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494A - 보일러 - Google Patents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494A
KR20030093494A KR1020020031072A KR20020031072A KR20030093494A KR 20030093494 A KR20030093494 A KR 20030093494A KR 1020020031072 A KR1020020031072 A KR 1020020031072A KR 20020031072 A KR20020031072 A KR 20020031072A KR 20030093494 A KR20030093494 A KR 20030093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boiler
coke
combus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일
Original Assignee
강성보일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보일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성보일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1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3494A/ko
Publication of KR2003009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49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23B1/24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using rotating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Abstract

본 발명의 보일러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코크스가 채워지는 호퍼와, 그 호퍼의 하측에 설치되어 코크스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이송기와, 이송기를 작동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되는 연료공급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물탱크와, 그 물탱크의 내부에 채워진 물 속에 설치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상측과 상기 이송기에 연결 설치된 채 상기 케이스의 상부 바깥으로 유도 배치되는 유도관과, 상기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 구성되는 연소부; 및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연소재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코크스를 점화시키고 공기를 공급하는 버너 및 송풍기가 설치되며, 상기 연소실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에 배플판이 설치된 연통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일러{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고체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물을 데워서 온수나 난방에 사용하거나, 물이 증발하여 된 증기로 터빈을 돌려 동력발생장치로 사용하기도 한다.
보일러의 주요부는 물과 증기를 담는 보일러 본체와 연료의 연소장치 및 화로로 되어 있으며, 연료로서 종전에는 주로 석탄을 사용하거나, 취급의 용이성(容易性)과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미분탄을 연소실에 불어넣어 연소시키거나, 중유를 버너로 분무상(噴霧狀)으로 연소실에 불어넣어 연소시키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연료비의 상승에 따른 연료비 절감을 위한 보일러가 요구되면서 코크스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가 가정용으로 개발되고 있다.
코크스(cokes) 연료는 석탄을 공기가 차단된 가마에서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유해성분들을 증발시키고, 순수한 탄소성분만 남긴 고체 연료이다.
이러한 보일러의 한 종류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25234호 및 제259688호에 개재된 고안들은 코코스를 원료로 하는 보일러로서, 연소가 완료된 고체 연료를 공급되는 연료에 의해 완전히 배출시키고 연료와 연료 사이의 통기성을 확보하여 연소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두 고안 모두 판 상의 로스톨이나 로스터판이 전후로 왕복하면서 재를 털어내기 때문에 코크스의 연소시 통기성을 확보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52421호는 상술한 두 국내등록실용신안과 동일한 목적을 가진 등록실용신안이며, 연소되고 난 연소재와 코크스가 함께 안착되는 코크스 안착판을 시소와 같이 전후로 동작하도록 구성하여 재를 떨어내는 장치이다. 그러나 연소재와 코크스가 안착판에 함께 있기 때문에 안착판이 전후로 동작하더라도 연소재가 제대로 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에 비해 코크스 사이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코크스의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최대한 난방수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실로 투입되는 코크스를 자동으로 감지한 후 작동되도록 자동화한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연통을 통해 배출되던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폐열회수 기능을 가진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의 주요 구성을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케이스 2...호퍼
3...이송기 4...회전모터
10...물탱크 11...연소실
12...온수 파이프 13...유도관
15...도어 16...장착대
17...솔레노이드 18...지지바
19...터치센서 20c...연통
21...배플판 24...구동모터
25...연결판 26...샤프트
27...회전자 28...받침판
29...재받이 34...송풍기
41...콘트롤러 42...버너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일러는, 케이스의내부에 설치된 코크스가 채워지는 호퍼와, 그 호퍼의 하측에 설치되어 코크스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이송기와, 이송기를 작동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되는 연료공급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물탱크와, 그 물탱크의 내부에 채워진 물 속에 설치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상측과 상기 이송기에 연결 설치된 채 상기 케이스의 상부 바깥으로 유도 배치되는 유도관과, 상기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 구성되는 연소부; 및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연소재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코크스를 점화시키고 공기를 공급하는 버너 및 송풍기가 설치되며, 상기 연소실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에 배플판이 설치된 연통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의 주요 구성을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코크스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공급된 코크스를 연소시키는 연소부와, 연소부에 코크스가 투입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연소되고 난 코크스의 연소재와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연료공급부는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 호퍼(2)와, 그 호퍼(2)의 하측에 설치되어 코크스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이송기(3)와, 이송기(3)를 작동시키는 회전모터(4)로 구성된다.
여기서 호퍼(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콘트롤러와 연결되는 연료감지센서(2a)가 설치되어 호퍼(2) 내부에 연료가 소진될 때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서 연료가 부족함을 경고하도록 한다.
이송기(3)는 수평에 대해 15도(°) 정도 경사지게 설치되며, 호퍼(2)와 연결되는 부분이 낮게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후술하는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역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이송기(3)는 경사지게 배치된 외통(5)의 내부에 이송스크류(6)가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이송스크류(6)의 우측단이 외통(5)의 바깥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끝부분에 종동 스프라켓(7)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종동 스프라켓(7)에 연결된 체인(8)이 회전모터(4)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 스프라켓(9)과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모터(4)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이송스크류(6)에 의해 공급되는 코크스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송기(3)의 외통(5)과 연결되는 연소부는 물탱크(10)의 내부에 깔때기 모양의 연소실(11)이 설치된 구조로서, 연소실(11)이 물탱크(10)에 채워진 물 속에 위치함으로써 연소실(11)에서 전달된 연소열의 손실없이 물로 전달된다. 그리고 물탱크(10)에 채워진 물은 상측의 유출구와 하측의 유입구에 연결된 순환펌프(11)에 의해 순환된다.
물탱크(10)의 내부에는 별도의 온수 파이프(12)가 내장 설치되고, 이 온수 파이프(12)가 별도의 온수 이용장치와 연결됨으로써, 온수 파이프(12)를 순환하는 물은 물탱크(10)에서 데워진 난방수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온수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연소실(11)의 상측 중심부에는 케이스(1)의 상부 바깥으로 유도 배치된 유도관(13)이 연결 설치된다. 이 유도관(13)은 이송기(3)의 외통(5)과도 연결되어 이송 스크류(6)에 의해 이송된 코크스가 연소실(11)의 중심부로 낙하되도록 한다.
이렇게 유도관(13)에 외통(5)을 연결하여 코크스가 연소실(11)의 중심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이유는 연소실(11)의 측면에 외통(5)이 연결될 경우 이송스크류(6)를 통해 유입된 코크스가 연소실(11)의 한쪽에만 치우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연소실(11)의 일측면에는 연소실(11)의 내부를 관찰하거나 연소실(11) 내부의 이상 발생시 수리를 위한 관찰구(14)가 연결되고, 그 관찰구(14)에는 도어(15)가 설치된다.
연소실(11)에 코크스가 투입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는 케이스(1)의 상측에 고정된 장착대(16)와, 장착대(16)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7)와, 그 솔레노이드(17)에 브라켓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바(18)와, 지지바(18)의 끝단에 고정된 터치센서(19)로 구성된다.
이러한 감지부는 지지바(18)가 유도관(13)의 중심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그 끝단에 위치한 터치센서(19)는 연소실(11)에 위치하여 솔레노이드(17)의 작동에 따라 하강하여 연소실(11)에 코크스가 존재하는 지를 접촉으로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실(11)에는 연소실(11)에서 연소되고 남은 연소재를 하측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한편,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부가설치되는 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배출부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한 연소실(11)의 상면에 다수의 소연통(20a)을 연결하고, 그 소연통(20a)의 상측에 통합관(20b)을 연결하며, 통합관(20b)에 수직으로 연통(20c)을 세우고, 그 연통(20c)은 상기한 연소실(11)의 상측과 연결 설치되는 관찰구(14)에 연결하며, 그 연통(20c)의 내부에 배플판(baffle plate)(21)을 설치하는 구조이다.
이 배플판(21)은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특히 연통(20c)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일측이 연통(20c)의 내측면에 고정된 타측보다 상방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연소가스가 배출되면서 연소가스에 함유된 분진이 배플판(21)에 충돌하여 분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소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연통(20c)의 상측에 온도센서(20d)를 설치하여 후술하는 콘트롤러에 연결됨으로써 연통(20c)의 온도가 낮을 때 보일러의 재가동을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배출부는 관찰구(14)의 하부에 낙하구(22)를 설치하여 상기 배플판(21)에서 충돌된 분진이 낙하된 후 후술하는 재받이로 포집되도록 한다.
한편, 연소되고 남은 연소재를 하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배출부는 연소실(11)의 하측과 연결되는 받침통(23)과, 받침통(23)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4)와, 구동모터(24)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연결판(25)과, 연결판(25)에 고정된 샤프트(26)와 연결되어 함께 회동하는 회전자(27)와, 받침통(23)의 내부에 안착되는 배출판(28)과, 받침통(23)의 하측에 위치한재받이(29)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재받이(29)는 연소되고 난 코크스의 연소재를 받아내는 것으로 케이스(1)에 서랍식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받침통(23)은 받침판(30)이 내측 저면에 형성되고, 그 받침판(30)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바, 받침판(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되는 양측에 개구부(31)가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통(30)의 중간 부분에 배출판(28)이 안착되게 하기 위해서 내측면의 중간 부분에 네군데 걸쳐 받침턱(32)을 형성하여 받침통(30)의 내부로 삽입된 배출판(28)이 받침턱(32)에 걸려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받침통(3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코크스의 최초 발화 시나 연소 시에 원활한 연소가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 받침통(30)의 외측에는 송풍관(33)이 연결 설치되고, 그 송풍관(33)의 끝에 버너(42) 및 송풍기(34)가 설치된다.
버너(42)는 이그나이터(igniter)(42a)와 연료분사노즐(42b)을 포함하여 보일러의 최초 발화시 연소실(11)에 투입된 코크스에 화기를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버너(42)에 의해 점화가 되면 송풍기(34)를 이용하여 화기의 세기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동모터(24)를 이용하여 연결판(25)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구동모터(24)의 구동축에는 구동스프라켓(35)이 고정되고, 연결판(25)에는 종동스프라켓(36)이 일체로 설치되며, 구동스프라켓(35)과 종동스프라켓(36)은 체인(37)으로 연결된다.
상기의 연결판(25)은 중심부에 삽입로(37)가 형성된 보스(38)를 형성하고, 그 보스(38)에 샤프트(26)를 삽입한 후 보스(38)와 샤프트(26)를 고정핀(39)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구동모터(24)의 회전에 따라 연결판(25) 및 샤프트(26)가 회전되도록 한다.
연결판(25)에는 복수의 배출구(25a)가 형성되는 바, 삽입로(37)를 기준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전술한 받침판(28)에 형성된 개구부(31)와 그 형태 및 크기가 동일하여 연결판(25)이 회전할 때마다 배출구(25a)와 개구부(31)가 일치 또는 어긋나도록 한다.
연결판(25)에 고정된 샤프트(26)는 받침판(28)의 중심을 관통하여 받침통(23)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측 끝부분에는 횡단면 모양이 다각 형태인 체결돌기(26a)가 형성된다.
이러한 샤프트(26)가 받침통(23)의 중심에 배치되기 때문에 배출판(28)이 받침통(23)의 내부에 안착되기 위해서는 배출판(28)의 중심에 삽입공(28a)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배출판(28)에는 다수의 관통공(28b)이 형성되어 연소되고 난 코크스의 연소재가 배출판(28)의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배출판(28)을 관통한 샤프트(26)의 체결돌기(26a)는 회전자(27)의 중심부에 체결되는 데, 이를 위하여 회전자(27)의 중심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캡(27a)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자(27)는 회전날개(27b)가 캡을 중심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그회전날개(27b)의 형성 위치가 대략 120도(°) 간격으로 배치 형성된다.
회전날개(27b)는 경사부와 수직부를 가진 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날개(27b)는 계속해서 회전되면서 코크스의 위치를 흐트러뜨림으로써 송풍기(34)에 의해 공급된 공기가 코크스에 잘 전달되도록 하여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요소 외에도 보일러 작동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설치된다. 이 제어부는 호퍼(2)에 설치된 연료감지센서(2a), 터치센서(19), 솔레노이드(17), 연통(20c)에 설치된 온도센서(20d), 연소실(11)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40), 회전모터(4), 구동모터(24) 및 버너(42)에 모두 연결되는 콘트롤러(41)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콘트롤러(41)는 연소실(11)에 코크스가 투입된 것을 솔레노이드(17)와 터치센서(19)로 확인하고, 연소실(11)의 온도 변화를 온도센서(36)로 감지하여 송풍기(27)에 의한 송풍량이나 이송스크류(6)에 의한 코크스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콘트롤러(41)는 호퍼(2)의 내부에 코크스가 충진되어 있는지 연통의 온도가 낮은지를 감지하여 연료부족을 알리거나 버너(42)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먼저 호퍼(2)에 적당량의 코크스를 채워 넣는다. 이때 공급되는 코크스의 알갱이 크기는 대략 15mm정도의 입자크기를 갖는다. 호퍼(2)에 코크스가 부족할 경우에는 연료감지센서(2a)에서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러(41)로 코크그가 소진되었다는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콘트롤러(41)는 연료 부족을 알리게 된다.
호퍼(2)에 코크스가 충분히 채워진 후 보일러를 작동시키면 회전모터(4)가 작동하여 이송스크류(6)를 회전시킨다. 이송스크류(6)는 호퍼(2)에 채워진 코크스를 연소실(11)의 내부로 이송시킨다.
이때 외통(5)이 수평에 대해 15도 기울어져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이송스크류(6)는 코크스를 위로 밀어올리게 된다.
연소실(11)로 코크스가 낙하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7)가 작동하여 지지바(18)를 하강시키면, 터치센서(19)가 연소실(11) 내부의 코크스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른 신호가 콘트롤러(41)에 전해진다.
그러면 콘트롤러(41)에서는 연소실(11) 내부에 코크스가 채워졌음을 확인하게 되고, 버너(42)를 작동하여 연료분사노즐(42b)를 통해 착화제를 분사하면서 이그나이터(42a)로 착화제에 불씨를 당켜 코크스에 불을 붙인다.
상기한 감지부의 작동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터치센서(19)에 코크스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콘트롤러(41)에 신호가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콘트롤러(41)는 회전모터(4)를 작동시켜 이송스크류(6)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코크스를 연소실(11)의 내부로 정기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송풍기(34)도 함께 작동하여 송풍관(33)을 통해 연소실(1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만일 온도센서(4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낮을 경우 콘트롤러(41)를 조작하여 송풍기(34)의 회전속도를 높이게 된다.
또한 연통(20c)에 설치된 온도센서(20d)에서 감지된 온도가 낮을 경우에도버너(42) 및 송풍기(34)를 재가동한다.
코크스의 연소가 어느 정도 진행하면, 구동모터(24)가 작동하여 구동스프라켓(35)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구동스프라켓(35)과 체인(37)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라켓(36)이 회전하게 되고, 연결판(25)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샤프트(26)의 끝에 고정된 회전자(27)도 연결판(25)과 동일하게 회전하게 되는데, 3초당 1회전으로 서서히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연결판(25)의 회전과 함께 샤프트(26)로 연결된 회전자(27)가 회전하고, 회전날개(27b)가 코크스를 흐트러뜨리게 되어 코크스의 사이사이에 공기가 잘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코크스가 연소되면서 표면에 발생된 코크스의 연소재는 회전날개(27b)에 의해 벗겨지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연소재는 배출판(28)의 관통공(28b)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며, 낙하된 연소재는 연결판(25)이 회전될 때 개구부(31)와 배출구(25a)가 일치되는 순간 재받이(29)로 쌓이게 된다. 재받이(29)에 적당량의 연소재가 쌓이게 되면 빼내어 외부에 버리면 된다.
또한 관찰구(14), 소연통(20a) 및 통합관(20b)를 통해 연통(20)으로 배출되던 연소가스가 배플판(21)에 유도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연소가스에 함유된 분진이 배플판(21)에 충돌되면서 하부로 낙하하게 되고, 낙하된 분진은 낙하구(22)를 통해 재받이(29)에 쌓이게 된다.
상술한 연소과정에서 연소실(11)의 온도변화에 따라 송풍기(34), 회전모터(4) 및 구동모터(24)의 회전이 제어되어 연소실(11)로 공급되는 송풍량과코크스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또한 외통(5)을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연소실(11)에서 발생된 화기가 외통(5)으로 연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실에 공급된 코크스를 회전자가 계속해서 회전하면서 흐트러뜨리게 되어 코크스 사이의 통기성을 확보하여 코크스의 원활한 연소가 가능하다.
그리고 연소실이 물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코크스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열은 물탱크에 채워진 물로 그대로 전달되고, 아울러 관찰구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배플판이 설치된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플판으로 연소가스가 지닌 열이 전달되고, 배플판에서 연통으로, 그리고 물로 전달되어 열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소실에 코크스가 채워져 있는 지 감지부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부족할 경우 이송기를 통해 바로바로 공급함으로써 보일러의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연통을 통해 배출되던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이 배플판에 충돌한 후 낙하되도록 하여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Claims (9)

  1.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코크스가 채워지는 호퍼와, 그 호퍼의 하측에 설치되어 코크스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이송기와, 이송기를 작동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되는 연료공급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물탱크와, 그 물탱크의 내부에 채워진 물 속에 설치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상측과 상기 이송기에 연결 설치된 채 상기 케이스의 상부 바깥으로 유도 배치되는 유도관과, 상기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 구성되는 연소부;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연소재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연소실에 연결 설치되는 연통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부;
    상기 연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재에 함유된 분진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배플판; 및
    상기 코크스를 점화시키고 공기를 공급하는 버너 및 송풍기를 포함하는 보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판은 상기 연통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일측이 연통의 내측면에 고정된 타측보다 상방에 위치되고, 다수개가 상호 교차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보일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연소실의 하측과 연결되고 내측 저면에 개구부를 갖는 받침판이 형성되는 받침통과, 이 받침통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받침통의 하부에서 회전되고 배출구가 형성되는 연결판과, 이 연결판에 고정된 샤프트와 연결되어 함께 회동하고 회전날개가 형성되는 회전자와,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받침통의 내부에 안착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배출판과, 상기 받침통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에 서랍식으로 설치된 재받이를 더욱 포함하는 보일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경사부와 수직부를 가진 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일러.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판의 중심부에 삽입로가 형성된 보스를 형성하고, 상기 샤프트를 삽입로에 삽입한 후 상기 보스와 샤프트를 고정핀으로 결합시키는 보일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회전자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샤프트의 상측에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캡을 상기 회전자에 형성하는 보일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통의 중간 부분에 배출판이 안착되도록,
    상기 받침통의 내측면의 중간 부분에 네군데 걸쳐 받침턱을 형성하는 보일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및 배출구가 상호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의 회전 시 상기 개구부와 배출구가 일치할 때에 연소재가 배출되는 보일러.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고정된 장착대와, 그 장착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와, 그 솔레노이드에 브라켓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유도관의 중심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지지바와, 그 지지바의 끝단에 고정되고 상기 연소실의 내부에 위치하는 터치센서로 구성되는 감지부; 및
    상기 터치센서, 솔레노이드, 회전모터 및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콘트롤러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더욱 포함하는 보일러.
KR1020020031072A 2002-06-03 2002-06-03 보일러 KR20030093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072A KR20030093494A (ko) 2002-06-03 2002-06-03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072A KR20030093494A (ko) 2002-06-03 2002-06-03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494A true KR20030093494A (ko) 2003-12-11

Family

ID=3238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072A KR20030093494A (ko) 2002-06-03 2002-06-03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349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245B1 (ko) * 2009-02-12 2009-06-29 박운섭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KR100919102B1 (ko) * 2009-04-21 2009-09-28 김양호 완전연소에 가까운 펠렛용 보일러
KR200446832Y1 (ko) * 2009-06-02 2009-12-03 윤순선 목재 펠릿 보일러
KR101238954B1 (ko) * 2010-08-25 2013-03-04 김규원 고체연료 보일러의 재받이
KR101240028B1 (ko) * 2010-11-29 2013-03-06 홍성훈 친환경 우드 펠렛 다목적 난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193Y1 (ko) * 1985-09-26 1989-10-20 신명철 고기 구이기
JPH0482526U (ko) * 1990-11-26 1992-07-17
KR200259461Y1 (ko) * 2001-08-08 2002-01-09 (주) 연안씨엔이 보일러
KR200262016Y1 (ko) * 2001-10-12 2002-02-06 심경자 자동 코크스 보일러.
KR200296512Y1 (ko) * 2002-03-07 2002-11-29 정재욱 코크스 보일러
KR20030073442A (ko) * 2002-03-11 2003-09-19 강성보일러 주식회사 보일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193Y1 (ko) * 1985-09-26 1989-10-20 신명철 고기 구이기
JPH0482526U (ko) * 1990-11-26 1992-07-17
KR200259461Y1 (ko) * 2001-08-08 2002-01-09 (주) 연안씨엔이 보일러
KR200262016Y1 (ko) * 2001-10-12 2002-02-06 심경자 자동 코크스 보일러.
KR200296512Y1 (ko) * 2002-03-07 2002-11-29 정재욱 코크스 보일러
KR20030073442A (ko) * 2002-03-11 2003-09-19 강성보일러 주식회사 보일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245B1 (ko) * 2009-02-12 2009-06-29 박운섭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KR100919102B1 (ko) * 2009-04-21 2009-09-28 김양호 완전연소에 가까운 펠렛용 보일러
KR200446832Y1 (ko) * 2009-06-02 2009-12-03 윤순선 목재 펠릿 보일러
KR101238954B1 (ko) * 2010-08-25 2013-03-04 김규원 고체연료 보일러의 재받이
KR101240028B1 (ko) * 2010-11-29 2013-03-06 홍성훈 친환경 우드 펠렛 다목적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7537A1 (en) High efficiency cyclone gasifying combustion burner and method
KR100916111B1 (ko) 펠릿 보일러
KR100759005B1 (ko) 자동 석탄 보일러
EP2753878B1 (en) Combustion device and a method for combusting granular, solid fuel
JP5568394B2 (ja) 焼却装置
CN102901104A (zh) 立式垃圾焚烧炉
JP2007147105A (ja) 木質燃料燃焼装置
JP2007147104A (ja) 木質燃料燃焼装置
KR200279787Y1 (ko) 보일러
KR20030093494A (ko) 보일러
JP3151271U (ja) 乾燥バイオ燃料粉燃焼炉
KR101080552B1 (ko) 톱밥 펠렛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KR101113403B1 (ko) 폐기물 건류 소각 열회수장치
KR20070096133A (ko) 고체연료용 난로
KR20030073442A (ko) 보일러
KR20140071589A (ko)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JP5490956B1 (ja) 焼却装置
KR101369605B1 (ko) 보일러
KR200262016Y1 (ko) 자동 코크스 보일러.
KR200437991Y1 (ko) 화로와 수조가 분리된 보일러
KR101947115B1 (ko) 가스 재순환을 이용한 펠릿 난로
KR20070008989A (ko) 왕겨를 주연료로 하는 보일러
TWI740396B (zh) 粉體燃料燃燒裝置及燃燒方法
JP4949749B2 (ja) 焼却炉
KR200465794Y1 (ko) 펠릿형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