치(14)로 정보를 출력하는 송신부(114)와, 정기 승차권이나 차표 등의 승차권(8)이나 회원 카드(7)가 본체에 투입된 것을 검출하는 투입 검출부(115)와, 본체에 투입된 승차권(8)이나 회원 카드(7)을 반송하는 반송부(116)와, 반송되고 있는 승차권(8)이나 회원 카드(7)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부(117)와, 이용자(6)의 통행을 제한하는 문(118a)을 개폐하는 문 구동부(118)를 구비하고 있다. 자동 개찰기(11)는, 문(118a)을 닫음으로써, 해당 자동 개찰기(21)에 의해 구성된 통로를 폐쇄하여 이용자(5)가 통로를 통행하는 것을 금지한다(이용자(5)의 역(1)으로의 입장 또는 역(1)으로부터의 퇴장을 금지한다).
자동 개찰기(11)는, 통로의 입구의 우측에 승차권(8)이나 회원 카드(7)을 투입하는 투입구(116a)를 구비하고, 출구의 우측에 본체에 투입된 승차권(8)이나 회원 카드(7)를 방출하는 방출구(116b)를 구비하고 있다. 투입구(116a)와 방출구(116b)와의 사이에는, 승차권(8)이나 회원 카드(7)를 반송하는 반송로(116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116c)의 도중에는, 투입구(116a)에 투입된 차표나 정산권을 회수 박스(도시 생략)로 반송하기 위한 회수로(도시 생략) 및 투입구(116a)에 투입된 차표의 반송처를 방출구(116b) 또는 회수 박스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반송로 전환 기구부(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투입구(116a)에는, 승차권(8)이나 회원 카드(7)의 투입을 검지하는 투입 검지 센서(115a)가 마련되어 있다. 이 투입 검지 센서(115a)가 승차권(8)이나 회원 카드(7)의 투입을 검지하면, 반송부(116)가 투입구(116a)에 투입된 승차권(8)이나 회원 카드(7)를 방출구(116b)로 반송한다. 또한, 자기 헤드(117a)는 반송로(116c)에 반송되고 있는 승차권(8)이나 회원 카드(7)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 데이터를 판독한다.
입장용의 자동 개찰기(11)는 도 7에 도시한 통행 방향이 역 구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퇴장용의 자동 개찰기(11)는 도 7에 도시한 통행 방향이 역 구내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기억부(114)에는, 자체 장치를 식별하는 게이트 코드나 자체 장치가 입장용인지, 퇴장용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도 기억되어 있다.
또한, 입장용의 자동 개찰기(11)와 퇴장용의 자동 개찰기(11)를 통로를 끼우고 대향하여 배치함으로써, 1개의 통로가 쌍방향(입장 방향 및 퇴장 방향)의 통행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정보 배신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자동 개찰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10은 정보 배신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정보 배신 시스템에서의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자동 개찰기(11)는, 투입 검지 센서(115a)에 의해 투입구(116a)에 표가 투입된 것을 검출하면(s1), 투입구(116a)에 투입된 표를 방출구(116b)를 향하여 반송한다. 이 때, 자동 개찰기(1)는 자기 헤드(117a)에서 방출구(116b)를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표에 자기 데이터로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s2), 소정 시간(예를 들면, 2 내지 3초) 이내에 2장째의 표가 투입구(116a)에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기다린다(s3, s4). s3, s4의 처리에 의해, 1인의 이용자(5)가 2장의 표를 투입한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고, 1인의 이용자가 투입한 2장의 표를 관련시킬 수 있다.
자동 개찰기(11)는, 소정 시간 이내에 2장째의 표가 투입구(116a)에 투입되지 않으면, 1장째의 표가 승차권(8)(정기 승차권, 차표, 프리페이드 카드, 정산권 등)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5), 승차권(8)이라면 승차권(8)을 투입한 이용자(5)가 통로를 통행하는 것을 허가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 s5 및 s6의 판단은, s2에서 판독한 자기 데이터(승차권 정보)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자동 개찰기(11)는, s6에서 통행을 허가한다고 판단하면, 문(118a)을 열어서(s7), 통로를 개방하여 이용자(5)가 통로를 통행하는 것을 허가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 때, 투입구(116a)에 투입된 승차권(8)은, 방출구(116b)에서 방출되던지, 또는 회수 박스로 회수된다. 보통, 입장용의 자동 개찰기(11)는 투입구(116a)에 투입된 승차권(8)을 회수 박스로 회수하는 일 없이 방출구(116b)에서 방출하지만, 퇴장의 자동 개찰기(11)는 투입구(116a)에 투입된 승차권(8)이 정기 승차권이나 프리페이드 카드라면 방출구(116b)에서 방출하고, 차표나 정산권이면 회수 박스로 회수한다.
또한, 자동 개찰기(11)는, s5에서 본체에 투입된 표가 승차권(8)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이용자가 잘못하여 승차권(8)이 아닌 표를 투입한 경우), 또는 s6에서 통로의 통행을 허가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문(118a)를 닫고(s8), 통로를 폐쇄하여 이용자(5)의 통행을 금지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 때, 자동 개찰기(11)는, 투입구(116a)에 투입된 표를 회수 박스로 회수하지 않고, 방출구(116b)에서 방출한다. 자동 개찰기(11)는, 투입된 승차권(8)이, 유효 기간종료, 유효 구간 내가 아님 등의 부적정한 승차권(8)이였던 때에, s6에서 통로의 통행을 허가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s8에서 문(118a)이 닫치고, 통로의 통행이 허가되지 않은 이용자는, 방출구(116b)에서 방출된 표를 수취하고, 그 후 적정한 승차권(8)을 취득한다. 적정한 승차권(8)을 취득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승차권 판매기(13)에서 차표를 구입하거나, 정산기(12)에서 운임의 정산을 행하여 정산권을 취득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서 자동 개찰기(11)에 2장의 표가 투입된 때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자동 개찰기(11)는, s3에서 투입구에 2장째의 표가 투입된 것을 검출하면,투입구(116a)에 투입된 2장째의 표를 방출구(116b)를 향하여 반송한다. 이 때, 자동 개찰기(1)는 자기 헤드(117a)로 방출구(116b)를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2장째의 표에 기억되어 있는 자기 데이터를 판독한다(s9). 자동 개찰기(11)는, 본체에 투입된 1장째의 표가 승차권(8)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 본체에 투입된 1장째의 표가 승차권(8)이 아니라고 판정하면, 본체에 투입된 2장째의 표가 승차권(8)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1).
자동 개찰기(11)는, 투입구(116a)에 투입된 2장의 표가 모두 승차권(8)이 아니라고 판정하면, 문(118a)를 닫아서(s8), 통로를 폐쇄하여 이용자(5)의 통행을 금지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 때, 자동 개찰기(11)는 방출구(116b)에서 본체에 투입된 2장의 표를 겹쳐진 상태로 방출한다.
자동 개찰기(11)는, 본체에 투입된 1장째, 또는 2장째의 표가 승차권(8)이라고 판정하면, 해당 승차권(8)으로부터 판독한 승차권(8) 정보에 의거하여, 이용자(5)가 통로를 통행하는 것을 허가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 자동 개찰기(11)는, s12에서 통로의 통행을 허가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문(118a)를 닫아서(s13), 통로를 폐쇄하여 이용자(5)의 통행을 금지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 때, 자동 개찰기(11)는, 방출구(116b)에서 본체에 투입된 2장의 표를 겹쳐진 상태로 방출한다.
한편, 자동 개찰기(11)는, s12에서 통로의 통행을 허가한다고 판단하면, 문(118a)를 열어서(s14), 통로를 개방하여 이용자(5)의 통행을 허가한다. 또한, 자동 개찰기(11)는, 승차권(8)과는 달리 회원 카드(7)가 본체에 투입되어 있는지의여부를 판정한다(s15). 구체적으로는, s10, 또는 s11에서 승차권(8)이라고 판정한 표가 아닌, 다른쪽의 표가 회원 카드(7)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자동 개찰기(11)는, s15에서 회원 카드(7)가 본체에 투입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그 회원 카드(7)로부터 판독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배신 요구를 정보 배신 장치(21)로 출력하고(s16), 본 처리를 종료한다.
반대로, 본체에 회원 카드(7)가 투입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s16에서 배신 요구를 출력하는 일 없이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 때, 자동 개찰기(1)는 본체에 투입된 승차권(8)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출구(116b)에서 방출하지 않고 회수 박스에 회수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승차권(8)이 아닌쪽의 표(회원 카드(7) 등)에 대해서는, 방출구(116b)에서 방출한다.
또한, 방출구(116b)에서 투입된 2장의 표를 방출할 때에는, 이들 2장의 표를 겹쳐진 상태로 방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자동 개찰기(11)는, 승차권(8) 및 회원 카드(7)의 2장의 표가 연속하여 본체에 투입되고, 또한 투입된 승차권(8)에 기억되어 있는 승차권(8) 정보가 적정하면, s16에서 정보 배신 장치(21)로 배신 요구를 출력한다. 환언하면, 승차권(8) 및 회원 카드(7)의 2장의 표가 연속하여 본체에 투입되더라도, 투입된 승차권(8)에 기억되어 있는 승차권(8) 정보가 적정하지 않으면 정보 배신 장치(21)로 배신 요구를 출력하지 않는다.
자동 개찰기(11)가 s16에서 정보 배신 장치(21)로 출력하는 배신 요구에는, 회원 카드(7)로부터 판독한 식별 코드, 자기를 식별하는 게이트 코드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자동 개찰기(11)로부터 출력된 배신 요구는 호스트 장치(14)로 입력되고, 호스트 장치(14)가 이 배신 요구를 정보 배신 장치(21)로 송신한다.
또한, 도 8, 도 9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승차권(8)과 회원 카드(7)를 자동 개찰기(11)에 투입하는 순서에 대해서는, 어느쪽이 앞이라도 좋다. 따라서, 이용자는, 이들 2장의 표를 투입하는 순서를 특히 걱정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서, 배신 요구를 수신한 정보 배신 장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정보 배신 장치(21)는, 수신부(215)에서, 자동 개찰기(11)로부터 출력된 배신 요구를 수신하면(s21), 해당 배신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코드에 의거하여 이용자(5)를 특정한다(s22). 정보 배신 장치(21)는, 해당 배신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키로 하여, 속성 정보 기억부(213)에 기억하고 있는 각 이용자의 속성 정보를 검색하고, 이용자(5)를 특정한다.
정보 배신 장치(21)는, s22에서 이용자를 특정하면, 배신 정보 기억부(212)에 기억하고 있는 다수의 배신 정보 중에서, 여기서 특정한 이용자(5)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적당한 배신 정보를 추출하고, 여기서 추출한 배신 정보로 이루어지는 배신 메일을 작성한다(s23). s23에서는, s22에서 특정한 이용자(5)의 속성 정보뿐만 아니라, 배신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게이트 코드로부터 이용자(5)의 현재의 거처(배신 요구를 출력한 자동 개찰기(11)가 설치되어 있는 역)를 특정하고, 여기서 특정한 이용자(5)의 현재의 거처도 이용하여, 배신 정보 기억부(212)에 기억하고 있는 다수의 배신 정보 중에서 적당한 배신 정보를 추출하고, 이용자(5)의 거처에 따른 배신 메일을 작성한다.
또한, 이용자(5)가 역(1)에 입장하였는지, 역(1)으로부터 퇴장하였는지도 이용하여, 배신 메일을 작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정보 배신 장치(21)는, 이 이용자(5)가 등록되어 있는 메일 어드레스(휴대 전화기(6)의 메일 어드레스)로 s23에서 작성한 배신 메일을 송신하고(s24),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용자(5)는, 정보 배신 장치(21)로부터 송신되어 온 배신 메일을,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휴대 전화기(6)의 표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후의 행동을 결정 하는데 유익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보 배신 시스템에서는, 이용자(5)를 특정하는 식별 코드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차표나 프리페이드 카드 등의 승차권(8)을 사용하는 이용자(5)에 대해서도, 정보 배신 장치(21)로부터 이용자(5)의 현재의 거처에 따른 배신 정보를 배신할 수 있어서,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다.
또한, 이용자(5)가 자동 개찰기(11)에 적정한 승차권(8)을 투입하지 않은 경우, 자동 개찰기(11)가 정보 배신 장치(21)로 배신 요구를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이용자(5)에 대하여 단시간(수 분)의 사이에 같은 배신 정보가 반복 송신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용자(5)에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용자(5)에 대한 서비스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다. 또한, 정보 배신 장치(21)에서는 필요없은 배신 메일을 이용자(5)에게 송신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하가 억제된다. 또한, 등록자 이외의 사람이 자동 개찰기(11)의 통로를 통과한 때에는, 자동개찰기(11)에 회원 카드(7)가 투입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정보 배신 장치(21)로 배신 요구가 출력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정보 배신 장치(21)의 부하를 더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배신 장치(21)는 배신 요구의 수신 후에, s23에서 배신 메일을 작성한다고 하였지만, 자동 개찰기(11)의 이용자가 없는 밤중에 미리 등록자마다에 배신 메일을 작성하여 두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 개찰기의 통로를 통행하는데 사용하는 제 1의 매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회원 등록을 행한 이용자에 대해서는 배신 정보를 배신할 수 있어서,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다.
또한, 이용자에 대해 단시간(수 분)의 사이에 같은 배신 정보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는 일이 없고. 또한 정보 배신 장치의 부하를 필요없이 증대시키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배신 정보의 배신 요구를 수신한 때, 해당 배신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배신처에 상기 배신 정보를 배신하는 정보 배신 장치와,
    본체에 투입된 제 1의 매체로부터 통로의 통행 가부의 판단에 이용하는 통행 정보를 판독하고, 본체에 투입된 제 2의 매체로부터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매체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매체 정보 판독 수단이 상기 제 1의 매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통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로의 통행 가부를 판단하는 통행 가부 판단 수단과,
    상기 정보 배신 장치에, 상기 매체 정보 판독 수단이 상기 제 2의 매체로부터 판독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배신 요구를 출력하는 배신 요구 출력 수단을 갖는 자동 개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
  2. 본체에 투입된 제 1의 매체로부터 통로의 통행 가부의 판단에 이용하는 통행 정보를 판독하고, 본체에 투입된 제 2의 매체로부터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매체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매체 정보 판독 수단이 상기 제 1의 매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통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로의 통행 가부를 판단하는 통행 가부 판단 수단과,
    상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배신 정보의 배신 요구를 수신한 때, 해당 배신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배신처에 상기 배신 정보를 배신하는 정보 배신 장치에, 상기 매체 정보 판독 수단이 상기 제 2의 매체로부터 판독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배신 요구를 출력하는 배신 요구 출력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신 요구 출력 수단은, 상기 통행 가부 판단 수단에서의 판단 결과가 상기 통로의 통행 불가였던 때, 상기 정보 배신 장치로의 상기 배신 요구의 출력을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찰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매체, 또는 상기 제 2의 매체의 한쪽이 투입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기 전에 다른쪽의 매체가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투입 판정 수단을 갖고,
    상기 배신 요구 출력 수단은, 상기 투입 판정 수단에 의해 한쪽의 매체가 투입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기 전에 다른쪽의 매체가 투입됐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배신 요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찰기.
KR10-2003-0033259A 2002-05-31 2003-05-26 정보 배신 시스템 및 자동 개찰기 KR200300939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0339A JP2004005242A (ja) 2002-05-31 2002-05-31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自動改札機
JPJP-P-2002-00160339 2002-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972A true KR20030093972A (ko) 2003-12-11

Family

ID=2977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259A KR20030093972A (ko) 2002-05-31 2003-05-26 정보 배신 시스템 및 자동 개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4005242A (ko)
KR (1) KR20030093972A (ko)
CN (1) CN1462983A (ko)
SG (1) SG103923A1 (ko)
TW (1) TWI2252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7430A (ja) * 2004-11-01 2006-05-18 Nec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6155171A (ja) * 2004-11-29 2006-06-15 Nippon Signal Co Ltd:The 駅務機器用案内システム
TWI423152B (zh) * 2007-07-12 2014-01-11 Chunghwa Telecom Co Ltd Intelligent digital audit record instant analysis method
CN101540066B (zh) * 2009-04-07 2013-08-28 陶品德 基于第二代身份证的票务处理系统及方法
JP2013175824A (ja) * 2012-02-23 2013-09-05 Nikon Corp 電子カメラ
CN103700167A (zh) * 2013-12-10 2014-04-02 柳州译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身份证信息的火车站检票进站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523A (ja) * 1994-07-04 1996-01-19 Hitachi Ltd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
US6347301B1 (en) * 1999-02-02 2002-02-12 Bearden, Iii Fred E. Conference communication facilitator and method of use
JP3899944B2 (ja) * 2002-01-24 2007-03-28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広告配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3923A1 (en) 2004-05-26
TWI225206B (en) 2004-12-11
TW200401208A (en) 2004-01-16
CN1462983A (zh) 2003-12-24
JP2004005242A (ja) 200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1880B2 (en) Licensed driver detection for high occupancy toll lane qualification
RU2384883C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пользования платным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перевозящим пассажиров
US5877484A (en) Automatic ticket-examining apparatus for collecting wireless tickets
US20020029165A1 (en) Automatic fare adjustment system and memory device for transportation system
US20040006512A1 (en) Method of paying for a service
JP2006252568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および情報配信方法
KR20030093972A (ko) 정보 배신 시스템 및 자동 개찰기
JP4238876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および情報配信方法
WO2003071489A2 (en) Ticketing system operable by mobile communicators
JP3912285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および情報配信方法
JP3932991B2 (ja) 情報配信装置
JP2004015304A (ja) 情報配信装置
KR100531935B1 (ko) 정보 송신 장치
JP3664122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00030089A (ja) 自動改札装置
JP2004005243A (ja) 情報配信装置
JP2004038749A (ja) 遅延証明発行装置
JP2002140736A (ja) 駅務機器および駅内広告提供システム
JP7412910B2 (ja) 改札機
JP3637123B2 (ja) 自動改札システム
JP3979171B2 (ja) 自由席利用者への特典付与システムおよび自由席利用者への特典付与方法
JP2020098624A (ja) 料金情報処理装置、料金情報処理システム、料金通知システム、料金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料金情報処理方法
JPH0486979A (ja) 自動改札システム
JPH08315193A (ja) 自動精算機、定期乗車券発行機および定期乗車券取扱システム
JP2003058918A (ja) 自動改札装置と自動改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