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461Y1 - 보일러 - Google Patents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461Y1
KR200259461Y1 KR2020010024094U KR20010024094U KR200259461Y1 KR 200259461 Y1 KR200259461 Y1 KR 200259461Y1 KR 2020010024094 U KR2020010024094 U KR 2020010024094U KR 20010024094 U KR20010024094 U KR 20010024094U KR 200259461 Y1 KR200259461 Y1 KR 200259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fuel
combustion chamber
combustion
fue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윤석
Original Assignee
(주) 연안씨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연안씨엔이 filed Critical (주) 연안씨엔이
Priority to KR2020010024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4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46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 몸체 내부 중앙에 연소실이 구비되고 연소된 가스가 열교환 후 외부로 방출되기 위한 배기 통로와 물집으로 이루어진 보일러 몸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 장치, 연소된 재를 받아 배출시키는 재받이부, 연소실의 온도에 따라서 위의 과정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보일러{A boiler}
본 고안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크스, 폐수슬러지 고형화 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연료공급 및 연소, 연료 표면의 분진제거를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또는 코크스등과 같은 고체 연료를 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는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난방수를 가열하는 것으로 이때, 공급되는 석탄 또는 코크스등과 같은 고체 연료는 원활한 연소를 위하여 작은 덩어리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종래의 보일러는 통상의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연료공급 장치에 의하여 일정주기로 연료가 공급되고, 연료공급 장치에 의하여 연소된 연료의 재가 강제로 밀려 배출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일러는 연소가 완료된 고체 연료의 배출이 연료공급 장치에 의하여 공급되는 연료에 밀려 배출되게 이루어져 있어 완전히 연소되지 않은 연료까지 배출이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체 연료를 작은 덩어리 상태로 형성하였어도 연료의 연소과정에 있어 연료의 표면에 형성되는 재로 인하여 내부까지 완전히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고, 연소 과정에 발생한 재가 연료와 연료 사이의 통기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소실 하부의 성방형의 회전분산판을 설치해 연료 덩어리 표면의 재를 강제로 떨어줌과 동시에 연료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연료 사이의 통기성을 확보하여 원활한 연소를 이루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공급 장치를 보인 상세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실을 보인 상세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 몸체 분리시의 개략도
도 6 은 A형 및 B형 몸체(하부)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격자 2 회전분산판 3 연소실 4 연관
5 수관 7 재받이 8 모터 9 연결링크
10 스크류형 공급관 11 체인-벨트형 공급기 12 배기팬
13 가스회수관 14 컨트롤러 15 에어노즐 16 외부송풍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연소실 바닦 화격자(1)에 성방형의 회전분산판(2)을 설치하여 일정 주기로 좌우로 회전하여 연료와 연료사이에 원활한 통기성을 확보하여 연료의 완전 연소를 유도한 것으로, 상기 보일러 몸체 내부에 연소실(3)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배기 및 열교환을 위한 연관(4) 및 수관(5)이 형성되며, 상기 연관(4) 및 수관(5)은 보일러 몸체 물집과 일체형을 이루며, 상기 몸체의 연소실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 장치와 연소된 재를 받아 배출시키는 재받이(7)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실의 회전분산판(2)은 외부의 모터(8)구동에 의해, 연결된 링크(9)로 좌.우 회전하며 연료 표면의 재를 재받이(7)로 배출시키고, 상기 연료공급 장치는 원형 스크류관 타입(10)과 체인-벨트 타입(11)의 두가지 방식으로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며, 연료 공급부로 가스가 새어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배기측에 설치된 배기팬(12)에 가스회수관(13)을 장착하여 강제 배기시키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공급 장치와 회전분산판 및 연소시 온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4)를 장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소실(3)은 원통형으로 하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며 이러한 형상은 연료가 연소실 중심부로 집중되어져 공급된 산소와 잘 만나서 연소시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회전분산판(2)이 원활하게 재를 배출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연소용 공기는 두가지 방법으로 연소실내로 공급되어 진다.
상기 공기 공급방법 중 하나는 연소실 바닦의 하부에서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것(A형)이며, 다른 방법은 연소실 내부에 에어노즐을 설치하여 공급하는 방법(B형)이다.
상기 전자의 공기 공급방법은 연소실 바닦의 원형 다공성 판(화격자)을 통해 외부 송풍기(16)에 의해 강제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며, 후자의 경우는 연소실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와 노즐(15)을 설치하여 연소시 필요한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장치가 구비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석탄 또는 코크스, 폐수슬러지를 고형화한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통상의 보일러에 있어서 연료 재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모터(8) 구동으로 성방형의 회전분산판(2)을 좌우로 움직이게 구성하고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연료공급장치(도면 3)를 구성하며, 부압에 의하여 배기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진 배기장치를 구성한 본 고안은 구비된 통상의 컨트롤러(14)를 조작하여 연료공급 장치(도면 3)를 작동시켜 연료를 공급한후 점화시켜 작동시키게 되면, 공급된 연료가 일정량 연소되는 시점에서 컨트롤러(14)가 회전분산판(2)의 모터(8)와 송풍기(12)를 제어하여 동작시킨다.
이상과 같이 연소시 컨트롤러(14)에 의해 회전분산판(2)의 모터(8)가 동작하게 되면 연소실내의 연료가 고르게 분포되며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때, 연소된 연료의 양만큼 연료가 컨트롤에 의해 연료공급 장치를 통하여 공급되어 진다.
한편, 연료공급 장치에 의한 연료의 공급은 컨트롤러(14)에 의하여 원형스크류 공급관(6)이 구동모터(17)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급 되어지거나 체인벨트 방식 공급기의 체인(18) 윗면을 타고서 연료가 공급되어 진다. 이 상황에서 미량의 연소가스가 연료 공급부 쪽으로 유출되어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연료공급 장치부에 배기가스 회수관을 설치하여 배기장치에 연결하여 배기팬에 의해 강제로 배출시킨다.
배기장치에 의한 연소 가스의 배기는 컨트롤러에 의하여 송풍기가 동작되면, 상기 송풍기에서 송풍된 공기가 배기 유도관을 통하여 배기구로 압송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과정에 배기 통로에 부압이 작용되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체연료의 연소과정에 성방형의 회전분산판을 구동시켜서 연소된 재를 떨어주고 연료와 연료 사이의 통기성을 확보함으로서 연료의 원활한 연소와 완전연소를 유도하는 것이며, 연료공급 장치에 의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센서 및 컨트롤러에 의해 완전 자동화를 구현하였으며, 연소가스의 배출이 배기구에서의 부압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배기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7)

  1. 보일러 몸체 내부 중앙에 연소실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수관 및 연관 배기통로가 형성되고 배기통로 주위에 난방수 통로가 형성된 분리형 몸체와 보일러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 장치와 연소된 재를 받아 배출시키는 재받이로 구성된 종래의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형상과 그 바닦면, 성방형의 회전분산판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형상은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줄어들고 그 바닦면은 연료의 재가 배출될 수 있는 원형의 다공성 형상으로 바닦면 위에서 회전분산판이 외부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좌우로 회전 동작하여 재를 강제 배출시키며 연료공급이 자동 공급기에 의해서 공급되며 발생가스 또한 배기 팬의 부압에 의해서 강제 배기되고 일련의 동작들이 센서가 부착된 컨트롤러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값으로 운전되는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방형의 회전분산판은 연소실 내부에 장착되며 중심 회전축이 연소실 바닦인 다공성판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그 하부에서 링크에 의해 외부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동작하며 떨어진 재는 바닦의 다공성부분을 통해서 재받이로 떨어지는 보일러
  3. 제 1항에 있어서;
    연료 연소시 공기공급 방법을 연소실 하부의 다공성부를 통해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방식과 연소실 내부에 공기통로 및 에어노즐을 설치하여 공기를 외부에서 내부로 강제 공급하며 송풍기의 제어를 온도센서 감지에 의한 컨트롤러로 조절하는 보일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 장치에 있어서 연료 공급을 원통형 스크류 공급관을 모터로 회전시켜 공급하는 방식과 체인-컨베어를 이용하여 연료가 체인-컨베어 위를 타고 올라가서 공급되는 공급기와 이 공급기 연결 틈새로 연소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가스 회수관을 공급기 상부에 연결 배기팬에 의해서 강제 배출되도록 고안한 보일러
  5. 제 1항에 있어서;
    연소제어를 위한 송풍기와 배기가스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송풍기, 연료공급 장치 및 회전분산판이 컨트롤러에 의해 완전 자동으로 제어되는 보일러로써 연소실의 형상에 기인하여 다양한 고체연료(폐수슬러지 고형탄)도 사용이 가능한 보일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의 몸체가 일체형 및 분리형으로 연소실 및 재받이부와 열교환을 하는 수관-연관부로 분리되어 운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고안된 보일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의 열교환이 일어나는 물집부분에 연관과 수관의 두가지 방식을 적용하여 두가지 방식의 장점을 지니고 있는 보일러
KR2020010024094U 2001-08-08 2001-08-08 보일러 KR200259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094U KR200259461Y1 (ko) 2001-08-08 2001-08-08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094U KR200259461Y1 (ko) 2001-08-08 2001-08-08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461Y1 true KR200259461Y1 (ko) 2002-01-09

Family

ID=7310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094U KR200259461Y1 (ko) 2001-08-08 2001-08-08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4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494A (ko) * 2002-06-03 2003-12-11 강성보일러 주식회사 보일러
WO2011126172A1 (ko) * 2010-04-08 2011-10-13 한성공업 주식회사 연소 장치
KR101248589B1 (ko) * 2010-07-16 2013-03-28 주식회사 크린에너지 향상된 열효율을 갖는 보일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494A (ko) * 2002-06-03 2003-12-11 강성보일러 주식회사 보일러
WO2011126172A1 (ko) * 2010-04-08 2011-10-13 한성공업 주식회사 연소 장치
CN102449393A (zh) * 2010-04-08 2012-05-09 韩晟工业(株) 燃烧装置
KR101248589B1 (ko) * 2010-07-16 2013-03-28 주식회사 크린에너지 향상된 열효율을 갖는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6782C (en) Incineration pla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cineration plant
KR101437652B1 (ko) 일종의 바이오매스 에너지 연소기
US20120247374A1 (en) Independent vector control system for gasification furnace
JP4276247B2 (ja) ボイラ装置
KR200259461Y1 (ko) 보일러
KR101221421B1 (ko) 온수보일러의 연소장치
JP2019207048A (ja) 廃棄物焼却炉
KR20150024522A (ko) 연소장치
JP2712017B2 (ja) 燃焼系システム及び燃焼炉
JP2002098308A (ja) 循環流動層燃焼装置
CN209944302U (zh) 一种均匀布料生物质燃料燃烧设备
KR101282581B1 (ko) 폐기물 고형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의 연소장치
KR20110128475A (ko) 목질계 고형 바이오연료 연소기기의 다차 연소 장치
KR20150045923A (ko) 가압유동로 시스템의 운전 방법
WO2013111929A1 (ko) 펠릿 보일러용 건 타입 버너
EP2833061A1 (en) Activation method for pressurized fluidized furnace system
KR20040106913A (ko) 고체연료 보일러
KR100857901B1 (ko) 알피에프와 알디에프를 이용한 버너
KR20010060848A (ko) 수직 소성로의 소성 및 온도제어장치
JP2018112391A (ja) 固体燃料の燃焼装置およびボイラー装置
KR200262016Y1 (ko) 자동 코크스 보일러.
CN220771375U (zh) 一种热风炉
KR101892718B1 (ko) 폐열 회수율이 극대화된 소각 보일러
CN208587915U (zh) 一种污泥炉排焚烧炉
JP2009024900A (ja) ボイ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